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인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인문학상은 소설가 김동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5년 사상계사에 의해 제정된 문학상이다. 1967년 사상계 폐간으로 중단되었다가, 동서문화사를 거쳐 1987년부터 조선일보사가 주관하고 있다. 매년 주요 잡지에 발표된 단편 또는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심사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기념품을 수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동인 - 발가락이 닮았다
    김승옥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는 성병으로 생식 능력을 잃은 M과 그의 아내 사이의 비극을 통해 인간의 고독과 슬픔을 그린 작품이다.
  • 김동인 - 붉은 산
    붉은 산은 만주를 배경으로 만주인 지주에게 죽임당한 김 첨지의 복수를 위해 나선 삵, 정익호의 죽음을 통해 민족의식을 드러내는 소설이다.
  • 장준하 -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은 4·19 혁명 이후 수립된 의원내각제 정부이며, 6·15 개헌을 통해 내각제로 전환되었으나, 민주당 내분, 사회 혼란 등으로 인해 5·16 군사정변으로 붕괴되었다.
  • 장준하 - 김영선 (1918년)
    김영선은 일제 강점기 관료로 시작해 해방 후 재무부 장관, 국토통일원 장관, 주일 대사를 역임하고 보령군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정치인, 기업인이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제정한 문학상으로,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상금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번역을 권장한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한국 문학가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등단 작가, 신인 작가, 학술 연구자, 청소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동인문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동인문학상
한글 표기동인문학상
한자 표기東仁文學賞
가타카나 표기トンインムンハクサン
히라가나 표기とうじんぶんがくしょう
시상 정보
주최사상계조선일보사
시작일1955년
첫 시상 년도1956년

2. 역사

김동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5년, 사상계사에 의해 제정되었다. 심사 대상은 대한민국의 주요 잡지에 발표된 단·중편소설이며, 그중 1편이 선정되었다. 1967년, 『사상계』가 경영난으로 중단됨에 따라 12년간의 공백이 생겼다.

2. 1. 제정 및 초기 (1955년 ~ 1967년)

김동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5년, 사상계사에 의해 제정되었다. 심사 대상은 대한민국의 주요 잡지에 발표된 단·중편소설이며, 그중 1편이 선정되었다. 1967년, 『사상계』가 경영난으로 중단됨에 따라 12년간의 공백이 생겼다.

2. 2. 중단과 부활 (1968년 ~ 1986년)

2. 3. 조선일보사 주관 (1987년 ~ 현재)

1955년 사상계사에 의해 제정되었던 김동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동인문학상은 1967년 사상계가 경영난으로 중단되며 12년간의 공백을 맞았다. 1979년 동서문화사가 동인문학상 운영위원회를 설치하여 동상을 부활시켰으나, 1986년 다시 난관에 부딪혔다. 1987년부터 조선일보사가 동인문학상의 운영을 맡게 되었다.

조선일보사는 매년 10월에 심사를 진행하며, 당선자에게는 5천만 원과 기념품을 수여한다. 심사 대상은 대한민국의 주요 잡지에 발표된 단·중편소설이며, 그중 1편이 선정된다.

3. 역대 수상 작품

wikitext

수상년도작가작품주최
제1회1956년김성한《바비도》사상계
제2회1957년선우휘《불꽃》
제3회1958년오상원《모반》
제4회1959년손창섭《잉여인간》
제5회1960년서기원《이 성숙한 밤의 포옹》 (당선 후보작)
이범선《오발탄》 (당선 후보작)
제6회1961년남정현《너는 뭐냐》
제7회1962년이호철《닳아지는 살들》
전광용《꺼삐딴 리》
제8회1963년-당선작 없음
제9회1964년송병수《잔해》
제10회1965년김승옥서울 1964년 겨울
제11회1966년최인훈《웃음소리》
제12회1967년이청준병신과 머저리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중단되었다가, 1979년 동서문화사 주최로 재개되어 1985년까지 이어졌다.
제13회1979년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동서문화사》
제14회1980년전상국《우리들의 날개》
제15회1982년이문열《금시조》
오정희《동경》
제16회1984년김원일《환멸을 찾아서》
제17회1985년정소성《아테네 가는 배》
1986년에 중단되었던 동인문학상이 1987년 조선일보사 주최로 다시 시작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조선일보사 주최로 매년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제18회1987년유재용《어제 울린 총소리》조선일보사
제19회1988년박영한《지옥에서 보낸 한철》
제20회1989년김문수《만취당기》
제21회1990년김향숙《안개의 덫》
제22회1991년김원우《방황하는 내국인》
제23회1992년최윤《회색 눈사람》
제24회1993년송기원《아름다운 얼굴》
제25회1994년박완서《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제26회1995년정찬《슬픔의 노래》
제27회1996년이순원《수색,어머니 가슴속으로 흐르는 무늬》
제28회1997년신경숙《그는 언제 오는가》
제29회1998년이윤기《숨은 그림 찾기1》
제30회1999년하성란《곰팡이꽃》
제31회2000년이문구《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
제32회2001년김훈《칼의 노래》
제33회2002년성석제《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제34회2003년김연수《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제35회2004년김영하《검은 꽃》
제36회2005년권지예《꽃게 무덤》
제37회2006년이혜경《틈새》
제38회2007년은희경《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제39회2008년조경란《풍선을 샀어》
제40회2009년김경욱《위험한 독서》
제41회2010년김인숙《안녕, 엘레나》
제42회2011년편혜영《저녁의 구애》
제43회2012년정영문《어떤 작위의 세계》
제44회2013년이승우《지상의 노래》
제45회2014년구효서《별명의 달인》
제46회2015년김중혁《가짜 팔로 하는 포옹》
제47회2016년권여선[3]《안녕 주정뱅이》
제48회2017년김애란[4]《바깥은 여름》
제49회2018년이기호《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제50회2019년최수철《독의 꽃》
제51회2020년김숨《떠도는 땅》
제52회2021년윤성희《날마다 만우절》
제53회2022년조해진《완벽한 생애》
제54회2023년정영선《아무것도 아닌 빚》
제55회2024년김기태《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3. 1. 1956년 ~ 1967년 (사상계 주최)

수상년도작가작품주최
제1회1956년김성한《바비도》사상계
제2회1957년선우휘《불꽃》
제3회1958년오상원《모반》
제4회1959년손창섭《잉여인간》
제5회1960년서기원《이 성숙한 밤의 포옹》 (당선 후보작)
이범선《오발탄》 (당선 후보작)
제6회1961년남정현《너는 뭐냐》
제7회1962년이호철《닳아지는 살들》
전광용《꺼삐딴 리》
제8회1963년당선작 없음
제9회1964년송병수《잔해》
제10회1965년김승옥서울 1964년 겨울
제11회1966년최인훈《웃음소리》
제12회1967년이청준병신과 머저리


3. 2. 1979년 ~ 1985년 (동서문화사 주최)

wikitext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중단되었다가, 1979년 동서문화사 주최로 재개되어 1985년까지 이어졌다.

수상 연도작가작품주최
제13회1979년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동서문화사
제14회1980년전상국우리들의 날개
제15회1982년이문열금시조
오정희동경
제16회1984년김원일환멸을 찾아서
제17회1985년정소성아테네 가는 배


3. 3. 1987년 ~ 현재 (조선일보사 주최)

1986년에 중단되었던 동인문학상이 1987년 조선일보사 주최로 다시 시작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조선일보사 주최로 매년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수상년도작가작품
제18회1987년유재용《어제 울린 총소리》
제19회1988년박영한《지옥에서 보낸 한철》
제20회1989년김문수《만취당기》
제21회1990년김향숙《안개의 덫》
제22회1991년김원우《방황하는 내국인》
제23회1992년최윤《회색 눈사람》
제24회1993년송기원《아름다운 얼굴》
제25회1994년박완서《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제26회1995년정찬《슬픔의 노래》
제27회1996년이순원《수색,어머니 가슴속으로 흐르는 무늬》
제28회1997년신경숙《그는 언제 오는가》
제29회1998년이윤기《숨은 그림 찾기1》
제30회1999년하성란《곰팡이꽃》
제31회2000년이문구《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
제32회2001년김훈《칼의 노래》
제33회2002년성석제《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제34회2003년김연수《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제35회2004년김영하《검은 꽃》
제36회2005년권지예《꽃게 무덤》
제37회2006년이혜경《틈새》
제38회2007년은희경《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제39회2008년조경란《풍선을 샀어》
제40회2009년김경욱《위험한 독서》
제41회2010년김인숙《안녕, 엘레나》
제42회2011년편혜영《저녁의 구애》
제43회2012년정영문《어떤 작위의 세계》
제44회2013년이승우《지상의 노래》
제45회2014년구효서《별명의 달인》
제46회2015년김중혁《가짜 팔로 하는 포옹》
제47회2016년권여선[3]《안녕 주정뱅이》
제48회2017년김애란[4]《바깥은 여름》
제49회2018년이기호《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제50회2019년최수철《독의 꽃》
제51회2020년김숨《떠도는 땅》
제52회2021년윤성희《날마다 만우절》
제53회2022년조해진《완벽한 생애》
제54회2023년정영선《아무것도 아닌 빚》
제55회2024년김기태《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4. 심사

4. 1. 심사 대상 및 기준

4. 2. 심사 절차

5. 의의와 평가

5. 1.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

5. 2. 문학상 권위와 논란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any Voices, one Heart https://web.archive.[...] The Chosun Ilbo
[2] 서적 Press Freedom in Contemporary Asia Routledge 2020
[3] 뉴스 "酒類문학… 슬픈 '술꾼'들이 삶의 빛 찾길 바랐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8-11-23
[4] 뉴스 소설가 김애란 동인문학상 수상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8-08-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