맨위로가기

플럭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럭서스는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가 시작한 국제적인 전위 예술 운동이다. 음악, 미술, 문학, 연극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는 '인터미디어'적 성격을 가지며, 기존 예술의 권위와 상업주의를 비판하는 반예술적 태도를 보였다. 플럭서스는 존 케이지의 실험 음악,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 다다이즘의 반예술 정신에 영향을 받았으며, 백남준을 비롯한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이벤트 스코어와 플럭서스 박스와 같은 독특한 형식을 통해 관객 참여를 유도하고, 유머와 단순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통일성 부족, 난해함, 대중성 부족 등의 비판도 받았다.

2. 역사

1962년 9월, 조지 마키우나스가 서독비스바덴 시립 미술관에서 '플럭서스 국제 현대 음악제'(총 4회)를 기획하면서 플럭서스가 시작되었다.[119] 이 콘서트에는 앨리슨 노울스, 볼프 포스텔, 에메트 윌리엄스, 딕 히긴스, 백남준, 벤 패터슨 등이 출연했다.[120][121][122] 이 콘서트는 호평을 받아 이듬해 1963년덴마크,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각 도시를 순회하며 각국의 현대 미술가들을 자극하고 끌어들였다.

1963년 2월, 마키우나스는 플럭서스를 "반예술주의에 의한 예술 공동체"로 묶으려는 선언문을 작성했지만, 사회적·정치적 영역까지 파고든 과격한 선동문에 찬동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딕 히긴스는 1991년 인터뷰에서 "다다이스트처럼 분열되는 것만은 피하자", "이념적인 선을 너무 엄격하게 긋지 말자"라고 참가자들끼리 상의해서 결정한 결과였다고 밝혔다.

플럭서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특징
독일, 미국, 일본, 한국 등 10개국 예술가들이 참여한 다국적 그룹
멤버와 비멤버의 구분이 모호함
미술, 음악, , 무용 등 다양한 예술 장르 포괄
그룹으로서 뚜렷한 주의 주장을 갖지 않음



플럭서스는 '이벤트'를 '해프닝'과 구별했다. '이벤트'는 악보에 근거하여 특정 행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물건을 예술의 무대에 끌어들여 그 경계를 허물고 일상에 예술적인 물건을 들여놓는다는 반예술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조지 마키우나스는 뉴욕 커낼 스트리트에 거주하며 플럭서스를 조직하고, '플럭스 키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판매했다. 또한 '플럭스 하우징 코퍼레이티브'라는 사업을 통해 소호를 예술가의 거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일본에서는 오노 요코, 무라마츠 토오루, 이치야나기 토시, 고스기 타케히사, 시오미 야스히코, 토네 야스나오, 요시 와다 등이 플럭서스에 참여했다.

1978년, 조지 마키우나스는 매사추세츠주 버크셔 산맥으로 이주했다. 그는 사망하기 3개월 전, 친구이자 동반자인 시인 빌리 허칭과 결혼했다. 매사추세츠주 리에서 법적인 결혼식을 올린 후, 1978년 2월 25일, 부부는 소호의 친구 로프트에서 "플럭스웨딩"을 거행했는데, 신랑과 신부는 옷을 바꿔 입었다.[80][81] 마키우나스는 1978년 5월 9일 보스턴의 한 병원에서 췌장암과 간암으로 사망했다.[80][81] 그는 만년에 "플럭서스는 결성 후 수년이 지나자 그룹의 이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삶의 방식, 사물의 방식을 가리키게 되었다"라고 회상했다.

마키우나스 사후, 플럭서스는 특정 기간(1962년~1978년)의 미술 운동으로 보는 몇몇 수집가 및 큐레이터와, 핵심 가치와 세계관으로 플럭서스를 살아있는 실체로 계속해서 간주하는 예술가들 사이에서 분열이 일어났다.[82][83] 현대 미술관 역시 이 운동의 시기를 1960년대와 1970년대로 보고 있다.[22][86]

하지만 플럭서스의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멀티미디어 디지털 아트 퍼포먼스에서 계속되고 있다.[87][88] 2011년 9월, 오더 마인즈는 플럭서스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의 SOMArts 건물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87][88] 2018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은 ''플럭서스 페스티벌''에서 존 케이지의 "유로페라스 1 & 2"를 통합한 플럭서스 퍼포먼스를 유발 샤론의 연출로 선보였다.[92]

앨리슨 노울스와 딕 히긴스의 딸인 해나 히긴스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마키우나스가 핵심적인 참여자였지만, 마키우나스 사망 후에도 플럭서스 내에서 계속 활동한 플럭서스 공동 창립자 히긴스를 포함하여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고 주장한다.[89] 1990년대 인터넷의 부상은 활기찬 포스트 플럭서스 커뮤니티가 온라인에서 등장할 수 있게 했다.[90][91]

2. 1. 기원

존 케이지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 뉴욕 시의 뉴 스쿨 포 소셜 리서치에서 실험 작곡 강좌를 가르쳤다. 이 강좌는 예술에서의 우연성과 불확정성 개념을 탐구했다.[21] 이 강좌에는 잭슨 맥 로우, 라 몬테 영, 조지 브레히트, 알 한센, 딕 히긴스 등 훗날 플럭서스의 주요 구성원이 되는 인물들이 참여했다.[21] 이들은 마르셀 뒤샹의 작품과[22] 로버트 머더웰이 편집한 『다다 시인과 화가』와 같은 다다 텍스트 번역 모음집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23]

1961년, 조지 마키우나스는 라 몬테 영과 함께 '우연적 조작의 앤솔러지'를 기획하면서 '플럭서스'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게 되었다.[31] 마키우나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리투아니아를 탈출한 후 그의 가족이 뉴욕에 정착하여 존 케이지와 라 몬테 영을 중심으로 한 아방가르드 예술가 및 음악가 그룹을 처음 만났기 때문에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34] 마키우나스는 그가 인식한 리투아니아 예술가 그룹이 아닌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혁명가들을 [하나의] 통일 전선과 행동으로 융합하려는" 시도로, 공통의 감성을 가진 다양한 예술가들이 생산하는 네오 다다 예술을 위해 '플럭서스'라는 이름을 지었다.[34]

마키우나스는 1962년 6월 9일 서독 부퍼탈에서 자신이 조직한 '케이지 이후; 작은 여름 축제'(Après Cage; Kleinen Sommerfest)에서 배포한 '브로셔 기획서'에서 '플럭서스'(흐르다라는 의미)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그는 플럭서스를 '네오 다다이즘' 또는 '갱신된 다다이즘'이라고 칭하기도 했으나,[35] 라울 하우스만은 '플럭서스'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36]

1962년 9월, 조지 마키우나스는 서독비스바덴 시립 미술관에서 "플럭서스 국제 현대 음악제"(총 4회)를 기획했는데, 이것이 플럭서스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19] 이 콘서트에는 앨리슨 노울스, 볼프 포스텔, 에메트 윌리엄스, 딕 히긴스, 백남준, 벤 패터슨 등이 출연했다.[120][121][122] 이 콘서트는 호평을 받아 이듬해 1963년덴마크,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각 도시를 순회했다.

2. 2. 전개

1962년 9월, 조지 마키우나스가 서독비스바덴 시립 미술관에서 '플럭서스 국제 현대 음악제'를 기획하면서 플럭서스가 시작되었다.[119] 이 콘서트에는 볼프 포스텔, 에메트 윌리엄스, 딕 히긴스, 백남준, 벤 패터슨 등이 출연했다.[120][121][122] 특히, 필립 코너의 ''피아노 활동''이라는 퍼포먼스는 피아노를 완전히 파괴하는 충격적인 내용으로 독일 텔레비전에 네 번이나 방영될 정도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40]

1963년에는 덴마크,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 각지에서 플럭서스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1963년 2월, 마키우나스는 플럭서스를 "반예술주의에 의한 예술 공동체"로 묶으려는 선언문을 작성했지만, 과격한 내용에 동의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딕 히긴스는 1991년 인터뷰에서 다다이스트처럼 분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가자들끼리 합의했다고 밝혔다.

플럭서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특징
독일, 미국, 일본, 한국 등 10개국 예술가들이 참여한 다국적 그룹
멤버와 비멤버의 구분이 모호함
미술, 음악, , 무용 등 다양한 예술 장르 포괄
그룹으로서 뚜렷한 주의 주장을 갖지 않음



플럭서스는 '이벤트'를 '해프닝'과 구별했다. '이벤트'는 악보에 근거하여 특정 행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물건을 예술의 무대에 끌어들여 그 경계를 허물고 일상에 예술적인 물건을 들여놓는다는 반예술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조지 마키우나스는 뉴욕 커낼 스트리트에 거주하며 플럭서스를 조직하고, '플럭스 키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판매했다. 또한 '플럭스 하우징 코퍼레이티브'라는 사업을 통해 소호를 예술가의 거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일본에서는 오노 요코, 무라마츠 토오루, 이치야나기 토시, 고스기 타케히사, 시오미 야스히코, 토네 야스나오, 요시 와다 등이 플럭서스에 참여했다.

마키우나스는 1978년 사망하면서 "플럭서스는 결성 후 수년이 지나자 그룹의 이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삶의 방식, 사물의 방식을 가리키게 되었다"라고 회상했다. 마키우나스 사후에도 플럭서스는 연구자와 수집가들의 관심을 받으며 세계적으로 공연을 이어가고 있다.

1962년 비스바덴에서 공연된 필립 코너의 ''피아노 활동''. 왼쪽부터 에멧 윌리엄스, 볼프 보스텔, 백남준, 딕 히긴스, 벤자민 패터슨, 조지 마키우나스.


1964-65년 겨울 암스테르담에 있는 빌렘 데 리더의 메일 주문 플럭스샵 (도로테아 메이어와 함께).


1964년경 조지 마키우나스가 백남준에게 보낸 엽서 ''배신자, 너는 플럭서스를 떠났다!''. 백남준이 슈톡하우젠의 ''Originale''에 참여한 이후의 일이다.

2. 2. 1. 한국에서의 플럭서스

백남준은 한국을 대표하는 플럭서스 예술가였다. 그의 비디오 아트퍼포먼스는 한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노 요코, 고스기 타케히사 등 일본에서 활동하던 예술가들도 플럭서스와 교류하며 한국 예술가들과 협업하기도 했다.

1964년 4월 11일부터 5월 23일까지 커낼 스트리트에서 "뉴욕 미술계의 진부한 틀에서 벗어나" 12개의 콘서트가 열렸다.[48] 벤 보티에, 앨리슨 놀스, 고스기 타케히사의 작품들이 거리에서 무료로 공연되었지만, 실제로는 '관객이라고 할 만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48]

플럭서스 예술가들은 "콘서트홀, 극장, 미술관"이 "미라화"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거리, 집, 기차역"을 선호했다.[48]

1965년에는 라 몬테 영, 크리스토, 조셉 버드, 오노 요코를 포함하여 나중에 유명해진 수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이 담긴 마닐라 봉투를 볼트로 묶은 첫 번째 선집 ''플럭서스 1''이 발간되었다.

2. 3. 쇠퇴와 영향

1978년, 조지 마키우나스의 사망은 플럭서스 운동의 쇠퇴를 가져왔다.[80][81] 마키우나스는 사망하기 3개월 전, 친구이자 동반자인 시인 빌리 허칭과 결혼했다. 매사추세츠주 리에서 법적인 결혼식을 올린 후, 1978년 2월 25일, 부부는 소호의 친구 로프트에서 "플럭스웨딩"을 거행했는데, 신랑과 신부는 옷을 바꿔 입었다. 마키우나스는 1978년 5월 9일 보스턴의 한 병원에서 췌장암과 간암으로 사망했다.[80][81]

조지 마키우나스가 사망한 후, 플럭서스는 특정 기간(1962년~1978년)의 미술 운동으로 보는 몇몇 수집가 및 큐레이터와, 핵심 가치와 세계관으로 플럭서스를 살아있는 실체로 계속해서 간주하는 예술가들 사이에서 분열이 일어났다.[82][83]

일부에서는 큐레이터 존 헨드릭스가 주요 역사적 플럭서스 컬렉션(길버트와 릴라 실버만 컬렉션)을 독점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컬렉션이 지원하는 수많은 책과 카탈로그를 통해 플럭서스가 마키우나스와 함께 끝났다는 견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84][85] 현대 미술관 역시 이 운동의 시기를 1960년대와 1970년대로 보고 있다.[22][86]

하지만 플럭서스의 실험 정신과 반예술적 태도는 이후의 현대미술, 특히 퍼포먼스 아트, 개념 미술, 미디어 아트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플럭서스의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멀티미디어 디지털 아트 퍼포먼스에서 계속되고 있다.[87][88] 2011년 9월, 오더 마인즈는 플럭서스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의 SOMArts 건물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87][88]

앨리슨 노울스와 딕 히긴스의 딸인 해나 히긴스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마키우나스가 핵심적인 참여자였지만, 마키우나스 사망 후에도 플럭서스 내에서 계속 활동한 플럭서스 공동 창립자 히긴스를 포함하여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고 주장한다.[89] 1990년대 인터넷의 부상은 활기찬 포스트 플럭서스 커뮤니티가 온라인에서 등장할 수 있게 했다.[90][91]

오늘날에도 플럭서스의 정신은 다양한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그 유산은 여전히 현대미술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다. 2018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은 ''플럭서스 페스티벌''에서 존 케이지의 "유로페라스 1 & 2"를 통합한 플럭서스 퍼포먼스를 유발 샤론의 연출로 선보였다.[92] 플럭서스 예술가들은 오늘날에도 소규모로 계속해서 공연을 하고 있다.

오웬 스미스는 저서 ''플럭서스: 간략한 역사와 다른 허구들''에서 플럭서스에 대한 새로운 자료가 출판되고 현재로 확장됨에 따라 그 역사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인정한다.[109] 크리스틴 스타일스는 그녀의 에세이 중 하나에서 플럭서스의 본질은 "수행적"이라고 주장했지만, 최근에는 그 본질이 "약화되거나 위협받고" 있다고 느낀다.[109]

3. 주요 특징

플럭서스는 DIY 미학을 장려하고 복잡함보다는 단순함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다다와 마찬가지로 플럭서스는 강력한 반상업주의와 반예술 감성을 포함하여, 예술가 중심의 창작 활동을 선호하며 전통적인 시장 중심의 예술 세계를 경멸했다.[94] 그러나 플럭서스 예술가 로베르 필리우가 썼듯이, 플럭서스는 더 풍부한 포부를 가졌다는 점에서 다다와 달랐으며, 플럭서스의 긍정적인 사회적, 공동체적 열망은 그룹의 특징이기도 한 반예술적 경향보다 훨씬 더 중요했다.[94]

플럭서스는 표현의 개념에 도전하여, 대신 단순한 제시를 제공했다. 이는 서양 예술과 일본 예술의 주요 차이점에 해당한다. 또 다른 중요한 플럭서스의 특징은 예술과 삶 사이의 경계를 없앤 것이었는데, 이는 전후 예술에서 매우 두드러진 경향이었다. 이는 "모든 사람은 예술가다"라고 말한 요제프 보이스의 작품과 저술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났다. 플럭서스의 접근 방식은 종이와 플라스틱으로 만든 작은 물건의 생산에서 볼 수 있듯이 일상적이고 "경제적인" 것이었다. 이는 일상적인 행위와 사물의 높은 예술적 가치, 그리고 절약에 대한 미적 감상과 같은 일본 문화의 몇 가지 기본적인 특징과 강력하게 일치한다. 이것은 또한 일본 예술과도 연관되며, 불완전성을 포함할 수 있고, 노골적인 것보다는 미묘함을 강조하는, 단순한 사물에 대한 감상을 지지하는 시부미의 개념과도 연관된다. 일본 미학 학자 오니시 요시노리는 일본 예술의 본질을 범자연적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자연, 예술, 삶 사이의 구분이 없다는 의식 때문이다. 예술은 현실적인 존재에 해당하는 삶과 자연/현실에 접근하는 방식이다.[93]

플럭서스와 관련된 여성 예술가들, 예를 들어 캐롤리 슈니먼, 샬롯 무어먼, 앨리슨 놀스, 오노 요코 등은 다양한 매체와 내용의 작품을 통해 1960년대와 70년대의 변화를 제시했다.[71] 이들은 신체와 관련된 실험적이고 수행적인 작품을 만들었는데, 캐롤리 슈니먼의 "내부 두루마리", 오노 요코의 "컷 피스", 쿠보타 시게코의 "바지나 페인팅" 등이 대표적이다. 플럭서스 내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은 종종 남성 지배 사회 내에서의 자신들의 위치를 비판하는 동시에, 개방적이고 다양성을 추구한다고 주장하는 예술 집단 내의 불평등을 드러냈다. 조지 마키우나스는 슈니먼을 플럭서스 멤버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그녀를 "바로크적 경향, 노골적인 성적 표현, 연극적 과잉의 죄가 있다"고 불렀다.[72] "내부 두루마리"는 슈니먼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영화 제작자로서 겪었던 경험에 대한 응답이었는데, 당시 남성 영화 제작자들은 여성들이 춤에만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1년 2월 19일 뉴욕 대학교에서 ''여성 & 퍼포먼스: 페미니즘 이론 저널''과 공연 연구학과가 주최한 ''플럭서스 여성들과의 저녁: 원탁 토론''에서 시오미 미에코는 "…플럭서스에 대해 내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점은 국적과 성별에 따른 차별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플럭서스는 예술과 삶에 대해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습니다. 그래서 여성 예술가들이 좌절감을 느끼지 않고 그렇게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3]

쿠보타 시게코의 ''바지나 페인팅''(1965)은 붉은 물감을 적신 붓을 속옷에 부착한 다음, 쪼그려 앉은 자세로 종이 위에 칠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 페인팅은 생리혈을 연상시켰다. ''바지나 페인팅''은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과 남성 중심의 추상표현주의 전통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되어 왔다.[74]

플럭서스의 직접적인 선구자는 1956년 시라가 카즈오가 설명한 바와 같이 반아카데믹적이고 심리적 체험으로서의 예술, "있는 그대로의 물질의 예술"을 옹호한 구타이 그룹이었다. 구타이는 플럭서스의 특징, 즉 세련된 것과 사소한 것, 고급과 저급 사이의 모호성을 예상하며 일종의 예술적 대량 생산과 연결되었다. 실제로, 일본의 아방가르드 예술은 개념적인 요소보다는 비공식적인 요소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본 예술에서 발견되는 극단적인 형식주의와 상징주의에 근본적으로 반대했다.

1950년대 뉴욕 음악계에서는 선진국 전반에서 많은 사람들이 겪었던 전후 시대의 환멸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감지될 수 있었다. 이러한 환멸은 그 자체로 정신적 태도, 명상, 음식 및 신체 관리에 있어서 불교와 에 대한 헌신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보다 급진적인 예술적 감성이 전반적으로 필요하다는 느낌도 있었다. 썩어감의 주제와 예술 분야에서 근대성이라는 개념의 부적절함은 뒤샹다다에서 일부 차용되었고,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불안감에 대한 자각에서 일부 차용되었다.

3. 1. 다매체성 (Intermedia)

플럭서스는 음악, 미술, 문학,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융합하는 '인터미디어'적 성격을 지녔다. 이러한 다매체적 접근은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탐구하는 데 기여했다.

요코 오노의 퍼포먼스 작품 ''Cut Piece''. 관객들이 그녀의 옷을 잘라낼 수 있도록 초대한다. 1965년 3월 21일 뉴욕 카네기 리사이틀 홀에서 공연된 버전. 앨버트 메이즐스와 데이비드 메이즐스의 영화 스틸 컷.


1964년 일본 도쿄에서 플럭서스 커뮤니티에 반대하던 요코 오노[57]는 예술가 책 ''Grapefruit''를 독립적으로 출판했다.[58] 이 책에는 이벤트 스코어와 기타 참여형 예술 형태가 포함되어 있다.[59]

책에 수록된 이벤트 스코어 예시는 다음과 같다.

'''Cloud Piece'''[60]

구름이 떨어지는 것을 상상하라.

정원에 구름을 넣을 구멍을 파라.

3. 2. 반(反)예술성

플럭서스는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아 기존 예술의 권위와 상업주의를 비판하는 태도를 보였다.[61][62] 1965년 9월 25일, 라 몬테 영의 지휘 아래 '''플럭스 오케스트라'''는 카네기 리사이틀 홀에서 공연을 가졌는데, 여기에는 시오미 치에코, 조지 브레히트, 오노 요코 등 여러 플럭서스 예술가들의 작품이 포함되었다.

1969년, 플럭서스 예술가 조 존스는 "JJ Music Store"를 열고 반복적인 드론 음악 기계를 선보였다. 1970년 4월 18일부터 6월 12일까지 오노 요코존 레논은 ''GRAPEFRUIT FLUXBANQUET''라는 플럭서스 예술 행사 및 콘서트 시리즈를 열었으며, 조지 마키우나스, 와다 요시마사, 제프리 헨드릭스, 로버트 와츠 등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3. 3. 유머와 단순성

플럭서스 작품은 유머러스하고 단순한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복잡하고 난해한 현대미술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반영한다. 이들은 'DIY'(Do It Yourself) 미학을 통해 누구나 쉽게 예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63][64][65]

예를 들어, 1967년 페르 키르케뷔의 작품으로 알려진 ''플라스틱 상자 속의 단단한 플라스틱''은 원래 키르케뷔가 '이 상자에는 나무가 들어있음'이라고 새겨진 금속 상자로 제작했다. 상자를 열면 톱밥이 들어있었다. 요나스 마키우나스가 복수 제작을 했을 때, 그것은 같은 색깔의 플라스틱 상자에 들어있는 단단한 플라스틱 덩어리였다.[64]

반대로, 마키우나스는 360°로 측정된 시계 문자반을 담은 ''각도 시계''를 로버트 와츠의 아이디어임에도 불구하고 키르케뷔의 작품으로 지정했다.[64] 몇 년 전, 로버트 와츠와 ''각도 시계''와 ''나침반 시계''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그는 자신이 그 아이디어를 생각해냈고 조지 마키우나스가 페르 키르케뷔의 작품이라고 광고한 것에 놀랐다고 회상했다. 와츠는 어깨를 으쓱하며 조지가 그런 식으로 일한다고 말했다. 아이디어는 떠돌아다닐 것이고 마키우나스는 그 작품을 한 예술가에게 할당할 것이다.영어

3. 4. 관객 참여

플럭서스는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 스코어'와 같은 형태의 작품을 통해 예술가와 관객 사이의 소통을 강조했다. 이는 예술 작품의 완성이 관객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뒤샹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래리 밀러는 1969년부터 플럭서스 그룹과 협업하며 "클래식" 악보를 해석하고, 그룹의 작품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 그는 예술가, 제작자, 연구자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으며,[67] 수많은 플럭서스 행사를 기획, 재구성, 공연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67]

밀러 덕분에 플럭서스는 1999년 뉴어크 박물관의 ''Off Limits'' 전시회 등을 통해 CNN을 비롯한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다.[68] 그는 니스 미술관의 ''Performance in Fluxus Continue 1963–2003'', 암스테르담의 ''Fluxus a la Carte'',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중앙 박물관의 ''Centraal Fluxus Festival''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다.

2004년, 밀러는 제프 헨드릭스의 ''Critical Mass: Happenings, Fluxus, Performance, Intermedia and Rutgers University 1958–1972''에서 1970년 처음 선보인 플럭스 올림픽의 육상 경기를 재현 및 업데이트했다.[69] 또한,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AI – Art Interactive – 에서 열린 ''Do-it Yourself Fluxus''에서 큐레이터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관람객 체험형 작품 전시를 위해 역사적인 ''Flux Labyrinth''의 여러 섹션을 재구성했다.

''Flux Labyrinth''는 1976년 베를린 아카데미 데어 쿤스트에서 조지 마키우나스와 밀러가 처음 제작한 거대하고 복잡한 미로로, 여러 플럭서스 예술가들의 섹션을 포함한다. 밀러는 1994년 워커 아트 센터의 ''In the Spirit of Fluxus'' 전시에서 새로운 버전의 ''Flux Labyrinth''를 제작했고, 그리에르 마르쿠스는 이를 "괴물을 미세 조정하고 있었다"라고 평가했다.[70]

3. 5. 한국 문화와의 연관성

플럭서스의 반권위주의적이고 소탈한 미학은 검소함을 중시하는 한국의 전통문화, 특히 선비 정신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백남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샤머니즘적 요소나 즉흥성은 한국 전통문화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4. 주요 예술가

플럭서스는 다양한 국적의 예술가들이 참여한 국제적인 운동이었다. 다음은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한 주요 예술가 목록이다.

플럭서스 주요 예술가
이름출생-사망국적주요 활동 분야비고
조지 마키우나스1931-1978리투아니아/미국시각 예술, 퍼포먼스플럭서스 창시자, 플럭서스 선언문 작성
백남준1932-2006대한민국/미국비디오 아트, 설치 미술, 퍼포먼스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요제프 보이스1921-1986독일조각, 설치 미술, 퍼포먼스, 사회적 조각사회적 조각 개념 제시
존 케이지1912-1992미국실험 음악, 작곡, 퍼포먼스우연성 음악의 선구자, 4분 33초
오노 요코1933년생일본/미국개념 미술, 퍼포먼스, 음악존 레논의 배우자
구보타 시게코1937-2015일본비디오 조각, 설치 미술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1932년생리투아니아음악, 정치리투아니아 독립 운동 지도자
토머스 슈미트1943-2006독일시각 예술, 퍼포먼스
조지 브레히트1926-2008미국이벤트, 오브제, 조각이벤트 개념 창시
딕 히긴스1938-1998미국시각시, 사운드 아트, 출판인터미디어 개념 창시
에메트 윌리엄스1925-2007미국, 퍼포먼스, 편집
벤 패터슨1934-2016미국음악, 퍼포먼스, 시각 예술
로베르 피유1926-1987프랑스, 퍼포먼스, 오브제영구 창조 개념 제시
고스기 다케히사1938-2018일본실험 음악, 즉흥 연주, 퍼포먼스
시오미 미에코1938년생일본실험 음악, 이벤트, 퍼포먼스
도네 야스나오1935년생일본실험 음악, 사운드 아트
와다 요시1943-2021일본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실험 음악



이들은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가 서독 비스바덴 시립 미술관에서 기획한 "플럭서스 국제 현대 음악제"를 시작으로,[119] 1963년 덴마크,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 각지를 순회하며 공연했다.[120][121][122]

조지 마키우나스는 1963년 2월 "반예술주의에 의한 예술 공동체"를 표방하는 플럭서스 선언문을 작성했지만, 사회적·정치적 주장에 대한 예술가들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122] 딕 히긴스는 1991년 인터뷰에서 다다이스트처럼 분열을 피하고, 이념적 경계를 엄격히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회고했다.

마키우나스는 ''플럭스키트''(1964년)[63], ''플럭스 2''(1965년)[64] 등 플럭서스 예술가들의 작품집을 출판했다. 이 시기 작품들은 익명, 저작권 문제 등 논란이 있었다.[65]

4. 1. 국제적 예술가

4. 2. 한국 및 일본 예술가

백남준은 한국 출신의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로, 플럭서스 운동의 핵심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작품은 한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120][121][122] 고스기 다케히사는 일본의 전위 음악가이자 퍼포먼스 아티스트로, 플럭서스와 교류하며 활동했다.[48] 시오미 미에코는 일본의 여성 작곡가이자 퍼포먼스 아티스트로,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했다.[73]

이 외에도 오노 요코, 구보타 시게코, 이치야나기 도시, 도네 야스나오, 와다 요시 등이 플럭서스에 참여했다.

5. 비판과 논란

플럭서스는 그 전위적인 성격만큼이나 다양한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구타이 그룹은 플럭서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반아카데믹적이고 심리적 체험으로서의 예술, "있는 그대로의 물질의 예술"을 옹호하며 고급과 저급, 세련된 것과 사소한 것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플럭서스의 특징과 연결된다.[93] 일본의 아방가르드 예술은 개념적인 요소보다는 비공식적인 요소를 추구하며, 극단적인 형식주의와 상징주의에 반대했다.[93]

1950년대 뉴욕 음악계는 전후 시대의 환멸과 관련된 문제들을 드러냈다. 이러한 환멸은 불교와 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지만, 보다 급진적인 예술적 감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플럭서스는 표현의 개념에 도전하고 단순한 제시를 제공하며, 예술과 삶의 경계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했다.[93] 이는 "모든 사람은 예술가다"라고 말한 요제프 보이스의 작업과 일맥상통하며, 일상적인 행위와 사물의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강조하는 일본 문화의 특징과도 연결된다.[93] 오니시 요시노리는 일본 예술의 본질을 범자연적이라고 칭하며, 자연, 예술, 삶 사이의 구분이 없음을 강조했다.[93]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가 서독 비스바덴 시립 미술관에서 "플럭서스 국제 현대 음악제"를 기획하며 플럭서스가 시작되었다.[119] 백남준을 비롯한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했으며, 이 콘서트는 호평을 받아 이듬해 여러 도시를 순회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20][121][122] 마키우나스는 1963년 플럭서스를 "반예술주의에 의한 예술 공동체"로 묶으려는 선언문을 작성했지만, 과격한 내용 때문에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딕 히긴스는 다다이스트처럼 분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념적인 선을 엄격하게 긋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플럭서스는 다국적 그룹으로, 미술, 음악, 시, 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했지만, 뚜렷한 주의 주장을 갖지 않았다. 플럭서스는 자체 "이벤트"를 "해프닝"과 구별했는데, "이벤트"는 악보에 근거하여 특정 행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물건을 예술의 무대에 끌어들여 그 경계를 허무는 반예술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마키우나스는 뉴욕 소호에서 "플럭스 하우징 코퍼레이티브"를 진행하여 예술가들에게 저렴한 로프트를 제공하며 소호를 예술가의 거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오노 요코 등 여러 일본인 예술가들도 플럭서스에 참여했다. 초기 플럭서스는 마키우나스와 그를 따르는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지만, "예술 공동체"로서의 이상은 실현되지 못했다. 마키우나스는 1978년 사망하기 전, 플럭서스가 그룹의 이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삶의 방식, 사물의 방식을 가리키게 되었다고 회상했다.

5. 1. 통일성 부족과 엘리트주의

플럭서스는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통일된 이념이나 양식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조지 마키우나스의 독단적인 운영 방식은 1962년부터 1978년 사이에 잦은 제명 행위로 집단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일부 예술가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오웬 스미스는 ''플럭서스: 간략한 역사와 다른 허구들''에서 플럭서스에 대한 새로운 자료가 출판되고 현재로 확장됨에 따라 그 역사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09] 크리스틴 스타일스는 플럭서스의 본질은 "수행적"이지만, 최근에는 그 본질이 "약화되거나 위협받고" 있으며, 플럭서스가 역사적으로 급진적인 과정이자 발표 예술에서 정적이고 표현적인 전통 예술로 변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09] 리더십, 식별 가능한 지침, 실제적인 집단 전략, 실천상의 동질성도 없는 플럭서스는 전통적인 비평 도구로는 다루기 어렵다.[110]

5. 2. 난해성과 대중성 부족

플럭서스 예술가들은 조지 브레히트의 "Drip Music"과 같이, 수행할 동작을 간결하게 설명하는 퍼포먼스 아트 대본인 "이벤트 스코어"를 활용했다.[100][101][102] 이들은 해프닝과 달리 짧고 단순한 이벤트 퍼포먼스를 통해 평범한 것에서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고, 고급 예술 문화를 비판하고자 했다.

이벤트라는 개념은 헨리 코웰의 음악 철학에서 비롯되었으며, 존 케이지와 딕 히긴스를 거쳐 구체화되었다. "스코어"는 음악 악보처럼 누구나 작품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지침을 의미하며, 백남준은 이를 "DIY" 접근법이라 칭했다. 켄 프리드먼은 "음악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작곡가의 의도를 존중하면서도 누구나 자유롭게 작품을 해석하고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플럭서스는 콜라주, 사운드 아트, 음악, 비디오, 시각시, 구체시 등 다양한 형태의 창작 방식을 시도했다.[103]

6. 결론

백남준과 플럭서스 예술 운동 동료들은 관람객에게 충격을 주는 방식을 통하여 관람객을 "습관에 의해 심화된 지각적 무기력에서" 깨우는 수단이라고 믿었다.[104] 백남준은 자신의 플럭서스 작품에서 충격 요소를 묘사하며 "내 전시회에 온 사람은 누구든 머리를 보고 흥분했다."라고 언급했다.[105]

1962년 9월 조지 마키우나스가 서독비스바덴 시립 미술관에서 "플럭서스 국제 현대 음악제"를 기획한 것이 플럭서스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19] 이 콘서트는 호평을 받아 이듬해 1963년 덴마크,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각 도시를 순회했다. 마키우나스는 1963년 2월 플럭서스를 "반예술주의에 의한 예술 공동체"로 묶으려고 선언문을 작성했지만, 사회적·정치적 영역까지 파고든 과격한 선동문에 찬동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플럭서스는 자체의 "이벤트"를 "해프닝"과 구별했다. "이벤트"는 악보에 근거하여 특정 행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물건을 예술의 무대에 끌어들이고 그 경계를 허물어 일상에 예술적인 물건을 들여놓는다는 반예술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마키우나스는 뉴욕 캐널 스트리트에 거주지를 마련하고 플럭서스를 예술 그룹으로 조직해 나갔다. 그는 세계를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에 총괄 책임을 맡기고 스스로는 뉴욕 본부의 회장으로 군림하며, 1960년대 후반에는 "로프트를 개조하고, 실내 장식을 하고, 예술가에게 저렴하게 판매"하는 사업 "플럭스 하우징 코퍼레이티브"를 진행하여 소호를 예술가의 거리로 만드는 계기를 만들었다.

초기 플럭서스는 창시자인 조지 마키우나스와 그 찬동자인 예술가라는 두 개의 축을 가지고 있었다. 마키우나스는 "예술 공동체"를 꿈꾸며 예술가가 창작 활동에 몰두하고 자유롭게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했지만, 예술가는 인프라에 무임승차하는 형태로, 결국 "예술 공동체"로서의 길은 걷지 않았다. 마키우나스는 그 꿈을 이루지 못한 채 1978년에 사망한다. 그는 만년에 "플럭서스는 결성 후 수년이 지나자 그룹의 이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삶의 방식, 사물의 방식을 가리키게 되었다"라고 회상했다.

참조

[1] 간행물 Nationalencyclopedin https://web.archive.[...] Swedish National Encyclopedia 2016
[2] 간행물 Fluxus Britannica Academ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6
[3] 간행물 Intermedia 1966-02
[4] 서적 Intermedia W. W. Norton 2001
[5] 서적 Horizons: The Poetics and Theory of the Intermedia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4
[6] 간행물 The Computational Word Works of Eric Andersen and Dick Higgins
[7] 간행물 Concept Art: Innperseqs Jackson Mac Low and La Monte Young 1961
[8] 간행물 Essay: Concept Art: Provisional Version Jackson Mac Low and La Monte Young 1963
[9] 서적 Nam June Paik: eine Data Base. La Biennale di Venezia. XLV Esposizione lnternazionale D'Arte, June 13 – October 10, 1993 Biennale di Venezia and Edition Cantz 1993
[10] 서적 Nam June Paik: Global Visionary D. Giles, Ltd., in association with the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2012
[11] 서적 Vostell. Environments Pintura Happenings Dibuixos Video de 1958 a 1978 Fundacio Joan Miro 1979
[12] 서적 Fluxus, the Most Radical and Experimental Art Movement of the Sixties Editions Galerie A 1979
[13] 서적 Introduction Tuja Books 1999
[14] 웹사이트 Fluxus Movement, Artists and Major Works http://www.theartsto[...] 2015-10-06
[15] 서적 In the Spirit of Fluxus Walker Art Center
[16] 간행물 A Spirit of Large Goals. – Dada and Fluxus at Two Speeds Institute of Modern Art 1990
[17] 간행물 Fluxus: Theory and Reception 1992
[18] 서적 Fluxus: Theory and Reception Wiley Academy Editions 1998
[19] 서적 Fluxus: A Laboratory of Ide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20] 간행물 Freedom? Nothingness? Time? Fluxus and the Laboratory of Ideas https://journals.sag[...] 2012-12
[21] 문서
[22] 웹사이트 Michael Corris, MoMA, Grove Art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http://www.moma.org/[...] 2012-06-12
[23] 서적 The Dada Painters And Poets: An Anthology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Anti-art, Art that challenges the existing accepted definitions of art, Tate http://www.tate.org.[...] 2015-10-07
[25] 뉴스 Dada's Women, Ahead of Their Time https://www.nytimes.[...] 2006-07-06
[26] 간행물 Neo-Dada: Redefining Art, 1958–1962 1995-01
[27] 웹사이트 Performances at Yoko Ono's Chambers Street Loft http://www.jeclique.[...] 2012-07-02
[28] 웹사이트 Tate, Nam June Paik, Fluxus, Performance, Participation http://www.tate.org.[...] 2012-07-04
[29] Youtube Dick Higgins on FLUXUS - YouTube https://www.youtube.[...] 2010-03-15
[30] 문서
[31] 서적 Fluxus Administration: George Maciunas and the Art of Paperwor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4
[32] 웹사이트 Chamberlain, Colby. "Design in Flux" Art In America. 1 October 2014 http://www.artinamer[...] 2014-10-01
[33] 서적 Fluxus Administration: George Maciunas and the Art of Paperwor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4
[34] 문서 Fluxus Manifesto 1963
[35] 문서 Fluxus Prospectus
[36] 인용
[37] 문서
[38] 문서
[39] 웹사이트 Marcus Boon http://marcusboon.co[...] 2010-11-02
[40] 인용
[41] 인용
[42] 인용
[43] 인용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뉴스 Art in Review: The man who organized Fluxus https://www.nytimes.[...] 2022-05-17
[48] 문서
[49] 문서
[50] 간행물 On Originale. http://www.panmodern[...] Bloch, Mark, editor 2015-09-24
[51] 문서
[52] 웹사이트 A film of the event, UbuWeb http://www.ubu.com/f[...] 2012-06-15
[53] 웹사이트 A Child's History of Fluxus http://www.artnotart[...] 2012-06-22
[54] Youtube Charlotte Moorman and Nam June Paik "The Originale" https://www.youtube.[...] 2016-11-27
[55] 웹사이트 Stewart Home, The Assault on Culture, The origins of Fluxus and the movement in its 'heroic' period, Chapter 9 http://www.stewartho[...] 2012-06-16
[56] 인용
[57] 논문 The mind music of Yoko Ono: Screams and silences at the intersection of the real and the imagined (195-196)
[58] 서적 The Making of Intermedia: John Cage to Yoko Ono, 1952 to 1972 https://www.worldcat[...] 2016
[59] 논문 Like an elephant's tail: Process and instruction in the work of Michael Rakowitz, Rirkrit Tiravanija and Yoko Ono (7) (9-20)
[60] 서적 Grapefruit Wunternaum Press
[6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oe Jones by Nakagawa Shin http://www.sukothai.[...] 2017-01-03
[62] 웹사이트 Joint Yoko Ono, John Lennon, & Fluxgroup Project / Press Release -- April 1, 1970 https://specificobje[...] 2021-01-15
[63] 웹사이트 Fluxkit, MoMA http://www.moma.org/[...] 2012-07-04
[64] 웹사이트 MoMA, Interactive exhibitions http://www.moma.org/[...] 2012-06-28
[65] 문서
[66] 인용
[67] 웹사이트 "Fluxus East: Fluxus Networks in Central Eastern Europe" http://www.fluxus-ea[...] 2016-03-04
[68] 서적 Off Limits: Rutgers University and the Avant-garde, 1957–1963 Newark Museum. Newark, New Jersey
[69] 서적 Critical Mass: Happenings, Fluxus, Performance, Intermedia, and Rutgers Mead Art Museum, Amherst, Massachusetts
[70] 서적 Real Life Rock: The Complete Top Ten Columns, 1986–2014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onnecticut
[71] 뉴스 A New Book and a Museum Show for Sari Dienes https://whitehotmaga[...] 2023-09-08
[72] 서적
[73] 간행물 An evening with Fluxus women: a roundtable discussion 2009-11
[74] 문서 "Fluxus, Feminism, and the 1960's" 2017-06
[7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Artists and Art Production in SoHo, Danielle http://www.wordsinsp[...] 2011-10-11
[76] 문서 "La cédille qui ne finit pas: Robert Filliou, George Brecht, and Fluxus in Villefranche" 2012
[77] 웹사이트 Fluxkit documenting the project http://catalogue.dro[...]
[78] 웹사이트 Fluxus Movement, Artists and Major Works http://www.theartsto[...] 2015
[79] 인터뷰 Interview with Larry Miller
[80] 웹사이트 Marriage of George and Billy Maciunas https://www.youtube.[...] 2011-06-18
[81] 인용
[82] 뉴스 Liberating Viewers, and the World, With Silliness https://www.nytimes.[...] 2022-05-17
[83] 웹사이트 "Fluxus at NYU" http://www.nyu.edu/g[...]
[84] 서적 Fluxus : selections from the Gilbert and Lila Silverman Collection https://www.moma.org[...] Museum of Modern Art
[85] 웹사이트 Robert Pincus-Witten on Fluxus, and Jon Hendricks's Codex http://sdrc.lib.uiow[...]
[86] 웹사이트 MoMA exhibitions, October 2009 – August 2010 http://www.moma.org/[...] 2010-09-05
[87] 웹사이트 "Always in Flux, Mostly in Fun" https://www.sfcv.org[...] 2014-08-01
[88] 웹사이트 Something Else: A Fluxus Semicentenary https://archives.oth[...] 2024-02-15
[8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Hannah Higgins http://mouthtomouthm[...]
[90] 웹사이트 Bloch, Mark. "The Boat Book: Alison Knowles" http://whitehotmagaz[...]
[91] 웹사이트 Drinkall, Jacquelene. "Human Telepathic Collaborations from Fluxus to Now" http://artsonline.mo[...]
[92] 뉴스 What Happens When Fluxus Enters the Concert Hall? https://www.nytimes.[...] 2018-11-17
[93] 간행물 Toshi Ichiyanagi, Japanese Composer and "Fluxus" 2006
[94] 웹사이트 Robert Filliou on Fluxus and art http://artsbirthday.[...] 2010-09-05
[95] 웹사이트 Ken Friedman, ''40 Years of Fluxus'' http://www.artnotart[...] 2010-09-05
[96] 웹사이트 Maciunas on Fluxus http://www.artnotart[...] 2010-09-05
[97] 웹사이트 Fluxus and Happening, the Something Else Press http://members.chell[...] 2010-09-05
[98] 웹사이트 UBUWeb http://www.ubu.com/h[...] 2010-09-05
[99] 뉴스 Intermedia, Fluxus And The Something Else Press: Selected Writings By Dick Higgins https://whitehotmaga[...] 2023-09-08
[100] 간행물 Post-Cagean aesthetics and the 'event' score 2001
[101] 간행물 Origins of the Fluxus score: from indeterminacy to the 'do-it-yourself' artwork 2002-01
[102] 간행물 Abstraction to model: George Brecht's events and the conceptual turn in art of the 1960s 2009
[103] 뉴스 Book Review: A Something Else Reader, Edited by Dick Higgins https://whitehotmaga[...] 2023-09-08
[104] 서적 Shock and the Senseless in Dada and Fluxu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20-10-25
[105] 서적 Into the Maelstrom: Music, Improvisation and the Dream of Freedom: Before 197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20-10-25
[106] 서적 Rush 2005
[107] 웹사이트 On George Brecht, Robert Filliou and others http://members.chell[...] 2010-09-05
[108] 서적 Rush 2005
[109] 논문 In the Spirit of Fluxus 1994
[110] 논문 Fluxus, More Flux Than History 2012
[111] 서적 O'Dell 1997
[112] 서적 Fluxus and the Essential Questions of Li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and Hood Museum of Art 2011
[113] 웹사이트 Tate Archive and Public Records Catalogue http://archive.tate.[...] 2015-07-08
[114] 웹사이트 Fondation du Doute http://www.fondation[...] 2016-10-14
[115] 웹사이트 Museo Vostell Malpartida http://museovostell.[...] 2021-04-23
[116] 웹사이트 Museum Fluxus+ Potsdam, Germany http://www.fluxus-pl[...] 2005-09-03
[117] 간행물 Selected Special Collections Finding Aids. Jean Brown papers, 1916–1995, bulk 1958–1985 http://archives.gett[...] Getty Research Institute 2008-08-28
[118] 웹사이트 The Endless Story of FLUXUS http://www.artvideo.[...] 2021-04-23
[119] 웹사이트 HOME > art http://www.add-info.[...]
[120] 서적 Nam June Paik: eine Data Base. La Biennale di Venezia. XLV Esposizione lnternazionale D'Arte, June 13 – October 10, 1993 Biennale di Venezia and Edition Cantz 1993
[121] 서적 Nam June Paik: Global Visionary D. Giles, Ltd., in association with the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2012
[122] 서적 Vostell. Environments Pintura Happenings Dibuixos Video de 1958 a 1978 Fundacio Joan Miro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