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성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성란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풀’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의 고독한 내면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 작품 활동을 한다. 동인문학상, 한국일보 문학상, 이수문학상, 오영수문학상, 현대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동문 - 황선미
    황선미는 1995년 등단하여 《나쁜 어린이표》, 《마당을 나온 암탉》 등 아동문학 작품을 발표하고,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아동문학 작가이다.
  •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동문 - 정이현
    정이현은 2002년 등단하여 도시 여성의 삶과 욕망을 날카롭고 유쾌하게 묘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 온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주요 작품으로는 《타인의 고독》, 《삼풍백화점》, 《달콤한 나의 도시》 등이 있으며 소비 자본주의 사회의 단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 오영수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오영수문학상 수상자 - 공지영
    1988년 등단한 소설가 공지영은 민주화 운동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를 조명하는 페미니스트 작가로서,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통해 사회적 논의를 활발하게 이끌어왔으나, 작품과 사회 활동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하성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河成蘭
로마자 표기Ha Seongran
출생일1967년 6월 28일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학력
학력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전문학사 (졸업)
활동 정보
활동 기간1996년 ~
데뷔 작품풀 (草)
장르소설
주요 작품
수상

2. 생애

서울 출생으로,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3] 1996년 단편 소설 「풀」로 등단했으며,[3] 이후 동인문학상, 현대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5] 2007년 아들을 낳았고, 현재 서울 마포구에 거주 중이다.[3]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하성란은 서울에서 태어났다. 3남매 중 장녀였으며,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종종 아들의 역할을 맡기도 했다.[3]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 글을 썼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단편 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교내에서 상을 받았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목재 수입 회사에서 근무했으며, 1990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 입학했다. 졸업 후에는 문학과지성사에서 근무했다.[3]

2. 2. 등단 이전

하성란은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3남매 중 장녀로, 이러한 환경은 그녀가 종종 아들의 역할을 맡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3] 하성란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 글을 썼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고등학교에 들어가 단편 소설을 쓰기 시작해 학교에서 상을 받았다. 고등학교 졸업 후 목재 수입 회사에서 일했으며, 1990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 입학했다. 졸업 후에는 문학과지성사에서 근무했다.[3]

2. 3. 등단 이후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풀」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3] 이후 단편 소설 "곰팡이꽃"으로 동인문학상을, "알파의 시간"으로 현대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이외에도 이수문학상, 한국일보 문학상 등을 받았다.[5]

하성란의 소설은 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의 무기력함과 현대인의 초상을 그린다. 이들은 타인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고 고독한 내면을 지닌 인물들로 묘사된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들의 내면에 밀착하여 매우 섬세하게 묘사하는 정밀 묘사 기법을 특징으로 한다. 작가의 묘사는 주변의 평범한 인물들과 그들의 일상에 대한 철저한 관찰에 기반하기 때문에 장황하지 않고, 짧은 문장 형식을 통해 경쾌한 느낌을 준다.

최근 작품에서는 인물의 범위를 넘어 사회 문제와 사건에도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소설집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에 수록된 11편의 소설은 실제로 신문 사회면에 보도될 만한 사건들을 소재로 삼았다. 그러나 작가는 잔혹한 사건을 다루면서도 감정을 과도하게 드러내지 않고,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슬픔과 고통을 담담하게 묘사한다. 하성란에게 묘사는 본질과 진실에 도달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정확한 방법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독자는 세상을 보는 하나의 통찰을 얻게 된다.

2007년 아들을 낳았으며, 현재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고 있다.[3]

3. 작품 세계

하성란의 작품 세계는 일상과 사회의 이면을 파고드는 섬세하고 정밀한 묘사로 특징지어진다.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풀한국어로 등단한 이후, 그는 평론가들로부터 "미시적 묘사"의 대가라는 평가를 받으며 자신만의 문학 세계를 구축해왔다.[6]

초기 작품에서는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소외되고 고독한 현대인들의 내면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경향을 보였다. 작가는 인물의 감정이나 상황을 직접 설명하기보다 주변의 사물, 풍경, 미묘한 표정 변화 등을 통해 인물의 상태와 심리를 생생하게 드러내는 방식을 선호한다. 이는 평범한 일상 속에 숨겨진 균열과 불안을 포착하는 예리한 시선을 보여준다.[6]

최근으로 오면서 하성란의 관심은 개인의 내면을 넘어 사회 문제와 사건으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인다. 신문 사회면에서 볼 법한 충격적인 사건들을 소재로 삼으면서도, 선정주의에 빠지지 않고 사건 이면에 감춰진 인간적 고통과 존재의 허무함을 담담하게 그려낸다.[6] 그의 작품 속 묘사는 단순히 현실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삶의 본질과 진실에 대해 성찰하게 만드는 통로 역할을 한다.

3. 1. 초기 작품 경향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풀한국어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한국문학번역원 등은 하성란의 초기 작품들에 대해 평론가들이 "미시적 묘사"라고 부르는 특징이 두드러진다고 평가한다.[6] 그의 초기작들은 감상에 치우치지 않고 평범한 사람들과 사건들을 세밀하고 미묘하게 묘사하는 능력을 잘 보여준다. 단순한 묘사를 넘어, 작가의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겉보기에는 평범하고 사소해 보이는 사건들에 대한 주의 깊은 고찰이 담겨 있다. 인물의 외모나 성격 특징을 직접 설명하기보다는 기억, 표정, 풍경, 주변 사물 등을 엮어 인물을 생생하게 구현하는 복잡한 그림을 그려낸다.[6]

초기 단편 「곰팡이 꽃」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예시다. 이 작품은 쓰레기 속에서 진실을 찾으려는 남자를 다룬다. 그는 각 쓰레기 봉투가 그것을 버린 가구의 특징을 드러낸다고 믿지만, 수백 개의 쓰레기 봉투를 뒤지면서도 다른 인간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데에는 실패한다. 이를 통해 타인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고 고독한 현대인의 내면을 드러낸다.[6]

하성란의 초기 소설들은 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의 무기력함과 현대인의 초상을 그린다. 이 인물들은 타인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고독한 내면을 지닌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들에게 밀착하여 그 내면을 매우 섬세하게 묘사하는데, 이러한 정밀 묘사 방식은 하성란 특유의 기법으로 자리 잡았다. 그의 묘사는 주변의 평범한 인물들과 그들의 일상에 대한 철저한 관찰에 기반하기 때문에 장황하지 않으며, 짧은 문장 형식을 통해 경쾌한 느낌을 준다. 하성란에게 묘사란 본질과 진실에 도달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정확한 방법으로 평가되며, 그의 작품은 독자에게 세상을 보는 하나의 통찰을 제공한다.

3. 2. 후기 작품 경향

최근 작품 경향에서는 사회 문제와 사건에 대한 깊은 관심이 두드러진다. 단편 소설 모음집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는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시로, 신문 사회면에 나올 법한 비극적이면서도 익숙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페로의 동화를 모티브로 한 표제작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에서는 뉴질랜드에 사는 한국인과 결혼한 여성이 남편의 동성애를 알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며, 「파리」에서는 작은 마을 경찰관이 점차 광기에 빠져드는 과정을 묘사한다.[6]

하성란은 작품 속에서 살인, 화재, 강도와 같이 충격적이고 때로는 잔혹할 수 있는 사건들을 다루면서도, 이를 선정주의적으로 소비하지 않는다. 대신 감정을 과도하게 드러내지 않고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슬픔과 고통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작가는 인생을 파괴하는 이러한 순간들을 통해 오히려 행복의 취약함과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허무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하성란에게 섬세한 묘사는 본질과 진실에 다가가는 느리지만 정확한 방법이며, 이를 통해 독자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통찰을 얻게 된다.[6]

3. 3. 작품의 특징

한국문학번역원은 하성란의 작품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6]

하성란(1967~)은 평론가들이 "미시적 묘사"라고 칭하는 정밀한 묘사로 잘 알려져 있다.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풀」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과장된 표현이나 감상에 치우치지 않고 평범한 사람들과 사건들을 세밀하고 미묘하게 그려내는 능력을 잘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묘사 기술을 넘어, 작가가 다루는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겉보기에는 평범하고 사소해 보이는 사건들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을 바탕으로 한다. 그는 종종 인물의 외모나 성격 특징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대신, 기억, 표정, 풍경, 주변 사물들을 엮어 인물을 생생하게 만들어내는 복잡한 그림을 그려낸다.[6] 이러한 정밀 묘사 방식은 하성란 특유의 기법으로, 주변의 평범한 인물들과 그들의 일상에 대한 철저한 관찰에 기반하기 때문에 결코 장황하지 않으며, 짧은 문장 형식을 취하여 경쾌한 느낌을 준다.

하성란의 소설에는 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의 무기력함과 현대인의 초상이 묘사되어 있다. 이 인물들은 타인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고 고독한 내면을 지니고 있으며, 작가는 이러한 인물들에게 밀착하여 그 내면을 매우 섬세하게 묘사한다. 초기작 「곰팡이 꽃」은 쓰레기 속에서 진실을 찾으려는 남자를 다룬다. 그 남자는 각 쓰레기 봉투가 그것을 배출한 가구의 특징을 나타낸다고 믿지만, 수백 개의 쓰레기 봉투를 검사한 후에도 다른 인간과의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데 실패한다.[6]

최근 몇 년 동안 하성란은 인물의 범위를 넘어 사회 문제와 사건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소설집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는 지방 신문의 사회면에 쉽게 등장할 수 있는 비극적이면서도 익숙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한 단편 소설 모음집으로, 실제로 신문에 보도될 만한 사건을 소재로 한 11편의 소설이 수록되어 있다.[6] 페로의 동화 「푸른 수염」을 모델로 한 표제작에서, 뉴질랜드에 사는 한국인과 결혼한 여자는 남편의 동성애에 대해 알게 된다. 「파리」는 작은 마을 경찰관이 광기에 빠지는 과정을 묘사한다.[6] 하성란의 소설에서 살인, 화재, 강도와 같은 사건들은 선정주의 없이 다루어진다. 그는 인생을 파괴하는 그러한 순간들을 사용하여 행복의 취약함과 존재의 핵심에 놓인 허무함을 강조하며,[6] 잔혹한 사건을 언급하면서도 감정을 과도하게 드러내지 않고,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슬픔과 고통을 담담하게 묘사한다.

하성란에게 묘사란 본질과 진실에 도달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의 작품을 통해 독자는 세상을 보는 하나의 통찰을 얻게 된다.

4.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상 이름수상작
1999년제30회 동인문학상"곰팡이꽃"
2000년제33회 한국일보문학상"즐거운 나의 집"
2004년제11회 이수문학상
2008년제16회 오영수문학상
2009년제54회 현대문학상
2013년제13회 황순원문학상


5. 작품 목록

하성란 작가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10][11]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996년: 《풀》[10][11]
  • 1997년: 《루빈의 술잔》
  • 1998년: 《식사의 즐거움》
  • 1999년: 《곰팡이 꽃》 (제3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품집)
  • 1999년: 《옆집 여자》
  • 2000년: 《삿뽀로 여인숙》
  • 2001년: 《눈물의 이중주》
  • 2001년: 《내 영화의 주인공》
  • 2002년: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 2004년: 《강의 백일몽》 (제11회 이수문학상 수상작품집)
  • 2006년: 《소망 그 아름다운 힘》 (사진/에세이, 최민식과 공동 집필)
  • 2006년: 《웨하스》
  • 2006년: 《사씨남정기》
  • 2008년: 《사랑을 믿다》 (제32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2008년: 《알파의 시간》 (제54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 2009년: 《서울 어느날 소설이 되다》 (공동 저서)
  • 2010년: 《러빙유》 (공동 저서)
  • 2010년: 《자전 소설 2(오 아버지)》 (공동 저서)
  • 2010년: 《왈왈》 (공동 저서)
  • 2010년: 《A》
  • 2011년: 《봄날은 간다(신화 속으로 떠난 이윤기를 그리며)》 (공동 저서)
  • 2011년: 《소설가로 산다는 것(우리 시대 작가 17인이 말하는 나의 삶 나의 글)》 (공동 저서)
  • 2012년: 《책의 유혹》 (공동 저서)
  • 2012년: 《어떤 외출(낯선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동 저서)
  • 2012년: 《헬로 미스터 디킨스(한국 작가 9인의 찰스 디킨스 테마 소설집)》 (공동 저서)
  • 2013년: 《여름의 맛》
  • 2013년: 《아직 설레는 일은 많다》 (에세이)

5. 1. 소설집


  • 《루빈의 술잔》 (문학동네, 1997)[11]
  • 《옆집 여자》 (창작과비평사, 1999). 번역가 재닛 홍(Janet Hong)이 번역하여 곰팡이꽃(Flowers of Mold)이라는 제목으로 2019년 Open Letter에서 출간되었다.
  •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창작과비평사, 2002). 재닛 홍(Janet Hong)이 번역하여 [https://www.openletterbooks.org/products/bluebeards-first-wife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Bluebeard's First Wife)라는 제목으로 2020년 Open Letter에서 출간되었다.
  • 《웨하스》 (문학동네, 2006). 재닛 홍(Janet Hong)이 번역하여 웨이퍼스(Wafers)라는 제목으로 2024년 Open Letter에서 출간되었다.
  • 《여름의 맛》 (문학과지성사, 2013)

5. 2. 기타 저서


  • 《곰팡이 꽃》(조선일보사, 1999): 제3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품집 1999
  • 《눈물의 이중주》(하늘연못, 2001)
  • 《강의 백일몽》(삶과꿈, 2004): 2004년 제11회 이수문학상 수상작품집
  • 《소망 그 아름다운 힘》 (샘터, 2006) - 최민식과 공동 집필 (사진/에세이)
  • 《사랑을 믿다》(문학사상사, 2008): 2008년 제32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알파의 시간》(현대문학, 2008): 제54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 《서울 어느날 소설이 되다》(강, 2009) - 공동 저서
  • 《러빙유》(좋은생각, 2010) - 공동 저서
  • 《자전 소설 2(오 아버지)》(강, 2010) - 공동 저서
  • 《왈왈》(아우라, 2010) - 공동 저서
  • 《봄날은 간다(신화 속으로 떠난 이윤기를 그리며)》(섬앤섬, 2011) - 공동 저서
  • 《소설가로 산다는 것(우리 시대 작가 17인이 말하는 나의 삶 나의 글)》(문학사상, 2011) - 공동 저서
  • 《책의 유혹》(하늘연못, 2012) - 공동 저서
  • 《어떤 외출(낯선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이상, 2012) - 공동 저서
  • 《헬로 미스터 디킨스(한국 작가 9인의 찰스 디킨스 테마 소설집)》(이음, 2012) - 공동 저서
  • 《아직 설레는 일은 많다》 (2013) - 에세이


'''잡지/저널/선집에 수록된 번역 단편'''

  • "왁스 날개". ''왁스 날개: 한국 단편 소설 앤솔로지'' (1999).
  • "오후를 가로지르다". ''바이 링구얼 에디션 현대 한국 문학, Vol. 32'' (2013).
  • "별 모양의 얼룩". ''말라하트 리뷰,'' 188호 (2014).
  • "기쁘다 구주 오셨네". ''라이스페이퍼'' 20.4 (2016).
  • "새끼손가락". ''더 뉴 쿼털리'', 143호 (2017).
  • "올콩". ''코리안 리터러처 나우'', Vol. 37 (2017).
  •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아심토트'' (2018).

5. 3. 번역 작품

하성란의 작품은 영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해외 독자들에게 소개되고 있다. 자세한 번역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3. 1. 영어 번역


  • '''단편집'''
  • * ''곰팡이꽃''(''Flowers of Mold'', Open Letter, 2019): 단편집 ''옆집 여자''(1999)를 재닛 홍(Janet Hong)이 번역한 책이다. 수록된 단편 소설은 다음과 같다 (수록 순서는 원작과 약간 다름):
  • * 옆집 여자 (''The woman next door'')
  • * 깃발 (''Flag'')
  • * 악몽 (''Nightmare'')
  • * 즐거운 소풍 (''The retreat'')
  • * 촛농 날개 (''Waxen wings'')
  • * 당신의 백미러 (''Your rearview mirror'')
  • * 곰팡이꽃 (''Flowers of mold'')
  • * 치약 (''Toothpaste'')
  • * 올콩 (''Early beans'')
  • * 양파 (''Onion'')
  • *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Bluebeard's First Wife'', Open Letter, 2020): 단편집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2002)를 재닛 홍(Janet Hong)이 번역한 책이다. 수록된 단편 소설은 다음과 같다:
  • * 별 모양의 얼룩 (''The star-shaped stain'')
  • * 푸른수염의 첫번째 아내 (''Bluebeard's first wife'')
  • * 파리 (''Flies'')
  • * 밤의 밀렵 (''Night Poaching'')
  • * 오, 아버지 (''O Father'')
  • * 기쁘다 구주 오셨네 (''Joy to the world'')
  • * 와이셔츠 (''The dress shirt'')
  • * 저 푸른 초원 위에 (''On that green, green grass'')
  • * 고요한 밤 (''A quiet night'')
  • * 새끼손가락 (''Pinky'')
  • * 개망초 (''Daisy Fleabane'')
  • * ''웨이퍼스''(''Wafers'', Open Letter, 2024): 단편집 ''웨하스''(2006)를 재닛 홍(Janet Hong)이 번역한 책이다.

  • '''잡지/저널/선집에 수록된 번역 단편'''
  • * "왁스 날개"("Waxen Wings"): ''왁스 날개: 한국 단편 소설 앤솔로지''(''Waxwing Wings: The Acta Koreana Anthology of Short Fiction'', 1999) 수록.
  • * "오후를 가로지르다"("Crossing the Afternoon"): ''바이 링구얼 에디션 현대 한국 문학''(''Bi-lingual Edition Modern Korean Literature''), Vol. 32 (2013) 수록.
  • * "별 모양의 얼룩"("The Star-Shaped Stain"): ''말라하트 리뷰''(''The Malahat Review''), 188호 (2014) 수록.
  • * "기쁘다 구주 오셨네"("Joy to the World"): ''라이스페이퍼''(''Ricepaper'') 20.4 (2016) 수록.
  • * "Pinky": ''더 뉴 쿼털리''(''The New Quarterly''), 143호 (2017) 수록. (원작: "새끼손가락")
  • * "올콩"("Early Beans"): ''코리안 리터러처 나우''(''Korean Literature Now''), Vol. 37 (2017) 수록.
  • *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Bluebeard's First Wife"): ''아심토트''(''Asymptote'') (2018) 수록.

5. 3. 2. 일본어 번역


  • 『그 여름의 수사법』 마키세 아키코 역, 퀀, 한국 문학 숏숏, 2018년 10월

참조

[1] 웹사이트 Ha Seong-nan https://library.ltik[...]
[2] 웹사이트 "Ha Seong-nan"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3] 서적 Traversing Afternoon Asia Publishers
[4] 간행물 Blooms of Mold https://muse.jhu.edu[...] 2007-10-22
[5] 웹인용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2013-12-05
[6] 웹사이트 "Ha Seong-nan"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7] 웹사이트 Review of the Groundbreaking new Short Fiction Collection: "Waxen Wings: The Acta Korean Anthology of Short Fiction from Korea" https://www.ktlit.co[...] 2020-10-22
[8] 정보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9] 정보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하성란 http://www.klti.or.k[...]
[10] 정보 NAVER(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11] 정보 NAVER(韓国女性文人辞典) http://term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