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소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연구소대학교(UST)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3년 설립된 대학이다. 이학, IT, BT, NT, ET, ST 등 국가 과학기술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46개의 전공을 운영하며, 32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캠퍼스로 활용한다. 모든 학생에게 연구장려금을 지급하고, 우수 연구논문상 표창, 해외 연수 기회 제공 등 다양한 장학 혜택을 제공한다. UST는 2010년 SCI 저널 게재 건수에서 서울대학교에 이어 국내 2위를 기록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보이며, 졸업생들은 SCI급 논문 게재, 특허 출원, 출연(연) 및 기업 취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대학교 -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는 1990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을 변경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며, 4개의 트랙과 20개의 학과를 통해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 과학기술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1910년 의정부 실업보수학교로 설립되어 경성공립공업학교, 서울산업대학교 등의 명칭을 거쳐 2010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고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캠퍼스는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및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옛터를 사용하여 다산관, 창학관 등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역사적인 건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산학협력과 국제 교류를 통해 융합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국립대학교이다. - 특수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감독을 받는,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199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학술 기관이다. - 특수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대한민국의 디지털 및 정보통신기술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산업계 지원, 연구, 인재 양성, 공공 서비스 제공, 이용자 권익 증진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정부와 산업계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 대전 유성구의 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대전 유성구의 학교 -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는 1952년 대한민국 최초의 도립 종합대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대전 보운캠퍼스에서 시작, 국립대학교로 독립 후 대덕캠퍼스로 이전하며 성장하여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와 국내외 교류를 갖춘 종합대학교이다.
국가연구소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영문명 |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한글 표기 | 국가연구소대학교 |
한자 표기 | 國家研究所大學校 |
로마자 표기 | Gukga Yeonguso Daehakgyo |
약칭 | UST |
![]() | |
표어 | 미래를 혁신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UST |
건학 이념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설립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개교 | 2004년 |
폐교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해체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종류 | 기타 (대학원대학) |
설립 근거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257호) |
총장 | 김이환 |
부총장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7 |
캠퍼스 | 다중 위치 (대전 등) |
규모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학부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대학원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학생 수 | 1415명 (2023년 11월 기준) |
교직원 수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상징 | 페가수스 |
교색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학교 법인 | 별도 학교법인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176 [가정로 217], 305-350, 대한민국 |
웹사이트 | www.ust.ac.kr |
2. 설립 근거 및 연혁
UST는 2002년 12월 의원 입법으로 정부출연(연)법 개정을 통해 설립 근거를 마련하고, 2003년 8월 정부출연법시행령 개정으로 대학 운영위원회 설치 등 대학 조직 및 운영 방안을 마련하였다. 2003년 10월 22일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11월 1일 국무총리 승인을 얻어 정명세 초대 총장이 취임하였다.
연도 | 주요 내용 |
---|---|
2004년 | 제1회 개교기념 및 입학식을 열고, 과학기술분야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설립운영및육성에관한법률 제정으로 국무조정실에서 과학기술부로 이관되었다. |
2006년 | 제1회 학위수여식을 통해 석사 15명을 배출하였다. |
2007년 | 제2대 총장으로 이세경 박사가 취임하였다. |
2008년 |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과학기술부가 교육과학기술부로 이관되었다. |
2012년 | 제3대 총장으로 이은우 박사가 취임하였다. |
2013년 | UST 설립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2014년 | UST 개교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2016년 | 제4대 총장으로 문길주 박사가 취임하였다. |
2020년 | 제5대 총장으로 김이환 박사가 취임하였다. |
2. 1. 설립 근거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33조[3]2. 2. 연혁
- 2002년 12월: 의원 입법으로 정부출연(연)법을 개정하여 설립근거를 마련하였다.[1]
- 2003년 8월: 정부출연법시행령을 개정하여 대학 운영위원회 설치 등 대학 조직 및 운영방안을 마련하였다.[2]
- 2003년 10월 22일: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UST 설립인가를 받았다.[3]
- 2003년 11월 1일: 국무총리 승인을 얻어 정명세 초대총장이 취임하였다.
- 2004년 3월 3일: 제1회 개교기념 및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 2004년 9월 23일: 과학기술분야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설립운영및육성에관한법률 제정으로 국무조정실에서 과학기술부로 이관되었다.
- 2006년 2월 17일: 제1회 학위수여식을 통해 석사 15명을 배출하였다.
- 2007년 10월 22일: 제2대 총장으로 이세경 박사가 취임하였다.
- 2008년 2월 29일: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과학기술부에서 교육과학기술부로 이관되었다.
- 2012년 12월 1일: 제3대 총장으로 이은우 박사가 취임하였다.
- 2013년 10월 22일: 국가연구소대학 UST 설립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2014년 3월 2일: 국가연구소대학 UST 개교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2016년 1월: 제4대 총장으로 문길주 박사가 취임하였다.
- 2020년 2월: 제5대 총장으로 김이환 박사가 취임하였다.
3. 교육 및 연구
국가연구소대학교(UST)는 학생들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장학 혜택과 우수한 연구 성과를 자랑한다.
UST는 강의를 최소화하고 연구실 순환 (Lab rotation) 제도를 운영하여 학생들이 연구에 적극 참여하고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도록 장려한다. 또한, 다른 기관이나 민간 기업 프로젝트 참여 기회도 제공하며, 교양 수업을 통해 연구 분야 리더로서의 기반을 다지도록 돕는다.
2019년 8월 현재 46개 전공이 운영되고 있으며,[1] 32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캠퍼스별 최고 전문가들이 교육과 연구를 직접 지도한다.[2] 전공 책임 교수는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전공 과목을 개설 및 변경하며,[3] 국내 대학과의 학술교류협정을 통해 학생들의 기초 전공 기반을 보강한다. 2014년 3월 현재, 학생 대비 교원 비율은 1:1.2 이상이다.[1]
모든 학생에게는 연구장려금이 지급된다. 석사과정은 월 135만원 이상, 박사과정은 월 180만원 이상이며, 일부 캠퍼스에서는 퇴직금도 지급한다. 석사 과정 학생은 최소 월 210만원, 박사 과정 학생은 최소 월 230만원을 받는다. (세전) 우수 연구논문상, 입학전형료 및 학위논문심사료 면제, 종합검진, 해외 연수 및 학회 참가 지원, 박사 후 연수 지원금 (연간 3000만원) 등의 혜택도 제공된다.
기술경영학, 기술경제학 등 특별 강좌를 통해 연구 기획 및 관리, 벤처 창업 등에 대한 교육도 제공한다.
UST는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졸업생들은 출연(연), 기업,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한다.[1] 2004년 개교 이후 28개국 출신 박사 118명과 석사 321명을 배출했다.[2] 최근 3년간 박사 1인당 SCI급 학술지 논문 평균 4편 이상, 특허 1.5건 이상을 발표했다.[1] 2010년에는 SCI 저널 게재 건수에서 서울대학교에 이어 국내 2위를 기록했다.[2]
3. 1. 교육 과정의 장점
UST는 학생들이 연구 분야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개설했다. 그 예시로 연구실 순환 (Lab rotation) 제도가 있다. UST는 학점 부여와 함께 강의를 최소화하여 학생들이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경험을 얻도록 장려한다. UST는 다른 기관이나 민간 기업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학생들은 연구실 순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관련 경험을 얻을 수 있다. 학생들은 필수적으로 교양 수업을 수강하여 주어진 연구 분야의 리더로서 탄탄한 기반을 다지고, 사회 전반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3. 2. 전공 운영
국가연구소대학교는 학과 설치 없이 국가 과학기술 전략분야(이학, IT, BT, NT, ET, ST) 중심의 전공만 개설하여 운영하며, 2019년 8월 현재 46개 전공이 운영되고 있다.[1] 32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캠퍼스별로 캠퍼스 대표 교수 및 각 전공 책임 교수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최고 전문가들이 교육과 연구를 직접 지도한다.[2] 전공 책임 교수는 학생들과 충분한 토론을 거쳐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전공 과목을 변경하거나 개설한다.[3] 또한, 국내 국립, 사립대학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여 학생들의 기초 전공 기반을 보강하고 있다.3. 3. 교원 현황
2014년 3월 현재, 국가연구소대학교는 32개 정부출연연구소의 교수 요원 약 8천여 명 중 1,600여 명을 교원으로 임용하고 있다. 학생 수는 약 980여 명으로, 학생 대비 교원 비율은 1:1.2 이상으로 일반 대학과는 차별화된 교원 운용을 보여준다.[1]3. 4. 장학 혜택
국가연구소대학교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장학 혜택을 제공한다. 모든 학생에게 매월 연구장려금을 지원하는데, 석사과정은 135만원 이상, 박사과정은 180만원 이상을 지급하며, 일부 캠퍼스에서는 퇴직금도 지급한다. 석사 과정 학생은 월 최소 210만원, 박사 과정 학생은 월 최소 230만원을 받는다. 이 금액은 세전 금액이다.또한, 매년 우수 연구논문상을 표창하며, 입학전형료 및 학위논문심사료는 무료이다. 종합검진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해외 연수 및 해외 학회 세미나 참가를 지원한다. 박사 후 연수 지원금은 연간 3000만원이다. 학생 연구원은 캠퍼스에 따라 보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3. 5. 특별 강좌
대학교는 기술경영학, 기술경제학, 기술전략, 연구 이론, 기획 및 관리, 벤처 창업, 기술 커뮤니케이션, 기술 작문 등 특별 강좌를 제공한다.3. 6. 연구실적
UST는 박사 졸업생들의 우수한 연구 논문 발표 실적과 특허 출원 실적을 보여주고 있으며,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박사 1인당 SCI급 이상 학술지에 평균 4편 이상, 특허 1.5건 이상을 발표했다.[1] 졸업생들은 출연(연)(36%), 기업(33%), 공공기관(16%), 교육기관(8%)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취업률은 83%이다.[1] 2004년 개교 이후, UST는 28개국 출신 박사 118명과 석사 321명을 배출했다.[2]3. 6. 1. 졸업생 연구 성과
박사 졸업생을 처음 배출한 2007년 후기 이후 5년 안에 네이처(Nature)지에 배승섭 박사, 사이언스(Science)지에 윤보은 박사, 셀(Cell)지에 우동호 박사가 모두 제1저자로 논문을 발표했다.[1] 2004년 개교 이후 졸업생 1인당 SCI급 논문 수는 5.44편으로, 국내 대학 중 최고 수준이다.[2] 2010년에는 SCI 저널 게재 건수에서 서울대학교에 이어 국내 2위를 기록했다.[2] 최근 3년간 박사 1인당 SCI급 이상 학술지에 평균 4편 이상, 특허 1.5건 이상을 발표했다.[1]구체적인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3]
구분 | 내용 |
---|---|
박사 졸업생 1인당 SCI급 저널 논문 발표 | 4.52편 |
박사 졸업생 1인당 특허 출원 및 등록 | 1.12건 |
3. 6. 2. 우수 국가연구개발사업 선정
UST 교수진과 학생들이 수행한 12개의 연구 과제가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2010년도 100대 우수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선정되었다.
4. 캠퍼스 및 교육연구기관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영어(UST)는 대한민국 정부 직할 30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캠퍼스로 활용하는 대학원이다. 각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캠퍼스 역할을 하며, 학생들은 해당 연구기관의 연구 시설 및 인력을 활용하여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교육연구기관 및 부설기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교육연구기관

- 국방과학연구소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국원자력의학원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한국전기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한국기계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한국한의학연구원
- 한국식품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한국재료연구원
- 한국화학연구원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기초과학연구원
4. 2. 부설기관
5. UST 총장
(내용 없음)
5. 1. 역대 총장
대수 | 이름 | 임기 |
---|---|---|
1 | 정명세 | 2003년 11월 ~ 2007년 10월 |
2 | 이세경 | 2007년 10월 ~ 2011년 10월 |
3 | 이은우 | 2011년 12월 ~ 2015년 12월 |
4 | 문길주 | 2016년 1월 ~ 2020년 1월 |
5 | 김이환 | 2020년 1월 ~ 현재 |
6. 전공 분야
국가연구소대학교(UST)는 이학 및 공학 계열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제공한다.
이학 계열에는 측정 과학, 생체 분자 과학, 생물 분석 과학, 기능 유전체학, 나노 표면 기술, 그린 케미스트리 및 환경 생명 공학, 극지 과학, 핵융합, 천문학 및 우주 과학, 방사선 암 의학, 의학 물리학, 해양 환경 시스템 과학, 신경 과학, 기술 경영 및 정책 등의 전공이 있다.
공학 계열에는 광대역 네트워크 기술, 정보 보안 공학, 이동 통신 및 디지털 방송 공학,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공학, E-BIZ 관리, 전자전 통신 기술, ITS 공학, 수중 음향 통신, 교통 정보 네트워크 공학, 정보 과학 기술, 제조 시스템 공학, 그리드 및 슈퍼컴퓨팅, HCI & 로봇 공학, 지오인포매틱스 공학, 전기 장비 정보 통신 공학, 첨단 장치 기술, 지능형 로봇 공학, 생체 잠재력/독성 평가, 나노 바이오 기술, 식품 생명 공학, 한국 전통 의학 및 생명 공학, 나노 물질 과학 및 공학, 전기 기능성 재료 공학, 나노 전자 공학, 마이크로 나노 시스템 공학, 나노 메카트로닉스, 가속기 및 빔 나노 공학, 토목 및 환경 공학(수자원 및 환경 공학), 자원 재활용, 환경 시스템 공학, 미래형 현대 교통 시스템 공학, 에너지 및 전력 변환 공학, 첨단 에너지 기술, 에너지 시스템 공학, 그린 공정 및 시스템 공학, 방사선 측정 및 감지, 레이저 및 플라즈마 공학, 첨단 원자력 시스템 공학, 양자 에너지 화학 공학, 석유 자원 기술, 항공기 시스템 공학, 우주 발사체 시스템 공학, 정밀 유도 차량 시스템 공학, 위성 시스템 및 응용 공학 전공이 있다.
6. 1. 이학 계열
측정 과학, 생체 분자 과학, 생물 분석 과학, 기능 유전체학, 나노 표면 기술, 그린 케미스트리 및 환경 생명 공학, 극지 과학, 핵융합, 천문학 및 우주 과학, 방사선 암 의학, 의학 물리학, 해양 환경 시스템 과학, 신경 과학, 기술 경영 및 정책 등의 전공이 있다.6. 2. 공학 계열
- 광대역 네트워크 기술
- 정보 보안 공학
- 이동 통신 및 디지털 방송 공학
-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공학
- E-BIZ 관리
- 전자전 통신 기술
- ITS 공학
- 수중 음향 통신
- 교통 정보 네트워크 공학
- 정보 과학 기술
- 제조 시스템 공학
- 그리드 및 슈퍼컴퓨팅
- HCI & 로봇 공학
- 지오인포매틱스 공학
- 전기 장비 정보 통신 공학
- 첨단 장치 기술
- 지능형 로봇 공학
- 생체 잠재력/독성 평가
- 나노 바이오 기술
- 식품 생명 공학
- 한국 전통 의학 및 생명 공학
- 나노 물질 과학 및 공학
- 전기 기능성 재료 공학
- 나노 전자 공학
- 마이크로 나노 시스템 공학
- 나노 메카트로닉스
- 가속기 및 빔 나노 공학
- 토목 및 환경 공학(수자원 및 환경 공학)
- 자원 재활용
- 환경 시스템 공학
- 미래형 현대 교통 시스템 공학
- 에너지 및 전력 변환 공학
- 첨단 에너지 기술
- 에너지 시스템 공학
- 그린 공정 및 시스템 공학
- 방사선 측정 및 감지
- 레이저 및 플라즈마 공학
- 첨단 원자력 시스템 공학
- 양자 에너지 화학 공학
- 석유 자원 기술
- 항공기 시스템 공학
- 우주 발사체 시스템 공학
- 정밀 유도 차량 시스템 공학
- 위성 시스템 및 응용 공학
7. 평가 및 전망
2004년 개교 이후, UST는 국내외에서 우수한 연구 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28개국 출신 박사 118명과 석사 321명이 졸업했으며, 졸업생 1인당 SCI급 논문 수는 5.44편으로 국내 대학 중 최고 수준이다. 2010년에는 SCI 저널 게재 건수에서 서울대학교에 이어 국내 2위를 기록했다.
UST는 노벨상 도전을 통해 한국 과학 연구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핵심 기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7. 1. 대학 순위
세계 대학 랭킹 센터(CWUR)에서 2018년 세계 183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대학 중 상위권에 랭크되었다.[1] 국내 순위에서는 대한민국 2위를 기록했다.[1]7. 2. 입학
UST 입학 마감일은 매년 5월 초와 9월 초 즈음이다. 대부분의 한국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정식으로 입학 지원을 하기 전에 먼저 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입학 경쟁률은 꽤 높지만, 선발된 학생들에게는 한국에서 진행되는 최신 연구 개발(R&D)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Ranking ! CWUR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8-2019
https://cwur.org/201[...]
2023-11-22
[2]
문서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