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한림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1994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내에 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된 이후, 창립총회를 거쳐 1995년 사단법인으로 등록되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창립을 주도하고 사무국을 유치했으며, 듀폰 과학상 및 젊은 과학자상 시상을 통해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조직은 의사결정기구, 회원 및 심사, 운영 및 위원회, 학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책학부, 이학부, 공학부, 농수산학부, 의약학부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한림원 - 스위스 예술종합과학 전문 아카데미
스위스 예술종합과학 전문 아카데미는 과학 연구의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소통을 중요시하며 미래 사회 예측, 윤리 지침 제공, 대화 촉진, 정책 제안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 과학한림원 - 스위스 자연과학 전문 아카데미
스위스 자연과학 전문 아카데미는 (설명 추가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 단체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과학 단체 - 대한화학회
대한화학회는 1946년 창립되어 화학 및 응용 기술 발전을 목표로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발간, 한국화학올림피아드 주관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화학 분야 학술 단체이다. - 특수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국가연구소대학교
국가연구소대학교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캠퍼스로 활용하여 국가 과학기술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대학원대학교이다. - 특수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대한민국의 디지털 및 정보통신기술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산업계 지원, 연구, 인재 양성, 공공 서비스 제공, 이용자 권익 증진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정부와 산업계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95년 6월 7일 |
본부 위치 | 성남시, 경기도 |
웹사이트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웹사이트 |
대표 직함 | 원장 |
대표 이름 | 유욱준 |
한글 명칭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한자 명칭 | 韓國科學技術翰林院 |
로마자 표기 | Hanguk Gwahak Gisul Hallimwon |
추가 정보 | |
주요 활동 | 과학기술 정책 연구 국제 협력 학술 행사 개최 과학기술 인재 양성 |
목표 |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과 국제적 위상 강화 |
2. 설립 근거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11]
3. 연혁
연도 내용 1994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내 한국과학기술아카데미(가칭) 설립추진위원회 구성,[1] 7월 창립발기인대회에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으로 명칭 변경,[1] 11월 창립총회 및 조완규 초대 원장 취임[1] 1995년 사단법인 등록(민법 제32조 및 공익법인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1] 1998년 전무식 제2대 원장 취임[1] 2000년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AASA) 창립, 사무국 유치[1] 2001년 故 한인규 제3대 원장 취임,[1]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에 정부지원 육성대상 기관으로 명시[1] 2003년 분당 미금역 소재 한림원 회관 준공[1] 2004년 정근모 제4대 원장 취임[1] 2005년 기초과학연구진흥법 제11조(현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에 한림원 법적지위 명기[1] 2007년 이현구 제5대 원장 취임[1] 2010년 정길생 제6대 원장 취임[2] 2013년 박성현 제7대 원장 취임[3] 2016년 이명철 제8대 원장 취임[4] 2019년 한민구 제9대 원장 취임[5] 2022년 유욱준 제10대 원장 취임[6]
3. 1. 설립 초기 (1994년 ~ 1998년)
1994년 2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내에 한국과학기술아카데미(가칭) 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다.[1] 1994년 7월 창립발기인대회를 개최하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같은 해 11월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초대 원장으로 조완규 박사가 선출되어 취임하였다.[1] 1995년 6월에는 사단법인으로 등록되었다(민법 제32조 및 공익법인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1] 1998년 3월에는 제2대 원장으로 전무식 박사가 취임하였다.[1]
3. 2. 발전 및 성장 (1998년 ~ 2007년)
연도 | 내용 |
---|---|
1998년 | 제2대 원장으로 전무식 박사 취임[1] |
2000년 |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AASA) 창립, 사무국 유치[1] |
2001년 | 제3대 원장으로 故 한인규 박사 취임[1],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에 정부지원 육성대상 기관으로 명시[1] |
2003년 | 분당 미금역 소재에 한림원 회관 준공[1] |
2004년 | 제4대 원장으로 정근모 박사 취임[1] |
2005년 | 기초과학연구진흥법 제11조(현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설립 등))에 한림원 법적지위 명기[1] |
2007년 | 제5대 원장으로 이현구 박사 취임[1] |
3. 3. 도약 및 성숙 (2007년 ~ 현재)
2007년 2월 이현구 박사가 제5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1] 이후 2010년 3월 정길생 박사가 제6대 원장,[2] 2013년 3월 박성현 박사가 제7대 원장,[3] 2016년 3월 이명철 박사가 제8대 원장,[4] 2019년 3월 한민구 박사가 제9대 원장,[5] 2022년 3월 유욱준 박사가 제10대 원장으로 각각 취임하였다.[6]대수 | 이름 | 취임일 |
---|---|---|
5 | 이현구 | 2007년 2월 |
6 | 정길생 | 2010년 3월 |
7 | 박성현 | 2013년 3월 |
8 | 이명철 | 2016년 3월 |
9 | 한민구 | 2019년 3월 |
10 | 유욱준 | 2022년 3월 |
4. 조직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 학술원으로, 1997년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이자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한 스티븐 추를 포함하여 34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외국인 회원으로 두고 있다.[6][7][8]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한 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각 위원회는 고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며 주요 사업 추진에 기여한다.
위원회명 | 주요 역할 |
---|---|
국제협력위원회 | 국제 학술 교류 및 협력 사업 추진 |
정책연구위원회 | 과학기술 정책 연구 및 자문 |
출판홍보위원회 | 학술 간행물 발간 및 홍보 |
포상위원회 | 우수 과학기술인 포상 |
학술위원회 | 학술 행사 개최 및 지원 |
회원복지위원회 | 회원 복지 증진 |
윤리위원회 | 연구 윤리 확립 및 관련 활동 |
학부는 다음과 같다.
학부 |
---|
정책학부 |
이학부 |
공학부 |
농수산학부 |
의약학부 |
4. 1. 회원 및 심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 학술원이다. 1997년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이자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한 스티븐 추, 한국과학기술원 원장인 로버트 B. 러플린, 199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제롬 I. 프리드먼을 포함하여 34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외국인 회원으로 두고 있다.[6][7][8]4. 2. 운영 및 위원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한 위원회를 두고 있다. 각 위원회는 고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며, 한림원의 주요 사업 추진에 기여한다.위원회명 | 주요 역할 |
---|---|
국제협력위원회 | 국제 학술 교류 및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
정책연구위원회 | 과학기술 정책 연구 및 자문을 한다. |
출판홍보위원회 | 학술 간행물 발간 및 홍보를 한다. |
포상위원회 | 우수 과학기술인을 포상한다. |
학술위원회 | 학술 행사를 개최하고 지원한다. |
회원복지위원회 | 회원 복지를 증진한다. |
윤리위원회 | 연구 윤리를 확립하고 관련 활동을 한다. |
4. 3. 학부
학부 |
---|
정책학부 |
이학부 |
공학부 |
농수산학부 |
의약학부 |
5. 시상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듀폰 코리아와 협력하여 듀폰 과학상을 수여한다. 이 상은 국내 과학 연구와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 과학자들의 공헌을 인정하고, 더 나아가 탁월함을 장려하는 데 기여한다.[9] 1997년부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또한 매년 연구 분야에서 젊은 과학자상을 4명에게 수여한다. 수상자 중 다수는 상을 받을 당시 SKY, KAIST, 또는 POSTECH에 재직 중이며, 이후 KAIST 또는 기초과학연구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10]
6. 역대 원장
대수 | 이름 | 임기 |
---|---|---|
1 | 조완규 | 1994년 11월 – 1998년 3월 |
2 | 전무식 | 1998년 3월 – 2001년 1월 |
3 | 한인규 | 2001년 1월 – 2004년 2월 |
4 | 정근모 | 2004년 2월 – 2007년 2월 |
5 | 이현구 | 2007년 2월 – 2010년 3월 |
6 | 정길생 | 2010년 3월 – 2013년 3월 |
7 | 박성현 | 2013년 3월 – 2016년 3월 |
8 | 이명철 | 2016년 3월 – 2019년 3월 |
9 | 한민구 | 2019년 3월 – 2022년 3월 |
10 | 유욱준 | 2022년 3월 – 현재 |
참조
[1]
뉴스
High-Tech Think Tank Celebrates 10th Anniversary
2004-11-17
[2]
뉴스
KAST Chief to Globalize Korean Science
2004-04-29
[3]
뉴스
KAST pushes for S-N technology cooperation
1999-04-27
[4]
뉴스
KAST Chief to Globalize Korean Science
2004-04-29
[5]
뉴스
Top Scientists Converge to Observe KAST Anniversary
2004-11-19
[6]
뉴스
Academy Initiates Science Hall of Fame Project
2004-04-29
[7]
뉴스
Prof. Atta appointed as foreign member of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4-12-09
[8]
뉴스
High-Tech Think Tank Celebrates 10th Anniversary
2004-11-17
[9]
뉴스
DuPont Korea announces '2nd Science & Technology Award
2002-11-19
[10]
웹사이트
과학계 신인상 받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20년 만에 주역으로 우뚝
https://kast.tistory[...]
2020-08-21
[11]
법률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설립 등)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연구 주역…홍용택 교수 혁신장 수상 - 매일경제
4월2일 알림
3월6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