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수 방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수 방정식은 미지 함수에 대한 방정식을 의미하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찾는 수학적 문제이다. 다양한 형태의 함수 방정식이 존재하며, 주기 함수, 우함수, 기함수, 코시 함수 방정식, 지수 함수 방정식, 로그 함수 방정식, 거듭제곱 함수 방정식, 대합, 점화식 등이 예시로 제시된다. 함수 방정식은 대입, 함수의 성질, 가설 풀이, 수학적 귀납법 등을 통해 풀 수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풀이나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도 활용된다. 또한, 미분 가능성과 같은 조건을 추가하여 편미분이나 미분 방정식을 통해 해를 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함수 방정식
개요
정의변수가 함수인 방정식
관련 분야수학
예시
코시 함수 방정식f(x+y) = f(x) + f(y)
달랑베르의 함수 방정식f(x+y) + f(x-y) = 2f(x)f(y)
이차 함수 방정식f(x+y) + f(x-y) = 2f(x) + 2f(y)
푸리에 변환과 관련된 함수 방정식g(f(x)) = x
감마 함수의 함수 방정식f(x+1) = xf(x)
종류
함수 방정식의 종류대수적 함수 방정식
미분 함수 방정식
적분 함수 방정식
지연 함수 방정식
확률 함수 방정식

2. 정의

함수 방정식은 하나 이상의 미지 함수와 그 함수들의 독립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이다. 일반적으로, 함수 방정식은 주어진 정의역에서 모든 독립 변수 값에 대해 성립해야 한다.

다음은 함수 방정식의 몇 가지 예시이다.


  • 모든 지수 함수는 f(x + y) = f(x)f(y)영어를 만족한다.
  • 모든 로그 함수는 f(xy) = f(x) + f(y)영어를 만족한다.
  • f(x + y) = f(x) + f(y)영어 (코시 함수 방정식)
  • f(x + y) + f(x - y) = 2[f(x) + f(y)]영어 (중선 정리, 평행사변형의 법칙)
  • f((x + y)/2) = (f(x) + f(y))/2영어 (옌젠)
  • g(x + y) + g(x - y) = 2[g(x) g(y)]영어 (달랑베르)
  • f(h(x)) = cf(x)영어 (슈뢰더 방정식)
  • f(h(x)) = f(x) + 1영어 (아벨 방정식)


점화식정수 변수의 미지 함수와 평행 이동 작용소로 구성된 함수 방정식의 일종이다.

교환 법칙, 결합 법칙 또한 함수 방정식의 일종이다. 결합 법칙은, 흔히 보는 형태에서는 이항 연산 기호를 두 변수에 중치하여 (a*b)*c = a*(b*c)영어와 같이 쓰여지므로 함수 방정식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기 어렵지만, 여기서 ''a'' ∗ ''b'' 등으로 쓰는 대신 사상의 표기법에 따라 ''ƒ''(''a'', ''b'') 등으로 쓰면, 결합 법칙의 식은 f(f(a, b),c) = f(a, f(b, c))영어로 표현된다.

위의 예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점은, 여러 개의 알려진 함수 (예를 들어, 상수 배수나 두 변수의 합 또는 곱 등)가 구하고자 하는 미지 함수에 대입된다는 것이다.

3. 예시


  • f(x+P) = f(x)주기함수를 정의한다.
  • f(x) = f(-x)는 우함수를, f(x) = -f(-x)는 기함수를 정의한다.
  • f(x+y) = f(x) + f(y)는 선형함수에 의해 만족된다 (코시 함수 방정식). 다만 선택 공리에 따라 병리적인 비선형 해의 존재도 증명될 수 있다.
  • f(x+y) = f(x) f(y)는 지수함수에 의해 만족된다. 코시 함수 방정식과 마찬가지로 병리적인 불연속 함수가 해로서 존재할 수 있다.
  • f(xy) = f(x) + f(y)는 로그함수에 의해 만족된다. 서로소인 변수에 대해서 덧셈적 함수를 정의한다.
  • f(xy) = f(x) f(y)거듭제곱함수에 의해 만족된다. 서로소인 변수에 대해서 곱셈적 함수를 정의한다.
  • f(f(x)) = x대합을 정의한다.
  • 점화 관계는 정수 또는 자연수에 대한 함수에서 함수 방정식으로 볼 수 있다.
  • 교환 법칙과 결합 법칙은 함수 방정식이다.
  • 리만 제타 함수는 다음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


:\zeta(s) = 2^s\pi^{s-1}\sin\left(\frac{\pi s}{2}\right)\Gamma(1-s)\zeta(1-s)

여기서 대문자 Γ는 감마 함수이다.

  • 감마 함수는 다음 세 가지 방정식의 유일한 해이다.
  • * f(x)={f(x+1) \over x}
  • * f(y)f\left(y+\frac{1}{2}\right)=\frac{\sqrt{\pi}}{2^{2y-1}}f(2y)
  • * f(z)f(1-z)={\pi \over \sin(\pi z)} (오일러의 반사 공식)
  • f\left({az+b\over cz+d}\right) = (cz+d)^k f(z)ad - bc = 1을 만족하는 정수 a, b, c, d에 대해, f를 차수 k의 모듈러 형식으로 정의한다.
  • f(x + y) + f(x - y) = 2[f(x) + f(y)] (평행사변형 법칙)
  • f((x + y)/2) = (f(x) + f(y))/2 (옌센의 함수 방정식)
  • g(x + y) + g(x - y) = 2[g(x) g(y)] (달랑베르의 함수 방정식)
  • f(h(x)) = cf(x) (슈뢰더 방정식)
  • f(h(x)) = f(x) + 1 (아벨 방정식)
  • f(xy) = \sum g_l(x) h_l(y) (레비-치비타)
  • f(x+y) = f(x)g(y)+f(y)g(x)(사인 덧셈 공식 및 쌍곡선 사인 덧셈 공식)
  • g(x+y) = g(x)g(y)-f(y)f(x)(코사인 덧셈 공식)
  • g(x+y) = g(x)g(y)+f(y)f(x)(쌍곡선 코사인 덧셈 공식).

3. 1. 주기 함수

f(x+P) = f(x)주기함수를 정의하며, 주기 P를 갖는 주기함수를 특징짓는다.

3. 2. 우함수와 기함수

f(x) = f(-x)는 우함수를 특징짓고, 마찬가지로 f(x) = -f(-x)는 기함수를 특징짓는다.

3. 3. 코시 함수 방정식

코시 함수 방정식f(x+y) = f(x) + f(y)로 표현되며, 선형 사상이 이 방정식을 만족한다.[1] 이 방정식은 선택 공리에 따라 실수에 대한 Hamel 기저를 사용하여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병적인 비선형 해도 가질 수 있다.[1]

3. 4. 지수 함수 방정식

f(x+y) = f(x) f(y)는 모든 지수함수가 만족한다.[1] 코시 함수 방정식과 마찬가지로, 이것 역시 병적이고 불연속적인 해를 가질 수 있다.[1]

3. 5. 로그 함수 방정식

Logarithmic function equation영어는 모든 로그 함수가 만족하는 함수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xy) = f(x) + f(y)

이 방정식은 서로소인 정수 인수에 대해 덧셈적 함수를 정의한다.[1]

3. 6. 거듭제곱 함수 방정식

거듭제곱 함수 방정식은 f(xy) = f(x) f(y) 형태로 표현된다. 이 방정식은 거듭제곱함수에 의해 만족된다. 서로소인 변수에 대해서는 곱셈적 함수를 정의한다.[1]

3. 7. 대합

대합은 함수 방정식 f(f(x)) = x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배비지의 함수 방정식(1820년)에서 나타난다.[3]

:f(f(x)) = 1-(1-x) = x \, .

이 방정식의 다른 해는 다음과 같다.

  • f(x) = a-x\, ,
  • f(x) = \frac{a}{x}\, ,
  • f(x) = \frac{b-x}{1+cx} ~ ,


이는 이전 세 가지를 특수한 경우 또는 극한으로 포함한다.

3. 8. 점화식

점화 관계는 정수 또는 자연수에 대한 함수에서 함수 방정식으로 볼 수 있으며, 항의 인덱스 간의 차이는 시프트 연산자의 적용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나치 수를 정의하는 점화 관계는 F_{n} = F_{n-1}+F_{n-2} (F_0=0, F_1=1)이다.[1]

점화식정수 변수의 미지 함수와 평행 이동 작용소로 구성된 함수 방정식의 일종이다.[2]

3. 9. 기타 함수 방정식


  • 평행사변형 법칙(중선 정리): f(x + y) + f(x - y) = 2[f(x) + f(y)]
  • 옌센: f((x + y)/2) = (f(x) + f(y))/2
  • 달랑베르: g(x + y) + g(x - y) = 2[g(x) g(y)]
  • 아벨 방정식: f(h(x)) = h(x + 1)
  • 슈뢰더 방정식: f(h(x)) = cf(x)
  • 뵈트허 방정식: f(h(x)) = (f(x))^c
  • 레비-치비타: f(xy) = \sum g_l(x) h_l(y)
  • 사인의 덧셈 공식 및 쌍곡선 사인의 덧셈 공식: f(x+y) = f(x)g(y)+f(y)g(x)
  • 코사인의 덧셈 공식: g(x+y) = g(x)g(y)-f(y)f(x)
  • 쌍곡선 코사인의 덧셈 공식: g(x+y) = g(x)g(y)+f(y)f(x)
  • 리만 제타 함수: f(s) = 2^s\pi^{s-1}\sin\left(\frac{\pi s}{2}\right)\Gamma(1-s)f(1-s) (여기서 Γ는 감마 함수)
  • k차 보형 형식: f\left({az+b\over cz+d}\right) = (cz+d)^k f(z) (여기서 a, b, c, d는 ad - bc = 1을 만족하는 정수)

4. 풀이

함수 방정식의 해를 찾는 방법은 다양하며, 몇 가지 해법이 알려져 있다. 초등적인 경우 대입을 통해 풀릴 수 있으며, 함수가 전사, 단사, 우함수, 기함수라는 성질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가설 풀이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푸는 경우도 있다.

일부 종류의 함수 방정식은 컴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풀 수 있다.

4. 1. 일반적인 풀이 방법

함수 방정식의 해를 찾는 방법은 다양하다. 초등적인 경우 대입을 통해 풀릴 수 있으며, 함수가 전사, 단사, 우함수, 기함수라는 성질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3] 가설 풀이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푸는 경우도 있다.

대합은 함수 방정식 f(f(x)) = x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배비지의 함수 방정식(1820년)에서 나타난다.[3]

다른 대합과 이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다.

  • f(x) = a-x\, ,
  • f(x) = \frac{a}{x}\, ,
  • f(x) = \frac{b-x}{1+cx} ~ ,


이는 이전 세 가지를 특수한 경우 또는 극한으로 포함한다.

함수 방정식을 푸는 한 가지 방법은 대입법이다.

일부 함수 방정식은 안자츠,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여 풀렸다.

일부 종류의 함수 방정식은 컴퓨터 보조 기술로 풀 수 있다.[4]

동적 프로그래밍에서는 벨만의 함수 방정식을 풀기 위해 다양한 반복 근사 방법[5][6]이 사용되며, 이는 고정점 반복에 기반한 방법을 포함한다.

함수 방정식의 해법은 매우 어려울 수 있지만, 몇 가지 해법이 알려져 있다.

대합을 고려하는 것은 유용하다. 예를 들어, 함수

: f(x) = \frac{1}{x}

을 생각한다. 이것이

: f(f(x)) = x

를 만족한다는 것에 주의하면, 더 나아가 ''f''를 반복적으로 적용한 결과로서, ''f''의 짝수 번 합성으로 ''x'', 홀수 번 합성으로 ''f''(''x'')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은 다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 f(x) = \frac{1}{1-x},\quad f(x) = 1-x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예 1: 실수 값 함수 ''f''에 관한 방정식

f(x+y)^2 = f(x)^2 + f(y)^2, x,y \in \mathbb{R}

을 푸는 것을 고려한다. x=y=0으로 하면,

:f(0)^2=f(0)^2+f(0)^2

:\Leftrightarrow f(0)^2=f(0)=0

y=-x로 하면,

:f(x-x)^2=f(x)^2+f(-x)^2

:f(0)^2=f(x)^2+f(-x)^2

:0=f(x)^2+f(-x)^2

따라서 모든 ''x''에 대해 f(x)^2=0이 되므로, f(x)=0이 유일한 해이다.

4. 2. 미분 방정식을 이용한 풀이

함수의 연속성이나 미분 가능성 등의 조건을 추가하여 편미분, 미분 방정식을 통해 해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시 함수 방정식 f(x+y)=f(x)+f(y)는 미분을 통해 f(x)=f'(0)x 꼴의 해를 얻을 수 있다.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f(x+y)=f(x)+f(y)・・・※


1. ※의 양변에 x=y=0을 대입하면, f(0)=0이다.

2. ※의 양변을 x로 편미분하면, f'(x+y)=f'(x)이다.

3. 여기에 x=0을 대입하면, f'(y)=f'(0)이다.

4. 이 미분 방정식을 풀면, f(y)=f'(0)y이다.

5. 대칭성에 의해, f(x)=f'(0)x이다.

다른 예시로, f(x+y)=\frac{f(x)+f(y)}{1+f(x)f(y)}・・・※ 와 같은 함수 방정식도 풀 수 있다.

1. ※의 양변에 x=y=0을 대입하면, f(0)=0,\pm 1이다.

2. ※의 양변을 x로 편미분하면, f'(x+y)=\frac{f'(x)(1+f(x)f(y))+f'(x)f(y)(f(x)+f(y))}{(1+f(x)f(y))^2}이다.

(2-1) 여기에 f(0)=0을 대입하면, f'(y)=f'(0)(1-f(y)^2)이다.

: 이 미분 방정식을 풀면, f(y)=\tanh(f'(0)y)이다.

: 대칭성에 의해, f(x)=\tanh(f'(0)x)이다.

(2-2) 이하, 복호 동순으로 한다.

: 여기에 f(0)=\pm 1을 대입하면, f'(y)=0이다.

: 이 미분 방정식을 풀면, f(y)=\pm 1이다.

: 대칭성에 의해, f(x)=\pm 1이다.

(참고로, ※는 tanh 함수의 덧셈 정리에 해당하며, (2-2)의 해는 (2-1)의 해의 점근선을 나타낸다.)

4. 3. 동적 계획법

동적 계획법에서 함수 방정식의 해를 근사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4] 벨만의 함수 방정식을 풀기 위해 고정점 반복에 기반한 방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반복 근사 방법[5][6]이 사용된다.

5. 추가 정보

리만 제타 함수감마 함수 등 특수 함수들도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 예를 들어, 리만 제타 함수는 다음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1]

:\zeta(s) = 2^s\pi^{s-1}\sin\left(\frac{\pi s}{2}\right)\Gamma(1-s)\zeta(1-s)

여기서 Γ는 감마 함수를 나타낸다. 감마 함수는 다음 세 가지 방정식을 모두 만족하는 유일한 함수이다.[1]

:\begin{cases}

f(x)=\dfrac{f(x+1)}{x} \\

f(y)f\left(y+\dfrac{1}{2}\right)=\dfrac{\sqrt{\pi}}{2^{2y-1}}f(2y) \\

f(z)f(1-z)= \dfrac{\pi}{\sin(\pi z)}

\end{cases}

결합 법칙, 교환 법칙 등 연산 법칙도 함수 방정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1] 예를 들어 결합 법칙은 이항 연산 *에 대해 (a*b)*c = a*(b*c) 와 같이 표현되는데, a*b 대신 f|에프영어(a, b)를 사용하면 f(f(a, b),c) = f(a, f(b, c)) 와 같이 함수 방정식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1]

보어-몰레럽 정리는 함수 방정식의 해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유일한 함수임을 보여주는 예시이다.[1]

참조

[1] 서적 Functional Equations and Inequalities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 서적 Functional Equations and Inequalities in Several Variables https://archive.org/[...]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3] 논문 On Certain Real Solutions of Babbage's Functional Equation
[4] 논문 Solving linear two variable functional equations with computer 2004-03-01
[5] 서적 Dynamic Programm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Dynamic Programming: Foundations and Principles Taylor & Franc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