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에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에발트는 19세기 독일의 동양 언어학자이자 구약성서 주석가였다. 괴팅겐에서 린넨 직조공의 아들로 태어나 괴팅겐 대학교에서 동양 언어를 공부했으며, 볼펜뷔텔 김나지움 교사, 괴팅겐 대학교 신학 튜터, 철학 부교수를 거쳐 정교수로 승진했다. 1837년 하노버 국왕의 헌법 폐지에 항의하여 제적되었고,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저술 활동을 했다. 이후 괴팅겐으로 복귀하여 하노버 교회 개혁 운동에 참여했으나, 프로이센에 대한 충성 맹세 거부로 연금과 함께 은퇴했다. 그는 히브리어 문법 연구를 통해 성경 어원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 《히브리어 문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팅겐 출신 - 로베르트 분젠
로베르트 분젠은 독일의 화학자이자 발명가로, 기체 분석을 개척하고 구스타프 키르히호프와 분광학을 창시하여 세슘과 루비듐을 발견했으며, 분젠 버너 개발, 분젠 전지 발명, 분젠-로스코 상호성 법칙 발견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괴팅겐 출신 - 블라디미르 로스키
러시아 출신 정교회 신학자 블라디미르 로스키는 동방 교회의 신비 신학을 연구하고 무형성 신학, 테오시스, 성령의 경륜 등 정교회 신학의 핵심 개념들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데 기여했으며, 대표작 《동방 기독교의 신비 사상》은 최초의 교부 교의 신학 체계로 평가받는다. - 독일의 동양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독일의 동양학자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는 언어를 유기체처럼 보고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로 분류하여 언어 진화의 계통수 모형을 제시하고 인도유럽어 연구와 비교 언어학 방법론 발전에 기여한 19세기 독일의 언어학자이다. -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는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 역사가, 교육학자로, 역사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정신과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이론을 구축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삶의 철학'으로 불리는 사상을 남겼다.
| 하인리히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에발트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하인리히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에발트 |
| 출생 | 1803년 11월 28일, 괴팅겐 |
| 사망 | 1875년 5월 4일, 괴팅겐 |
| 국적 | 독일 |
| 직업 | 신학자, 동양학자 |
| 학문 분야 | |
| 분야 | 구약성서 연구, 셈어 연구 |
| 영향 받은 인물 | 요한 고트프리트 아이히호른 |
| 저서 | |
| 주요 저서 | Ausführliches Lehrbuch der hebräischen Sprache (1827) (상세한 히브리어 교본) Die poetischen Bücher des alten Bundes (1836-39) (구약의 시적 책) Geschichte des Volkes Israel (1843-59) (이스라엘 민족사) Die Altertümer des Volkes Israel (1848) (이스라엘 민족의 고대 유물) |
2. 생애
하인리히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에발트는 1837년 11월 18일, 괴팅겐 7인 사건에 참여하여 동료 6명과 함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국왕이 윌리엄 4세가 하노버 왕가에 부여한 자유주의 헌법을 폐지한 것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했다.[4] 이로 인해 에발트를 포함한 7명의 교수는 대학교에서 제적되었다(12월 14일).[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하인리히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에발트는 린넨 직조공의 아들로 괴팅겐에서 태어났다.[4] 1815년 김나지움에 입학했고, 1820년에는 괴팅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J.G. 아이히호른과 T. C. 티히센에게서 동양 언어를 배웠다.[4] 1823년 학업을 마친 후 볼펜뷔텔 김나지움의 교사로 임명되어 볼펜뷔텔 도서관의 동양 필사본을 연구했다.[4]1824년 봄, 괴팅겐 대학교로 돌아가 신학 튜터(Repetent|레페텐트de)가 되었고, 1827년에는 철학 부교수이자 구약성서 주석 강사가 되었다.[4] 1830년에는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딸인 Minna Ewald|미나 에발트de(1808–1840)와 결혼했다.[3] 미나 에발트는 아버지의 재능을 가장 많이 물려받았다고 알려졌으나, 1840년에 사망했다.[3]
1831년 에발트는 철학 정교수로 승진했고, 1833년에는 왕립 과학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4] 1835년 티히센이 사망한 후에는 신학부에 들어가 동양 언어학 교수가 되었다.[4]
2. 2. 튀빙겐 대학교 교수 시절
1838년 초, 에발트는 튀빙겐 대학교의 초빙을 받았다. 그는 그곳에서 10년 이상 정교수로 재직하며, 처음에는 철학을, 1841년부터는 신학을 가르쳤다.[4] 이 시기에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들이 출판되었으며, F.C. 바우어 및 튀빙겐 학파와의 격렬한 논쟁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4]2. 3. 괴팅겐 대학교 복귀와 말년
1847년, "독일의 대 파멸의 해"라고 불렸던 해에, 자유주의 헌법이 복원되면서 에발트는 명예로운 조건으로 괴팅겐으로 다시 초청받았고, 이 초청을 수락했다.[4] 1845년, 에발트는 아우구스테 슐라이어마허(1822–1897)와 재혼했으며, 이 부부는 1850년에 캐롤라인 테레제 빌헬미네라는 딸을 낳았다.[3]1862-1863년 에발트는 하노버 교회 내의 개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킨 시노드의 일원이었다. 그는 1863년 9월 프로테스탄트 협회의 창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의 생애에서 가장 큰 위기는 1866년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에서 비롯되었다. 하노버 국왕 게오르크 5세에 대한 그의 충성심은 그가 승리한 프로이센의 빌헬름 1세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따라서 그는 연금과 함께 은퇴했다.[4]
프로이센 당국은 에발트의 언어가 덜 적대적이었다면 이 정도의 가혹함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특히 그의 ''왕과 국민의 찬양''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시기에 그의 인쇄물에 나타난 격렬한 어조는 그가 ''venia legendi'' (1868)를 박탈당하게 했고 형사 재판까지 받게 했지만, 무죄 판결을 받았다(1869년 5월). 그 후, 두 번의 선거에서 그는 하노버 시에서 북독일 및 독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74년 6월, 그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오스트리아와의 부당한 전쟁과 종교 및 도덕의 파멸"을 통해 프리드리히 대왕에, "강도와 약탈에 가장 적절한 시기를 고르는 방식"을 통해 나폴레옹 3세에 비유하여 명예 훼손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범죄로 인해 그는 3주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72세에 괴팅겐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4]
3. 학문적 업적과 영향
에발트는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는 뛰어난 교사였으며,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페르디난트 히치히, 에베르하르트 슈라더, 테오도르 뢸데케,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딜만 등 많은 제자를 양성했다.[4] 그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학자들도 실제로는 그가 제시한 아이디어의 일부를 발전시킨 경우가 많았다.[4]
에발트의 ''히브리어 문법''은 성경 어원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으며, 히치히는 그를 "히브리어 연구의 두 번째 창시자"라고 칭했다.[4] 그는 주석가, 성경 비평가, 문법학자로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30년간 연구한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는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는다.[4]
에발트는 인류의 신성한 교육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역사를 탈출기에서 시작하여 예수의 출현으로 절정에 이르는 참된 종교 획득 과정으로 보았다.[4] 이 과정은 모세, 다윗, 에스라 시기로 구분되며, 각 시기에 선택된 백성은 히브리인, 이스라엘인, 유대인으로 불렸다. 에발트는 탈출기 이전은 원시 역사의 예비 장으로, 사도 시대 이후는 부록으로 간주하고, 이용 가능한 문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연대기적 배열을 통해 역사를 구성했다.[4]
3. 1. 주요 저서
에발트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4]- ''Die Composition der Genesis kritisch untersucht'' (1823), 문서 가설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님의 두 이름을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그 자신도 영구적으로 확신하지는 못했다.
- ''De metris carminum Arabicorum'' (1825)
- ''Des Hohelied Salomons übersetzt und erklärt'' (1826; 3판, 1866)
- ''Über einige ältere Sanskritmetra'' (1827)
- ''Kritische Grammatik der hebräischen Sprache'' (라이프치히 1827), 축약되어 새로운 제목으로 출판: ''Grammatik der hebräischen Sprache'' (라이프치히 1828); 축약 버전의 2판 (라이프치히 1835) 존 니콜슨의 1835년판 영어 번역: ''A Grammar of the Hebrew Language of the Old Testament'' (런던 1836)]; 3판 (라이프치히 1838). 이후 판 [5판부터 8판까지]은 ''Ausführliches Lehrbuch der hebräischen Sprache''라는 제목으로 출판, 5판 (라이프치히 1844); 6판 (라이프치히 1855); 7판 (괴팅겐 1863); 8판 (괴팅겐 1870). 1870년판의 세 번째 부분(구문론) 영어 번역, 제임스 케네디의 번역: ''Syntax of the Hebrew Language of the Old Testament'' (에든버러 1879; 1891).
- ''Hebräische Sprachlehre für Anfänger'' (라이프치히 1842); 2판 (라이프치히 1855); 3판 (괴팅겐 1862) [J. 프레데릭 스미스의 1862년판 영어 번역: ''Ewald's Introductory Hebrew Grammar'' (런던: 아셔 1870)]; 4판 (괴팅겐 1874).
- ''Liber Vakedu de Mesopotamiae expugnatae historia'' (1827)
- ''Commentarius in Apocalypsin Johannis'' (1828)
- ''Abhandlungen zur biblischen und orientalischen Literatur'' (1832)
- ''Grammatica critica linguae Arabicae'' (1831–1833)
- ''Die poetischen Bücher des alten Bundes'' (1835–1837, 3판, 1866–1867)
- ''Plan dieser Zeitschrift. In: Zeitschrift für die Kunde des Morgenlandes'' 1 (1837), pp. 3–13.
- ''Verzeichniss der orientalischen Handschriften der Universitätsbibliothek zu Tübingen'' (1839)
- ''Die Propheten des alten Bundes'' (1840-1841, 2판, 1867-1868 [영어 번역: ''Commentary on the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5권, 1875]
- ''Geschichte des Volkes Israel'' (1843-1859, 3판, 1864-1868 [영어 번역: ''The History of Israel'' 8권, 1869-1883]
- ''Die Alterthümer des Volkes Israel'' (1848, 3판, 1866)
- ''Die drei ersten Evangelien übersetzt u. erklärt'' (1850)
- ''Über das äthiopische Buch Henoch'' (1854)
- ''Über die phönikischen Ansichten von der Weltschöpfung und den geschichtlichen Wert Sanchuniathons'' (1857)
- ''Die Sendschreiben des Apostels Paulus übersetzt und erklärt'' (1857)
- ''Sprachwissenschaftliche Abhandlungen'' (3부, 1861–71)
- ''Die Johanneischen Schriften übersetzt und erklärt'' (1861–1862)
- ''Über des vierte Esrabuch'' (1863)
- ''The Life of Jesus Christ'' (1865) (옥타비우스 글로버 번역) (1865)
- ''Sieben Sendschreiben des neuen Bundes'' (1870)
- ''Das Sendschreiben an die Hebräer und Jakobos' Rundschreiben'' (1870)
- ''Die Lehre der Bibel von Gott, oder Theologie des alten und neuen Bundes'' (1871–1875).
- ''Das Buch Ijob'' (1854) [J. 프레데릭 스미스의 1882년판 영어 번역: ''Commentary on the book of Job'']
- ''Commentary on the Psalms'' (2019)
그는 ''Jahrbücher der biblischen Wissenschaft'' (1849–1865)을 편집했으며, 대부분 집필했다. 그는 1837년에 시작된 ''Zeitschrift für die Kunde des Morgenlandes''의 주요 후원자였으며, 다양한 주제에 대해 ''Göttingische gelehrte Anzeigen''에 자주 기고했다. 그는 또한 많은 팸플릿의 저자이기도 했다.[4]
참조
[1]
간행물
Ewald, Georg Heinrich August von
Collier's
[2]
간행물
Ewald, Georg Heinrich August von
NIE
[3]
서적
Gauss: Titan of Science
Hafner Publishing
1955
[4]
간행물
Ewald, Georg Heinrich August von
EB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