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공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공진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강조의 정변에 가담하고 거란의 2차 침입 때 현종을 따라 피난하며 거란과의 외교 협상에서 활약했다. 요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후에도 조국에 대한 충절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했으며, 사후 공신으로 추증되었다. 진주 하씨 시랑공파의 시조이며, 진주 경절사에 배향되었다. 또한, 하공진을 소재로 한 조희가 고려 예종 때 연희되었으며, 드라마 《천추태후》와 《고려 거란 전쟁》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공부시랑 - 한강 (고려)
    한강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국자감대사성, 밀직사사 등을 역임하고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고금록』 편찬에 참여하고 첨의시랑찬성사를 거쳐 문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1011년 사망 - 레이제이 천황
    레이제이 천황은 967년부터 969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63대 천황으로, 재위 기간 동안 정신 질환으로 후지와라 씨의 영향력이 커졌고, 안나의 변을 거쳐 동생인 엔유 천황에게 양위 후 레이제이인으로 불리며 기행과 관련된 일화들이 전해진다.
  • 1011년 사망 - 양규
    양규는 고려 목종 때 형부낭중으로, 제2차 고려-거란 전쟁에서 서북면 도순검사로서 흥화진을 지키고 곽주를 탈환하는 등 큰 공을 세웠으나 애전 전투에서 전사 후,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공부상서에 추증되고 삼한후벽상공신에 추봉되었다.
  • 고려의 중랑장 - 지채문
    지채문은 고려 전기의 무신으로, 거란의 2차 침입 때 서경 방어에 참여했다가 현종의 몽진을 호종하며 왕을 보호한 공으로 공신에 녹훈되고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으며 사후 1등공신에 추록되었다.
  • 고려의 중랑장 - 최충헌
    최충헌은 1149년에 태어나 1219년에 사망한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무신정변으로 권력을 장악하여 최씨 무신 정권을 수립하고 여러 왕을 옹립하며 도방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다가 몽골의 침략 시기까지 최씨 정권을 이끌었다.
하공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하공진
원어 이름河拱辰
하공진 사적비
하공진 사적비
국적고려
성별남성
본관진주
매장지고려 진주성
사망일1011년
관직 정보
직책압강도구당사
임기994년~?
군주성종
군주 칭호국왕
직책2상서좌사낭중
임기2?~?
군주2목종
군주 칭호2국왕
직책3중랑장
임기3?~1011년
군주3현종
군주 칭호3국왕
최종 계급상서좌사낭중
추증상서공부시랑
가족 관계
자녀하측충
군사 복무
소속고려군
참전고려-거란 전쟁

2. 생애

994년(성종 13년) 압강도 구당사(鴨江渡勾當使)가 되었다.[3] 1009년(목종 12년) 중랑장(中郞將)으로 강조의 정변에 가담하였다.[4] 얼마 뒤 문관직으로 개반하여 상서좌사낭중이 되었다.[1]

요나라(거란)가 쳐들어오자 고영기와 함께 군사 20여 명을 거느리고 남쪽으로 피난 중이던 현종을 양주에서 만나 거란군의 철수 교섭을 자청하였다.[7] 그는 현종의 사절로 요 성종을 만나 현종이 직접 요나라에 입조하는 조건과 더불어 스스로 볼모가 되는 조건으로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하공진은 고영기와 함께 거란에 볼모로 잡혀가 요 성종의 신임을 받았으나, 여러 차례 탈출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연경으로 이송되어 양가의 딸을 아내로 맞아 살면서 철저한 감시를 받으며 살았다.[1] 1011년 요 성종은 온갖 악형과 회유로 신하가 될 것을 회유하였으나 이를 완강히 거절하였다.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모욕스러운 말로 응대하며 거란왕을 크게 격분시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고려 조정에서는 하공진의 공을 잊지 않고 그가 사망 후 무려 300년 동안 그 후손들이 공신 대우를 받아 관직에 진출하게 되었다. 진주 하씨 시랑공파의 시조이다.

2. 1. 초기 생애와 강조의 정변

994년(성종 13년) 압강도 구당사(鴨江渡勾當使)가 되었다.[3] 1009년(목종 12년) 정5품 중랑장(中郞將)으로 강조의 정변에 가담하였다.[4] 목종이 병들어 자리에 눕자 중랑장 탁사정, 친종장군 유방 등과 함께 목종이 거처하는 궁궐 주변을 호위하는 책임을 맡았다. 얼마 뒤 문관직으로 개반하여 상서좌사낭중이 되었다.[1]

2. 2. 거란의 2차 침입과 외교적 활약

요나라(거란)가 쳐들어오자 고영기와 함께 군사 20여 명을 거느리고 남쪽으로 피난 중이던 현종을 뒤따라가 양주에서 거란군의 철수 교섭을 자청하였다.[7] 그는 현종의 사절로 요 성종을 만나 현종이 직접 요나라에 입조하는 조건과 더불어 스스로 볼모가 되는 조건으로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거란은 강조를 죽임으로써 강조의 죄를 묻는다는 당초의 대의명분도 세웠고, 병참선의 확보도 어려워 끝까지 항전하는 고려에서 퇴각하였다.

하공진은 고영기와 함께 거란에 볼모로 잡혀가 요 성종의 신임을 받게 되었으나, 여러 차례 탈출을 계획하다가 발각되어 연경으로 이송되어 양가의 딸을 아내로 맞아 살면서 철저한 감시를 받으며 살았다.[1] 하지만 요 성종은 하공진의 인품과 교양, 문무를 겸비한 외교관으로서의 능력과 고려에 대한 충성심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자신의 신하로 삼기를 간절히 원하였다.[2]

2. 3. 요나라에서의 삶과 최후

하공진은 평소 저자거리에서 준마(駿馬)를 많이 사 고려로 가는 길에 배치하여 두고 귀국을 꾀하다가 탄로가 나 요 성종의 국문(鞠問)을 받게 되었다. 1011년 요 성종은 온갖 악형과 회유로 신하가 될 것을 회유하였으나 이를 완강히 거절하였다.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모욕스러운 말로 응대하며 거란왕을 크게 격분시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고려 조정에서는 하공진의 공을 잊지 않고 그가 사망 후 무려 300년 동안 그 후손들이 공신 대우를 받아 관직에 진출하게 되었다. 진주 하씨 시랑공파의 시조이다.

3. 사후 추증과 평가

1052년(문종 6년)에 상서공부시랑(尙書工部侍郞)으로 추증되었으며, 아들 하측충은 5품직 이상의 관직을 받았다. 당시 내려진 교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

左司郞中 河拱辰 統和 二十八年 契丹軍 入寇 蹈死 不顧 詣彼 軍營 鼓三寸舌 退大兵 宜畵像于功臣閣.|좌사낭중(左司郞中) 하공진은 통화(統和) 28년(1010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죽음을 무릅쓰고 적의 군영으로 가 세 치의 혀를 휘둘러 대군을 물리쳤으니 공신각에 초상을 모셔야 할 것이다.중국어

진주성 내에 있는 경절사에 배향되어 있다. 경절사 앞에는 하공진 선생의 사적비가 있고, 맞은 편으로 경절사가 있다.

4. 유적과 기념물

하공진은 진주성 내 경절사에 배향되어 있다.[1]

4. 1. 경절사

진주성경절사에 배향되어 있다. 경절사 앞에는 하공진 선생의 사적비가 있고, 맞은 편으로 경절사가 있다.[1]

5. 하공진 놀이

1110년(예종 5년)에 연희된 잡극 또는 잡희이다. 고려 시대의 공신인 하공진(河拱辰)을 소재로 하였다. 《고려사》의 기록에는 “배우가 있어 놀이로써 선대공신을 기렸다”고 전하고 있다.[8]

6. 대중문화 속 하공진

KBS 드라마 《천추태후》(2009년)에서는 이병욱이, 《고려거란전쟁》(2023년)에서는 이도국이 하공진 역을 연기했다.

6. 1. 드라마

참조

[1] 서적 고려사 권94 〈열전〉7, 하공진
[2] 서적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2년(1011년) 12월
[3] 서적 고려사 권3 〈세가〉3, 성종 13년(994년)
[4] 서적 고려사 권3 〈세가〉3, 목종 12년(1009년) 1월 16일(임신)
[5] 서적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원년(1010년) 5월 6일(갑신)
[6] 서적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원년(1010년) 12월 19일(계해)
[7] 서적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원년(1010년) 12월 30일(갑술)
[8] 서적 고려사 권13 〈세가〉13, 예종 5년(1110년) 9월 9일(갑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