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79년 편찬 사업이 시작되어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총 27권으로 발간된 대한민국 민족 문화 백과사전이다. 1995년 1권을 추가하여 총 28권으로 완성되었으며, 2001년 디지털판 EncyKorea가 CD-ROM과 DVD로 출시되었고, 2007년 온라인 버전이 출시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 학자 및 전문가 3,800여 명이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민족, 강역, 역사, 자연, 생활 등 3분야 9개 영역, 54개의 하위 범주로 내용을 분류한다. 한국학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며 학술 문헌 용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학 - 명심보감
《명심보감》은 선현들의 금언과 명구를 모아 1393년 명나라에서 처음 간행된 책으로, 조선 초기 국내 유입 후 널리 유통되었으며, 1592년에는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서양에 소개, 베트남에서도 활용되었고, 판본에 따라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조선시대 서당 교재로 사용, 관련 문화재로 청주본과 인흥재사본이 있다. - 한국학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의 향토 문화 자료를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국책 사업으로, 230여 개 시·군·구별 정보를 통합 구축하고 지리정보시스템 및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 문화 연구력 향상 등에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는 다양한 백과사전과 전문사전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대한민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의 향토 문화 자료를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국책 사업으로, 230여 개 시·군·구별 정보를 통합 구축하고 지리정보시스템 및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 문화 연구력 향상 등에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백과사전 - 친일인명사전
《친일인명사전》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자 4,776명의 인명과 행적을 기록하여 2009년에 발간한 사전으로, 국민 모금 운동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고 법적 분쟁을 극복하며 발간되었으나, 편찬 과정과 수록 인물 선정 기준에 대한 논란과 함께 보수 진영의 비판을 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백과사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의 향토 문화 자료를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국책 사업으로, 230여 개 시·군·구별 정보를 통합 구축하고 지리정보시스템 및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 문화 연구력 향상 등에 기여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영문 표기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
한글 표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자 표기 |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
로마자 표기 | Hanguk Minjok Munhwa Daebaekgwasajeo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an'guk Minjok Munhwa Taebaekkwasajŏn |
![]() | |
제작 정보 | |
저자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인원 3,200여 명이 집필에 참여 |
출판사 | 동방미디어 |
언어 | 한국어 |
주제 | 한국학 |
장르 | 참고 백과사전 |
웹사이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웹사이트 |
2. 편찬
1979년 9월 25일 대통령령 제9268호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사업추진위원회 규정〉이 공포되었다.[17]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편찬 사업 업무가 위탁되어, 1980년 4월 15일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가 발족하였다.[17] 연인원 3,200여 명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집필에 참여했으며, 한국 민족문화와 관련된 약 6만 5,000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17] 1980년부터 1987년까지는 편찬 준비 기간으로, 원고 집필 및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17]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총 27권이 순차적으로 발간되었으며, 1995년 보유편 1권이 추가되어 총 28권으로 완성되었다.[17] 이 편찬 과정에는 1750억원의 국가 예산이 투입되었고, 200자 원고지 42만 장 분량의 원고가 작성되었다.[17]
은 민족, 강역, 역사, 자연, 생활 등 3분야 9개 영역으로 크게 분류되며, 각 영역은 다시 54개의 하위 범주로 세분화되어 있다.
3. 내용 분류
3. 1. 민족
민족은 민족의 형성, 민족 구성원, 민족문화 특성, 민족문화 보존 등을 포함한다.
3. 2. 강역
자연환경, 인문환경, 지방, 교통, 지명 및 지도 등을 다룬다.
3. 3. 역사
선사시대, 초기국가시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 현대로 구분된다.
3. 4. 자연
자연물과의 관계, 자연, 과학, 기술, 보건, 체육 등을 다룬다.
3. 5. 생활
산업, 의생활, 식생활, 주거생활 등을 다룬다.
3. 6. 사회
정치, 대외 관계, 법제, 경제, 사회 관계, 민속, 교육 등을 다룬다.
3. 7. 사고
학술, 사상, 민간신앙, 불교, 유교, 도교, 고유 종교, 외래 종교 등을 다룬다.
3. 8. 언어
언어, 문자, 기록 및 표지, 홍보, 통신, 언론 및 출판 등을 다룬다.
3. 9. 예술
문학, 미술, 음악, 춤, 연극, 영화 등을 다룬다.
4. 개정
1996년부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개정 작업이 시작되었다.[5] 2001년에는 디지털판 '''EncyKorea'''가 CD-ROM과 DVD로 출시되었고,[6][5] 2007년에는 온라인 버전이 제공되기 시작했다.[4] 2017년에 두 번째 대규모 개정 작업이 완료되었다.[5][4]
5. 의의 및 평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과사전 중 하나이자,[7] 가장 방대한 백과사전 중 하나로 여겨진다.[6] 이 백과사전에서 사용된 용어는 학술 문헌의 용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Korean Studies Resources: — Encyclopedia & Bibliography
https://guides.osu.e[...]
2023-10-01
[2]
웹사이트
엠파스, 한민족 대백과사전 오픈
https://www.ijejutod[...]
2024-06-28
[3]
웹사이트
국가기록원>기록물열람>통합검색>국정분야주제별검색>분야별주제검색
https://www.archives[...]
2024-06-28
[4]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면 개정·증보 필요"
https://www.hani.co.[...]
2024-06-28
[5]
뉴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덕분에 한국 학술문화 비약적 성장"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19-06-28
[6]
뉴스
민족문화 백과사전 디지털 증보판 출시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1-10-22
[7]
웹사이트
LibGuides: Korean Studies: Home
https://libguides.br[...]
2023-10-01
[8]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9]
간행물
アジア資料―朝鮮語資料―(関西館の資料紹介 11 )
https://rnavi.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06-11
[10]
웹사이트
EncyKorea デジタル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http://www.e-okura.c[...]
オークラ情報サービス株式会社
[11]
웹사이트
온라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2]
웹사이트
한국학지식콘텐츠편찬사업
http://intl.aks.ac.k[...]
한국학중앙연구원
[13]
뉴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CD롬 9월 출간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1-02-16
[14]
웹인용
한민족(韓民族)
https://encykorea.ak[...]
2023-03-19
[15]
뉴스
엠파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검색 오픈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6-10-17
[16]
뉴스
네이트, 다음 검색엔진 쓴다…'포털 업계 지형도 변화 예고'
http://www.it.co.kr/[...]
미디어잇
2014-01-14
[17]
뉴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내달 완간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1-11-11
[18]
뉴스
力著들 잇달아 출간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1-12-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