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아노 사중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노 사중주는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된 실내악 형식이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은 이 장르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낭만주의 시대에는 슈만, 브람스, 멘델스존 등이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20세기 이후에도 여러 작곡가들이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으며,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피아노 삼중주에서 파생되었으며, 현악 사중주, 피아노 오중주, 플루트 사중주와 같은 유사한 형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노 - 디지털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는 전자 기술로 피아노 소리를 재현하는 건반 악기로, PCM 음원 방식으로 어쿠스틱 피아노 소리를 샘플링하여 사용하며, MIDI 연결, 볼륨 조절, 헤드폰 출력 등의 기능과 휴대성, 소음 감소, 정확한 음정 유지의 장점을 가지나, 수리 및 수명에서 단점도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와 제조사가 있다.
  • 피아노 - 피아노 조율사
    피아노 조율사는 피아노의 음높이를 조정하고 부품을 수리 및 조정하여 최상의 연주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자로, 피아노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국가별로 양성 과정과 자격 제도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 실내악 - 현악 사중주
    현악 사중주는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이루어진 실내악으로, 하이든이 장르를 확립하고 베토벤에 의해 교향곡과 비견되는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았으며, 낭만주의와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작품을 남겼고, 전 세계적으로 상설 활동 단체가 많은 유일한 실내악 형태이다.
  • 실내악 - 피아노 소나타
    피아노 소나타는 피아노 독주를 위한 소나타로, 고전주의 시대에 형식을 갖추었으며 베토벤의 32개 소나타가 정점으로 여겨지고 낭만주의와 근대에도 작곡되었다.
  • 4인조 음악 그룹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 4인조 음악 그룹 - 판테라
    1981년 결성된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판테라는 글램 메탈에서 그루브 메탈로 스타일을 전환하여 90년대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멤버 간 불화로 해체 후, 일부 멤버가 사망하고 2022년 재결합하여 투어 중이다.
피아노 사중주
양식
악기 구성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일반적인 조성사단조
다단조
사장조
역사적 맥락
기원실내악
발전18세기 후반
주요 작곡가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요하네스 브람스
가브리엘 포레
안톤 드보르자크
로베르트 슈만
펠릭스 멘델스존
클라라 슈만
구스타프 말러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저명한 작품
모차르트피아노 사중주 1번 사단조, K. 478
피아노 사중주 2번 내림마장조, K. 493
베토벤피아노 사중주 3번 다장조, WoO 36, No. 3
브람스피아노 사중주 1번 사단조, Op. 25
피아노 사중주 2번 가장조, Op. 26
피아노 사중주 3번 다단조, Op. 60
슈만피아노 사중주 내림마장조, Op. 47
드보르자크피아노 사중주 1번 라장조, Op. 23
포레피아노 사중주 1번 다단조, Op. 15
피아노 사중주 2번 사단조, Op. 45
말러피아노 사중주 가장조 (단악장)
힌데미트피아노 사중주 작품번호 없이(1938)
메시앙세상의 종말을 위한 4중주
프랑세피아노 사중주 (1991)

2. 역사

피아노 사중주는 여러 작곡가에 의해 다양한 시기에 걸쳐 발전해왔다.

벨라 바르톡은 1898년에 피아노 사중주 C단조를 작곡했다.[1] 요하네스 브람스1번 사단조, Op. 25(1859), 2번 가장조, Op. 26(1862), 3번 다단조, Op. 60(1875)을 작곡하여 낭만주의 시대 피아노 사중주 발전에 기여했다.[1]

에르네스트 쇼송 (피아노 사중주 A장조, Op.30, 1897), 에런 코플런드 (피아노 사중주, 1950), 뱅상 당디 (피아노 사중주 A단조, Op.7, 1878~88), 안토닌 드보르자크 (1번 D장조, Op. 23(1875), 2번 내림 마장조, Op. 87(1889)), 대니 엘프만 (피아노 사중주, 2017)도 피아노 사중주 작품을 남겼다.

제오르제 에네스쿠는 1번 D장조, Op. 16(1909)와 2번 D단조, Op. 30(1943–1944)을, 가브리엘 포레는 1번 C단조, Op. 15(1876–79, 피날레는 1883년에 개정)와 2번 G단조, Op. 45(1885–86)를 작곡했다.

프란츠 안톤 호프마이스터 (피아노 사중주 G장조, 1785; 피아노 사중주 B-flat장조, 1788), 기욤 르쾨 (피아노 사중주 B단조, 미완성, 1893), 구스타프 말러 (피아노 사중주 A단조, 1악장만 완성, 1876), 하인리히 마르슈너 (피아노 사중주 1번 B-flat장조, Op. 36, 1827; 피아노 사중주 2번 G장조, Op. 158, 1853)도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피아노 사중주, H. 287, 1942), 펠릭스 멘델스존 (D단조(1821), 1번 C단조, Op. 1(1822), 2번 F단조, Op. 2(1823), 3번 B단조, Op. 3(1825)), 올리비에 메시앙 (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사중주, 1941), 다리우스 미요 (피아노 사중주, Op. 417, 1966), 막스 레거 (피아노 사중주 1번 D단조, Op.113, 1910; 피아노 사중주 2번 A단조, Op.133, 1914)도 피아노 사중주 작품을 남겼다.

카미유 생상 (B-flat장조, Op. 41, 1875), 프란츠 슈베르트 (아다지오와 론도 콘체르탄테 F장조, D487, 1816),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C단조, Op.13, 1884), 요제프 수크 (피아노 사중주 A단조, Op.1, 1891), 요제프 탈 (피아노 사중주, 1982), 세르게이 타네예프 (피아노 사중주 E장조, Op. 20, 1906), 호아킨 투리나 (피아노 사중주 A단조, Op. 67, 1931), 윌리엄 월튼 (피아노 사중주 D단조), 카를 마리아 폰 베버 (피아노 사중주 B-flat장조, J. 76, 1809), 존 윌리엄스 (작곡가) (Air and Simple Gifts, 2009)도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2. 1. 고전주의 시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번 사단조 K. 478(1785)와 2번 내림 마장조 K. 493(1786), 두 곡의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이 두 작품은 피아노 사중주 장르의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1785년에 세 개의 피아노 사중주(WoO 36, No. 1 내림 E 장조, WoO 36, No. 2 라 장조, WoO 36, No. 3 다 장조)를 작곡했다. 1797년에는 피아노와 관악을 위한 오중주, 작품 16을 피아노 사중주로 편곡한 작품 16/b를 출판했다.[1]

고전주의 시대 주요 피아노 사중주 작곡가 및 작품
작곡가작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번 사단조 K. 478, 2번 내림 마장조 K. 493
루트비히 판 베토벤WoO 36, No. 1 내림 E 장조, WoO 36, No. 2 라 장조, WoO 36, No. 3 다 장조, 작품 16/b (피아노와 관악을 위한 오중주, 작품 16의 편곡)
요한 네포무크 훔멜사장조 "서주와 알레그로" WoO.6, 라장조 S.3
카를 마리아 폰 베버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8
프란츠 슈베르트아다지오와 론도(유작)


2. 2. 낭만주의 시대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사중주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47은 낭만주의 실내악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 요하네스 브람스는 세 개의 피아노 사중주(제1번 사단조 작품번호 25, 제2번 가장조 작품번호 26, 제3번 다단조 작품번호 60)를 작곡했으며,[1]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피아노 사중주 작곡가로 꼽힌다.[2]

이 외에도 낭만주의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작곡가들이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1]

작곡가작품
엘프리다 안드레피아노 사중주 A단조 (1870)
벨러 버르토크피아노 사중주 C단조 (1898)
빌헬름 베르거피아노 사중주 A 장조, 작품 21 (1887년 출판)
레오폴디네 블라헤트카
레옹 보엘만피아노 사중주 바단조, 작품 10 (c. 1890)
멜라니 보니스
프랭크 브리지환상 피아노 사중주 올림 바단조, H. 94 (1910)
도라 브라이트피아노 사중주 라 장조 (1893)
알렉시 드 카스티용피아노 사중주 G단조, Op.7 (1869)
게오르기 카토어피아노 사중주 A단조, Op.31 (1916)
에르네스트 쇼송피아노 사중주 A장조, Op.30 (1897)
뱅상 댕디피아노 사중주 A단조, Op.7 (1878–88)
에르뇌 도흐나니피아노 사중주 F#단조, (1894)
테오도르 뒤부아피아노 사중주 A단조 (1907)
안토닌 드보르자크
카를 라이네케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34, 라장조 작품번호 272
카미유 생상스라장조 작품번호 41
요제프 라인베르거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38
헤르만 괴츠마장조 작품번호 6
하인리히 폰 헤르초겐베르크마단조 작품번호 75,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95
가브리엘 포레제1번 다단조 작품번호 15, 제2번 사단조 작품번호 45
지그문트 노스코프스키라단조 작품번호 8
로베르트 푸크스제1번 사장조 작품번호 15, 제2번 나단조 작품번호 75
프란츠 크사버 샬벤카바장조 작품번호 37
즈데네크 피비흐마단조 작품번호 11
구스타프 말러피아노 사중주 단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다단조 작품번호 13
비체슬라프 노바크다단조 작품번호 7
기욤 르쾨미완성
막스 레거제1번 라단조 작품번호 113, 제2번 가단조 작품번호 133
요제프 수크가단조 작품 1


2. 3. 20세기 이후

20세기와 21세기 작곡가들도 피아노 사중주 작품을 남겼다. 구스타프 말러는 피아노 사중주 단편을 남겼다.[4]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다단조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작곡가작품명작곡 연도
대니 엘프만피아노 사중주2017
로잘린드 엘리콧라장조 피아노 사중주1895
게오르게 에네스쿠피아노 사중주 1번 라장조, 작품 161909
피아노 사중주 2번 라단조, 작품 301943–1944
가브리엘 포레피아노 사중주 1번 다단조, 작품 151876–79, 피날레 개정 1883
피아노 사중주 2번 사단조, 작품 451885–86
모턴 펠드먼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1987
즈데네크 피비흐마단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111874
그라시안느 핀지프리 콰르텟1984
옐레나 피르소바프로즌 타임2013-16
외제니-에밀리 줄리에트 폴빌제1 피아노 콰르텟, 작품 91885
자클린 퐁탱피아노 콰르텟을 위한 무지카 아 콰트로1966
아서 푸트다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231890
에리카 폭스피아노 사중주를 위한 말린코니아 밀리타레2003
리하르트 프랑크제1번 A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331901
제2번 E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411905
카를 프륄링라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35
로베르트 푹스제1번 사단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151876
제2번 나단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751904
비비안 펑시프팅 랜드스케이프2018
호아킨 투리나가단조 작품번호 67
윌리엄 월턴라단조
요시마쓰 타카시피아노 사중주 작품번호 30


3. 주요 작품 목록

주요 피아노 사중주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의 성(姓) 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작곡가작품명
벨라 바르톡피아노 사중주 다단조 (1898)
루트비히 판 베토벤피아노 사중주 WoO 36, 1~3번 (1785)
작품번호 16/b: 내림 마장조 피아노 사중주 (1797)
요하네스 브람스피아노 사중주 1번 사단조, Op. 25 (1859)
피아노 사중주 2번 가장조, Op. 26 (1862)
피아노 사중주 3번 다단조, Op. 60 (1875)
에르네스트 쇼송피아노 사중주 가장조, Op.30 (1897)
에런 코플런드피아노 사중주 (1950)
뱅상 당디피아노 사중주 가단조, Op.7 (1878–88)
안토닌 드보르자크피아노 사중주 1번 라장조, Op. 23 (1875)
바가텔, Op. 47 (1878)
피아노 사중주 2번 내림 마장조, Op. 87 (1889)
대니 엘프먼피아노 사중주 (2017)
제오르제 에네스쿠피아노 사중주 1번 라장조, Op. 16 (1909)
피아노 사중주 2번 라단조, Op. 30 (1943–1944)
가브리엘 포레피아노 사중주 1번 다단조, Op. 15 (1876–79, 피날레 개정 1883)
피아노 사중주 2번 사단조, Op. 45 (1885–86)
프란츠 안톤 호프마이스터피아노 사중주 사장조 (1785)
피아노 사중주 내림 나장조 (1788)
기욤 르쾨피아노 사중주 나단조 (미완성, 1893)
구스타프 말러피아노 사중주 가단조 (1876년, 첫 악장만 완성)
하인리히 마르슈너피아노 사중주 1번 내림 나장조, Op. 36 (1827)
피아노 사중주 2번 사장조, Op. 158 (1853)
보후슬라프 마르티누피아노 사중주, H. 287 (1942)
펠릭스 멘델스존피아노 사중주 라단조 (1821)
피아노 사중주 1번 다단조, Op. 1 (1822)
피아노 사중주 2번 바단조, Op. 2 (1823)
피아노 사중주 3번 나단조, Op. 3 (1825)
올리비에 메시앙세상의 종말을 위한 사중주(1941)
다리우스 미요피아노 사중주, Op. 417 (1966)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피아노 사중주 1번 사단조, K. 478(1785)
피아노 사중주 2번 내림 마장조, K. 493(1786)
막스 레거피아노 사중주 1번 라단조, Op.113 (1910)
피아노 사중주 2번 가단조, Op.133 (1914)
카미유 생상스피아노 사중주 가장조, Op. post (1851–53)
세레나데 내림 마장조, Op. 15 (1865)
피아노 사중주 내림 나장조, Op. 41 (1875)
Caprice sur des airs danois et russes, Op. 79 (1887)
바르카롤 가장조, Op. 108 (1898)
프란츠 슈베르트아다지오와 론도 콘체르탄테 가장조, D487 (1816)
로베르트 슈만피아노 사중주 내림 마장조, Op. 47 (1842)
리하르트 슈트라우스피아노 사중주 다단조, Op.13 (1884)
요제프 수크피아노 사중주 가단조, Op.1 (1891)
요제프 탈피아노 사중주 (1982)
세르게이 타네예프피아노 사중주 마장조, 작품번호 20 (1906)
호아킨 투리나피아노 사중주 가단조, 작품번호 67 (1931)
윌리엄 월튼피아노 사중주 라단조
카를 마리아 폰 베버피아노 사중주 내림 나장조, J. 76 (1809)
존 윌리엄스 (작곡가):en:Air and Simple Gifts (2009)


3. 1. A-B


  • 엘프리다 안드레
  • * 피아노 사중주 A단조 (1870)
  • 헹크 바딩스
  • * 피아노 사중주 (1973)
  • 잔느 바르비용
  • * 피아노 콰르텟
  • 벨러 버르토크
  • * 피아노 사중주 C단조 (1898)
  • 아놀드 백스
  • * 피아노 사중주, 단악장 (1922)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 피아노 사중주 WoO 36, No. 1 내림 E 장조 (1785)
  • * 피아노 사중주 WoO 36, No. 2 라 장조 (1785)
  • * 피아노 사중주 WoO 36, No. 3 다 장조 (1785)
  • * 작품 16/b: 내림 E 장조 피아노 사중주 (1797)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오중주, 작품 16의 편곡)
  • 파울 벤 하임
  • * 피아노 사중주 C단조, 작품 4 (1920)
  • 빌헬름 베르거
  • * 피아노 사중주 A 장조, 작품 21 (1887년 출판)
  • * 피아노 사중주 C단조, 작품 100
  • 샤를 오귀스트 드 베리오
  • * 피아노 사중주 A단조, 작품 50 (1881)
  • 레오폴디네 블라헤트카
  • * 피아노 사중주 1번 A 장조, 작품 43 (1836)
  • * 피아노 사중주 2번 내림 E 장조, 작품 44 (1837/38)
  • 아서 블리스
  • * 피아노 사중주 A단조 (1915)
  • 낸시 블루머 도이슨
  • * 피아노 사중주를 위한 퍼시픽 시티 (2017)
  • 레옹 보엘만
  • * 피아노 사중주 바단조, 작품 10 (c. 1890)
  • 윌리엄 볼컴
  • * 피아노 사중주 (1976)
  • 멜라니 보니스
  • * 피아노 사중주 1번 내림 나 장조, 작품 69 (1905)
  • * 피아노 사중주 2번 라 장조, 작품 124 (1927)
  • 요하네스 브람스
  • * 피아노 사중주 1번 사단조, 작품 25 (1859)
  • * 피아노 사중주 2번 A 장조, 작품 26 (1862)
  • * 피아노 사중주 3번 다단조, 작품 60 (1875)
  • 샬럿 브레이
  • * Replay (2011)
  • * Zustände (2016)
  • 프랭크 브리지
  • * 환상 피아노 사중주 올림 바단조, H. 94 (1910)
  • 도라 브라이트
  • * 피아노 사중주 라 장조 (1893)
  • 제임스 프랜시스 브라운
  • * 피아노 사중주 (2004)

3. 2. C-D


  • 에르네스트 쇼송
  • * 피아노 사중주 A 장조, Op.30 (1897)
  • 알렉시 드 카스티용
  • * 피아노 사중주 G 단조, Op.7 (1869)
  • 게오르기 카토어
  • * 피아노 사중주 A 단조, Op.31 (1916)
  • 로나 클라크
  • * 언더커런트 (2001)
  • 에런 코플런드
  • * 피아노 사중주 (1950)
  • 뱅상 댕디
  • * 피아노 사중주 A 단조, Op.7 (1878–88)
  • 티나 데이비슨
  • * 베어풋 (2011)
  • * 리프 (2020)
  •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 * 피아노 사중주 (2007)
  • 엠마 루 디머
  • * 피아노 사중주 (1954)
  • 에르뇌 도흐나니
  • * 피아노 사중주 F# 단조, (1894)
  • 테오도르 뒤부아
  • * 피아노 사중주 A 단조 (1907)
  • 얀 라디슬라프 두세크
  • * 피아노 사중주 내림 마장조 (1804)
  • 안토닌 드보르자크
  • * 피아노 사중주 1번 D 장조, Op. 23 (1875)
  • * 바가텔, Op. 47 (두 대의 바이올린, 첼로, 그리고 하모니움(또는 피아노)을 위한 작품; 1878)
  • * 피아노 사중주 2번 내림 마장조, Op. 87 (1889)

3. 3. E-F

게오르게 에네스쿠는 두 개의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4]

  • 피아노 사중주 1번 라장조, 작품 16 (1909)
  • 피아노 사중주 2번 라단조, 작품 30 (1943–1944)


가브리엘 포레는 두 개의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 피아노 사중주 1번 다단조, 작품 15 (1876–79, 피날레 개정 1883)
  • 피아노 사중주 2번 사단조, 작품 45 (1885–86)


대니 엘프먼은 2017년에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로잘린드 엘리콧은 1895년에 라장조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4]

모턴 펠드먼은 1987년에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작곡했다.

즈데네크 피비흐는 1874년에 마단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11을 작곡했다.

그라시안느 핀지는 1984년에 프리 콰르텟을 작곡했다.

옐레나 피르소바는 2013-16년에 프로즌 타임을 작곡했다.

외제니-에밀리 줄리에트 폴빌은 1885년에 제1 피아노 콰르텟, 작품 9를 작곡했다.

자클린 퐁탱은 1966년에 피아노 콰르텟을 위한 무지카 아 콰트로를 작곡했다.

아서 푸트는 1890년에 다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23을 작곡했다.

에리카 폭스는 2003년에 피아노 사중주를 위한 말린코니아 밀리타레를 작곡했다.

리하르트 프랑크는 2개의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 제1번 A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33 (1901)
  • 제2번 E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41 (1905)

카를 프륄링은 라장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35를 작곡했다.

로베르트 푹스는 2개의 피아노 사중주를 작곡했다.

  • 제1번 사단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15 (1876)
  • 제2번 나단조 피아노 사중주, 작품 75 (1904)

비비안 펑은 2018년에 시프팅 랜드스케이프를 작곡했다.

3. 4. G-L

Gustav Mahler|구스타프 말러de

: 피아노 사중주 가단조 (1876년, 첫 악장만 완성됨)

Felix Mendelssohn|펠릭스 멘델스존de

: 피아노 사중주 라단조 (1821)

: 피아노 사중주 1번 다단조, Op. 1 (1822)

: 피아노 사중주 2번 바단조, Op. 2 (1823)

: 피아노 사중주 3번 나단조, Op. 3 (1825)

3. 5. M-R

3. 6. S


  • 카미유 생상스
  • * 피아노 사중주 E 장조, Op. post (1851–53)
  • * 세레나데 E-flat 장조, Op. 15 (바이올린, 비올라 (또는 첼로), 오르간, 피아노를 위한; 1865)
  • * 피아노 사중주 B-flat 장조, Op. 41 (1875)
  • *''Caprice sur des airs danois et russes'', Op. 79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피아노를 위한; 1887)
  • * 바르카롤 F 장조, Op. 108 (바이올린, 첼로, 하모늄, 피아노를 위한; 1898)
  • 프란츠 슈베르트
  • * 아다지오와 론도 콘체르탄테 F 장조, D487 (1816)
  • 로베르트 슈만
  • * 피아노 사중주 E-flat 장조, Op. 47 (1842)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 피아노 사중주 C 단조, Op.13 (1884)

3. 7. T-Z

4. 유사한 실내악 형식

피아노 사중주는 피아노 삼중주(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오중주(피아노와 현악 사중주), 현악 사중주(바이올린 2대, 비올라, 첼로)와 같이 피아노가 포함된 다양한 실내악 형식 중 하나이다. 독주 협주곡이나 독주 소나타(피아노 소나타, 바이올린 소나타, 첼로 소나타 등)와 유사한 형식도 있으며, 플루트 사중주와 같은 다른 악기 구성을 위한 실내악 형식도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Franz Berwald, short biography and list of works http://www.musicweb-[...]
[2] 웹사이트 Object Metadata https://mugi.hfmt-ha[...]
[3] 웹사이트 James Francis Brown – Works – Piano Quartet http://www.jamesfran[...] 2015-10-13
[4] 웹사이트 Object Metadata https://mugi.hfmt-ha[...]
[5] 웹사이트 Willkommen bei Klassik Heute http://www.klassik-h[...]
[6] 웹사이트 Selga Mence | LMIC https://www.lmic.l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