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델포이 신탁소의 수호자이자 가이아의 아들로 묘사된다. 델포이 신탁소는 지구의 중심(옴팔로스)으로 여겨졌으며, 피톤은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하고 그 자리를 아폴론이 차지하게 된다. 아폴론은 피톤을 죽인 후 퓨티아 제전을 열고, 델포이 신탁소의 여사제에게 피티아라는 이름을 붙였다. 피톤은 자연 현상, 정치적, 종교적 변화 등 다양한 상징으로 해석되며, 영어 단어 "python"의 어원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토 - 코이오스
    코이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티탄으로, 레토와 아스테리아의 아버지이며, 티타노마키아에서 패배하여 타르타로스에 갇혔다.
  • 레토 - 니오베 (탄탈로스의 딸)
    니오베는 그리스 신화에서 자녀를 자랑하다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의 분노를 사 모든 자녀를 잃고 슬픔에 잠겨 돌이 된 탄탈로스의 딸이자 암피온의 아내로, 인간의 오만함에 대한 경고의 상징이 되었다.
  • 델포이 - 피티아 제전
    피티아 제전은 고대 그리스 델포이에서 아폴론 신을 기려 4년마다 열린 범그리스 제전으로, 예술 경기와 체육 경기가 펼쳐졌으나 로마 제국 시대에 중단되었다가 현대에 국제 문화 교류 행사로 부활했다.
  • 델포이 - 안드로마케 (비극)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안드로마케》는 트로이 전쟁 후 안드로마케가 전쟁의 비극, 여성의 고통, 복수와 화해라는 주제 속에서 헤르미오네의 위협과 오레스테스의 복수 계획에 휘말리지만, 여신 테티스의 개입으로 희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 드래곤 - 스마우그
    스마우그는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용으로, 에레보르의 보물을 차지하고 데일 마을을 파괴하지만, 호수 마을 공격 후 바르드에게 죽임을 당한다.
  • 드래곤 - 파프니르
    파프니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용으로, 원래 인간이었으나 보물을 탐하여 용으로 변했으며, 영웅 시구르드에게 죽임을 당하고 탐욕과 저주의 상징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미친다.
피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그리스어Πύθων
로마자 표기Pȳthōn
라틴어Python
신화 속 역할
종류뱀 또는 용
거주지델포이, 파르나소스 산
관련 신가이아
죽음아폴론에게 죽임당함
특징
델포이 수호자델포이의 신탁을 지키던 뱀 또는 용
신탁 보호가이아델포이를 보호하기 위해 창조함
아폴론과의 전투아폴론델포이를 차지하기 위해 피톤을 죽임
피티아와의 연관델포이 신탁을 전달하는 피티아라는 여사제 이름의 유래
현대 문화
영화파이톤
파이톤 2

2. 그리스 신화

피톤은 후대 올림포스 신인 아폴론의 지하 세계(chthonic)의 적이었고, 아폴론은 피톤을 죽이고 그가 이전에 차지했던 신탁과 그 장소를 차지했다. 이곳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숭배받는 곳이었다.[2]

아폴론이 피톤을 죽인 것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다. 기원전 522년경 그리스 역사의 아르카이크 시대가 고전 시대로 넘어가던 시기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호메로스의 아폴론 찬가[5] 에서는 아폴론과 뱀과의 전투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나오는데, 일부 구절에서는 치명적인 드라카이나 또는 그 어미로 언급된다. 신전을 세울 장소를 찾던 아폴론은 델포이에 도착하여 사람들에게 재앙이었던 피톤을 보았다. 그는 뱀을 죽이고 자신이 신탁의 신전의 주인이라고 선포했다.

히기누스[6]가 전하는 이야기는 제우스레토사이에서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이 임신되었고, 헤라는 질투심에 피톤을 보내 레토를 방해 했다는 내용이다. 기원전 159년의 에피그램에 따르면, 피톤은 특히 레토를 강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7]

정치적 해석은 추측일 뿐이지만, 신화는 제우스가 아폴론에게 신성 모독에 대해 자신을 정화하라고 명령했고, 아폴론이 주재하는 피티아 경기를 속죄의 제사로 제정했다고 전한다.

에르빈 로데는 피톤이 아폴론에게 정복당하고 옴팔로스 아래 묻힌 대지의 정령이며, 한 신이 다른 신의 무덤 위에 신전을 세운 경우라고 썼다.[9]

델포이 신탁의 여사제는 피톤이라는 지명을 따서 피티아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그리스인들은 이것을 히페리온(낮) 또는 헬리오스(태양)의 힘으로 죽은 뱀의 시체가 썩는 것(πύθειν)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설명했다.[10]

칼 케레니는 더 오래된 이야기들이 두 마리의 용을 언급했는데, 의도적으로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11]

이 신화는 연못과 습지에서 발생하는 안개와 구름(피톤)이 태양 광선(아폴론의 화살)에 의해 흩어지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17]

2. 1. 기원과 역할

피톤(Pytho) 또는 피토(Pytho)는 어머니 가이아의 숭배 중심지였던 델포이 신탁의 수호자였으며, 델포이는 이전의 크리사(Krisa)를 대체한 지명이었다.[1] 그리스인들은 델포이를 지구의 중심(Axis mundi)으로 여겼으며, 이는 ''옴팔로스(omphalos, 배꼽)''라 불리는 돌로 표현되었고, 피톤이 이 돌을 지켰다.

피톤은 가이아의 자식이며[19][20], 델포이신탁소를 지키는 수호자였다.[19][21][22]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딸인 테미스가 신탁을 내렸지만,[19] 원래는 피톤 자신이 신탁을 내렸다는 설도 있다.[19][20][23]). 데우칼리온의 대홍수 이후 남은 진흙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24][25] 델포이의 신탁소를 온전히 감쌀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한 몸집을 가지고 있었다고도 한다.[24]

피톤은 튀폰의 유모였다고도 전해진다.[27][28][29]

2. 2. 아폴론과의 대결

제우스가 여신 레토와 동침하여 아르테미스아폴론을 임신하게 되자, 헤라는 질투심에 피톤을 보내 레토가 쌍둥이 신들을 낳지 못하도록 온 땅을 헤매게 했다.[6] 피톤은 자신이 레토의 아이에게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기 때문에,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임신한 레토를 쫓아다니며 그녀를 죽이려 했다.[20] 일설에는 헤라가 레토를 질투하여 피톤을 보내 레토를 죽이려 했다고도 한다.[30][31]

하지만 레토는 제우스와 포세이돈 등의 도움으로 무사히 출산했다.[25] 아폴론은 태어난 날 또는 4일째에 활과 화살을 들고 어머니의 원한을 풀었다고 한다.[23]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피톤 토벌은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에 의해 이루어졌고, 둘 다 부정을 씻기 위해 아이기알레이아로 향했다고 한다.[32]

솔리의 클레아르코스는 피톤이 그들을 쫓는 동안 레토가 돌 위에 발을 디디고 아폴론을 안고 손에 들고 있던 활과 화살을 들고 ἵε παῖ|híe paî|쏘아라, 아이야grc라고 외쳤다고 기록했다.

아폴론은 피톤의 시체를 정중히 다루어 델포이아폴론 신전 성석인 옴팔로스 아래 땅의 갈라진 틈에 묻었다.[23] 옴팔로스는 "배꼽"이라는 뜻으로, 그곳이 세계의 중심임을 나타낸다고 한다.[23] 또한, 피톤을 위해 장례 경기 대회인 피티아 경기를 개최하고,[25][33] 새롭게 연 자신의 신탁소 여사제에게도 피티아라는 이름을 붙였다.[25] 델포이에서 여사제들이 트랜스 상태에 빠지는 것은 지하에서 피톤이 토해내는 영기 때문[34] 또는 그 시체에서 발생한 가스 때문[19]이라고 여겨진다.

레토와 아이들이 피톤으로부터 도망치는 부조, 기원전 4세기-3세기, 마이클 C. 칼로스 미술관.

2. 3. 델포이 신탁과 피티아

아폴론은 피톤을 죽이고 그 시체를 옴팔로스 아래 묻은 뒤 델포이에 자신의 신전을 세웠다.[2] 델포이 신탁의 여사제는 피톤의 이름을 따서 '피티아'라고 불렸으며, 이들이 트랜스 상태에 빠지는 것은 피톤의 영기나 시체에서 발생하는 가스 때문이라고 여겨졌다.[1] 피톤을 기리기 위해 피티아 제전이 열렸다. 그리스인들은 델포이를 지구의 중심(Axis mundi)으로 여겼고, 이는 ''옴팔로스''(omphalos, 배꼽)라는 돌로 표현되었으며, 피톤은 이 돌을 지켰다고 한다.[1]

2. 4. 다른 전승

일부 전승에서는 피톤이 티폰에게 패배한 제우스의 힘줄을 지키던 델피네를 가리킨다고도 한다.[11] 델피네(Δελφύνηgrc; δελφύςgrc "자궁")[12]는 암컷 용으로, 제우스의 적수인 티폰(Τυφῶνgrc; τύφεινgrc "연기 나다"에서 유래)[13][14]과 함께 이야기꾼들에게 피톤과 혼동되기도 했다.

3. 상징과 해석

피톤 신화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호메로스의 아폴론 찬가[5]에서는 아폴론과 뱀의 전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오는데, 일부 구절에서는 치명적인 드라카이나 또는 그 어미로 언급된다. 신전을 세울 장소를 찾던 아폴론은 델포이에서 사람들에게 재앙이었던 피톤을 죽이고 자신이 신탁 신전의 주인이라고 선포했다.

히기누스[6]에 따르면, 제우스레토 사이에서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이 태어나자, 헤라의 질투로 피톤이 레토를 쫓아다니며 아이를 낳지 못하게 했다. 아폴론은 태어난 지 나흘 만에 피톤을 쫓아 파르나소스 산에 있는 뱀의 거처로 갔고, 델포이의 가이아 신탁으로 쫓아냈다. 거기서 아폴론은 신성한 구역을 침범하여 여사제가 삼발이에 앉아 있는 바위 틈에서 화살로 피톤을 죽였다. 기원전 159년의 에피그램에서는 피톤이 레토를 강간하려 했다고 한다.[7] 솔리의 클레아르코스는 피톤이 그들을 쫓는 동안 레토가 돌 위에 발을 디디고 아폴론을 안고 손에 들고 있던 활과 화살을 들고 ἵε παῖgrc (''híe paî'', "쏘아라, 아이야")라고 외쳤다고 기록했다.

신화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폴론에게 신성 모독에 대해 자신을 정화하라고 명령했고, 아폴론은 피티아 게임을 속죄의 제사로 제정했다.

칼 케레니는 더 오래된 이야기들이 두 마리의 용, 즉 델피네(Δελφύνηgrc; cf. δελφύςgrc, "자궁")[12]라는 암컷 용과 제우스의 적수인 티폰(Τυφῶνgrc; τύφεινgrc, "연기 나다"에서 유래)[13][14]을 언급하며, 이들이 의도적으로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11] 피톤은 미노아 종교에서처럼 신전의 훌륭한 다이몬(ἀγαθὸς δαίμων)이었지만,[15] 북유럽 민속뿐 아니라 동양에서도 흔히 그렇듯이 용으로 묘사되었다.[16]

3. 1. 자연 현상의 은유



이 신화는 연못과 습지에서 발생하는 안개와 구름(피톤)이 태양 광선(아폴론의 화살)에 의해 흩어지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7]

3. 2. 정치적, 종교적 변화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피톤 신화를 헬레네스족이 헬레네스 이전의 신전을 점령한 사건으로 해석했다.[9] 그는 델포이의 여론을 달래기 위해 피톤을 기리는 정기적인 장례 경기를 열었고, 여사제는 그 자리에 계속 있었다고 언급했다.

에르빈 로데는 피톤을 대지의 정령으로 보았는데, 아폴론이 피톤을 정복하고 옴팔로스 아래에 묻은 뒤 그 위에 신전을 세운 것은 한 신이 다른 신의 무덤 위에 신전을 세운 경우로, 새로운 신이 기존의 신을 대체하는 종교적 변화를 상징한다고 보았다.[9]

델포이 신탁의 여사제는 피토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피티아로 알려졌는데, 그리스인들은 히페리온(낮) 또는 헬리오스(태양)의 힘으로 죽은 뱀의 시체가 썩는 것(πύθειν)에서 이 이름이 유래했다고 설명했다.[10]

4. 기타

사도행전 16장 16-18절에는 새번역에서 “점치는 영”으로 번역된 피톤(Πύθων)이 등장한다. 이 피톤은 여종에게 들러붙어 점을 치게 했는데, 바울 일행을 만나 “이 사람들은 구원의 길을 전하고 있습니다”라고 반복해서 외쳤다.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이 여자에게서 나가라!”고 명령하자 피톤은 즉시 그 여자를 떠났다.[36]

비단뱀을 뜻하는 영어 단어 "python"(파이썬)은 피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36]

4. 1. 사도행전

신약성서의 사도행전 16장 16-18절에는 피톤(Πύθων)이 등장한다(새번역에서는 “점치는 영”). 이때 피톤은 여종에게 들러붙어 점을 치게 하고 있었는데, 바울 일행을 만나자 “이 사람들은 구원의 길을 전하고 있습니다”라고 여러 번 반복했다. 바울이 싫증이 나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이 여자에게서 나가라!”고 말하자, 피톤은 즉시 나갔다.

4. 2. 파이썬(Python)

비단뱀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python"(파이썬)은 피톤의 이름에서 유래한다.[36]

참조

[1] 문서 '' Hymn to Pythian Apollo'', l. 254–74
[2] 문서 Dodona
[3] 서적 The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4] 웹사이트 Apollo Victorious over the Python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5] 논문 Kynaithos, Polycrates and the Homeric Hymn to Apollo De Gruyter 1979
[6] 문서 Fabulae
[7]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8]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9] 서적 Psyche
[10] 문서 Homeric Hymn to Pythian Apollo
[11]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1951
[12] 사전 LSJ
[13]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1980
[14] 서적 Themis. A study of the social origins of the Greek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2
[15] 문서
[16] 문서 Illuyankas and Typhon 1930
[17] 백과사전 Python (mythology)
[18] 문서 『ホメーロス風讃歌』第3歌「アポローン讃歌」
[19] 서적
[20] 서적
[21] 희곡 タウリケーのイーピゲネイア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変身物語
[25] 서적
[26] 희곡 タウリケーのイーピゲネイア
[27] 문서 『ホメーロス風讃歌』第3歌「アポローン讃歌」
[28] 문서 『ホメーロス風讃歌』第3歌「アポローン讃歌」
[29] 서적
[30] 서적 ギリシア神話小事典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7] 서적 환수 드래곤 들녘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