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들리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들리뉴는 1944년 벨기에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다. 그는 브뤼셀 자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파리 근교의 IHÉS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연구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베유 추측 증명, 호지 이론 확장, 혼합 호지 이론 개발, 단나카 범주 연구, 대수적 군 표현론 연구, 모듈라이 공간 연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추측에 그의 이름이 붙었으며, 1978년 필즈상, 1988년 크라푸르드상, 2013년 아벨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수학자 - 장 부르갱
    장 부르갱은 바나흐 공간의 기하학, 조화 해석학 등 다양한 해석학 분야에 기여하고 비선형 분산 방정식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벨기에 수학자로, 필즈상, 쇼상, 크라포르드상, 수학 브레이크스루상, 스틸상 등을 수상했다.
  • 벨기에의 수학자 -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은 벨기에 수학자로, 자크 아다마르와 독립적으로 소수 정리를 증명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해석학, 근사 이론, 포텐셜 이론, 복소해석학 분야를 연구했고, 르베그 적분을 도입한 "Cours d’analyse" 저서와 푸생 그래프로도 알려져 있다.
  • 브뤼셀 자유 대학교 (1834년~1969년) 동문 - 앙리 라퐁텐
    앙리 라퐁텐은 벨기에의 변호사이자 국제법 학자, 정치인으로서 국제 평화 운동과 문서화 분야에 기여했으며 국제 평화국 활동, 파리 강화 회의 참석, 국제 서지학 연구소 설립, 벨기에 상원 부의장 역임 등을 통해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 브뤼셀 자유 대학교 (1834년~1969년) 동문 - 폴앙리 스파크
    벨기에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었던 폴앙리 스파크는 벨기에 총리와 외무장관을 역임하고 유럽 통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유엔 총회 초대 의장과 NATO 사무총장을 지내는 등 국제 협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수학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수학 - 존 밀너
    존 밀너는 미분위상수학, 대수적 K이론, 동역학계에 기여한 미국의 수학자로,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를 증명하여 미분위상수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필즈상, 울프 수학상, 아벨상을 모두 수상했다.
피에르 들리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5년의 피에르 들리뉴
2005년 3월의 들리뉴
이름피에르 르네 들리뉴
로마자 표기Pierre René Deligne
출생일1944년 10월 3일
출생지에테르베이크, 벨기에
국적벨기에
연구 분야
학문 분야수학
직장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고등과학연구소
모교브뤼셀 자유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알렉산더 그로텐디크
박사 제자레중짱
마일스 리드
미하엘 라포포트
알려진 업적베유 추측의 증명
페르베르스 층
들리뉴의 개념
수상 내역
수상아벨상(2013년)
울프 수학상(2008년)
발찬상(2004년)
크라포르드상(1988년)
필즈상(1978년)

2. 생애

1944년 10월 3일 벨기에 에테르베이크에서 태어났다. 브뤼셀 자유 대학교(ULB)에서 "Lefschetz 정리와 스펙트럼 수열의 퇴화 기준"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14세에 알렉산드르 그로텐디크의 수학원론을 읽었을 정도로 수학에 뛰어났으며, 대학교 입학 전에 이미 대학 수학을 모두 마친 상태였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지도 아래 1972년 오르세의 파리-남부 대학교에서 "호지 이론"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를 마친 후, 파리 근처 IHÉS에서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와 함께, 자리스키의 중심 정리를 스킴 이론으로 일반화하는 작업을 했다. 장피에르 세르모듈러 형식에서 파생되는 ''l''진(''l''-adic) 표현론과, L-함수함수 방정식에 대한 주요 결과를 얻었다. 데이비드 멈퍼드대수 곡선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했는데, 이 연구는 끈 이론에서도 주요하게 쓰인다.

1970년부터 1984년 사이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로 옮겼다. 이 기간 동안 베유 추측(1973년), 혼합 호지 이론을 도입하여 유명해졌다. 1978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이후 조지 루스티그와 대수적 군의 표현론을 만드는데에 에탈 코호몰로지를 응용하는 방법을 찾아냈고, 라포포르와 정수론적 관점에서 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했다. 조지 모스토모노드로미에 대한 책을 썼으며, 1988년 크라포르드상을 수상하였다.

그로텐디크가 수학을 그만둔 후, 들리뉴는 베유 추측을 해결하였다. (1974년)

2013년 아벨상을 수상했다.[11]

3. 학력

학교학위년도지도 교수논문 제목
브뤼셀 자유 대학교석사1966년
브뤼셀 자유 대학교박사1968년브뤼셀 자유 대학교에서의 논문
파리 제11대학교박사1972년알렉산더 그로텐디크호지 이론[11] (Théorie de Hodge)



들리뉴는 에터베크에서 태어나 아테네 아돌프 막스 학교를 다녔다.[11] 14세에 알렉산드르 그로텐디크의 수학원론을 읽었던 들리뉴는, 브뤼셀 자유 대학교에 입학할 무렵에는 이미 대학 수학을 모두 마친 상태였다.[11]

4. 주요 업적

피에르 들리뉴는 베유 추측 증명(1973년)을 포함하여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거대한 연구 프로젝트의 여러 중요 부분을 완성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장피에르 세르와 함께 모듈러 형식에서 파생되는 ''l''진(''l''-adic) 표현론과, L-함수함수 방정식에 대해서 주요한 결과를 남겼다.[1]

1970년부터 1984년 사이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활동하면서 베유 추측을 증명하고, 기존의 호지 이론을 확장한 혼합 호지 이론 개념을 도입했다.[1]

조지 루스티그와 함께 대수적 군의 표현론을 만드는데에 에탈 코호몰로지를 응용하는 방법을 찾아냈고, 마이클 라포포트와 함께 정수론적인 관점에서 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하여 모듈러 형식에 중요한 응용을 찾았다.[1]

이후 조지 모스토와 함께 모노드로미에 대한 책을 썼다.[1]

이러한 수학적 업적들을 인정받아 1978년 필즈상을, 1988년에는 크라포르드상을 수상하였다.[1]

주요 업적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분야내용
베유 추측 증명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시작한 프로그램을 완성하여 베유 추측의 마지막 추측을 증명. 프로베니우스 사상의 고유값 추정치를 제공하여 리만 가설의 기하학적 유추로 여겨짐.[1]
호지 이론고전 호지 이론을 확장한 혼합 호지 구조 이론을 개발하고, 모티브 이론의 대용으로 절대 호지 순환을 정의.[1]
단나카 범주벡의 모나드성 정리를 이용하여 단나카 범주 이론을 재구성.[1]
대수적 군 표현론조지 루스티그와 함께 에탈 코호몰로지를 적용하여 유한 리 군의 종류의 표현을 구성.[1]
모듈라이 공간데이비드 멈퍼드대수 곡선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하고, 마이클 라포포트와 정수론적 관점에서 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하여 모듈러 형식에 응용.[1]
기타케일러 다양체의 실수 호모토피 이론 연구, 모노드로미 연구, 드리뉴 코호몰로지[12] 구성 등.


4. 1. 베유 추측 증명 (1973)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시작하고 대부분 개발하여 10년 이상 지속된 프로그램을 완성하여 베유 추측 중 세 번째이자 마지막 추측을 증명하였다.[1] 이 증명으로 가중치가 1보다 큰 모듈러 형식에 대한 유명한 라마누잔-페터손 추측을 증명했는데, 가중치가 1인 경우는 장피에르 세르와의 공동 연구에서 증명되었다.[1] 1974년 논문에는 베유 추측의 첫 번째 증명이 담겨 있다.[1] 프로베니우스 사상의 고유값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한 것으로, 이는 리만 가설의 기하학적 유추로 여겨진다.[1] 또한 이는 레프셰츠 초평면 정리와 고전적인 지수 합의 오래되고 새로운 추정치의 증명 등 다른 응용으로 이어졌다.[1] 1980년 논문에는 리만 가설의 훨씬 더 일반적인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1]

4. 2. 호지 이론 확장 및 혼합 호지 이론 개발

들리뉴는 고전적인 호지 이론을 일반화하는 강력한 도구인 혼합 호지 구조 이론을 만들었다. 그는 가중 필터링, 히로나카의 특이점 해소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이 이론을 완성했고, 이를 베유 추측 증명에 활용했다.[1] 또한 모티브 이론의 대용으로 절대 호지 순환을 정의하여, 호지 추측에 대한 지식 부족을 극복하고 일부 응용에 사용될 수 있게 했다.[2]

4. 3. 절대 호지 순환 정의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연구 프로그램 일부를 완성하면서, 그는 여전히 상당 부분 추측적인 모티브 이론의 대용으로 절대 호지 순환을 정의했다.[1] 이 아이디어는 일부 응용에서 호지 추측에 대한 지식 부족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1]

4. 4. 단나카 범주 연구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거대한 연구 프로젝트의 여러 중요 부분을 완성하였다. 《그로텐디크 페스트슈리프트(Grothendieck Festschrift)》에 출판된 벡의 모나드성 정리 (Beck's monadicity theorem)를 이용하여 단나카 범주에 대한 연구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1]

4. 5. 대수적 군 표현론 연구 (조지 루스티그와 공동 연구)

1970년부터 1984년까지 딜린은 고등과학연구소(IHÉS)의 정직원이었다. 이 기간 동안 조지 루스티그와의 공동 연구에서 에탈 코호몰로지를 적용하여 유한 리 군의 종류의 표현을 구성하였고,[1] 기하학적인 기약 표현의 구성 및 기약 표현의 분류를 연구하였다.

4. 6. 모듈라이 공간 연구

데이비드 멈퍼드와 함께 대수 곡선모듈라이 공간에 대한 연구를 같이 했다. 이 연구는 차후 이론 물리학의 끈 이론에서도 주요하게 쓰이게 된다.[1]

마이클 라포포트와 함께 정수론적인 관점에서 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하여 모듈러 형식에 응용하였다.

4. 7. 기타 업적

들리뉴는 베유 추측 증명 외에도 많은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연구 프로젝트 중 여러 부분을 완성했는데, 예를 들어 절대 호지 사이클을 정의하여 모티브 이론의 모델을 만들었다. 이 개념은 호지 추측 없이도 몇 가지 응용을 가능하게 했다.[1] 단나카 범주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1]

1974년에는 필립 그리피스, 존 모건, 데니스 설리반과 함께 쓴 논문에서 케일러 다양체의 실수 호모토피 이론에 대한 중요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복소 미분 기하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했다.[1]

조지 루스티그와 함께 에탈 코호몰로지를 응용하여 대수적 군의 표현론을 만들었고, 라포포르와 함께 정수론적 관점에서 모듈라이 공간을 연구하여 모듈러 형식에 응용했다.[1]

1988년에는 크라포르드상을 수상했다.[1]

그의 기타 주요 업적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내용
라마누잔 추측 해결가중치가 1보다 큰 모듈러 형식에 대한 라마누잔-페터손 추측 증명 (가중치가 1인 경우는 장피에르 세르와의 공동 연구에서 증명).[1]
데이비드 멈퍼드와의 공동 연구모듈라이 공간의 콤팩트화.[1]
조지 루스틱과의 공동 연구기하학적인 기약 표현의 구성, 기약 표현의 분류.[1]
호지 관계에 대한 연구
자리스키 추측 해결스킴 이론으로 일반화.[1]
드리뉴-그리피스-모건-설리반의 연구케일러 다양체에 대한 연구.[1]
상대 코호몰로지 도입두 변형 양자화 사이의 상대 코호몰로지 도입.[1]
드리뉴-세르 정리모듈러 형식의 l-adic영어 표현.[1]
드리뉴-카즈단의 흔적 공식
드리뉴-모스토우의 분류사영 직선의 배치 공간의 분류.[1]
구성[12]
다중 제타 값과 모티브의 관계 규명
베일린슨-드리뉴


5. 수상 경력

그는 1978년에 필즈상을, 1988년에 크라푸르드상을, 2004년에 발잔상을, 2008년에 볼프상을, 그리고 2013년에 아벨상을 수상했는데, "대수기하학에 대한 획기적인 공헌과 정수론, 표현론 및 관련 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영향" 때문이었다.[3] 2009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과 미국철학회의 거주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5] 그는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의 회원이기도 하다.[6]


  • 1978년 -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필즈상
  • 1988년 - 스웨덴 왕립 과학원 크라포르드상
  • 2004년 - 발잔 재단 발잔상: 다양한 중요한 수학 분야(대수기하학, 대수적 및 해석적 정수론, 군론, 위상수학, 그로텐디크의 모티브)에서의 공헌. 새로운 강력한 도구를 사용하여 유한체 위의 리만 가설(베유 추측)을 증명.
  • 2008년 - 울프 재단 울프상 수학 부문: 혼합 호지 이론, 베유 추측, 리만-힐베르트 대응, 정수론에 대한 공헌
  • 2013년 - 아벨상

6. 저서

제목저널연도페이지기타
La conjecture de Weil: I영어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431974273–307[http://www.numdam.org/item?id=PMIHES_1974__43__273_0 ][1]
La conjecture de Weil : II영어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521980137–252[http://www.numdam.org/item?id=PMIHES_1980__52__137_0 ][2]
Catégories tannakiennes영어Grothendieck Festschrift영어 vol II. Progress in Mathematics영어871990111–195[https://publications.ias.edu/deligne/paper/406 ][3]
Commensurabilities among Lattices in PU(1,n)영어1993G. 다니엘 모스토와 공저,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4]
Quantum fields and strings: a course for mathematicians영어1, 21999파벨 에팅호프, 다니엘 S. 프리드, 리사 C. 제프리, 데이비드 카즈단, 존 W. 모건, 데이비드 R. 모리슨, 에드워드 위튼 편집, 미국 수학회, 프린스턴 고등연구원[5]
Kähler 다양체의 실수 호모토피 이론수학 발명 (Inventiones Mathematicae)291975245-274필립 그리피스, 존 모건, 데니스 설리번과 공저[8]


참조

[1] 논문 Gromov-Witten Theory of Deligne-Mumford Stacks http://www.jstor.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4-01-13
[2] 논문 The decomposition theorem, perverse sheaves and the topology of algebraic maps 2009-10-00
[3] 웹사이트 Official announcement ennoblement http://www.diplomati[...] Belgian Federal Public Service 2006-07-18
[4] 웹사이트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Many new members elected to the Academy http://www.kva.se/KV[...]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09-02-12
[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23
[6] 웹사이트 Gruppe 1: Matematiske fag https://dnva.no/medl[...]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22-08-02
[7] 웹사이트 motive https://ncatlab.org/[...]
[8] 웹사이트 Deligne tensor product of abelian categories https://ncatlab.org/[...]
[9] 서적 A proof of a generalization of Deligne's conjecture
[10] 서적 Fujiwara's Theorem for Equivariant Correspondences http://math.berkeley[...]
[11] 웹사이트 ドリーニュ61歳記念カンファレンス http://www2.math.ias[...]
[12] 웹사이트 Showing 1–50 of 414 results for all: Deligne cohomology https://arxiv.org/se[...] arxiv.org 2022-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