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공학대학교는 1990년대 지식 기반 정보화 산업 사회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공학 특성화 대학이다. 1993년 산업기술대학법 제정을 거쳐 1998년 개교했으며, 2012년 산업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시흥시에 위치하며, 공학관, 기술혁신파크(TIP), 산학융합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재는 학부, 대학원(일반, 전문, 특수)을 운영하며, 2002년 국내 최초로 게임공학부를 개설하는 등 특성화된 교육을 제공한다. 학생 활동으로는 총학생회, 동아리, 학내 언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흥시의 학교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대한민국 상공부가 설립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1966년 한국정밀기기센터에서 시작하여 경기공업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고 국제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이념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경기도의 대학교 -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는 1994년 현암학원이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경상북도 영주시에 본캠퍼스, 경기도 동두천시에 제2캠퍼스를 둔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운영되며, 과거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및 표창장 위조, 학력 위조 논란이 있었다. - 경기도의 대학교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한국공학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Hanguk gonghak daehakgyo |
영어 명칭 | Tech University of Korea |
다른 이름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 | |
표어 | 미래를 선도하는 핵심인재 양성대학 |
건학 이념 | 실사구시(實事求是) |
설립 정보 | |
설립일 | 1997년 12월 20일 |
개교일 | 2012년 3월 1일 |
종류 | 사립 (정부 지원) |
설립자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학교법인 | 한국산업기술대학 |
학교 현황 | |
총장 | 황수성 |
위치 | 경기도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 |
캠퍼스 규모 | 1캠퍼스, 2대학, 2대학원 |
교색 | 파랑, 하늘, 춘록 |
구성원 | |
학부생 | 7,031명 (2021년) |
대학원생 | 384명 (2021년) |
학부생 (2022년) | 9,826명 |
대학원생 (2022년) | 355명 |
교원 수 (전임) | 258명 (2021년) |
교원 수 (전임, 2022년) | 257명 |
교원 수 (기타, 2022년) | 344명 |
행정 직원 수 | 176명 (2021년) |
기타 | |
웹사이트 | 한국공학대학교 홈페이지 |
2. 역사
1990년대 지식기반 정보화산업사회에 적합한 기술인력 배출을 위한 산업정책의 일환으로 통상산업부(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1991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을 통해 공학교육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관련 특별법 제정을 추진했다. 1993년 4월 '신경제 5개년 계획'에 반영되어 동년 가칭 산업기술대학법이 제정되었고, 1994년 7월 기술교육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설립·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1996년 11월 28일 제1회 학교법인 이사회에서 교명이 '''한국산업기술대학교'''로 변경되었고, 1997년 12월 20일 설립 인가가 완료되었다. 1998년 3월 7일 개교식과 입학식이 함께 거행되었다.[6]
초대 김유채 총장 재임 기간에는 IMF 외환 위기로 인해 긴축 재정 운용, 건설비 확보 부족, 공사 지연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1999년 10월 21일 제2대 최홍건 총장 취임 이후 대학 조직 변화와 외연 확대를 위한 정책들이 추진되었다. 4학기제에서 2학기제로 교육 체제가 변경되었고, 게임공학과와 지식기반·에너지대학원, 산업기술·경영대학원이 설립되었다.[8]
2000년 7월 26일에는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가, 2001년에는 조립검사장비개발기반구축센터와 원격기술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8] 2002년 2월 21일에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9]
이후 학교 내에 기술혁신파크(TIP)가 설립되었고, 2009년 12월 1일 유네스코 ATLASE 프로그램 MOU 체결,[11][12] 2010년 6월 28일 산학연계교수제도 도입,[13] 2011년 9월 15일 IT융합 재활의료기기 연구센터 개소[14] 등이 이루어졌다. 2012년 3월 1일 산업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다.[15][16][17]
2. 1. 설립 과정
1990년대, 지식기반 정보화산업사회에 걸맞는 기술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산업정책의 일환으로 통상산업부(現 산업통상자원부)에서 1991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을 통해 공학교육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관련 특별법 제정을 추진했으며, 1993년 4월 "신경제 5개년 계획"에 반영되어 동년 가칭 산업기술대학법이 제정되었다. 1994년 7월 기술교육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설립·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95년 10월에 결정된 설립계획에 따르면 98년 개교를 목표로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업단지 내에 설립하여 학과 개수는 8개, 정규과정(1~4학년) 입학정원 480명, 상급과정(3~4학년) 편입학정원 240명으로 총 학생 정원은 2,400명으로 정해졌다. 96년 3월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동년 4월에서 98년 2월까지 건축공사를 하기로 되어 있었다. 95년 12월 6일 가칭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창립총회가 팔래스호텔 카네이션홀에서 열렸고 학교법인명칭(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과 대학명칭(한국산업기술대학)이 결정되었다.
1996년 11월 28일, 제1회 학교법인 이사회에서 교명이 '''한국산업기술대학교'''로 변경되었고 건설비 및 출연재산 등 설립예산이 확정되었으며, 동년 12월 4일 신축공사 기공식이 시행되었다. 1997년 2월 26일 개최된 제2회 이사회에선 설립추진 본부장(총장 내정)으로 김유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고문이 선임되었다. 설립추진본부에서 대학 운영에 관한 각종 규정을 만들고, 설치 학과 및 교과과정을 결정하기 위한 직무분석과 관련 교과목 개발, 교육제도 연구가 추진되었다. 7월에는 설립인가를 위한 교수 32명을 초빙하고, 12월 20일 최종적으로 설립 인가가 완료되었다.
1998년 1월 3일부터 원서접수를 받아 제1기 신입생 7개학과 560명을 선발하고, 1998년 3월 7일 개교식과 입학식이 함께 거행되었다.[6]
2. 2. 설립 초기 (IMF 시기)
초대 김유채 총장이 재임한 설립기에는 IMF 시기를 겪어 긴축 재정 운용, 건설비 확보 부족, 공사 지연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개교 당시에는 공학관 A, B동만 완공되어 강의 및 행정업무가 이곳에서만 이뤄졌다. 입학식은 공사가 진행 중이던 중앙광장에서, 식사는 건설사 운영 임시 식당에서 해결해야 했다.[7] 1998년 봄, 행정동이 완공되고 이어 종합교육관, 공학관 C, D동, 기숙사, 체육관이 차례대로 완공되었다. 같은 해 봄, 대학의 로고, 교훈, 개교기념일이 제정되었다.[7]2. 3. 성장기 (2학기제 전환, 대학원 설립)
1999년 10월 21일, 제2대 최홍건 총장이 취임하고 대학 조직의 변화와 다방면에서 외연을 확대하고 성장을 이루고자 하는 정책들이 추진되었다. 대학 입학 정원이 기존 630명에서 1,380명으로 증원되었고, 교육 체제도 4학기제에서 2학기제로 변경되었다. 게임공학과가 신설되고 지식기반·에너지대학원과 산업기술·경영대학원도 이 시기에 설립되었다.[8]2000년 7월 26일, 지역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행정기관, 연구 기관들의 환경 연구 역량이 집결된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가 설립되었다. 2001년에는 첨단 전자, 통신 제품 생산 업체의 조립 장비 기술개발, 검사 장비의 신뢰성 평가 기술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 조립검사장비개발기반구축센터가 설립되었으며, 재직자를 대상으로 시·공간에 제약 없이 인터넷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원격기술지원센터도 2001년 9월 5일에 설립되었다.[8]
이어 기숙사와 홍보실, 행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학생서비스센터, 건강지원실, 상담실 등이 설치되고, 대학의 종합적인 정보화를 위해 부속 기관에 설치되었던 전자계산서를 대학 본부의 전산정보실로 개편하였다. 그 외에도 도서관도 1,304㎡로 증축되었다.[8]
2002년 2월 21일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업무 협약이 체결되었다.[9]
2. 4. 도약기 (일반대학 전환)
인근 산업단지의 중소기업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교수, 학생, 기업의 기술 인력이 동일 공간에서 연구 개발을 수행하는 산학협력사업을 수행하고자 학교 내에 기술혁신파크(Techno-Innovation Park, 약칭 TIP)가 설립되었다. TIP는 지하 1층, 지상 18층 규모로 기숙사, 게스트 하우스, 각종 편의시설, 엔지니어링 하우스 등을 포함한다.[10] 2009년 12월 1일 유네스코 ATLASE(Advancing Tomorrow's Leaders for Achieving Sustainable Economy) 프로그램 MOU를 체결하였고,[11][12] 2010년 6월 28일 산학연계교수제도가 도입되었으며,[13] 2011년 9월 15일 IT융합 재활의료기기 연구센터가 개소되었다.[14] 2012년 3월 1일 산업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다.[15][16][17]3. 교육
한국공학대학교는 디자인학부와 경영학부를 제외한 모든 학과가 공과대학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단과대학은 없다. 일반대학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전문대학원), 산업기술대학원(특수대학원)의 3개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다. 2002년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게임 개발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게임공학부가 개설되었다.[18] 또한 산업체의 요구에 맞는 재교육을 위해 산학협력학부가 설립되었다. 1998년 개교 초기부터 2000년까지 8주 4학기 제도가 시행된 적이 있다.[19] 2019년 기준으로 학부 재학생은 6,879명, 석사과정 재학생은 351명, 박사과정 재학생은 58명이다.
3. 1. 학부
디자인학부와 경영학부를 제외한 모든 학과는 공과대학으로 따로 단과대학이 편성되어 있지 않고, 일반대학원과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전문대학원), 산업기술대학원(특수대학원) 3개의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다. 2002년에 대한민국 최초로 게임개발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게임공학부를 개설하였다.[18] 또한 산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 재교육을 위해 산학협력학부가 설립되어 있다. 1998년 개교 초기부터 2000년까지 8주 4학기 제도가 시행된 적이 있었다.[19] 2019년 기준 학부 재학생은 6,879명, 석사과정 재학생은 351명, 박사과정 재학생은 총 58명이 재학 중에 있다.- '''대학'''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 '''기업인재대학'''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3. 2. 대학원
2002년에 대한민국 최초로 게임개발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게임공학부가 개설되었다.[18] 2019년 기준 석사과정 재학생은 351명, 박사과정 재학생은 총 58명이 재학 중에 있다.[19]
4. 캠퍼스
한국공학대학교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해 있다. 학교 정문은 반월특수지역 시화지구를 마주하며 후문 쪽으로는 시흥시 상업지구가 있다. 캠퍼스 내에는 공학관, 기술혁신파크(TIP), 창업보육센터, 시흥비즈니스센터, 산학융합관, 종합관, 행정동 등이 있다.
4. 1. 공학관
한국공학대학교 공학관은 각 학과의 사무실, 강의실, 실습실 등이 있는 건물이다. 2002년 9월, 공학관 E동과 P동이 준공되었다. E동에는 컴퓨터공학과, 게임공학과를 위한 실습실과 에너지대학원 및 산업기술대학원 전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공연장, 기업 후원으로 마련된 전경련홀, 대한상의홀 등의 다목적홀이 있다.[20]각 동별 학과 사무실 위치는 다음과 같다.[21]
- A동: 기계공학과
- B동: 기계설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D동: 신소재공학과
- E동: 컴퓨터공학과, 게임공학과
- G동: 지식융합학부, 경영학부
- P동: 나노공학과


4. 2. 기술혁신파크 (TIP)
인근 산업단지의 중소기업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 기업의 기술 인력이 동일 공간에서 연구 개발을 수행하는 산학협력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학교 내에 기술혁신파크(Techno-Innovation Park, 약칭 TIP)가 설립되었다. 기술혁신파크는 지하 1층에서 지상 18층 규모로 기숙사, 게스트 하우스, 각종 편의시설과 엔지니어링 하우스가 포함되어 있다.[10] 2009년 12월 1일 유네스코 ATLASE(Advancing Tomorrow's Leaders for Achieving Sustainable Economy) 프로그램 MOU를 체결하였고,[11][12] 2010년 6월 28일 산학연계교수제도가 도입되었으며,[13] 2011년 9월 15일 IT융합 재활의료기기 연구센터가 개소되었다.[14]

4. 3. 기타 시설
5. 학생 활동
한국공학대학교의 학생 활동은 크게 학생회, 동아리, 학내 언론으로 나뉜다. 1998년 개교 당시 학생회는 학과 대표 학생 체제로 운영되었고, 동아리는 8개의 종교, 봉사, 학술 동아리가 개설되었다. 이후 2000년 총학생회가 정식 출범하고, 1999년 예술 동아리가 창설되었으며, 2001년에는 학내 언론인 산기대학보가 창간되었다.
5. 1. 총학생회
1998년 개교 초기에는 총학생회 없이 학과 대표 학생 체제로 출범하였으며, 2000년 5월 15일에 총학생회가 공식적으로 처음 출범하였다.[22] 총학생회는 오리엔테이션, 문화제 등 학생 복지, 체육 대회, 문화제 등 학교 행사 기획을 비롯한 여러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22] 2018년에는 '팔레트' 총학생회장이 학교 주변 상인들에게 받은 홍보비를 개인 명의 통장으로 관리해왔던 사실이 드러나 탄핵된 사건이 있었다.[22][23][24]5. 2. 동아리
1998년 CCC를 비롯한 종교, 봉사, 학술 동아리 등 총 8개 동아리가 개설되었으며, 이듬해인 1999년에는 밴드부 FEEL을 비롯한 예술 동아리가 창설되었다. 2007년 기준으로 총 17개의 동아리가 유지되었고, 이 중 창업 동아리 TechZone은 2003년, 2005년, 2007년에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서 주관한 선도 창업 동아리에 선정되기도 하였다.[25]5. 3. 학내 언론
산기대 학내 언론인 [http://www.kpu.ac.kr/news_2016/index.do 산기대학보]는 2001년 4월 30일에 창간되어[26]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http://www.motie.go.[...]
2020-04-09
[2]
웹인용
한국공학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academyinfo.[...]
2022-04
[3]
웹인용
Color System
https://www.tukorea.[...]
2023-01-29
[4]
웹인용
최홍건 前 산업자원부 차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에 선임
http://www.motie.go.[...]
1999-10-12
[5]
뉴스
"[산학협력 명문 산기대]교수-기업-학생 `삼위일체` 엔지니어링하우스"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2-06-25
[6]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7]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8]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9]
뉴스
중앙일보 :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기술대와 업무협약
http://article.joins[...]
[10]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11]
뉴스
중앙일보 : 산기대, 유네스코와 손잡고 글로벌 공학 인재 유치
http://article.joins[...]
[12]
뉴스
한국산업기술대-유네스코, 개도국 학생 유치해 '한국형 공학인재'로 키운다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13]
뉴스
중앙일보 - 한국산업기술대, 산학연계교수제도 도입
http://article.joins[...]
[14]
뉴스
한국산업기술대에 'IT융합 재활의료기기 연구센터' 개소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15]
뉴스
"<대학 탐방> 한국산업기술대학교"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16]
뉴스
한국산업기술대, 2012년 일반대 전환… 산학융합 가속화
http://www.shnews.ne[...]
시흥신문
[17]
뉴스
‘산업대 일반대 전환’ 어디까지 왔나
http://unn.net/News/[...]
한국대학신문
[18]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19]
웹사이트
http://www.kpu.ac.kr[...]
[20]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21]
웹사이트
KPU 캠퍼스 투어
http://www.kpu.ac.kr[...]
[22]
Facebook
https://www.facebook[...]
[23]
Facebook
https://www.facebook[...]
[24]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25]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26]
서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년사 1997-2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