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코다테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코다테 해전은 1869년 보신 전쟁의 마지막 전투로, 에조 공화국 해군과 일본 신정부군 간에 벌어졌다. 에조 공화국 해군은 가이텐을 주력으로 반류, 치요다 등 3척의 증기선으로 구성되었으나, 가이요마루, 간린마루 등을 손실하며 전력이 약화되었다. 반면, 신정부군은 철갑함 고테츠를 중심으로 함대를 구성하여 전력을 강화했다. 전투는 신정부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에조 공화국은 해상 전력을 잃고 붕괴되었다. 이로써 메이지 유신이 완결되었고, 훗날 연합함대사령장관이 되는 도고 헤이하치로가 신정부군으로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신 전쟁의 해전 - 아와 해전
    아와 해전은 도바-후시미 전투 후 사쓰마 번 함대와 에노모토 다케아키의 구 막부 해군 간에 벌어진 짧고 작은 해전으로, 도고 헤이하치로의 참전과 쇼오 승무원들의 용맹함에 대한 에노모토 다케아키의 칭찬 일화, 그리고 미나미정 유키 어항의 아와 해전 소공원으로 기념되고 있다.
  • 막부해군의 전투 - 아와 해전
    아와 해전은 도바-후시미 전투 후 사쓰마 번 함대와 에노모토 다케아키의 구 막부 해군 간에 벌어진 짧고 작은 해전으로, 도고 헤이하치로의 참전과 쇼오 승무원들의 용맹함에 대한 에노모토 다케아키의 칭찬 일화, 그리고 미나미정 유키 어항의 아와 해전 소공원으로 기념되고 있다.
  • 1869년 5월 - 1869년 프랑스 총선
    1869년 프랑스 총선은 보나파르트당의 승리로 끝났으나, 선거 결과에 대한 파리 시민들의 반발과 폭동으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어 프랑스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보불전쟁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하코다테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하코다테 해전
하코다테 해전, 윌리엄 헨리 웹스터
전투하코다테 해전
일부보신 전쟁
시기1869년 5월 4일 – 1869년 5월 10일
위치하코다테 앞바다, 동해
결과신정부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일본 제국
교전국 2에조 공화국
지휘관 및 지도자
일본 제국마스다 도라노스케
에조 공화국아라이 이쿠노스케
마쓰오카 반키치
병력 규모
일본 제국증기 군함 8척
에조 공화국증기 군함 5척
피해 규모
일본 제국증기 군함 1척 침몰
에조 공화국증기 군함 2척 침몰
증기 군함 3척 나포
관련 전투
관련 전투 목록도바-후시미 전투
아와 해전
오사카성 함락
고슈-가쓰누마 전투
우쓰노미야성 전투
에도 함락
우에노 전쟁
호쿠에쓰 전쟁
핫초오키 전투
보나리 고개 전투
아이즈 전쟁
노헤지 전투
미야코 만 해전
하코다테 전쟁
하코다테 해전

2. 양측 전력

구 일본 막부 해군신정부군
증기선 3척 (1척 침몰, 2척 나포)증기선 6척 (1척 침몰)
가이텐마루를 중심으로 반류마루, 지요다가타마루로 구성[1]고테쓰를 주력함으로, 가스가마루, 히류마루, 테이보 1호, 陽春丸|요슌마루|lt=요슌일본어, 모슌마루 등으로 구성[2]


2. 1. 에조 공화국 (하코다테 정권)

하코다테 정권(에조 공화국)의 함대는 가이텐마루를 중심으로 반류마루, 지요다가타마루 3척의 군함으로 이루어져 있었다.[1] 원래는 조게이마루를 포함하여 8척의 증기선으로 구성되었으나, 가이요마루와 신소쿠마루는 에사시 앞바다에서 벌어진 교전에서 손실되었고, 간린마루는 악천후로 인해 손상을 입어 제국군에 나포되는 등 주요 함선의 손실로 인해 전력이 약화되었다.[1]

2. 2. 일본 신정부군

일본 신정부군은 철갑함 고테쓰를 주력함으로, 가스가마루, 히류마루, 테이보 1호, 陽春丸|요슌마루|lt=요슌일본어, 모슌마루 등 증기선 6척으로 구성되었다.[2] 초반에는 에조 공화국 해군보다 전력이 약했지만, '고테쓰' 획득과 서구 열강으로부터의 함선 지원으로 전력이 강화되었다. 특히 1868년 4월에 '고테쓰'가 합류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2] 신정부군은 함포 사격으로 육상 요새를 파괴하고 육상 부대의 상륙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하코다테 총공격 때, 반류마루가 신정부군의 초요마루를 격침시켰지만, 이후 신정부군이 제해권을 장악하고 고료카쿠를 함포 사격하여 하코다테 정권은 항복했다.[2]

3. 전투 경과

하코다테 정권은 가이텐마루를 중심으로 반류마루, 지요다가타마루 3척의 군함으로 함대를 구성했다. 신정부군은 고테쓰 함을 기함으로, 초요마루, 가스가마루, 모슌마루, 엔넨마루, 이치테이보마루 6척으로 구성되어, 함포 사격으로 육상 요새를 파괴하고 육상 부대의 상륙을 지원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6월 10일(음력 4월 30일), 지요다가타마루가 신정부군에 나포되어 하코다테 정권의 군함은 가이텐마루와 반류마루만 남게 되었다. 두 함선 모두 많은 포탄을 맞았지만, 6월 16일(음력 5월 7일) 가이텐마루의 기관부가 손상되어 벤텐 다이바 부근에 의도적으로 좌초, 포대로 이용되었다.

6월 20일(음력 5월 11일) 하코다테 총공격 때, 반류마루가 신정부군 초요마루의 탄약고에 포탄을 명중시켜 초요마루를 격침시켰다. 이로 인해 하코다테 정권 군의 사기가 높아졌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반류마루 역시 좌초되었다.

하코다테 정권이 주력 군함을 모두 잃으면서 하코다테 해전은 종료되었고, 보신 전쟁은 육상전으로 전환되었다.[2]

4. 결과 및 영향

신정부군은 하코다테 해전에서 승리하여 에조 공화국의 해상 전력을 완전히 궤멸시켰다. 신정부군은 5월 4일 좌초되어 버려진 지요다를 나포했고, 5월 7일에는 카이텐에 큰 피해를 입혀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었다. 반류는 신정부군의 초요를 침몰시켰지만, 자신도 큰 피해를 입고 침몰했다. 신정부군은 제해권을 장악했고, 이를 바탕으로 홋카이도에 병력을 배치하고 육상 요새를 파괴했으며, 에조 공화국 선박을 공격했다.

결국 1869년 6월 말(음력 5월), 에조 공화국은 항복했다.[1] 이로써 메이지 유신이 완결되었다.

영국 HMS 펄과 프랑스 쾨틀로공 등 외국 해군 함정들은 전투 기간 동안 중립을 지켰다.[2] 에조 공화국 군대를 훈련시키고 방어 시설 구축을 도왔던 프랑스 해군 장교 쥘 브뤼네는 6월 8일 쾨틀로공에서 항복했다.[2]

훗날 연합함대사령장관이 되는 도고 헤이하치로는 당시 3등 해군 장교로 가스가에 탑승하여 신정부군 측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5. 기타

영국 HMS ''펄''과 프랑스 ''쾨틀로공'' 등 외국 해군 함선들은 전투에서 중립을 지켰다.[1] 에조 공화국 군대를 훈련하고 방어 시설 구축을 돕던 프랑스 해군 대위 쥘 브루네는 6월 8일 ''쾨틀로공''에서 항복했다.[1]

훗날 연합함대사령장관이 되는 도고 헤이하치로는 당시 3등 해군 장교로 신정부군의 가스가에 승선하여 참전했다.[1]

참조

[1] 서적 Jentschura
[2] 뉴스 【戊辰戦争の考古学】(4)五稜郭 行政機関を要塞化/新政府軍の猛攻に無力 読売新聞 2018-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