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셔 투영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셔 투영식은 화학에서 3차원 분자의 구조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내는 방법이다. 탄소 사슬은 수직선으로, 수평선은 관찰자 쪽으로 향하는 결합을 나타내며, 카이랄성 판단에 유용하다. 피셔 투영식은 분자를 특정 방향으로 놓고 투영하여 만들며, 180도 회전하거나 치환기를 변경하는 변환 규칙이 존재한다. 하워스 투영식, 루이스 구조, 뉴먼 투영식, 쐐기 및 대시 표기법 등 다른 분자 모델과 비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과학 - 칸토어의 정리
    칸토어의 정리는 집합 X의 멱집합의 크기가 X의 크기보다 항상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임의의 기수 κ에 대해 2κ > κ가 성립한다는 내용으로,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으로 증명되고 집합론의 역설과 관련되어 전체 집합의 존재를 가정할 때 칸토어의 역설을 유발한다.
  • 1891년 과학 - 택시미터
    택시미터는 이동 거리와 시간 측정으로 택시 요금을 계산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쳐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GPS 등과 융합되어 스마트해졌으며, 요금 체계 공정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화학식 - 실험식
    실험식은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의 원자 수 비율을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것으로, 분자식과는 달리 이성질체나 분자 구조는 알 수 없지만 원소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물리학에서는 실험적 관계에서 유래한 수학 방정식을 의미한다.
  • 화학식 - 구조식
    구조식은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의 연결 방식과 결합 형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화학식으로, 루이스 구조식, 간략 구조식, 골격 구조식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이 있다.
  • 탄수화물 화학 - 당단백질
    당단백질은 탄수화물이 단백질에 공유결합된 복합체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구조 유지, 물질 수송, 면역 반응, 세포 부착 및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분자이다.
  • 탄수화물 화학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피셔 투영식
개요
피셔 투영식의 예시
피셔 투영식의 예시
유형분자 표현 방법
상세 내용
목적3차원 유기 분자를 2차원 이미지로 표현
특징수직선은 페이지 뒤쪽을 향하는 결합을 나타냄
수평선은 페이지 앞쪽을 향하는 결합을 나타냄
사용주로 탄수화물 화학과 아미노산 화학에서 사용
역사
개발자에밀 피셔
개발 연도1891년
주의 사항
제한 사항분자의 정확한 3차원 구조를 나타내지는 않음
사용 시 주의점탄소 사슬의 방향을 임의로 바꾸면 안됨

2. 역사

에밀 피셔가 1891년에 제안하였다.[1] 에밀 피셔는 당시 절대 입체 배치를 알 수 없었기에 임의로 당류의 배치를 가정했으나, 1951년 요하네스 바이흐페르트가 X선 결정 구조 분석을 통해 피셔의 가정이 옳았음을 증명하였다.[1]

3. 표기법 및 관례

모든 화학 결합은 수평 또는 수직선으로 묘사된다. 탄소 사슬은 수직으로 묘사되며, 탄소 원자는 때때로 표시되지 않고 교차선의 중심으로 표현된다. 탄소 사슬의 방향은 첫 번째 탄소(C1)가 맨 위에 오도록 한다.[2] 알데하이드에서는 C1이 알데하이드 그룹의 탄소이고, 케톤에서는 C1이 케톤 그룹에 가장 가까운 탄소이다.[3]

피셔 투영식에서 수평선은 관찰자 쪽으로 향하는 결합을, 수직선은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결합을 나타낸다.[4] IUPAC 규칙에 따르면 모든 수소 원자를 가급적 명시적으로 그려야 한다.[5] 이 점에서 피셔 투영식은 골격식과 다르다.

탄소 원자가 있는 피셔 투영식


에밀 피셔가 처음 류의 입체 배치를 제시했을 당시에는 절대 입체 배치를 아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피셔는 가능성이 있는 두 가지 배치 중 하나를 편의상 채택했다. 1951년 요하네스 바이흐페르트가 X선 결정 구조 분석을 통해 이 피셔의 선택이 옳았음을 밝혔다.

3. 1. 피셔 투영식 작성 규칙

피셔 투영식은 분자 모형을 놓을 때, 주목하는 비대칭 탄소의 4개 치환기에 대한 결합이 앞, 뒤, 좌, 우를 향하도록 한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결합은 위쪽(관찰자 쪽)을 향하고, 앞뒤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결합은 아래쪽(관찰자 반대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 형태로 아래쪽에 투영한 분자 형태가 피셔 투영식이 된다.




3. 2. 피셔 투영식의 변환

처음에 분자를 놓는 방향에 따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면서도 몇 가지 다른 피셔 투영식을 얻을 수 있다. 처음에 분자를 놓는 방향을 투영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키면, 피셔 투영식도 180도 회전한 형태가 된다. 또한, 분자를 놓은 후 비대칭 탄소와 1개의 치환기의 결합을 120도 회전시키면, 피셔 투영식은 회전축이 된 치환기의 위치를 그대로 두고 나머지 3개의 치환기 위치가 모두 원래와 다르게 바뀐 형태가 된다. 이러한 피셔 투영식은 모두 동일한 입체 배치를 의미한다.

반대로, 피셔 투영식을 90도 회전시키거나, 두 개의 치환기를 서로 바꾼 경우, 해당 피셔 투영식은 해당 비대칭 탄소에 대해 반대 절대 입체 배치를 갖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여러 개의 비대칭 탄소를 갖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각각의 비대칭 탄소에 대해 이 절차를 수행하고, 모순이 없도록 그것들을 연결함으로써 피셔 투영식을 구축한다.

4. 카이랄성

카이랄 분자는 입체 이성질체 또는 좌/우-손 에난티오머를 갖는 분자로 설명될 수 있다. 켈빈 경이 정의한 바와 같이, 분자는 "이상적으로 실현된 평면 거울 속의 이미지가 자기 자신과 일치될 수 없는" 경우 카이랄성을 갖는다.[6] 다시 말해, 카이랄 분자는 거울상이 자기 자신의 정확한 복사본이 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비대칭적이다. 카이랄성은 약물의 한 에난티오머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반면 다른 에난티오머는 질병으로부터의 완화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약물 개발과 같은 많은 분야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7] 이는 피셔 투영식과 관련하여 중요한데, 카이랄성은 이를 그리고 읽을 때 모두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 모델의 큰 장점은 치환기의 방향에 따라 카이랄성을 쉽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모델의 형식을 약간만 변경해도 입체화학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분자가 잘못 묘사되었음을 의미한다. 피셔 투영식은 카이랄성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치환기가 공간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도 보여주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셔 투영식을 기반으로 카이랄성을 결정하는 것은 표준 방법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주요 차이점은 피셔 투영식이 수직선과 수평선을 사용하여 치환체의 배향을 묘사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자의 배향이 이미 알려져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필요하다면 쐐기형과 점선으로 적절하게 묘사할 수 있다. 이후, 탄소에 결합된 각 그룹의 우선 순위가 정해지고 표준 방식으로 카이랄성이 결정된다.[8] 카이랄성을 결정하는 실제 과정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피셔 투영식을 사용하면 치환체가 공간상 어디에 있는지 더 잘 시각화할 수 있어 이 모델을 기반으로 S 또는 R 카이랄성을 지정하는 데 편리하다. 특정 경우에는 더 큰 분자에서 피셔 투영식을 그려 특정 탄소의 카이랄성을 시각화하고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5. 다른 모델과의 비교



D-글루코스의 세 가지 다른 투영법[2]

하워스 투영식은 고리 형태의 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피셔 투영식의 오른쪽에 있는 작용기는 하워스 투영식에서 고리 평면 아래에 있는 작용기와 같다.[9]

뉴먼 투영식은 분자의 엇갈린 배치 또는 겹쳐진 배치를 보여주는 표기법이다.[10]

나타 투영식(쐐기-대시 표기법)은 분자 내의 입체 화학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6. 한계

피셔 투영식은 2차원 표기법이므로, 분자의 실제 3차원 구조를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한다. 특히, 탄소가 3개 이상인 당류의 경우 모든 수평 결합이 관찰자를 향하도록 분자를 정렬하기 어렵다. 따라서, 피셔 투영식은 분자의 실제 구조를 어느 정도 왜곡하여 표현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Fischer Projection {{!}} Defini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2-11-17
[2] 논문 Understanding Fischer Projection and Angular Line Representation Conversion 2012-01
[3] 논문 Rules of Carbohydrate Nomenclature 1963-02
[4] 웹사이트 Chapter 3: Conformations of Alkanes and Cycloalkanes https://www.chem.uca[...] 2022-11-16
[5] 논문 Graphical representation of stereochemical configuration (IUPAC Recommendations 2006) http://www.iupac.org[...] 2006-01
[6] 논문 Chiral carbon dots: synthesis, optical properties, and emerging applications 2022-03
[7] 논문 Drug chirality: a conside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stereochemistry of antimicrobial agents 1996-01
[8] 논문 Determination of chiral molecule configuration in Fischer projections 1982-08
[9] 서적 Biochemistry Benjamin Cummings 2000
[10] 서적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Wiley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