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 닥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트 닥터는 1968년생으로,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이자 영화 감독, 각본가이다. 1990년 픽사에 입사하여 애니메이터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토이 스토리》, 《몬스터 주식회사》, 《업》, 《인사이드 아웃》, 《소울》 등 픽사의 주요 작품에 참여했다. 특히 《몬스터 주식회사》, 《업》, 《인사이드 아웃》, 《소울》의 감독을 맡아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3회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감독상 수상자 - 미야자키 하야오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스튜디오 지브리의 창립 멤버인 미야자키 하야오는 《미래소년 코난》 연출 데뷔 후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걸작들을 통해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거장이 되었으며, 환경 보호, 평화주의 등의 주제를 담은 독창적인 작품 세계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감독상 수상자 - 앤드루 애덤슨
뉴질랜드 출신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인 앤드루 애덤슨은 《슈렉》 시리즈와 《나니아 연대기》 시리즈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슈렉》(2001)과 《슈렉 2》(2004)의 감독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고, 다양한 영화에서 시각 효과 감독으로도 활동하여 2006년 뉴질랜드 공로훈장을 받았다.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 동문 - 엘리자 쿠프
엘리자 쿠프는 캘리포니아 예술학교 졸업 후 즉흥 코미디 연기를 시작하여 브레이크아웃 연기자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고, 《스크럽스》, 《해피 엔딩스》, 《퓨처 맨》, 《피보팅》 등 다양한 코미디 시리즈와 영화에서 활약하는 미국의 배우이다.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 동문 - 스티븐 힐런버그
스티븐 힐런버그는 미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자이자 만화가, 생물학자, 배우로, 니켈로디언의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스폰지밥 네모바지》의 창작자이며, 해당 시리즈의 감독, 각본, 스토리보드,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 미네소타 대학교 동문 - 닉 클레그
1967년 영국에서 태어나 자유민주당 대표와 영국 부총리를 역임한 닉 클레그는 유럽 의회 의원과 영국 하원 의원을 거쳐 연립정부를 통해 부총리직에 올랐으며, 정치 개혁을 추진한 후 페이스북(현 메타)에서 활동하며 자유주의적 정치 이념과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 미네소타 대학교 동문 - 권오규 (1952년)
권오규는 1952년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공직에 입문하여 대통령비서실 정책수석비서관, 경제정책 수석비서관, 정책실장을 거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역임했다.
피트 닥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피터 한스 닥터 |
출생일 | 1968년 10월 9일 |
출생지 | 블루밍턴, 미네소타주, 미국 |
국적 | 미국 |
배우자 | 아만다 닥터 |
자녀 | 2명 |
![]() | |
직업 |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애니메이터 성우 |
활동 기간 | 1985년–현재 |
고용주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1990년–현재) |
학력 | |
학력 |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교 (BFA)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몬스터 주식회사 업 인사이드 아웃 소울 |
수상 | |
수상 |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상 |
수상 내역 | 업 (2009년) 인사이드 아웃 (2015년) 소울 (2020년)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영예 황금사자상 (2009년) |
2. 초기 생애
피트 닥터는 1968년 10월 9일 미네소타주 블룸밍턴에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는 덴마크계 미국인이다.[4] 그는 내성적이고 사회적 고립된 환경에서 자랐으며,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했다.[21] 중학교 동창은 그를 "키가 매우 컸지만 어색했고, 사춘기에 목소리가 변하면서 학교 불량배들에게 괴롭힘을 당했을지도 모르는 아이"로 묘사했다.[7]
그의 부모는 모두 교육 분야에서 일했다. 어머니 리타는 음악을 가르쳤고, 아버지 데이브는 노먼데일 커뮤니티 칼리지의 합창 지휘자였다. 닥터와 그의 두 여동생은 맥페일 음악 센터에서 음악 수업을 받았으며,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스즈키 메소드로 배웠다. 그는 더블 베이스를 배우고 ''몬스터 주식회사''[5]와 ''업''의 사운드트랙을 위해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했다.[6]
닥터는 나인 마일 초등학교, 오크 그로브 중학교, 그리고 블룸밍턴 케네디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는 가족용 영화 카메라로 플립 북과 직접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 독학으로 만화를 배웠다.[7] 만화 감독 척 존스, 프로듀서 월트 디즈니, 그리고 만화가 잭 데이비스는 주요 영감이었다.[35]
그는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약 1년 동안 철학과 예술을 공부한 후 캘리포니아 예술학교로 전학했고, 그곳에서 그의 작품 "Next Door"로 학생 아카데미상을 수상하고 1990년에 미술 학사 학위를 받았다.[8]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일할 계획이었지만, 픽사와 ''심슨 가족''의 프로듀서로부터 좋은 제안을 받았다.[7] 그는 그 당시 픽사에 대해 별로 생각하지 않았고,[35] 나중에 그곳에서 일하기로 한 자신의 선택을 이상하고 특이한 것으로 여겼다.[18]
3. 경력
닥터는 1990년 칼아츠 졸업 직후, 존 라세터의 전 동급생이자 닥터의 스승이었던 조 란프트의 추천으로 21세의 나이에 픽사에 합류했다.[12][21][13][14] 픽사 애니메이션 그룹의 열 번째 직원이자 세 번째 애니메이터로 입사한 닥터는[35][15] 픽사의 끈끈한 분위기에 바로 적응했다.[7] 픽사 입사 전에는 ''넥스트 도어'', ''팜스프링스'', ''윈터''라는 세 편의 비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 이 작품들은 나중에 아카데미 영화 보관소에 보존되었다.[9][10]
입사 초기 제한적인 역할을 맡았지만, 라세터는 닥터에게 글쓰기, 애니메이션, 사운드 녹음, 오케스트라 작곡 등 더 많은 역할을 부여했다.[11] 그는 토이 스토리의 콘셉트를 만든 세 명의 핵심 각본가 중 한 명이었으며, 버즈 라이트이어 캐릭터는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35] 그는 거울을 보며 캐릭터의 표정을 연구했다.[11]
닥터는 토이 스토리, 토이 스토리 2,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등 픽사의 주요 작품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각본 공동 작업에 참여했으며, 라세터, 로니 델 카르멘, 밥 피터슨, 앤드류 스탠턴, 브래드 버드, 조 란프트와 같은 CGI 전문가들과 함께 일했다.[18] 닥터는 픽사 동료들을 "야생마" 떼라고 불렀으며,[18] ''토이 스토리'' 제작 중에 결성된 픽사 브레인트러스트의 5명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기도 하다 (나머지 4명은 라세터, 스탠턴, 란프트, 언크리치).[19]
2004년에는 라세터의 요청으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영어 번역 연출을 맡았다.[34]
닥터는 픽사에 합류하기 전에 ''넥스트 도어'', ''팜스프링스'', ''윈터''라는 세 편의 비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 이 작품들은 나중에 아카데미 영화 보관소에 보존되었다.[9][10] 1990년, 21세의 나이에 픽사에 입사한 닥터는[12] 픽사 애니메이션 그룹의 열 번째 직원이자 세 번째 애니메이터였다.[35][15] 닥터는 존 라세터, 로니 델 카르멘, 밥 피터슨, 앤드류 스탠턴, 브래드 버드, 조 란프트 등과 함께 ''토이 스토리'', ''토이 스토리 2'',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등 픽사의 주요 작품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8] 특히 ''토이 스토리''의 콘셉트를 세운 세 명의 핵심 각본가 중 한 명이었으며, 버즈 라이트이어 캐릭터는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35]
2001년, 닥터는 몬스터 주식회사로 감독 데뷔를 했는데, 이는 존 라세터가 연출하지 않은 첫 번째 픽사 영화였다.[20] 2004년에는 라세터로부터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영어 번역 연출을 요청받았다.[34] 2009년에는 영화 ''업''을 연출했으며, 사회적 어색함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군중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를 바탕으로 주인공을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21] ''업''의 성공 이후, 닥터는 제6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22][23]
2015년에는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연출하여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24] 2020년에는 디즈니+에서 공개된 ''소울''을 연출하여 역시 호평을 받았다.[25][26] 2018년 6월, 닥터는 존 라세터의 뒤를 이어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가 되었다.[29][30] 2023년에는 애니상에서 윈저 매케이 상을 수상하며 애니메이션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았다.[32]연도 제목 비고 2001 몬스터 주식회사
Monsters, Inc.감독, 원안, 목소리 출연 2002 마이크와 설리의 새 차
'Mikes New Car''감독, 원안 2009 업
Up감독, 각본, 원안, 목소리 출연 2015 인사이드 아웃
Inside Out2020 소울
Soul감독, 각본, 원안
3. 1. 픽사 입사 초기 (1990-2004)
닥터는 1990년 칼아츠 졸업 직후, 존 라세터의 전 동급생이자 닥터의 스승이었던 조 란프트의 추천으로 21세의 나이에 픽사에 합류했다.[12][21][13][14] 픽사 애니메이션 그룹의 열 번째 직원이자 세 번째 애니메이터로 입사한 닥터는[35][15] 픽사의 끈끈한 분위기에 바로 적응했다.[7] 픽사 입사 전에는 ''넥스트 도어'', ''팜스프링스'', ''윈터''라는 세 편의 비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 이 작품들은 나중에 아카데미 영화 보관소에 보존되었다.[9][10]
입사 초기 제한적인 역할을 맡았지만, 라세터는 닥터에게 글쓰기, 애니메이션, 사운드 녹음, 오케스트라 작곡 등 더 많은 역할을 부여했다.[11] 그는 토이 스토리의 콘셉트를 만든 세 명의 핵심 각본가 중 한 명이었으며, 버즈 라이트이어 캐릭터는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35] 그는 거울을 보며 캐릭터의 표정을 연구했다.[11]
닥터는 토이 스토리, 토이 스토리 2,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등 픽사의 주요 작품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각본 공동 작업에 참여했으며, 라세터, 로니 델 카르멘, 밥 피터슨, 앤드류 스탠턴, 브래드 버드, 조 란프트와 같은 CGI 전문가들과 함께 일했다.[18] 닥터는 픽사 동료들을 "야생마" 떼라고 불렀으며,[18] ''토이 스토리'' 제작 중에 결성된 픽사 브레인트러스트의 5명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기도 하다 (나머지 4명은 라세터, 스탠턴, 란프트, 언크리치).[19]
2004년에는 라세터의 요청으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영어 번역 연출을 맡았다.[34]
3. 2. 감독 데뷔와 성공 (2001-현재)
닥터는 픽사에 합류하기 전에 ''넥스트 도어'', ''팜스프링스'', ''윈터''라는 세 편의 비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 이 작품들은 나중에 아카데미 영화 보관소에 보존되었다.[9][10] 1990년, 21세의 나이에 픽사에 입사한 닥터는[12] 픽사 애니메이션 그룹의 열 번째 직원이자 세 번째 애니메이터였다.[35][15] 닥터는 존 라세터, 로니 델 카르멘, 밥 피터슨, 앤드류 스탠턴, 브래드 버드, 조 란프트 등과 함께 ''토이 스토리'', ''토이 스토리 2'',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등 픽사의 주요 작품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8] 특히 ''토이 스토리''의 콘셉트를 세운 세 명의 핵심 각본가 중 한 명이었으며, 버즈 라이트이어 캐릭터는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35]
2001년, 닥터는 몬스터 주식회사로 감독 데뷔를 했는데, 이는 존 라세터가 연출하지 않은 첫 번째 픽사 영화였다.[20] 2004년에는 라세터로부터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영어 번역 연출을 요청받았다.[34] 2009년에는 영화 ''업''을 연출했으며, 사회적 어색함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군중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를 바탕으로 주인공을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21] ''업''의 성공 이후, 닥터는 제6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22][23]
2015년에는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연출하여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24] 2020년에는 디즈니+에서 공개된 ''소울''을 연출하여 역시 호평을 받았다.[25][26] 2018년 6월, 닥터는 존 라세터의 뒤를 이어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가 되었다.[29][30] 2023년에는 애니상에서 윈저 매케이 상을 수상하며 애니메이션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았다.[32]
연도 | 제목 | 비고 |
---|---|---|
2001 | 몬스터 주식회사 Monsters, Inc. | 감독, 원안, 목소리 출연 |
2002 | 마이크와 설리의 새 차 'Mikes New Car'' | 감독, 원안 |
2009 | 업 Up | 감독, 각본, 원안, 목소리 출연 |
2015 | 인사이드 아웃 Inside Out | |
2020 | 소울 Soul | 감독, 각본, 원안 |
3. 3. 작품 세계와 특징
닥터는 픽사에 합류하기 전에 ''넥스트 도어'', ''팜스프링스'', ''윈터''라는 세 편의 비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9] 이 세 편의 단편 영화는 나중에 아카데미 영화 보관소에 보존되었다.[10] 1990년 21세의 나이에 픽사에 입사한[12][21][13][14] 닥터는 픽사 애니메이션 그룹의 열 번째 직원이자 세 번째 애니메이터였다.[35][15] 그는 회사의 끈끈한 분위기에 즉시 적응했다.[7]
닥터는 존 라세터와 함께 ''토이 스토리''의 콘셉트를 세운 세 명의 핵심 각본가 중 한 명이었으며, 버즈 라이트이어 캐릭터를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35] 그는 책상에 거울을 놓고 캐릭터를 구상하면서 표정을 지었다.[11] ''페이퍼 문''을 본것은 닥터의 캐릭터 개발에 대한 매력에 영향을 주었다.[16]
닥터는 ''토이 스토리'', ''토이 스토리 2'',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등 픽사의 주요 작품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이 애니메이션 영화의 각본 공동 작가로 참여했으며, 라세터, 로니 델 카르멘, 밥 피터슨, 앤드류 스탠턴, 브래드 버드, 조 란프트와 같은 CGI 거물들과 함께 작업했다.[18] 닥터는 픽사 동료들을 "야생마" 떼라고 불렀다.[18] 그는 또한 ''토이 스토리'' 제작 중에 함께 모인 픽사 브레인트러스트의 5명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다(나머지 4명은 라세터, 스탠턴, 란프트, 언크리치).[19]
''몬스터 주식회사''는 닥터의 감독 데뷔작으로, 라세터가 연출하지 않은 첫 번째 픽사 영화였다. 2004년, 그는 라세터로부터 영어 번역인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연출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34] 2009년에는 영화 ''업''을 연출했으며, ''업''의 주인공을 사회적 어색함에 대한 자신의 빈번한 감정과 군중에서 벗어나 사색하고 싶은 욕구에 기반하여 부분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했다.[21] ''업''의 성공 이후, 닥터와 픽사 동료들은 제6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22][23] 2015년 영화 ''인사이드 아웃''과 2020년 영화 ''소울'' 또한 닥터가 연출하여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24][25][26]
닥터는 2018년 6월까지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창의력 부사장으로 재직했으며, 라세터가 그 자리에서 물러난 후 스튜디오의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가 되었다.[29][30] 2023년 애니상 시상식에서 동료 애니메이터 크레이그 맥크라켄 및 에블린 람버트와 함께 윈저 매케이 상을 수상했다.[32]
4. 개인적인 삶
닥터는 아만다 닥터와 결혼하여 니콜라스와 엘리, 두 자녀를 두었다.[21] 엘리는 영화 ''업''에서 대사 배역을 맡았으며, ''인사이드 아웃''의 라일리 캐릭터에 영감을 주었다.[33]
닥터는 애니메이션 팬이며, 특히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을 좋아한다. 닥터는 미야자키의 애니메이션에 대해 "여러분이 인식하고 반응하는 아름답게 관찰된 진실의 작은 순간들"이라고 말했다.[34] 그는 또한 픽사 경쟁사인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영화를 좋아한다. 경쟁 환경에 대해 그는 "다양성이 많을 때 훨씬 더 건강한 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18]
2009년 인터뷰에서 닥터는 자신이 기독교인임을 확인하고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기독교 영화를 만들 생각은 결코 없다고 말했다.[35] 그의 신앙과 영화 제작의 관계에 대해 닥터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떤 방식으로든, 형태로든 사람들이 설교 듣는 것을 좋아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영화를 보러 가는 사람들은 화면에서 그들 자신의 경험을 보고 싶어합니다. 그들은 배우러 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의미에서 어떤 종류의 신념에 관해서도 제가 설교를 하거나 의제를 제시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를 원하지 않습니다.[21]
아만다 닥터와 결혼하여 닉(니콜라스)과 엘리(엘리자베스)라는 자녀가 있다. 기독교인이다.[70]
5. 작품 목록
- 토이 스토리 (Toy Story)》 (1995년) - 스토리/헤드 애니메이터
- 게리의 게임 (1997년) - 애니메이터
- 벅스 라이프 (Bug's Life)》 (1998년) - 추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 토이 스토리 2 (Toy Story 2)》 (1999년) - 스토리
- 몬스터 주식회사 (Monsters, Inc.)》 (2001년) - 감독/스토리
- 마이크의 새 차 (Mike's New Car)》 (2002년) - 감독/스토리
- Boundin'》 (2003년) - 특별 감사
- 하울의 움직이는 성 (Howl's Moving Castle)》 (2004년) - 영어 감독
- 월-E (Wall-E)》 (2008년) - 스토리
- Partly Cloudy》 (2009년) - 특별 감사
- 업 (Up)》 (2009년) - 감독/스토리/작가/케빈과 캠프 마스터 스트라우치 성우
- 더그의 특별 임무 (Dug's Special Mission)》 (2009년) - 존 라세터와 공동제작자
- 인사이드 아웃 (Inside Out)》 (2015년) - 감독/각본
- 소울 (Soul)》 (2020년) - 감독/각본
- 인사이드 아웃 2 (Inside Out 2)》 (2024년) - 아빠의 버럭 (더빙)
5. 1. 장편 영화
피트 닥터는 여러 장편 영화에서 감독, 각본, 제작, 성우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1995년 《토이 스토리》에서는 스토리 및 헤드 애니메이터를[38], 1998년 《벅스 라이프》에서는 추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를, 1999년 《토이 스토리 2》에서는 스토리[38]를 담당했다. 2001년에는 《몬스터 주식회사》의 감독 및 스토리[36]를 맡았고, 2004년에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영어 감독을[34], 2008년에는 《월-E》의 스토리[38]를 담당했다. 2009년에는 《업》의 감독, 스토리, 작가, 케빈과 캠프 마스터 스트라우치 성우[37]를, 2015년에는 《인사이드 아웃》의 감독 및 각본[38]을, 2020년에는 《소울》의 감독 및 각본[38]을 맡았다.2010년대 이후로는 제작 총괄 프로듀서 역할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2012년 《메리다와 마법의 숲》[38], 2013년 《몬스터 대학교》[38], 2019년 《토이 스토리 4》[38], 2020년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38], 2021년 《루카》[38], 2022년 《메이의 새빨간 비밀》[38], 《버즈 라이트이어》[38], 2023년 《엘리멘탈》[38], 그리고 2024년 《엘리오》[38]에서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2024년에는 《인사이드 아웃 2》에서 아빠의 분노 역할의 성우를 맡았다.[38]
연도 | 제목 | 감독 | 각본 | 총괄 프로듀서 | 기타 | 성우 역할 | 비고 | |||||||||||||||||||||||||||||||||||||||||||||||||||||||||||||||||||||||||||||||||||||||||||||||||||||||||||||||||||||||||||||||||||||||||||||||||||||||||||||||||||||||||||||||||||||||||||||||||||||||||||||||||||||||||||||||||||||||||||||||||||||||||||||||||||||||||||||
---|---|---|---|---|---|---|---|---|---|---|---|---|---|---|---|---|---|---|---|---|---|---|---|---|---|---|---|---|---|---|---|---|---|---|---|---|---|---|---|---|---|---|---|---|---|---|---|---|---|---|---|---|---|---|---|---|---|---|---|---|---|---|---|---|---|---|---|---|---|---|---|---|---|---|---|---|---|---|---|---|---|---|---|---|---|---|---|---|---|---|---|---|---|---|---|---|---|---|---|---|---|---|---|---|---|---|---|---|---|---|---|---|---|---|---|---|---|---|---|---|---|---|---|---|---|---|---|---|---|---|---|---|---|---|---|---|---|---|---|---|---|---|---|---|---|---|---|---|---|---|---|---|---|---|---|---|---|---|---|---|---|---|---|---|---|---|---|---|---|---|---|---|---|---|---|---|---|---|---|---|---|---|---|---|---|---|---|---|---|---|---|---|---|---|---|---|---|---|---|---|---|---|---|---|---|---|---|---|---|---|---|---|---|---|---|---|---|---|---|---|---|---|---|---|---|---|---|---|---|---|---|---|---|---|---|---|---|---|---|---|---|---|---|---|---|---|---|---|---|---|---|---|---|---|---|---|---|---|---|---|---|---|---|---|---|---|---|---|---|---|---|---|---|---|---|---|
1995 | 토이 스토리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수퍼바이징 애니메이터, 스토리 아티스트 |- |1998 |''벅스 라이프''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추가 스토리보드 |- |1999 |''토이 스토리 2'' | | | | | | |- |2001 |''몬스터 주식회사''[36]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CDA 요원 00002 |애니메이터 - 크레딧 없음 |- |2003 |''니모를 찾아서'' | | | | | |rowspan=2|브레인 트러스트 - 크레딧 없음 |- |2004 |''인크레더블''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추가 음성 |- |2005 | ''하울의 움직이는 성''[34]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감독: 영어 더빙, 미국 버전 |- |2006 | ''카'' | | | | | |브레인 트러스트 - 크레딧 없음 |- |2007 |''라따뚜이''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픽사 프로덕션 |- |2008 |''월-E''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추가 음성 |픽사 수석 크리에이티브 팀 |- |2009 |''업''[37]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캠프마스터 스트라우흐, 케빈 (크레딧 없음) |애니메이터, 픽사 수석 크리에이티브 팀 - 크레딧 없음 |- |2010 |''토이 스토리 3''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rowspan=23|픽사 수석 크리에이티브 팀 [38] - 인사이드 아웃 크레딧 없음 |- |2011 |''카 2''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12 |''메리다와 마법의 숲''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13 | ''몬스터 대학교''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rowspan=2|2015 |''인사이드 아웃''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아빠의 분노 |- |''굿 다이노''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16 |''도리를 찾아서''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rowspan=2|2017 |''카 3: 새로운 시작''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코코''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18 |''인크레더블 2'' |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19 |''토이 스토리 4''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rowspan=2|2020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소울''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21 |''루카''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rowspan=2|2022 |''메이의 새빨간 비밀''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버즈 라이트이어''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23 |''엘리멘탈''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2024 |''인사이드 아웃 2''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아빠의 분노 |- |2025 |''엘리오''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rowspan=2|2026 |''호퍼스''[39]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토이 스토리 5''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data-sort-value="}" style="background: #DDF; color:black;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skin-invert no table-no2" | 미정 |''인크레더블 3''[40] |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5. 2. 단편 영화 및 시리즈피트 닥터는 다양한 단편 영화 및 시리즈에 참여했다. 1995년 《토이 스토리》에서는 스토리 및 헤드 애니메이터를 맡았고, 1997년 《제리의 게임》에서는 애니메이터로 참여했다.[9] 1998년 《벅스 라이프》에서는 추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1999년 《토이 스토리 2》에서는 스토리 작가로 참여했다. 2001년 《몬스터 주식회사》에서는 감독 및 스토리 작가를 맡았고, 2002년에는 단편 영화 《마이크의 새 차》의 감독 및 원작을 담당했다.[9]2004년에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영어 감독을 맡았고, 2008년 《월-E》의 스토리 작가로 참여했다. 2009년에는 《업》에서 감독, 스토리 작가, 각본, 그리고 케빈과 캠프 마스터 스트라우치 역의 성우를 맡았다. 같은 해 《덕의 특별 임무》에서는 존 라세터와 공동 제작자로 참여했다.[9] 2015년 《인사이드 아웃》에서는 감독과 각본을 맡았고, 2020년 《소울》에서도 감독과 각본을 담당했다. 2024년에는 《인사이드 아웃 2》에서 아빠의 버럭(더빙)역으로 출연하였다. 그 외에도 2015년 《라일리의 첫 데이트?》, 2018년 《바오》,[41] 2019-20년 《포키는 질문을 한다》, 2020년 ''램프 라이프''[42], 2021년 《22 vs. 지구》[45], 2021-23년 《덕 데이즈》[46], 2024년 《드림 프로덕션》[47], 2025년 《윈 오어 루즈》[47] 등 다수의 작품에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6. 수상 및 후보
피트 닥터는 《업》, 《인사이드 아웃》, 《소울》로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3회 수상했다.[62][63][64] 또한 《업》과 《인사이드 아웃》으로 애니상 장편 영화 연출상을 2회 수상했으며,[65][67]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과 골든 글로브상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각각 2회, 3회 수상했다.
7. 협업
피트 닥터는 자신이 연출한 여러 영화에 특정 배우와 제작진을 캐스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ncestry: MN Births 1935–2002
http://search.ancest[...]
Search.ancestry.com
201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