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해의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해의식은 타인 탓으로 상황의 원인을 돌리고 개인적 책임을 부정하며, 비관주의, 자기 연민, 억압된 분노를 특징으로 하는 성격 특성이다. 피해의식을 가진 사람은 타인에 대한 과민한 경계심, 부정적인 의도 추정, 자기 연민, 도덕적 우월감, 공감 부족 등의 특징을 보이며, 학대나 조종의 피해자에게서 나타나기 쉽다.

피해의식은 개인의 트라우마 경험이나 집단적 정치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집단적 피해의식은 폭력적 갈등 해결과 발언 자유 제한을 옹호하는 경향으로 이어진다. 집단적 피해의식은 경쟁적 피해의식과 포괄적 피해의식으로 구분되며, 경쟁적 피해의식은 갈등을 심화시키지만, 포괄적 피해의식은 화해를 촉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학 - 공공 정책
    공공정책은 정부가 사회 문제 해결 및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선택하는 행동 또는 비행동으로, 제도적 기반 위에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과정을 거치며 최근 새로운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다.
  • 정치학 - 국체
    국체는 국가의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군주제와 공화제로 나뉘고, 각 체제는 국가원수 선출 방식과 권력 분배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정치적 혼란으로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 심리학 - 정동 (심리학)
    정동은 심리학에서 감정가, 각성, 동기적 강도로 구성되며, 표현 방식, 원인, 뇌 과학적 연구와 관련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 사회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피해의식
개요
일반적인 의미타인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하는 심리 상태
특징
사회적 인정 추구피해자로서 사회적 인정을 얻으려고 시도함
부정적 감정두려움, 공감 부족,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됨
인지적 편향모호한 정보를 적대적이고 위협적으로 해석하는 경향
도덕적 정당화폭력적인 행동을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는 믿음
책임 회피도덕적 책임 감소
복수심복수를 추구하는 경향
관련 용어
영어Victim mentality (피해자 정신)

2. 특징

피해의식은 다양한 행동이나 사고 및 대화방식 속에서 드러난다. 피해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원치 않는 상황의 원인을 타인 탓으로 돌리고 자신의 삶이나 상황에 대한 개인적 책임을 부정한다.[58][12] 타인이 있을 때 과각성(hypervigilance)을 보이거나,[58] 타인의 부정적인 의도를 알아차리고,[58][20] 다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더 운이 좋다고 믿는다.[6] 또한 자기를 동정하거나 타인으로부터 동정을 받는 것에서 위안을 느낀다.[58][7]

피해의식은 비관주의(pessimism), 자기연민(self-pity), 억압된 분노(repressed anger)의 태도를 특성으로 한다.[55][8] 피해의식을 갖는 사람은 이러한 생각을 지지하는데 설득력 있고 복잡한 설명 방식을 고안해 내며, 이를 통해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피해의식을 갖는 사람은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어떤 상황을 사실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일반 사람들과 같지만, 어떤 상황에서 자신이 무기력해지는 것의 실질적인 근원에 대하여 인식하거나 궁금해하지는 않는다.[56][9]
  • 자기성찰적이다.
  • 자격권리(entitlement)와 이기심(selfishness)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57][10]
  • 방어적 : 대화에서 중립적인 질문에 부정적인 의도를 간파하고 그에 상응하는 비난을 가하며, 내재하는 갈등을 인식하여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58][11]
  • 범주화 : 사람을 중간 회색지대(gray zone) 없이 선과 악으로만 구분한다.[58][12]
  • 모험심이 없음 : 작고 예측되는 위험조차도 감당하려 하지 않음, 도출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물에 대한 중요성이나 가능성을 과장한다.[13]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주어진 상황에서의 능력이나 영향력을 저평가함, 무기력함을 느낀다.[58][14][15]
  • 자기비하(self-abasing) : 타인이 자기를 비하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자기 자신을 비하한다.[58][16]
  • 타인의 인정을 갈구함 : 피해자다움을 타인이 알아주고 이를 인정받아야 하는 욕구를 갖는다. 이러한 인정은 자신, 타인, 세상에 대하여 갖는 긍정적인 기본 전제를 재확인시킨다. 또한 이는 가해자가 자기의 잘못을 인식하는 것을 시사한다. 협동에 있어 이는 트라우마적 사건에 관하여 긍정적인 행복을 갖고 집단 갈등에서 달래는 태도를 고취한다.[59]
  • 도덕적 엘리트주의 : 자신 혹은 자기편의 도덕적 우월성과 상대방 혹은 상대편의 부도덕성을 주장한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도덕성과 개인의 행동에 있어서 흑백논리(black and white view)를 갖게 된다. 자신의 공격성(aggressiveness)을 부정하고 자신은 나약하고 도덕적으로 부정한 이들로부터 핍박받는다고 생각한다. 반면 타인은 위협적이고 핍박을 가하며 부도덕하다고 생각한다. 자기에 대하여 도덕적으로 순수하다는 이미지를 갖는다. 집단적인 차원에서, 도덕적 엘리트주의란 집단이 자신들이 받은 피해를 강조하면서 자기의 집단이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집단에 속한 개인들은 자기의 폭력을 공정하고 도덕적으로 생각하지만 외부집단의 폭력은 불공정하고 도덕적으로 틀리다고 보기도 한다.[59]
  • 공감 부족 : 자신의 고통에 대해 염려하는 이들은 타인의 고통에는 관심을 보이려 하지 않는다. 타인의 고통을 무시하거나 이기적으로 행동한다. 집단적인 수준에서, 피해자라는 의식에 매몰된 집단은 외부집단의 관점을 보려 하지 않고 상대편 마음에 공감하려 하지 않지만, 자신이 저지른 해에 대한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집단 이기주의를 보이게 된다.[59]
  • 반추 : 피해자들은 자신의 고통과 그 원인, 그리고 이후 영향에 대하여 주목하여도, 해결책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 결과 모욕이나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공격성을 보이며, 가해자에 대한 복수심에 용서하려는 마음을 갖지 않는다. 집단에 있어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59]
  • 망상 : 타인이 본인에게 그 무엇도 저지른 일이 없음에도 본인만의 세계의 갇혀 상대를 가해자로 지목한다.[59]


피해 의식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으로 인해 끊임없이 피해를 입고 고통받는다는 신념을 구현하는 사람의 성격 특성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자기 연민은 슬픔의 주요 단계 중 하나이므로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죄책감, 수치심, 무력감 등 과장된 감정에 비해 일시적이고 작아야 한다. 피해 의식을 가진 사람은 우울증에 쉽게 휩싸이는 경우가 많다.[5]

3. 기반

일반적 의미로 피해자(victim)는 어느 한 사건 혹은 일련의 사건의 결과로 상해, 손실, 불운을 겪는 사람을 말한다.[51] 그러나 부정적인 경험은 피해자다움(victimhood)이 나타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47]

단지 피해를 준 사건을 경험한 것만으로는 피해자가 되었다는 느낌이 생기기는 불충분하다는 점에서, 공감(empathy)에 대한 욕구는 중요하다. 이러한 느낌을 갖기 위해서는, 피해에 대하여 받아서는 안 되었고 불공평하며 비도덕적인 것, 피해자가 막을 수 없었던 행동이라고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공감과 이해를 얻는 필요가 생길 수 있다.[53]

피해의식은 폭력(violence)의 산물이기도 하다. 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의 피해의식의 근원에는 보통 위기상황이나 트라우마(trauma)의 경험이 존재한다.[54] 근본적으로 피해의식은 책임과 비판을 회피하고 관심과 연민을 받으며 피해의식의 실체인 분노를 회피하려는 수단인 것이다.

4. 학대와 조종의 피해자

학대와 조종(manipulation)의 피해자들은 종종 피해자화된 자기상(self-image)에 사로잡히며, 이는 무기력, 수동성, 통제 상실, 비관주의, 부정적 사고, 강한 죄책감, 수치심, 자기 비난, 우울증과 같은 감정으로 나타난다.[60][21] 이러한 사고 방식은 절망과 좌절을 야기하며,[60][22] 치료 과정에서 치료자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권위적인 인물에 대한 불신과 상처받거나 착취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다.[61][23]

성적 학대 피해자는 자기 비난, 죄책감, 수치심을 느낄 가능성이 높으며,[24] 피해 사실 공개 시기는 다양하다. 가족 구성원에게 조기에 공개할 경우, 더 많은 지지를 받을 수 있다.[25] 학대 정도와 피해의식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피해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재앙화, 자기 요구성, 타인에 대한 요구성, 낮은 좌절 내성 등의 부정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26]

5. 발발

찰스 스나이더(Charles R. Snyder)가 2005년에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피해의식을 가진 사람이 자신에게 피해의식을 갖게 한 사람이나 상황을 용서하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증상이나 적개심(hostility)을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62][27]

청소년 피해자의 경우, 집단 지지(group support)와 심리극(psychodrama) 기법은 과거의 트라우마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을 얻도록 돕는다. 이러한 기법들은 피해자의 감정과 표현을 중시하며, 지지집단(support group)은 자기주장훈련(assertiveness) 기법을 연마하고 타인을 따뜻하게 지지하는 것에 유용하다.[63][28]

규범적 결정이론(normative decision theory), 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인지 요법(cognitive therapy), 심리적 통제위치(psychological locus of control)와 같은 기법들은 피해의식 마인드셋(mindset)을 가진 이들이 자신의 마인드셋을 인지하고 완화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64][29]

6. 트라우마, 피해자화, 피해자학

트라우마는 세상이 공정하고 합리적이라는 개인의 믿음을 훼손할 수 있으며, 과학 연구들은 트라우마의 타당화(validation)가 치료 회복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65][30]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책임지기를 바라는 것은 피해자에게 정상적인 반응이다.[30] 환자와 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들이 트라우마의 타당화와 피해자화는 치료 회복에 있어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혀졌다.[65] 데 린트(Willem De Lint)와 마르모(Marinella Marmo)는 사회 전반에 걸쳐 존재하는 '반피해자의식적 의식(antivictimism mentality)'과 피해의식 낙인을 사용하는 이들에 대해 규명하였다. 꿋꿋함(fortitude)을 보이면서도 약함(weakness)의 증거로 비춰지는 고통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개인이 '진실한 피해자(true victim)'가 되기만을 바라는 것이다. 이는 피해자가 자신의 감정을 공유하길 기대되지만 결국 감정을 보였다는 이유로 심판받게 되는 환경을 만들게 될 것이다.[66][31]

피해자학사회학 및 심리학적 관점에서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다.[32] 범죄 피해자들은 피해자라는 낙인과 복잡한 관계를 보인다.[67][32] 이들은 도움을 받거나 법적 절차 때문에 피해자 낙인을 수용할 것을 요구받는다고 생각할 것이다.[67] 이들은 낙인을 수용하는 것이 자신들에 대한 책망 회피에 필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다.[67] 이들은 오명(stigmatization)을 벗거나 주체의식(sense of agency) 부여를 위해 그것을 거부하려 할 것이다.[67] 이들은 공감보다는 정의를 위한 마음에 낙인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67] 피해자와 생존자(survivor) 역할 사이에는 거짓 이분법(false dichotomy)이 존재할 수 있다.[67] 피해자나 생존자 어느 쪽도 피해자가 행한 주체적 노력(학대자를 떠나는 것 등)이나 타인의 행동이 이들에게 해가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않는다.[67][32]

7. 정치

집단 피해자 의식은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한 나라의 리더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피해의식을 느끼면, 리더들은 폭력적인 갈등 해결이나 발언 자유의 제한을 옹호할 가능성이 높다.

정치심리학자 바-탈(Daniel Bar-Tal)과 체르니악-하이(Lily Chernyak-Hai)는 집단 피해의식이 자아실현(self-realization)의 발전, 사회적 인정(social recognition), 피해자 상태 유지를 위한 시도로부터 발전한다고 주장하였다.[68]

7. 1. 집단적 피해의식 (Collective victimhood)

집단적 피해 의식은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집단이 다른 집단에 의해 고의적이고 부당하게 피해를 입었다고 공유하는 사고방식이다.[33][34] 정치 심리학자 바-탈과 체르냐크-하이(Chernyak-Hai)는 집단적 피해 의식이 자기 인식, 사회적 인정, 그리고 궁극적으로 피해자 지위를 유지하려는 시도의 과정을 통해 발전한다고 기술한다.[35]

집단 피해자 의식은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한 나라의 리더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피해의식을 느끼면, 리더들은 폭력적인 갈등 해결이나 발언 자유의 제한을 옹호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자들은 강한 집단적 피해 의식이 낮은 용서 수준과 복수에 대한 증가된 욕구와 관련이 있음을 관찰했다.[20] 그들은 이러한 패턴이 홀로코스트,[36] 북아일랜드의 갈등,[37] 그리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같은 다양한 맥락에서 반복됨을 언급했다.[37][20][38]

7. 2. 경쟁적 피해의식 (Competitive victimhood)

집단 피해자 의식은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한 나라의 리더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피해의식을 느끼면, 리더들은 폭력적인 갈등 해결이나 발언 자유의 제한을 옹호할 가능성이 높다. 정치심리학자 바-탈/Daniel Bar-Tal영어과 체르니악-하이/Lily Chernyak-Hai영어는 집단 피해의식이 자아실현(self-realization)의 발전, 사회적 인정(social recognition), 피해자 상태 유지를 위한 시도로부터 발전한다고 주장하였다.[68] 경쟁적 피해 의식은 상대 집단에 비해 자신의 집단이 더 많은 고통을 겪었다고 여기는 경향을 말하며,[39] 각 집단이 상대 집단보다 더 많은 고통을 겪었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폭력적이고 해결하기 어려운 갈등의 역학을 설명한다.[40][41] 그 결과, 폭력적인 갈등에 연루된 집단은 자신들의 피해를 배타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 집단의 고통을 경시하거나, 최소화하거나, 심지어는 부정할 수도 있다.[20][40][42] 연구자들은 경쟁적 피해 의식이 갈등 당사자들이 도덕적 이미지를 방어하고, 주체성을 회복하고, 권력을 얻으려는 욕구에서 비롯된다고 관찰한다.[43][44] 경쟁적 피해 의식은 갈등 해결 및 화해를 심각하고 유의미하게 방해하며,[41] 미래의 평화로운 공존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45]

7. 3. 포괄적 피해의식 (Inclusive victimhood)

집단 피해자 의식은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한 나라의 리더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피해의식을 느끼면, 리더들은 폭력적인 갈등 해결이나 발언 자유의 제한을 옹호할 가능성이 높다.[68] 정치심리학자 바-탈(Daniel Bar-Tal)과 체르니악-하이(Lily Chernyak-Hai)는 집단 피해의식이 자아실현(self-realization)의 발전, 사회적 인정(social recognition), 피해자 상태 유지를 위한 시도로부터 발전한다고 주장하였다.[68]

일부 연구자들은 피해 집단 간의 유사성을 인식하는 피해의식이 타 집단 및 적대 집단에 대한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42] 이는 화해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경쟁적 피해의식을 감소시키고 용서를 증진시킬 수 있다.[44][41][46] 다른 연구자들은 포괄적 피해의식을 강조하기보다는, 오히려 공유된 인류애를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1]

참조

[1] 논문 Getting "Just Deserts" or Seeing the "Silver Lining": The Relation between Judgments of Immanent and Ultimate Justice 2014-07-18
[2] 간행물 The Culture of 'Victimism' Gives Way to a Culture of Bullying https://www.theatlan[...] 2018-08-07
[3] 논문 A sense of self-perceived collective victimhood in intractable conflicts https://www.icrc.org[...] 2018-08-07
[4] 웹사이트 Ever Met Someone With A Victim Complex? 9 Warning Signs To Look For https://www.mindbody[...] 2024-11-14
[5] 웹사이트 Living With a Victim Complex https://www.thoughtc[...] 2024-11-14
[6] 웹사이트 Victim Of Circumstances Mentality Holding You? Let's Change https://wealthfulmin[...] 2023-12-09
[7] 웹사이트 Victim Of Circumstances Mentality Holding You? Let's Change https://wealthfulmin[...] 2023-12-09
[8] 웹사이트 The Victim Mentality http://www.drshirin.[...] 2018-08-09
[9] 간행물 Are You Ready to Stop Feeling Like a Victim? https://www.psycholo[...] 2018-08-09
[10] 논문 Victim entitlement to behave selfishly
[11] 웹사이트 Victim Of Circumstances Mentality Holding You? Let's Change https://wealthfulmin[...] 2023-12-09
[12] 논문 Are You a Victim of the Victim Syndrome? INSEAD Business Press, Palgrave Macmillan 2012-07-24
[13] 웹사이트 What Is a Victim Mentality? https://www.webmd.co[...] 2023-12-09
[14] 웹사이트 Victim Mentality: Signs, Causes, and What to Do https://psychcentral[...] 2023-12-09
[15] 웹사이트 Learned Helplessness and Generalized Victimhood {{!}} Change, Inc. St. Louis Counseling https://www.changein[...] 2023-12-09
[16]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Victim Mentality https://mainlinetoda[...] 2023-12-09
[17] 웹사이트 Living With a Victim Complex https://www.thoughtc[...] 2024-11-14
[18] 웹사이트 Living With a Victim Complex https://www.thoughtc[...] 2024-11-14
[19] 문서 The Tendency to Feel Victimized in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Relationships.
[20] 웹사이트 Unraveling the Mindset of Victimhood https://www.scientif[...] 2023-11-09
[21] 문서 Sexual abuse and sexual maltreatment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3-10
[22] 서적 Who's Pulling Your Strings? How to Break The Cycle of Manipulation McGraw-Hill Education 2004-10-03
[23] 논문 Group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for adolescent victims of intrafamilial sexual abuse Human Sciences Press 1980-01-01
[24] 논문 Review of Abused Boys: The Neglected Victims of Sexual Abuse. http://dx.doi.org/10[...] 1993-11
[25] 논문 Adolescent sexual abuse victims' level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layed disclosure https://www.scienced[...] 2020-11-01
[26] 논문 Cognitive Attitudes and Biases of Victim Mentality 2021-12-30
[27] 논문 Forgivenes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 hostility in survivors of childhood abuse Taylor & Francis 2005-04-01
[28] 논문 Group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for adolescent victims of intrafamilial sexual abuse Human Sciences Press 1980-01-01
[29] 논문 The Educational Benefits of Releasing "Victim Mentality": An Approach from the Fields of Business and Psychology https://www.proquest[...] 2018-08-10
[30] 웹사이트 Unraveling the Mindset of Victimhood https://www.scientif[...] 2020-12-31
[31] 서적 Narrating Injustice Survival: Self-medication by Victims of Crim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7-03
[32] 논문 Confronting "Victim" Discourses: The Identity Work of Battered Women https://onlinelibrar[...] 2006
[33] 논문 Collective Victimhood and Ingroup Identity Jointly Shape Intergroup Relations, Even in a Non-violent Conflict: The Case of the Belgians 2017
[34] 논문 A sense of self-perceived collective victimhood in intractable conflicts https://www.cambridg[...] 2009-11-23
[35] 논문 A sense of self-perceived collective victimhood in intractable conflicts https://www.icrc.org[...] 2018-08-21
[36] 논문 Remembering historical victimization: collective guilt for current ingroup transgressions https://pubmed.ncbi.[...] 2008-06
[37] 웹사이트 The Shadows of the Past: Effects of Historical Group Trauma on Current Intergroup Conflicts http://nrl.northumbr[...]
[38] 웹사이트 Socio-psychological Barriers To The Peace Process: Collective Victimhood And Identity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theowp.org/r[...] 2023-11-13
[39] 논문 Competitive victimhood: a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https://www.scienced[...] 2016
[40] 논문 When suffering begets suffering: the psychology of competitive victimhood between adversarial groups in violent conflicts https://pubmed.ncbi.[...] 2012
[41] 서적 The Politics of Victimhood in Post-conflict Societies 2018-02-21
[42] 논문 The Role of Victim Belief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Risk or Potential for Peace? https://www.tandfonl[...] 2009-04-21
[43] 논문 Dominant groups support digressive victimhood claims to counter accusations of discrimination https://www.scienced[...] 2022-01
[44] 논문 Overcoming competitive victimhood and facilitating forgiveness through re-categorization into a common victim or perpetrator identity https://www.scienced[...] 2013-09
[45] 웹사이트 The victim wars: How competitive victimhood stymies reconciliation between conflicting groups {{!}} Magazine issue 5/2012 - Issue 15 {{!}} In-Mind https://www.in-mind.[...] 2023-12-02
[46] 논문 Exploring inclusive victimhood narratives: the case of Bosnia-Herzegovina 2023-05-08
[47] 웹인용 The Victim Mentality – What It Is & Why You Use It https://www.harleyth[...] 2018-08-07
[48] 저널 인용 Getting "Just Deserts" or Seeing the "Silver Lining": The Relation between Judgments of Immanent and Ultimate Justice 2014-07-18
[49] 잡지 인용 The Culture of 'Victimism' Gives Way to a Culture of Bullying https://www.theatlan[...] 2018-08-07
[50] 저널 인용 A sense of self-perceived collective victimhood in intractable conflicts https://www.icrc.org[...] 2018-08-07
[51] 저널 인용 Dominating interpersonal behavior and perceived victimization in groups: Evidence for a curvilinear relationship
[52] 서적 인용 A nation of victims: The decay of the American character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1992
[53] 웹인용 International Review of the Red Cross: Volume 91 - War victims - Cambridge Core http://journals.camb[...]
[54] 서적 인용 Rethinking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A Reader Palgrave Macmillan 2019-07-02
[55] 웹인용 The Victim Mentality http://www.drshirin.[...] 2018-08-09
[56] 잡지 인용 Are You Ready to Stop Feeling Like a Victim? https://www.psycholo[...] 2018-08-09
[57] 저널 인용 Victim entitlement to behave selfishly https://pdfs.semanti[...] 2019-08-07
[58] 저널 인용 Are You a Victim of the Victim Syndrome? INSEAD 2012-07-24
[59] 문서 The Tendency to Feel Victimized in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Relationships. The Social Psychology of Collective Victimhood
[60] 서적 인용 Who's Pulling Your Strings? How to Break The Cycle of Manipulation McGraw-Hill Education 2004-10-03
[61] 저널 인용 Group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for adolescent victims of intrafamilial sexual abuse Human Sciences Press 1980-01-01
[62] 저널 인용 Forgivenes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 hostility in survivors of childhood abuse Taylor & Francis 2005-04-01
[63] 저널 인용 Group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for adolescent victims of intrafamilial sexual abuse Human Sciences Press 1980-01-01
[64] 저널 인용 The Educational Benefits of Releasing "Victim Mentality": An Approach from the Fields of Business and Psychology https://search.proqu[...] 2018-08-10
[65] 웹인용 Unraveling the Mindset of Victimhood https://www.scientif[...] 2020-12-31
[66] 서적 인용 Narrating Injustice Survival: Self-medication by Victims of Crim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7-03
[67] 저널 인용 Confronting "Victim" Discourses: The Identity Work of Battered Women https://onlinelibrar[...] 2006
[68] 저널 인용 A sense of self-perceived collective victimhood in intractable conflicts https://www.icrc.org[...] 2018-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