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춤은 인간의 신체를 활용하여 리듬에 맞춰 움직임을 표현하는 예술 형식이다. 춤은 '생명의 욕구'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으며, 문자가 발명되기 전부터 이야기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춤은 종교 의식, 전쟁, 수렵, 노동 등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스타일을 갖는다. 춤은 예술, 사회적 교류,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레, 현대 무용, 민속 춤, 사교 춤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현대 사회에서 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전문 무용수, 안무가 등 관련 직업군이 존재한다. 또한, 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교적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극 관련 직업 - 무대 디자인
    무대 디자인은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 공연의 시각적 концепцию을 설정하고 무대 환경을 디자인하는 예술 분야로, 세트, 소품, 배경, 조명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연출가 및 창작팀과 협력하여 공연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 연극 관련 직업 - 연극학
    연극학은 연극계 인물들의 활동과 이론을 탐구하고 연기, 연출, 무대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학제간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예술적 성장을 돕는 학문이다.
  • 연예계 관련 직업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연예계 관련 직업 - 평론가
    평론가는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를 분석하고 가치 판단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으로, 온라인 평론 활성화 시대에 질적,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공연 예술 - 음악
    음악은 인간이 소리를 재료로 박자, 선율, 화성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시간 예술로,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며 작곡, 연주, 감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예술, 오락,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공연 예술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야공연 예술
유형움직임
제스처
신체
관련 예술음악
연극
미술
스포츠
하위 분야발레
현대 무용
민속춤
재즈 댄스
힙합
탭 댄스
스포츠 댄스
라인 댄스
댄스 스포츠
에어로빅
무용극
종교춤
사교 춤
전통춤
의식춤
즉흥춤
군무
독무
커플 댄스
그룹 댄스
소셜 댄스
관련 직업무용가
안무가
주요 도구신체
음악
의상
소품
특징리듬
박자
동작
표현
어원
어원고대 프랑스어 'dancier'에서 유래
의미춤추다
목적
목적의례
사회적 상호작용
오락
예술
종교
문화
교육
역사
역사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달
고대고대 이집트 및 고대 그리스에서 종교 의식의 일부로 사용
중세민속 축제와 종교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
르네상스귀족 사회의 사교 활동과 예술 공연으로 발전
현대다양한 장르와 스타일로 발전, 대중문화에 큰 영향
종류
종류발레
현대 무용
재즈 댄스
힙합
탭 댄스
민속춤
스포츠 댄스
사교 춤
전통춤
기술
기술리듬감
균형감
유연성
근력
표현력
사회적 역할
사회적 역할문화적 정체성 표현
사회적 유대 강화
감정 표현과 해소
교육과 창의성 개발
기타
참고춤의 역사
무용 이론
춤 심리학
무용 교육

2. 어원

춤의 영어 낱말인 댄스(dance)는 산스크리트 원어(原語, Zendic­Sanskrit)의 Tanha(탄하)가 어원(語源)이며 Tanha는 '생명의 욕구'를 뜻한다고 한다. 중세 영어는 Daunce(Dawnce)로서, 옛 독일어 Danson(단손)과 연결된다. 유럽 각국의 무용을 뜻하는 언어는 모두 이것과 결부되며[85], 생활의 경험이나 환희 속에서의 운동이라든가 활동의 요구, 생명에의 욕구같은 뜻을 포함한다고 한다. 그리고 Teneinel라틴어로부터 기원되며, '긴장, 온몸이나 수족을 충분히 뻗친다, 지탱한다, 지속한다' 등 신체의 주요한 움직임과 연결되는 말과 어원적으로 맺어지고 있다고 보겠다.

영어의 dance는 고대 라틴어의 deante가 어원으로 되어 있으며, 그 원의는 "긴장과 이완의 연속"을 의미한다.[73] 일본어에서는 '''舞踏'''(ぶとう)로 번역되었지만, 쓰보우치 쇼요가 "무용"으로 번역한 이후로는 이쪽이 일반화되었다.[73] 쓰보우치 쇼요는 "신극론"(1904년)에서 '''무용'''(ぶよう)이라는 번역을 사용했지만, 이것은 쓰보우치 쇼요와 후쿠치 오치에 의한 신조어이다.

3. 역사

모든 민족은 고유의 춤을 가지고 있으며, 춤의 역사는 인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73] 동물(특히 조류)에게도 고유한 춤이 보이는 것으로부터, 춤은 생명에 내재하는 근원적인 활동이라고도 불린다.[73]

인류 역사에서 춤은 구석기 시대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 사람들이 춤추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것에서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73] 일본 고사기의 아마노이와토 신화에서는 바위굴에 몸을 숨긴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아메노우즈메노미코토의 춤을 보고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고 묘사되어, 춤이 생명 활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73]

춤은 인간의 기도와 소망을 신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주술적인 의미를 지녔으며, 종교적 의례 외에도 노동이나 전투에서의 의식 고양, 성년 통과의례 등에 사용되었다.[73] 한편, 춤은 레크리에이션이나 레저, 예술이나 스포츠 분야에서도 고유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장르로 발전했다.[73]

어떤 테마를 가진 일정한 시간과 공간에서의 신체 움직임의 집적(결과)을 춤의 궤적이라 하며, 신체의 높이, 방향, 체형, 위치 등에 따라 각각 고유한 표출을 가져온다.[74] 일반적으로 직선, 삼각형, 사각형, 지그재그 등 직선적인 춤의 궤적을 가진 움직임은 강하고, 날카롭고, 딱딱한 인상을 준다.[75] 반대로 원, 타원, 반원, 파형 등 곡선적인 춤의 궤적을 가진 움직임은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고 여겨진다.[74]

춤의 반주 형식에는 타악기 반주나 음악 반주 외에도, 신체의 움직임 자체가 반주로 기능하는 무음악 무용도 있다.[82] 원래 고전 무용 등에서는 발로 밟아 장단을 맞추었던 것이며, 이것이 북이나 장고와 같은 타악기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다.[76]

영어의 'dance'는 고대 라틴어의 'deante'가 어원으로, "긴장과 이완의 연속"을 의미한다.[73] 일본어에서는 '''舞踏'''(ぶとう)로 번역되었지만, 쓰보우치 쇼요가 "무용"으로 번역한 이후로는 이쪽이 일반화되었다.[73] 쓰보우치 쇼요는 "신극론"(1904년)에서 '''무용'''(ぶよう)이라는 번역을 사용했는데, 이는 쓰보우치 쇼요와 후쿠치 오치의 신조어이다. 전후에는 맘보, 룸바, 차차차 등의 라틴 리듬의 춤이 미국을 중심으로 유행했고, 그 후 질바, 고고, 트위스트도 붐이 되었다.[77] 1970년대에는 세계적인 디스코 붐이 일어 밤프, 워터게이트, 허슬, 버스 스톱, 스팽크 등이 유행했다.[78]

3. 1. 기원

초기 춤의 고고학적 증거는 인도 빔베트카 암석보호구의 9,000년 된 회화와, 춤추는 사람을 그린 이집트의 무덤 벽화를 포함하며, 이는 기원전 3,300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6] 문자가 발명되기 전에는 춤은 세대 간에 이야기의 구전과 공연의 중요한 일부가 된 것으로 제안되었다.[86]

춤에 대한 참고 문헌은 초기의 기록 역사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리스의 춤(Horos)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루타르코스, 루키아노스에 의해 참조된다.[87] 성경탈무드는 서른 가지의 다른 춤 용어를 포함하여 춤에 관한 수많은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88]

예술 가운데 가장 원초적인 것이 소리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소리가 나오려면 육체의 일부가 우선 진동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원초적인 예술 수단은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원시 시대의 인간 사회는 치졸한 집단 행사를 영위했다. 종교 행사, 모방, 전쟁과 수렵이 그 대표적인 것이며, 개인적 행사로는 성적 충동의 표현이다. 원시 시대의 춤은 아니지만, 원시적 형태의 춤으로 탈춤(가면무)을 들 수도 있다. 탈춤은 무속적인 관념으로서 병을 추방하는 행사 또는 재앙이나 액운을 쫓아내는 행사로서 추었다.

우리는 현존하는 어떤 민족의 춤이나 고대 조각 등을 통하여 원시 춤의 모습을 추측하고, 모든 민족이 예부터 춤을 사랑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원시의 인간은 그들 자신의 정체, 우주나 자연의 정체를 알지 못했다. 뇌명, 폭풍, 일식과 같은 갑작스러운 사건 속에서 그들을 지배하는 위력 있는 존재를 느꼈다.

그들은 신을 인간의 세계로 초대하기 위해, 신과의 대화를 위해, 신을 숭배하기 위해 춤을 추었다.

바로 여기에 모든 춤이 지니는 원시적인 모습이 있다. 그들의 춤은 죽음, 탄생, 사랑, 전쟁, 평화, 질병, 건강, 수확, 천재 등과 결부되고 있었다. 그들은 춤에 몰입함으로써 새로운 힘을 부여받았던 것이다. 그리고 춤은 현재의 자신에게서 나오는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원시 춤은 제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생활의 실용적 의미를 가지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고 보겠다. 제의와 춤의 연결은 그 후 시대와 민족에 따라 양식을 달리했으며, 또한 생활에 있어서의 의미와 역할을 바꾸어 가면서 한국의 향토 예능처럼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존속하고 있다.

이러한 춤의 원시 형태는 종교 춤, 모방 춤, 수렵 춤, 전쟁 춤, 노동 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종교 춤-일체의 종교적인 행사의 색채를 지니는 춤.

# 모방 춤-사람 또는 사물의 꼴을 모방하는 춤.

# 수렵 춤-생명 보존의 양식으로 들짐승들을 잡기 위해 추는 것으로 짐승들이 무서워하는 춤.

# 전쟁 춤-사회가 좀 더 조직화된 뒤에 다른 종족이나 부족과 싸울 때 자기네 종족의 사기를 돋우기 위한 춤.

# 노동 춤-훨씬 후세에 발생된 춤으로서, 농경 시에 힘을 돋우기 위해 추어진 춤.

빔베트카의 중석기 시대 무용가들


사산 왕조 시대의 그릇에 그려진 무용수와 음악가들, 이란


베일을 쓴 가면을 쓴 무용수의 그리스 청동상, 기원전 3~2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3. 2. 한국 춤의 역사

춤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초기 인도 마디아프라데시주 빔베트카 암석보호구에서 발견된 1만 년 전의 그림과, 기원전 3300년경의 고대 이집트 무덤 벽화에 그려진 춤추는 인물들이 있다.[2][3] 문자 발명 이전, 춤은 구전과 공연을 통해 이야기를 다음 세대로 전승하는 중요한 부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많은 현대 원주민 문화에서 볼 수 있듯이, 황홀경 무아지경과 치유 의식에서 춤의 사용은 춤의 사회적 발전에 있어 또 다른 초기 요인으로 여겨진다.[4]

춤에 대한 언급은 매우 초기의 기록된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리스 춤(''코로스'')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루타르크 및 루키아누스가 언급했다.[5] 성경탈무드는 춤과 관련된 많은 사건들을 언급하며 30가지가 넘는 다양한 춤 용어를 담고 있다.[6] 중국 신석기 시대 초기 도자기에는 손을 잡고 줄지어 춤추는 사람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7] "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중국어 단어는 갑골문에 쓰여 있다.[8] 춤은 ''여씨춘추''에 묘사되어 있다.[9][10] 고대 중국의 원시 춤은 마법과 주술 의식과 관련이 있었다.[11]

기원전 1천년 동안 인도에서는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을 체계화하려는 많은 경전들이 편찬되었다. 바라타 무니의 ''나타샤스트라''(문자 그대로 "극예술의 경전")는 초기 경전 중 하나이다. 이 책은 주로 인도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춤이 포함된 연극을 다룬다. 그 이후로 인도에서는 춤의 강력한 전통이 현대까지 이어져 문화, 의식, 발리우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계속 역할을 하고 있다. 많은 다른 현대 무용 형태 또한 역사적, 전통적, 의식적 및 민족적 춤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2]

4. 춤의 특징

춤은 인간의 신체를 소재로 하고, 그 움직임을 매체로 하여 율동적인 조직으로 상징화된 형식을 지닌다는 특징이 있다.[73] 무용이 생명의 약동감과 도취감을 주는 것은 신체라는 매체의 특성에 기인한다. 신체 움직임은 언어를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몸짓이며, 감정이 고조될 때 나타나는 신체 표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몸짓은 일상생활에서 이미 나타나며, 예술 이전에도 자기표현의 역할을 수행한다.

신체 동작이 율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유아의 놀이에서도 볼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는 사람들의 소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제사 등과 관련되어 나타났다. 또한, 사람들에게 친밀감과 연대감을 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점에서 춤은 가장 원초적인 인간 표현 수단이며, 인류 역사와 함께 해온 모든 예술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춤은 각 시대와 생활을 반영하며 다양하게 분화, 발전해왔다.[73]

영어의 'dance'는 고대 라틴어 'deante'에서 유래되었으며, '긴장과 이완의 연속'을 의미한다.[73] 일본에서는 '무답'(ぶとう)으로 번역되었으나, 쓰보우치 쇼요가 '무용'으로 번역한 후 이 용어가 일반화되었다.[73] 쓰보우치 쇼요는 1904년 "신극론"에서 '무용'(ぶよう)이라는 번역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쓰보우치 쇼요와 후쿠치 오치가 만든 새로운 단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맘보, 룸바, 차차차 등 라틴 리듬의 춤이 미국을 중심으로 유행했고, 이후 질바, 고고, 트위스트도 인기를 얻었다.[77] 1970년대에는 세계적인 디스코 열풍으로 밤프, 워터게이트, 허슬, 버스 스톱, 스팽크 등이 유행했다.[78]

어떤 테마를 가진 일정한 시간과 공간에서의 신체 움직임의 집합(결과)을 춤의 궤적이라고 하며, 신체의 높이, 방향, 체형, 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을 만들어낸다.[74] 일반적으로 직선, 삼각형, 사각형, 지그재그 등 직선적인 춤의 궤적은 강하고, 날카롭고, 딱딱한 인상을 준다.[75] 반대로 원, 타원, 반원, 파형 등 곡선적인 궤적은 약하고, 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74]

춤의 반주 형식에는 타악기 반주나 음악 반주 외에도, 신체의 움직임 자체가 반주로 기능하는 무음악 무용도 있다.[82] 원래 고전 무용 등에서는 발로 밟아 장단을 맞추었는데, 이것이 북이나 장고와 같은 타악기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76]

4. 1. 춤의 소재

춤의 소재는 살아 있는 인간의 신체 그 자체이다. 남성, 여성, 어린이 등 인적 구성에 따라 작품의 내용은 달라진다. 남성은 역량감, 여성은 유연함이나 섬세함, 어린이는 사랑스러움을 표현한다. 이러한 소재의 특성을 살려 개성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춤의 묘미이자 기법이다. 춤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을 도구로 사용한다. 정신은 실재하며, 춤에서 몸과 정신을 통해 표현이 가능하다. 정신을 통한 표현은 사람에게 감응하며 전달된다.

춤은 보통 음악과 함께 공연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탭댄스나 검보트 댄스처럼 춤 자체가 음악적 반주를 제공하기도 한다. 지그, 왈츠, 탱고, 디스코, 살사 등은 전통적인 춤과 음악이 결합된 예시이다. 바로크 음악과 바로크 댄스처럼 춤과 음악이 평행하게 발전하기도 하고, 고전주의 음악과 클래식 발레처럼 별도로 발전하기도 한다. 안무와 음악은 서로를 보완하여 이야기를 표현한다.[13]

리듬과 춤은 역사적으로 깊게 연관되어 있다. 미국의 무용가 테드 션(Ted Shawn)은 "춤 연구의 기반이 되는 리듬이라는 개념은 영원히 이야기해도 끝나지 않을 주제이다."라고 말했다.[14] 음악적 리듬에는 템포를 설정하는 규칙적인 맥박과 강세 및 휴지의 패턴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탱고 리듬


춤은 특징적인 템포와 리듬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탱고는 보통 2/4 박자로 분당 약 66비트의 속도로 춘다. 기본적인 느린 스텝은 한 비트 동안 지속되며, "오른쪽-왼쪽" 스텝은 2/4 마디와 같다.[15] 반복적인 신체 움직임은 "강한"과 "약한" 근육 움직임의 교대에 의존한다.[16] 인체의 좌우대칭으로 인해 많은 춤과 음악은 2박자와 4박자이다. 어떤 움직임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3박자 춤 리듬도 존재한다.[17] 발칸의 민속무처럼 복잡한 리듬에 의존하는 춤 전통도 있다.

''룰룰라운드 – 춤추는 소녀'' (회화 및 비단 천. A.L. 발드리 1901, p. 107 이전). 비문: "춤은 리듬의 한 형태이다/ 리듬은 음악의 한 형태이다/ 음악은 사고의 한 형태이다/ 그리고 사고는 신성의 한 형태이다."


음악 반주는 초기 춤에서 등장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춤의 기원을 신 아토투스(Athotus)에게 돌렸다. 르네상스 시대 무용가 구글리엘모 에브레오 다 페사로(Guglielmo Ebreo da Pesaro)는 춤을 내면의 정신적 움직임에서 비롯되어 표현하는 육체적 움직임으로 묘사했다.[16] 마그데부르크의 메히틸트(Mechthild of Magdeburg)는 춤을 신성한 삶의 상징으로 보았다. 토아누 아르보(Thoinot Arbeau)의 ''오르케소그라피(Orchésographie)''는 80개가 넘는 드럼 리듬 정의로 시작한다.[20]

헬렌 몰러(Helen Moller)


왈츠(카미유 클로드(Camille Claudel), 1905년 주조)


원시 음악이 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션은 춤이 "인류 최초의 예술이며, 다른 모든 예술이 자라나는 기반"이라고 말했다.[14] 퍼시 스콜스(Percy Scholes)는 음악의 규칙적인 마디, 박자, 음절 등이 춤의 영향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한다.[21] 션은 "음악 없이도 춤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음악은 춤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설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두 예술은 항상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22] 공통미터(Common metre)와 캐롤(Carol)은 춤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많은 음악 작품들이 "왈츠"나 "미뉴엣"으로 명명되었고, 추상적인 음악 작품을 기반으로 한 콘서트 댄스도 제작되었다. 시는 춤이나 음악 작품의 이름을 따서 구조화되고 명명되기도 한다.

션은 달크로즈(Dalcroze)의 말을 인용하며, 음악적 리듬의 예술과 "플라스틱 리듬"(춤)의 예술을 비교한다. 션은 음악 시간 시스템은 "인위적인 것"이지만, 리듬은 "항상 존재했고 인간에게 전혀 의존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음악은 춤의 가치와 시간 인식으로 돌아감으로써 되살아날 수 있다고 제안한다.[23] 20세기 초 미국의 무용가 헬렌 몰러(Helen Moller)는 "처음부터 음악, 시, 춤을 뗄 수 없는 결합으로 묶어 온 것은 화성과 색채가 아니라 리듬과 형식이다"라고 말했다.[24]

참여형 사회적 민속 무용의 한 형태인 콘트라 댄스(contra dance)


사교 춤은 참여를 위해 고안되었으며, 왈츠폴카와 같은 용어는 춤과 음악 작품을 모두 가리킨다. 탭댄스처럼 춤추는 사람들의 발소리가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기도 한다. 아프리카 춤은 고정된 기본 동작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리듬 해석의 높은 자유도를 허용한다. 최고의 댄서들은 다양한 리듬 패턴(폴리리듬(polyrhythm))을 동시에 표현해낸다.[37]

4. 2. 움직임의 상징

춤의 특성은 인간의 신체를 소재로 하고, 그 살아있는 움직임을 매체로 하여 율동적인 조직으로 상징화된 형식을 지닌다는 점에 있다. 무용이 본질적으로 생명의 약동감, 도취촉합감을 가져다주는 것은 이 매체의 특질에 말미암은 바가 크다. 신체의 움직임은 언어를 대변하고 보완하는 몸짓으로서 또한 감정의 고양에 수반되는 신체 표정으로서 이미 일상생활 속에 있으며, 예술 이전에 무언의 자기 표현적인 임무를 다하고 있다. 신체동작의 율동화는 발달 과정 면에서 살펴보면 유아의 유희에서도 나타나 있으며, 사적으로는 예로부터 사람들의 소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제사 등과 결부되어 나타나고 동시에 사람들에게 친화와 연대감을 가져다주는 유대의 작용을 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미에서 무용은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표현 수단이며, 인간의 역사와 함께 살아온 모든 예술의 원형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무용은 각 연대와 생활을 반영하며, 다양한 표현으로서 분화·발전하고 있다.[14]

무용에 대한 정의는 시대에 따라 변천해 왔다.

  • 1721년: "무용은 조화적인 아름다운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우아하고 규칙적인 움직임이다."[14]
  • 1772년: "음악적인 악기나 목소리의 반주에 맞춘 도약 또는 율동적인 스텝 같은, 질서가 갖춰진 신체의 움직임이다."[14]
  • 1895년: "일정한 상태로 조화하여, 어떤 표현을 운동으로 바꾸어 놓는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연기이다."[14]
  • 1934년: "일정한 리듬과 의식적인 기법에 따라서 예정된 공간을 나아가는 신체의 연속적인 움직임이다."[14]


오늘날 춤은 시간적·청각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음악과 관련되며, 공간적·시각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서는 조형과도 접근되고, 신체를 소재·매체로 하는 점에서는 연극과도 친근성이 있는 시공성이 있는 예술이라고 보고 있다. 예술로서의 무용은 언어나 문자의 게재 없이, 작자의 내적인 이미지를 직접 운동적인 심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그것의 표출·형성과 전달을 꾀하는 데에 독자적인 영역을 갖는다.

S.K. 랭거는 춤을

:① 동적인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만 존재하고,

:② 율동적인 작용으로 결합되며,

:③ 유기적으로 구성된

:④ 성장과 쇠퇴의 변증법인 것이라고 하였으며,

살아 있는 형식인 '역동적인 힘의 가상'으로서 그 본질을 포착하고 있다.

리듬과 춤은 역사적, 실제적으로 깊게 연관되어 있다. 미국의 무용가 테드 션은 "춤 연구의 기반이 되는 리듬이라는 개념은 영원히 이야기해도 끝나지 않을 주제이다."라고 썼다.[14] 음악적 리듬에는 템포를 설정하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맥박과, 음량 또는 기본 리듬 패턴의 특성을 설정하는 강세와 휴지의 패턴이라는 두 가지 주요 요소가 필요하다. 기본 맥박은 단순한 발걸음이나 제스처의 지속 시간과 거의 같다.

춤은 일반적으로 특징적인 템포와 리듬 패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탱고는 보통 2/4 박자로 분당 약 66비트의 속도로 춘다. "슬로우"라고 불리는 기본적인 느린 스텝은 한 비트 동안 지속되므로, 완전한 "오른쪽-왼쪽" 스텝은 2/4 마디와 같다. 춤의 기본적인 앞뒤 걷기는 "슬로우-슬로우"로 계산되는 반면, 많은 추가적인 동작들은 "슬로우-퀵-퀵"으로 계산된다.[15]

반복적인 신체 움직임은 종종 "강한"과 "약한" 근육 움직임의 교대에 의존한다.[16] 좌우, 앞뒤, 상승-하강의 교대와 인체의 좌우대칭을 고려할 때, 많은 춤과 음악은 2박자와 4박자이다. 망치를 드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내려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지는 등, 어떤 움직임은 다른 움직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부 춤 리듬은 3박자에 해당한다.[17] 때로는 발칸의 민속무처럼, 춤 전통은 더 복잡한 리듬에 크게 의존한다. 고정된 순서의 스텝으로 구성된 복잡한 춤은 그 순서에 맞춰 특정 길이의 음절과 선율이 필요하다.

음악 반주는 초기 춤에서 등장하여 고대 이집트인들은 춤의 기원을 신 아토투스에게 돌렸는데, 그는 종교 의식에 음악이 수반되면 참가자들이 리듬감 있게 움직이고 그러한 움직임을 비례적인 척도로 가져왔다고 말했다. 춤이 음악적 리듬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은 르네상스 유럽에서 무용가 구글리엘모 에브레오 다 페사로의 작품에서 발견되었다. 페사로는 춤을 내면의 정신적 움직임에서 비롯되어 표현하는 육체적 움직임으로 묘사하며, 인간의 귀에 들리는 "조화의 척도와 완벽한 화음"과 일치한다고 말한다.[16] 그 이전에 마그데부르크의 메히틸트는 "내가 피리를 불었으나 너희는 춤추지 아니하였고"라는 예수의 말씀을 신성한 삶의 상징으로 춤을 포착하여 다음과 같이 썼다.

춤은 음악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 것으로 오랫동안 묘사되어 왔지만, 린컨 커스틴이 암시했듯이, 원시 음악이 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적어도 그만큼 높다. 션은 춤이 "인류 최초의 예술이며, 다른 모든 예술이 자라나는 기반"이었고, 심지어 "오늘날 우리 시의 운율조차도 춤과 낭송이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체 움직임이 필요로 하는 강세의 결과"라고 말하며 동의한다.[14] 이 주장은 시의 기본적인 리듬 단위를 설명하는 데 "피트"라는 용어의 일반적인 사용에 의해 어느 정도 뒷받침된다.

음악가 퍼시 스콜스는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며, 음악의 규칙적인 마디, 2박자, 3박자 또는 4박자, 균형 잡힌 음절, 규칙적인 종지, 대조와 반복은 모두 음악에 대한 춤의 "측정할 수 없는" 영향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한다.[21]

션은 "음악 없이도 춤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음악은 춤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설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두 예술은 항상 관련이 있으며, 그 관계는 춤과 음악 모두에 유익할 수 있다"[22]고 말하며, 어떤 예술이 다른 예술보다 우선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라고 한다. 찬송가와 민요의 공통미터는 춤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원래 원무였던 캐롤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순수 음악 작품들이 "왈츠" 또는 "미뉴엣"으로 명명되었고, ''2부와 3부 발명곡, 애덤스 바이올린 협주곡, 안단티노''와 같이 추상적인 음악 작품을 기반으로 한 많은 콘서트 댄스가 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시는 종종 춤이나 음악 작품의 이름을 따서 구조화되고 명명되며, 춤과 음악은 모두 시에서 "마디" 또는 "운율"의 개념을 이끌어냈다.

션은 달크로즈의 진술을 찬성하며 인용한다. 음악적 리듬의 예술은 "생리적 법칙에 따라" 시간 지속, 휴지 및 강세를 구별하고 결합하는 것이지만, "플라스틱 리듬"(즉, 춤)의 예술은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지정하고, 느린 움직임으로 긴 시간 값을, 빠른 움직임으로 짧은 시간 값을 해석하며, 다양한 연속으로 휴지를 조절하고, 신체 무게의 추가, 근육 신경 자극을 통해 다양한 미묘한 부분에서 소리의 강세를 표현하는 것"이다.

션은 음악 시간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인위적인 것... 제조된 도구인 반면, 리듬은 항상 존재했고 인간에게 전혀 의존하지 않는 것"이며, "우리 인간의 마음이 편리한 단위로 자르는 연속적인 흐르는 시간"이라고 지적하며, 음악은 춤의 가치와 시간 인식으로 돌아감으로써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23]

20세기 초 미국의 무용가 헬렌 몰러는 "처음부터 음악, 시, 춤을 뗄 수 없는 결합으로 묶어 온 것은 화성과 색채가 아니라 리듬과 형식이다"라고 말했다.[24]

관객을 위한 것이 아니라 참여를 위해 고안된 사교 춤에는 다양한 형태의 흉내내기와 이야기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음악의 리듬 패턴에 훨씬 더 밀접하게 맞춰져 있기 때문에 왈츠폴카와 같은 용어는 춤 자체만큼이나 음악 작품을 가리키기도 한다. 탭댄스처럼 춤추는 사람들의 발소리가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기도 한다. 아프리카 춤은 고정된 기본 동작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리듬 해석의 높은 자유도를 허용할 수도 있다. 발이나 몸통이 기본 박자를 만들어내는 동안 어깨, 무릎 또는 머리가 크로스 리듬을 만들어내며, 최고의 댄서들은 다양한 리듬 패턴(폴리리듬)의 모든 요소를 동시에 표현해낸다.[37]

모든 민족은 고유의 춤을 가지고 있으며, 춤의 역사는 인류 역사와 마찬가지로 오래되었다.[73] 또한 동물(특히 조류)에게도 고유한 춤이 보이는 것으로부터, 춤은 생명에 내재하는 근원적인 활동이라고도 불린다.[73]

인류사에서는 구석기 시대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에 사람들이 춤추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73] 일본의 고사기아마노이와토 신화에서는 바위굴에 몸을 숨긴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아메노우즈메노미코토의 춤을 보고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고 되어 있으며, 춤이 생명 활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73]

춤은 인간의 기도와 소망을 신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여겨져 주술적인 의미를 지니며, 종교적 의례 외에도 노동이나 전투에서의 의식 고양, 성년 통과의례 등에 사용되어 왔다.[73] 한편 춤은 레크리에이션이나 레저, 예술이나 스포츠 분야에서도 고유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장르로 발전했다.[73]

어떤 테마를 가진 일정한 시간과 공간에서의 신체 움직임의 집적(결과)을 춤의 궤적으로 말하며, 신체의 높이, 방향, 체형, 위치 등에 따라 각각 고유한 표출을 가져온다.[74] 일반적으로 직선, 삼각형, 사각형, 지그재그 등 직선적인 춤의 궤적을 가진 움직임은 강하고, 날카롭고, 딱딱한 등 산뜻한 인상을 준다.[75] 반대로 원, 타원, 반원, 파형 등 곡선적인 춤의 궤적을 가진 움직임은 약하고, 둔하고, 부드러운 등의 인상을 준다고 여겨진다.[74]

춤의 반주 형식에는 타악기 반주나 음악 반주 외에도, 신체의 움직임 그 자체가 반주로 기능하는 무음악 무용도 있다.[82] 원래는 고전 무용 등에서는 발로 밟아 장단을 맞추었던 것이며, 이것이 북이나 장고와 같은 타악기의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다.[76]

영어의 dance는 고대 라틴어의 deante가 어원으로 되어 있으며, 그 원의는 "긴장과 이완의 연속"을 의미한다.[73] 일본어에서는 '''무답'''(ぶとう)로 번역되었지만, 쓰보우치 쇼요가 "무용"으로 번역한 이후로는 이쪽이 일반화되었다.[73] 쓰보우치 쇼요는 "신극론"(1904년)에서 '''무용'''(ぶよう)이라는 번역을 사용했지만, 이것은 쓰보우치 쇼요와 후쿠치 오치에 의한 신조어이다. 전후에는 맘보, 룸바, 차차차 등의 라틴 리듬의 춤이 미국을 중심으로 유행했고, 그 후 질바, 고고, 트위스트도 붐이 되었다.[77] 또 1970년대에는 세계적인 디스코 붐이 되어 밤프, 워터게이트, 허슬, 버스 스톱, 스팽크 등이 유행했다.[78]

4. 3. 춤의 미(美)

춤의 특성은 인간의 신체를 소재로 하고, 그 살아있는 움직임을 매체로 하여 율동적인 조직으로 상징화된 형식을 지닌다는 점에 있다. 무용은 본질적으로 생명의 약동감, 도취촉합감(觸合感)을 가져다주는데, 이는 매체의 특질에 따른 것이다. 신체의 움직임은 언어를 대변하고 보완하는 몸짓이자 감정 고양(高揚)에 수반되는 신체 표정으로서, 이미 일상생활 속에 존재하며 예술 이전에도 무언(無言)의 자기표현적 임무를 수행한다. 신체 동작의 율동화는 유아(幼兒)의 유희에서도 나타나며, 역사적으로는 예로부터 사람들의 소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제사(祭事) 등과 결부되어 나타났다. 또한 사람들에게 친화(親和)와 연대감(連帶感)을 가져다주는 유대(紐帶)의 작용을 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미에서 무용은 가장 원초적(原初的)인 인간의 표현 수단이며,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 온 모든 예술의 원형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무용은 각 시대와 생활을 반영하며, 다양한 표현으로 분화·발전하고 있다.

무용에 대한 정의(定義)는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연도정의
1721년"무용은 조화적(調和的)인 아름다운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우아하고 규칙적인 움직임이다."[89]
1772년"음악적인 악기나 목소리의 반주에 맞춘 도약 또는 율동적인 스텝 같은, 질서가 갖춰진 신체의 움직임이다."[89]
1895년"일정한 상태로 조화(調和)하여, 어떤 표현을 운동으로 바꾸어 놓는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연기이다."[89]
1934년"일정한 리듬과 의식적(意識的)인 기법(技法)에 따라서 예정된 공간을 나아가는 신체의 연속적인 움직임이다."[89]



오늘날 춤은 시간적·청각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음악과 관련되며, 공간적·시각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서는 조형(造形)과도 접근된다. 또한 신체를 소재(素材)·매체(媒體)로 하는 점에서는 연극과도 친근성이 있는 시공성(時空性) 예술로 간주된다. 예술로서의 무용은 언어나 문자 없이 작가의 내적인 이미지를 직접 운동적인 심볼로 바꾸어 표현·형성·전달하는 독자적인 영역을 갖는다.

S.K. 랭거는 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 동적인 움직임이 계속되는 동안만 존재한다.
  • 율동적인 작용으로 결합된다.
  •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 성장과 쇠퇴의 변증법이다.


S.K 랭거는 살아있는 형식인 '역동적(力動的)인 힘의 가상(假象)'으로서 춤의 본질을 포착하고 있다. 춤 작품의 감상은 임시적인 출현[89]이 누적되는 과정에서 성립되는 작가와 감상자 간의 미적 상호 교섭(美的相互交涉)이라는 특색을 지닌다. 주제에 의해 강하게 성격지어진 일련의 움직임은 감상자로 하여금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며, 그 생성 발전 과정 속에서 작품의 경향성(傾性)이 점차 밝혀짐으로써 하나의 통합된 사상과 감정의 미적(美的) 출현으로서 그 성격이 형성되고 전달된다. 사라져 가는 가상(假象)인 작품의 감상(鑑賞)에는 작품의 표현성뿐만 아니라 감상자의 개성과 자세도 작용하며, 보는 측의 가소성(可塑性)의 율도 상당히 커지는 특성이 나타난다. 감상의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작품은 감정의 질과 감정의 형(型)이 상호 접근함으로써 포착된다. 감정의 질이란 우리가 기쁨과 괴로움을 직접 느끼게 되는 감정의 성질이며, 감정의 형이란 그 근저에서 지주(支柱)를 이루는 원형적(原型的)인 작용이다. 예를 들어 벅찬 환희, 격렬한 고뇌와 같이 환희와 고뇌는 쾌(快)·불쾌의 양극적 감정이면서도 '격렬하다'라는 표현 방법의 원형(原型)을 공유(共有)할 수 있다. 무용 작품은 이처럼 격렬함, 부드러움, 딱딱함, 유동(流動), 단속(斷續) 등의 원형, 즉 '감정의 형(型)'을 지니는 움직임으로서 내부적으로 생명이 부여되며, 외부적으로는 '감정의 질'을 달리하는 움직임으로 살붙임 된 새로운 출현으로 볼 수 있다. 작품은 또한 개별 작품의 독자성을 초월하여 민족적 경향과 성격을 지니며, 오늘날의 다채로운 무용 문화를 탄생시키고 있다.

발레의 완전한 외전(外轉)과 섬세한 율동은 외연적(外延的)·원심적(遠心的)인 기법(技法)으로서 비상적(飛翔的)·환상적인 미를 실현한다. 한국 무용의 우아한 율동미와 스페인 무용의 내연적(內燃的)인 격렬성 등은 각각 민족적인 특성미를 보여준다. 특히 기법의 고정화(固定化)에 저항하며 현대적인 스피드와 다이내믹스를 지닌 불협화(不協和)한 미를 개척하는 현대 무용과 재즈 댄스의 신선성(新鮮性)도 간과할 수 없다.

오늘날 춤 작품은 구상적(具象的)·비구상적인 작풍, 의미적·감정적인 것에서부터 개념적·기계적인 것까지, 그리고 의도적(意圖的)인 것에서부터 우연적·현상적인 것을 바라보는 접근을 포함하여 내용과 형식 면에서 매우 폭넓게 나타난다. '생명의 욕구'에서 비롯된 미의 표현은 민족성, 전승 문화(傳承文化), 생활 계층과 세대, 그리고 개인의 개성에 따라 다르며, 유동성을 가지고 생성, 발전, 승화, 소멸(消滅)한다.

급속한 근대화가 이루어진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생명을 발현(發現)시킬 수 있는 터전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잃어가는 인간성을 회복하고, 사람들 사이의 영혼적인 대화를 생생하게 부활시키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춤은 매우 귀중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5. 춤의 분류

춤은 그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크게 예술로서의 춤, 민속춤, 사교춤, 대중 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발레: 1489년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프랑스에서 발전한 무용극이다. 루이 14세는 발레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발레는 토우 슈즈를 신고 추며, 직선적이고 균형 잡힌 동작으로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심리적인 주제를 다루기도 하며, 형식미를 추구하는 문학성과 음악성이 강한 춤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백조의 호수>가 있다.
  • 현대 무용: 이사도라 덩컨이 발레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움직임을 통해 새로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시작한 무용 혁명이다. 토우 슈즈를 벗고 자유롭게 신체를 사용하며, 균형을 무시한 굴곡적인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한다. 창작 무용 또는 모던 댄스라고도 불리며, 전인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루돌프 폰 라반과 메리 비그만이 현대 무용을 확립했다.
  • 민속 무용: 포크 댄스 또는 캐릭터 댄스라고도 불리며, 전근대 봉건시대에 사회 집단이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민속예술이다. 유럽의 마주르카, 미누에트, 트로이카, 챠르다스, 타란텔라 등과 한국의 탈춤, 승무, 농악춤, 무당춤 등이 있다. 소박하고 단조로워 배우기 쉽다.
  • 사교 춤: 민속 무용, 라인 댄스, 원무, 체인 댄스, 스퀘어 댄스와 같은 단체 무용이나 볼룸 댄스와 같은 파트너 댄스 등 주로 사회적 상호 작용이나 운동, 또는 참가자의 유연성 향상과 같은 공통된 목적을 위해 행해진다.


이 외에도 춤은 지향성에 따라 사교춤처럼 의사소통이 중요한 의사소통형과, 현대무용처럼 이미지나 주제의 표현이 중요한 표현형으로 나눌 수 있다.[73] 또한, 스타일에 따라 민속무용처럼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공식화되어 있는 것과, 브레이크댄스처럼 자유도가 높은 것이 있다.[73]

춤은 지향성을 세로축으로, 스타일을 가로축으로 하여 리듬 댄스 계열, 사교 댄스 계열, 민족 댄스 계열, 현대 댄스 계열의 4가지로 나눌 수 있다.[73]

5. 1. 예술로서의 춤

르네상스 이후, 춤은 실용적인 목적에서 벗어나 개인의 표현과 개성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민속춤과는 다른 예술로서의 춤이 나타났다. 20세기에 이사도라 덩컨, 미하일 포킨, 디아길레프, 루돌프 폰 라반, 메리 비그만 등은 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름다움과 정신적인 측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1] 오늘날 예술 무용의 주류는 발레현대 무용이다.

미국의 재즈 무용단 단원들이 콘서트 무용 공연에서 공식적인 단체 루틴을 선보이고 있다.


연극 무용(극장 무용 또는 콘서트 무용)은 주로 관객을 위한 공연을 목적으로 하며, 보통 무대에서 뛰어난 무용수들이 공연한다. 마임, 의상, 무대 장치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거나, 음악 반주를 해석하기도 한다. 음악은 종종 극장 환경을 위해 특별히 작곡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서양의 발레현대 무용, 인도 고전 무용(바라타나티얌 등), 중국과 일본의 노래와 춤 드라마(용춤 등)가 그 예이다. 대부분의 고전 형식은 춤에만 중점을 두지만, 연극 무용은 오페라 및 기타 뮤지컬 형식에도 등장할 수 있다.

참여형 무용은 민속 무용, 사교 무용, 라인 댄스, 원무, 체인 댄스, 스퀘어 댄스와 같은 단체 무용 또는 볼룸 댄스와 같은 파트너 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춤들은 주로 사회적 상호 작용이나 운동, 유연성 향상과 같은 공통된 목적을 위해 행해지며, 관객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단체 무용과 ''코르 드 발레'', 사교 파트너 댄스와 ''파 드되''는 매우 다르다. 독무나 해석 무용조차도 무용수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만 행해질 수 있다.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레이브 문화에서는 거대한 군중이 주변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지 않는 자유로운 춤에 참여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문화권에서는 특정 춤에 대한 엄격한 규칙을 정하기도 한다.[1]

춤은 음악과 함께 공연되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음악의 박자에 맞춰 공연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탭댄스나 검보트 댄스와 같이 일부 춤은 자체적인 청각적 반주를 제공할 수 있다. 지그, 왈츠, 탱고, 디스코, 살사 등은 전통적인 춤과 음악의 결합의 예시이다. 바로크 음악과 바로크 댄스와 같이 일부 음악 장르는 평행적인 춤 형태를 가지고 있다. 고전주의 음악과 클래식 발레와 같이 별도로 발전했을 수 있지만, 춤과 음악은 명칭을 공유할 수 있다. 안무와 음악은 서로를 보완하여 안무가와 무용수가 전달하는 이야기를 표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13]

리듬과 춤은 역사적으로 깊게 연관되어 있다. 미국의 무용가 테드 션(Ted Shawn)은 "춤 연구의 기반이 되는 리듬이라는 개념은 영원히 이야기해도 끝나지 않을 주제이다."라고 언급했다.[14] 음악적 리듬에는 템포를 설정하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맥박(pulse)과, 음량(Meter) 또는 기본 리듬 패턴의 특성을 설정하는 강세(Accent)와 휴지(Rest)의 패턴이라는 두 가지 주요 요소가 필요하다. 기본 맥박은 단순한 발걸음이나 제스처의 지속 시간과 거의 같다.

춤은 일반적으로 특징적인 템포와 리듬 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탱고는 보통 2/4 박자로 분당 약 66비트의 속도로 춘다. "슬로우(slow)"라고 불리는 기본적인 느린 스텝은 한 비트 동안 지속되므로, 완전한 "오른쪽-왼쪽" 스텝은 2/4 마디와 같다. 춤의 기본적인 앞뒤 걷기는 "슬로우-슬로우"로 계산되는 반면, 많은 추가적인 동작들은 "슬로우-퀵-퀵"으로 계산된다.[15]

음악 반주는 초기 춤에서 등장하여 고대 이집트인들은 춤의 기원을 신 아토투스(Athotus)에게 돌렸는데, 그는 종교 의식에 음악이 수반되면 참가자들이 리듬감 있게 움직이고 그러한 움직임을 비례적인 척도로 가져왔다고 말했다. 춤이 음악적 리듬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은 르네상스 유럽에서 무용가 구글리엘모 에브레오 다 페사로(Guglielmo Ebreo da Pesaro)의 작품에서 발견되었다. 페사로는 춤을 내면의 정신적 움직임에서 비롯되어 표현하는 육체적 움직임으로 묘사하며, 인간의 귀에 들리는 "조화의 척도와 완벽한 화음"과 일치한다고 말한다.[16]

춤은 음악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 것으로 오랫동안 묘사되어 왔지만, 린컨 커스틴(Lincoln Kirstein)이 암시했듯이, 원시 음악이 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적어도 그만큼 높다. 션은 춤이 "인류 최초의 예술이며, 다른 모든 예술이 자라나는 기반"이었고, "오늘날 우리 시의 운율조차도 춤과 낭송이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체 움직임이 필요로 하는 강세의 결과"라고 말했다.[14]

음악가인 퍼시 스콜스(Percy Scholes)는 음악의 규칙적인 마디, 2박자, 3박자 또는 4박자, 균형 잡힌 음절, 규칙적인 종지, 대조와 반복은 모두 음악에 대한 춤의 "측정할 수 없는" 영향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한다.[21]

션은 "음악 없이도 춤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음악은 춤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설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두 예술은 항상 관련이 있으며, 그 관계는 춤과 음악 모두에 유익할 수 있다"[22]고 말했다. 찬송가와 민요의 공통미터(Common metre)는 춤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원래 원무였던 캐롤(Carol)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순수 음악 작품들이 "왈츠" 또는 "미뉴엣"으로 명명되었고, ''2부와 3부 발명곡, 애덤스 바이올린 협주곡'', ''안단티노''와 같이 추상적인 음악 작품을 기반으로 한 많은 콘서트 댄스가 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시는 종종 춤이나 음악 작품의 이름을 따서 구조화되고 명명되며, 춤과 음악은 모두 시에서 "마디" 또는 "운율"의 개념을 이끌어냈다.

콘서트 무용은 오페라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형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서사적인 극적 구조에 의존한다. 안무의 움직임과 제스처는 주로 등장인물의 성격과 목표, 그리고 줄거리에서의 역할을 흉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9] 이러한 연극적인 요구사항은 비서사적 무용 스타일에서 일반적인 것보다 더 길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향하게 한다. 반면에 19세기에 발전한 ''발레 블랑''은 리듬 무용의 간주곡을 허용했는데, 이는 20세기에 완전히 "줄거리가 없는" 발레로 발전[30]했고, ''쁘띠 알레그로''와 같은 빠르고 리듬감 있는 춤 동작을 가능하게 했다. 잘 알려진 예로는 백조의 호수 2막의 ''작은 백조들의 춤''이 있다.

발레는 16세기와 17세기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궁정 연극 제작에서 발전했으며, 한동안 무용수들은 음악 모음곡에서 친숙한 것들에서 발전한 춤들을 공연했는데,[31] 이 모든 춤들은 각 춤과 밀접하게 관련된 명확한 리듬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춤들은 낭만적 민족주의 시대에 캐릭터 댄스로 등장했다.

발레는 낭만주의 시대에 널리 유행하게 되었고, 더 큰 오케스트라와 더욱 장대한 음악적 개념과 극적인 모방을 강조하는 무용이 함께 등장했다. 루돌프 라반이 움직임의 "리듬과 형태"라고 부르는 더 넓은 개념의 리듬이 필요했는데, 이것은 성격, 감정, 의도를 전달한다.[32]

가부키와 같은 일본 고전 무용극 스타일은 인도 무용극과 마찬가지로 서사적이고 추상적인 무용 작품을 구분한다. 가부키의 세 가지 주요 범주는 ''지다이모노''(역사극), ''세와모노''(일상극) 및 ''쇼사고토''(춤 작품)이다.[35] 노는 줄거리 전개와 행동 서술을 중심으로 하는 ''게키 노(Geki Noh)''와 곡예, 무대 소품, 여러 등장인물과 정교한 무대 연출을 포함하는 춤 작품인 ''후류 노(Furyū Noh)''를 구분한다.[36]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부지발의 무도회'' (1883)


유럽 전역의 민속 무용은 수백 년 또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지휘자가 이끄는 단체 참여, 참가자 간의 손잡기 또는 팔짱 끼기, 그리고 카롤(caroles)이라고 알려진 고정된 음악 형식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47] 메이폴 춤과 같이 많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고, 세일리와 폴카와 같이 단일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것도 있다. 스퀘어 댄스와 같은 일부 유럽 민속 무용은 신대륙으로 전파되어 이후 미국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수족의 ''버팔로 댄스'', 1894


아프리카계 미국인 무용은 무용 스튜디오, 학교 또는 단체가 아닌 일상적인 공간에서 발전했다. 탭댄스, 디스코, 재즈 댄스, 스윙 댄스, 힙합 댄스, 린디 홉과 록앤롤 음악 및 록앤롤 댄스와의 관계는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 클래식 발레 기법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무용을 융합한 무용 스타일도 21세기에 등장했는데, 힙릿이 그 예이다.[48]

스트릿 삼바 댄서들이 카니발 퍼레이드와 대회에서 공연하고 있다.


춤은 라틴 아메리카 사회생활과 문화의 중심에 있다. 브라질의 삼바, 아르헨티나의 탱고, 쿠바의 살사는 국제적으로 인기 있는 파트너 댄스이며, 다른 국가의 춤들—메렝게, 쿠에카, 플레나, 하라베, 호로포, 마리네라, 쿰비아, 바차타 등—은 각국의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다.[49] 전통적인 카니발 축제는 이러한 춤들을 포함한 다양한 춤들을 거대한 축제에서 선보인다.[50]

춤은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문화 및 민족 집단 간에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51] 춤은 이 지역의 많은 아프리카, 유럽 및 원주민들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했다.[49] 카포에이라와 같은 특정 춤 장르와 신체 움직임, 특히 특징적인 ''케브라다'' 또는 골반 스윙은 라틴 아메리카 역사를 통틀어 여러 차례 금지되고 기념되었다.[51]

춤에는 혼자 추는 춤(솔로)과 여러 명이 함께 추는 군무가 있다.[79] 혼자 추는 춤도 솔로 형식으로 그 자체가 하나의 완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그것들을 많이 모아도 집단 무용일 뿐 군무라고는 하지 않는다.[79] 군무는 두 명 이상이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복합적인 리듬에 맞춰 추는 춤으로,[80] 특히 복합 리듬을 통해 표현해야 할 주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81]

5. 1. 1. 발레

1489년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발전한 일종의 무용극(舞踊劇)이다. 특히 루이 14세는 발레 애호가로서, 자신도 직접 춤을 출 정도로 발레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발레는 대개의 경우 토우 슈즈를 신고 춤추며, 토우를 전제로 한 강인한 발레 기술 체계가 있다. 직선적·평형적이며 경묘(輕妙)한 기술로써 환상적인 미를 표현하거나, 인간 신체가 실현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개척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에는 심리적인 발레의 시도로 '결투', '탕아(蕩兒)', '우리', '불안한 시대'와 같은 주제가 나타나며 새로운 표현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클래식 발레, 로맨틱 발레, 모던 발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나, 그 내용이나 사조(思潮), 기교가 조금씩 다를 뿐 본질적으로 같은 경향을 가진다. 즉, 발레는 형식미(形式美)를 추구하는 문학성과 음악성이 농후한 춤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백조의 호수>가 있다.

20세기 콘서트 댄스는 더 자유로운 기법 탐구를 특징으로 하는 무용 스타일의 혁신적인 폭발을 가져왔다. 모던 댄스의 초기 개척자로는 로이 풀러, 아이소도라 던컨, 메리 위그먼, 루스 세인트 드니스가 있다. 에밀 자크-달크로즈가 고안한 유리쓰믹스는 마리 람베르와 같은 예술가들을 통해 모던 댄스와 모던 발레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루돌프 슈타이너와 마리 슈타이너-폰 지버스가 개발한 유리쓰미는 전통 무용을 연상시키는 형식적인 요소와 새로운 자유로운 스타일을 결합하고 무용에 복잡한 새로운 어휘를 도입했다. 1920년대에 마사 그레이엄과 도리스 험프리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의 중요한 창시자들이 그들의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무용 스타일이 개발되었다.[3]

5. 1. 2. 현대 무용

이사도라 덩컨이 발레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의 모든 움직임을 통해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조해야 한다는 이념으로 일으킨 무용 혁명이다. 19세기 후반, 자연과학의 발달과 사회 변화의 영향으로 사실주의 경향이 나타나면서 무용에도 혁명이 일어났다.

현대 무용은 토우 슈즈와 장식적인 의상을 벗어던지고 환상의 세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신체를 사용하며, 특히 균형을 무시한 굴곡적인 움직임을 개척했다. 이를 통해 죽음, 비참, 고뇌와 같은 어두운 면도 묘사할 수 있게 되었다.

현대 무용은 창작 무용 또는 '''모던 댄스'''라고도 불리며, 콘템포러리 댄스라고도 한다. 이념미를 추구하는 전인교육적 가치가 있어 한국에서는 교육 무용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이사도라 덩컨이 창시하고, 루돌프 폰 라반과 메리 비그만이 확립한 현대 무용은 발레와 대립되는 예술 무용이다. 전통적인 발레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된 새로운 무대 무용으로, 규정된 형식이나 기교를 벗어나 자유와 새로움을 추구하며 개성적인 표현력을 강조한다.

모던 댄스는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특성으로 인해 시대마다 양식이 다양하며, 시대와의 적합성이 중요하다. 반(反) 발레를 출발점으로 20세기에 개발된 창조성과 현대성을 명제로 하는 새로운 무대 무용이라고 할 수 있다.

  • '''루돌프 폰 라반'''(1879~1958): 헝가리 태생의 무용 이론가로, 그의 저서 『무용가의 세계』(1920), 『체조와 무용』(1925), 『안무』(1925) 등을 통해 세계 신무용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독일 신무용은 그의 이론에 기반하여 확립되었다.

5. 2. 대중 춤

춤은 일반적으로 음악과 함께 공연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음악의 박자에 맞춰 공연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탭댄스나 검보트 댄스처럼 일부 춤은 음악 대신 (또는 음악 외에) 자체적인 소리 반주를 제공하기도 한다. 음악과 춤의 초기 형태는 대부분 서로를 위해 만들어졌고, 자주 함께 공연된다. 전통적인 춤과 음악의 결합으로는 지그, 왈츠, 탱고, 디스코, 살사 등이 있다. 바로크 음악과 바로크 댄스처럼 일부 음악 장르는 짝을 이루는 춤 형태를 가지고 있다. 고전주의 음악과 클래식 발레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춤과 음악이 명칭을 공유하지만, 별도로 발전한 경우도 있다. 안무와 음악은 서로를 보완하며, 안무가와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표현한다.[13]

소피아(불가리아)의 팝 음악 콘서트에서 춤추는 두 여성


아프리카계 미국인 무용은 무용 스튜디오, 학교 또는 단체가 아닌 일상적인 공간에서 발전했다. 탭댄스, 디스코, 재즈 댄스, 스윙 댄스, 힙합 댄스, 린디 홉과 록앤롤 음악 및 록앤롤 댄스와의 관계는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 클래식 발레 기법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무용을 융합한 무용 스타일도 21세기에 등장했는데, 힙릿이 그 예이다.[48]

춤은 라틴 아메리카 사회생활과 문화의 중심에 있다. 브라질의 삼바, 아르헨티나의 탱고, 쿠바의 살사는 국제적으로 인기 있는 파트너 댄스이며, 메렝게, 쿠에카, 플레나, 하라베, 호로포, 마리네라, 쿰비아, 바차타 등 다른 국가의 춤들은 각국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다.[49] 전통적인 카니발 축제는 이러한 춤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춤들을 거대한 축제에서 선보인다.[50]

5. 2. 1. 민속 춤

잉글랜드 웰스 지방의 웰스 대성당(Wells Cathedral) 정원에서 추는 모리스 춤(Morris dancing)


민속춤은 포크 댄스 또는 캐릭터 댄스라고도 불리며, 전근대 봉건시대에 사회 집단이 집단의 흥취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놀이, 즉 민속예술이다. 봉건시대에는 기예인(技藝人)이라 불리는 천민 계급이 생계를 위해 민속춤을 이어가거나, 마을, 계급, 지방 등에서 소박한 놀이로 전승되기도 했다. 유럽의 마주르카(Mazurka), 미누에트(Minuet), 트로이카(Troika), 챠르다스(Csardas), 타란텔라(Tarantella) 등과 한국의 탈춤, 승무, 농악춤, 무당춤 등이 그 예이다. 민속춤은 소박하고 단조로워 배우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5. 2. 2. 사교 춤

사교 춤은 민속 무용, 라인 댄스, 원무, 체인 댄스, 스퀘어 댄스와 같은 단체 무용이나 볼룸 댄스와 같은 파트너 댄스 등 주로 사회적 상호 작용이나 운동, 또는 참가자의 유연성 향상과 같은 공통된 목적을 위해 행해지며, 구경꾼에게 어떤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춤은 이야기가 거의 없다. 단체 무용과 ''코르 드 발레'', 사교 파트너 댄스와 ''파 드되''는 매우 다르다. 독무나 해석 무용조차도 무용수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만 행해질 수 있다. 참여형 무용가들은 종종 모두 동일한 동작과 스텝을 사용하지만, 예를 들어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레이브 문화에서는 거대한 군중이 주변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지 않는 자유로운 춤에 참여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문화권에서는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거나 참여해야 하는 특정 춤에 대한 엄격한 규칙을 정한다.[1]

5. 2. 3. 대중 무용

춤은 보통 음악과 함께 공연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음악의 박자에 맞춰 공연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탭댄스나 검보트 댄스처럼 일부 춤은 음악 대신 (또는 음악 외에) 자체적인 소리 반주를 제공하기도 한다. 음악과 춤의 초기 형태는 대부분 서로를 위해 만들어졌고, 자주 함께 공연된다. 전통적인 춤과 음악의 결합으로는 지그, 왈츠, 탱고, 디스코, 살사 등이 있다. 바로크 음악과 바로크 댄스처럼 일부 음악 장르는 짝을 이루는 춤 형태를 가지고 있다. 고전주의 음악과 클래식 발레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춤과 음악이 명칭을 공유하지만, 별도로 발전한 경우도 있다. 안무와 음악은 서로를 보완하며, 안무가와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표현한다.[13]

리듬과 춤은 역사적으로나 실제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다. 미국의 무용가 테드 션(Ted Shawn)은 "춤 연구의 기반이 되는 리듬이라는 개념은 영원히 이야기해도 끝나지 않을 주제이다"라고 썼다.[14] 음악적 리듬에는 템포를 설정하는 규칙적인 맥박(pulse, 비트(beat) 또는 탁투스(tactus)라고도 함)과 음량(Meter) 또는 기본 리듬 패턴의 특성을 설정하는 강세(Accent)와 휴지(Rest) 패턴, 이 두 가지 주요 요소가 필요하다. 기본 맥박은 단순한 발걸음이나 몸짓의 지속 시간과 거의 같다.

춤은 일반적으로 특징적인 템포와 리듬 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탱고는 보통 2/4 박자로 분당 약 66비트의 속도로 춘다. "슬로우(slow)"라고 불리는 기본 스텝은 한 비트 동안 지속되므로, 완전한 "오른쪽-왼쪽" 스텝은 2/4 박자 한 마디와 같다. 춤의 기본 앞뒤 걷기는 "슬로우-슬로우"로 세는 반면, 많은 추가 동작은 "슬로우-퀵-퀵"으로 센다.[15]

반복적인 신체 움직임은 종종 "강한" 근육 움직임과 "약한" 근육 움직임이 번갈아 나타난다.[16] 좌우, 앞뒤, 상승-하강의 교대와 인체의 좌우대칭을 고려할 때, 많은 춤과 음악은 2박자와 4박자이다. 망치를 드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내려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처럼, 어떤 움직임은 다른 움직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부 춤 리듬은 3박자에 해당한다.[17] 때로는 발칸의 민속무처럼 춤 전통이 복잡한 리듬에 크게 의존하기도 한다. 고정된 순서의 스텝으로 구성된 복잡한 춤은 그 순서에 맞춰 특정 길이의 음절과 선율이 필요하다.

음악 반주는 초기 춤에서 등장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춤의 기원을 신 아토투스(Athotus)에게 돌렸는데, 그는 종교 의식에 음악이 수반되면 참가자들이 리듬감 있게 움직이고, 그러한 움직임을 비례적인 척도로 가져왔다고 말했다. 춤이 음악적 리듬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은 르네상스 유럽에서 무용가 구글리엘모 에브레오 다 페사로(Guglielmo Ebreo da Pesaro)의 작품에서 발견되었다. 페사로는 춤을 내면의 정신적 움직임에서 비롯되어 표현되는 육체적 움직임으로 묘사하며, 인간의 귀에 들리는 "조화의 척도와 완벽한 화음"과 일치한다고 말한다.[16] 마그데부르크의 메히틸트(Mechthild of Magdeburg)는 "내가 피리를 불었으나 너희는 춤추지 아니하였고"라는 예수의 말씀을 예견하며, 춤을 신성한 삶의 상징으로 포착했다.

토아누 아르보(Thoinot Arbeau)의 16세기 춤 논문 ''오르케소그라피(Orchésographie)''는 80개가 넘는 독립적인 드럼 리듬 정의로 시작한다.[20]

춤이 음악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오랫동안 묘사되어 왔지만, 린컨 커스틴(Lincoln Kirstein)이 암시했듯이 원시 음악이 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션은 춤이 "인류 최초의 예술이며, 다른 모든 예술이 자라나는 기반"이었고, "오늘날 우리 시의 운율조차도 춤과 낭송이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체 움직임이 필요로 하는 강세의 결과"라고 말하며 동의한다.[14] 이는 시의 기본적인 리듬 단위를 설명하는 데 "피트(foot)"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뒷받침된다.

음악가 퍼시 스콜스(Percy Scholes)는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며, 음악의 규칙적인 마디, 2박자, 3박자 또는 4박자, 균형 잡힌 음절, 규칙적인 종지, 대조와 반복은 모두 음악에 대한 춤의 "측정할 수 없는" 영향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한다.[21]

션은 "음악 없이도 춤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음악은 춤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설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두 예술은 항상 관련이 있으며, 그 관계는 춤과 음악 모두에 유익할 수 있다"고 말한다.[22] 어떤 예술이 다른 예술보다 우선하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다. 찬송가와 민요의 공통미터(Common metre)는 춤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원래 원무였던 캐롤(Carol)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순수 음악 작품들이 "왈츠" 또는 "미뉴엣"으로 명명되었고, ''2부와 3부 발명곡, 애덤스 바이올린 협주곡'', ''안단티노''와 같이 추상적인 음악 작품을 기반으로 한 많은 콘서트 댄스가 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시는 종종 춤이나 음악 작품의 이름을 따서 구조화되고 명명되며, 춤과 음악은 모두 시에서 "마디" 또는 "운율"의 개념을 가져왔다.

션은 달크로즈(Dalcroze)의 진술을 인용하며, 음악적 리듬의 예술은 "생리적 법칙에 따라" 시간 지속, 휴지 및 강세를 구별하고 결합하는 것이지만, "플라스틱 리듬"(즉, 춤)의 예술은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지정하고, 느린 움직임으로 긴 시간 값을, 빠른 움직임으로 짧은 시간 값을 해석하며, 다양한 연속으로 휴지를 조절하고, 신체 무게의 추가, 근육 신경 자극을 통해 다양한 미묘한 부분에서 소리의 강세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션은 음악 시간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인위적인 것... 제조된 도구인 반면, 리듬은 항상 존재했고 인간에게 전혀 의존하지 않는 것"이며, "우리 인간의 마음이 편리한 단위로 자르는 연속적인 흐르는 시간"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음악이 춤의 가치와 시간 인식으로 돌아감으로써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23]

20세기 초 미국의 무용가 헬렌 몰러(Helen Moller)는 "처음부터 음악, 시, 춤을 뗄 수 없는 결합으로 묶어 온 것은 화성과 색채가 아니라 리듬과 형식이다"라고 말했다.[24]

콘서트 무용은 오페라처럼 대규모 형식을 위해 일반적으로 서사적인 극적 구조에 의존한다. 안무의 움직임과 몸짓은 주로 등장인물의 성격과 목표, 그리고 줄거리에서의 역할을 흉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9] 이러한 연극적인 요구사항은 비서사적 무용 스타일에서 일반적인 것보다 더 길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향하게 한다. 반면에 19세기에 발전한 ''발레 블랑''은 리듬 무용의 간주곡을 허용했는데, 이는 20세기에 완전히 "줄거리가 없는" 발레로 발전했고,[30] ''쁘띠 알레그로''와 같은 빠르고 리듬감 있는 춤 동작을 가능하게 했다. 잘 알려진 예로는 백조의 호수 2막의 ''작은 백조들의 춤''이 있다.

발레는 16세기와 17세기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궁정 연극 제작에서 발전했으며, 한동안 무용수들은 음악 모음곡에서 친숙한 것들에서 발전한 춤들을 공연했는데,[31] 이 춤들은 각 춤과 밀접하게 관련된 명확한 리듬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춤들은 낭만적 민족주의 시대에 캐릭터 댄스로 등장했다.

발레는 낭만주의 시대에 널리 유행했고, 더 큰 오케스트라와 더욱 장대한 음악적 개념(리듬의 명료성에 쉽게 적용되지 않는)과 극적인 모방을 강조하는 무용이 함께 등장했다. 루돌프 라반이 움직임의 "리듬과 형태"라고 부르는 더 넓은 개념의 리듬이 필요했는데, 이것은 성격, 감정, 의도를 전달한다.[32] 다른 무용 스타일에서 필수적인 발걸음과 음악의 정확한 동기화가 필요한 장면은 일부에 불과하여, 라반에 따르면 현대 유럽인들은 "원시적인 리듬 움직임"의 의미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33] 이러한 상황은 20세기에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과 같은 작품이 원시적인 과거의 원초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리듬 언어로 등장하면서 변하기 시작했다.[34]

발레와 마찬가지로 인도 고전 무용 스타일은 종종 극적인 형태를 띠고 있어, 서사적 표현과 "순수한" 무용 사이에 유사한 상호 보완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둘은 별개로 정의되지만, 항상 별개로 공연되는 것은 아니다. 추상적이고 기술적인 리듬 요소는 ''닛타(nritta)''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과 표현적인 춤 ''(닛야(nritya))'' 모두 리듬 시스템(''탈라'')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교사들은 ''볼''이라고 불리는 구어체 리듬 기억 시스템을 무용수의 필요에 맞게 적용해 왔다.

가부키와 같은 일본 고전 무용극 스타일은 인도 무용극과 마찬가지로 서사적 무용 작품과 추상적 무용 작품을 구분한다. 가부키의 세 가지 주요 범주는 ''지다이모노''(역사극), ''세와모노''(일상극), ''쇼사고토''(춤 작품)이다.[35] 노는 줄거리 전개와 행동 서술을 중심으로 하는 ''게키 노(Geki Noh)''와 곡예, 무대 소품, 여러 등장인물, 정교한 무대 연출을 포함하는 춤 작품인 ''후류 노(Furyū Noh)''를 구분한다.[36]

유럽 전역의 민속 무용은 수백 년 또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지휘자가 이끄는 단체 참여, 참가자 간의 손잡기 또는 팔짱 끼기, 카롤(caroles)이라고 알려진 고정된 음악 형식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47] 메이폴 춤과 같이 많은 국가에서 공통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고, 세일리와 폴카처럼 단일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것도 있다. 스퀘어 댄스와 같은 일부 유럽 민속 무용은 신대륙으로 전파되어 이후 미국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클래식 발레 무용수 두 명이 ''호두까기 인형''의 한 장면을 공연하고 있다.


발레는 처음 이탈리아에서, 그 후 프랑스에서 리듬, 드라마, 시, 노래, 의상, 무용을 결합한 화려한 궁정 공연에서 발전했다. 궁정 귀족들이 공연에 참여했다. 루이 14세 치세 동안, 그 자신이 무용수였던 그는 무용을 더욱 체계화했다. 전문 무용수들이 궁정 아마추어들을 대신하기 시작했고, 발레 교사들은 프랑스 정부의 허가를 받았다. 최초의 발레 학교는 1661년 파리에 문을 연 왕립 무용 아카데미(Académie Royale de Danse)였다. 그 직후 아카데미와 관련된 최초의 제도화된 발레단이 결성되었는데, 처음에는 전원 남성으로 구성되었지만 1681년에는 여성도 포함하게 되었다.[3]

20세기 콘서트 댄스는 더 자유로운 기법 탐구를 특징으로 하는 무용 스타일의 혁신적인 폭발을 가져왔다. 모던 댄스로 알려지게 된 것의 초기 개척자로는 로이 풀러, 아이소도라 던컨, 메리 위그먼, 루스 세인트 드니스가 있다. 음악과 무용의 관계는 에밀 자크-달크로즈가 고안한 유리쓰믹스의 기초가 되는데, 이는 마리 람베르와 같은 예술가들을 통해 모던 댄스와 모던 발레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루돌프 슈타이너와 마리 슈타이너-폰 지버스가 개발한 유리쓰미는 전통 무용을 연상시키는 형식적인 요소와 새로운 자유로운 스타일을 결합하고, 무용에 복잡하고 새로운 어휘를 도입했다. 1920년대에 마사 그레이엄과 도리스 험프리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의 중요한 창시자들이 그들의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무용 스타일이 개발되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무용은 무용 스튜디오, 학교 또는 단체가 아닌 일상적인 공간에서 발전했다. 탭댄스, 디스코, 재즈 댄스, 스윙 댄스, 힙합 댄스, 린디 홉과 록앤롤 음악 및 록앤롤 댄스와의 관계는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 클래식 발레 기법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무용을 융합한 무용 스타일도 21세기에 등장했는데, 힙릿이 그 예이다.[48]

춤은 라틴 아메리카 사회생활과 문화의 중심에 있다. 브라질의 삼바, 아르헨티나의 탱고, 쿠바의 살사는 국제적으로 인기 있는 파트너 댄스이며, 메렝게, 쿠에카, 플레나, 하라베, 호로포, 마리네라, 쿰비아, 바차타 등 다른 국가의 춤들은 각국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다.[49] 전통적인 카니발 축제는 이러한 춤들을 포함한 다양한 춤들을 거대한 축제에서 선보인다.[50]

춤은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문화 및 민족 집단 간에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51] 춤은 이 지역의 많은 아프리카, 유럽 및 원주민들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했다.[49] 카포에이라와 같은 특정 춤 장르와 신체 움직임, 특히 특징적인 ''케브라다'' 또는 골반 스윙은 라틴 아메리카 역사를 통틀어 여러 차례 금지되고 기념되었다.[51]

아마추어 댄스스포츠 경연대회, 빈 왈츠가 특징


'''댄스 경연대회'''는 참가자들이 심사위원 앞에서 춤을 추고 상을 받고, 경우에 따라 상금을 받는 조직적인 행사이다. 춤의 스타일이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주요 유형의 댄스 경연대회가 있다. 댄스 경연대회는 업계를 선도하는 교수진, 심사위원, 안무가 및 경쟁 스튜디오의 다른 무용수들과 관계를 쌓기에 좋은 환경이다. 젊은 예비 전문 무용수들을 위한 일반적인 댄스 경연대회는 지역 대회인지 전국 대회인지에 따라 2일에서 4일 정도 지속될 수 있다.

댄스 경연대회의 목적은 무용수들에게 즐겁고 교육적인 장소를 제공하고 현재 시즌의 안무된 루틴을 무대에서 공연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경연대회는 종종 전문적인 장소에서 열리거나 고등학교 극장과 같은 비공연 공간에서 열리기도 한다. 무용수들의 결과는 신뢰할 수 있는 심사위원단에 의해 결정되며, 점수가 주어지는 것보다 공연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경쟁 부문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경연대회는 춤 스타일, 연령, 경험 수준 및 루틴에 참가하는 무용수 수에 따라 부문을 나눈다.[59] 주요 댄스 경연대회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댄스스포츠''': 볼룸과 라틴 댄스에만 집중한다.
  • '''경연 댄스''': 아크로바틱, 발레, 재즈, 힙합, 리리컬, , 스텝과 같은 다양한 연극 댄스 스타일이 허용된다.
  • '''상업 댄스''': 힙합, 재즈, 로킹, 팝핑, 브레이크댄스, 현대무용 등으로 구성된다.[59]
  • '''단일 스타일''' 경연대회: 하이랜드 댄스, 댄스팀, 아일랜드 댄스 등 단일 댄스 스타일만 허용된다.
  • '''오픈''' 경연대회: 다양한 댄스 스타일이 허용된다. TV 프로그램 ''소 유 씽크 유 캔 댄스''가 그 예이다.
  • '''올림픽''': 댄스는 1930년대부터 올림픽 종목이 되려고 노력해왔다.

5. 3. 지역별 춤



쿠두로(Angolan dance)


우간다의 평화 문화 축제에서 젊은이들의 춤

  • 中國舞|중국무용중국어
  • Huteng|호텐영어
  • 하카(춤)

5. 3. 1. 아시아

인도 고전 무용가


민타 극장(만달레이)에서 인와 예술학교의 명인이 전통적인 손동작을 시연하고 있다.


모든 인도 고전 무용은 다양한 정도로 ''나타샤스트라''에 뿌리를 두고 있어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무드라''(손동작), 일부 자세, 다리 움직임, 그리고 극적인 표현 연기 또는 아비나야가 포함된다. 인도 고전 음악은 반주를 제공하며, 거의 모든 스타일의 무용수들은 발목에 방울을 달아 타악기와 대조되고 보완되도록 한다.

현재 인도 고전 무용에는 많은 지역 변종이 있다. 수십 년간의 논쟁 끝에 현재 미틸라, 오디샤 지역의 무용 형태인 오디시(Orissi)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드라 마가디"''와 같은 무용은 서로 다른 지역 간의 문화적 상호 작용에서 무용의 영향을 나타낸다.[41]

인도와 파키스탄이 겹치는 펀자브 지역은 방그라의 발상지이다. 음악과 무용 스타일 모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로 고대 수확 축제, 사랑, 애국심 또는 사회 문제와 관련이 있다. 그 음악은 '돌'이라는 악기로 조율된다. 방그라는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수확을 기념하는 춤이며, 사람들이 돌(북)을 치고, 볼리얀(가사)을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이다. 시크교의 바이삭 축제와 함께 더욱 발전했다.

스리랑카의 춤에는 악마 춤(''야쿤 나티마'')이 포함되는데, 이는 스리랑카의 불교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의식으로, 질병 발생에 대한 고대 "아유르베다" 개념과 심리적 조작을 결합하고, 싱할라 우주론을 포함한 많은 측면을 결합한다. 그 영향은 스리랑카 고전 무용에서 볼 수 있다.[42]

인도네시아 발리 무용가


인도네시아의 춤은 인도네시아 민족 집단과 문화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반영한다. 1,300개가 넘는 인도네시아의 민족 집단이 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과 멜라네시아인의 문화적 뿌리와 아시아와 서구의 다양한 문화적 영향에서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춤은 의식적인 움직임과 종교 의식에서 유래하며, 이러한 종류의 춤은 일반적으로 전쟁 춤, 질병을 치료하거나 막기 위한 샤먼 춤, 비를 부르는 춤 등과 같은 의식으로 시작된다. 1세기에 인도네시아에서 불교가 받아들여지면서 힌두교불교 의식이 다양한 예술 공연으로 축하되었다. 라마야나, 마하바라타와 판지와 같은 힌두 서사시는 서구 전통의 "발레"와 흡사한 "센드라타리"라는 춤극에 담겨 영감을 주었다. 정교하고 매우 양식화된 춤 기법이 발명되어 오늘날까지, 특히 자바발리 섬에서 살아남았다. 자바의 와양 웡 춤은 라마야나 또는 마하바라타 에피소드의 장면을 따지만, 이 춤은 인도식 버전과 매우 다릅니다. 인도네시아 춤은 인도 춤처럼 "무드라"에 그다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더욱 지역적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신성한 자바 의식 춤인 베다야는 14세기 또는 그 이전의 마자파힛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 춤은 시바, 브라마, 비슈누와 같은 힌두 신을 숭배하기 위해 처녀들이 행한 의식 춤에서 유래했다. 발리에서는 춤이 신성한 힌두교 의식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발리 무용이 자바의 더 오래된 춤 전통에서 유래한다고 믿는다. 14세기 동자바의 사원 부조에는 오늘날 발리 춤에서 사용되는 머리 장식과 비슷한 왕관과 머리 장식이 새겨져 있다. 토착 춤과 불교 춤이 여전히 유행할 때 인도네시아 제도로 이슬람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예술가와 무용수들은 여전히 이전 시대의 스타일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더 이슬람적인 해석과 이슬람 가르침에 따라 더 폐쇄적인 의상으로 대체한다.[43]

중동의 춤은 일반적으로 현대화된 원무의 전통적인 형태이다. 다브케, 탐자라, 아시리아 민속 무용, 쿠르드 무용, 아르메니아 무용, 터키 무용 등이 포함된다.[44][45] 이러한 모든 형태의 춤에는 일반적으로 참가자들이 손이나 팔을 잡고 서로 교류하는 것이 포함된다(춤 스타일에 따라 다름). 그들은 춤판을 따라 움직이면서 다리와 어깨로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만든다. 춤의 선두는 일반적으로 지팡이 또는 손수건을 잡는다.[44][46]

아시아의 춤에는 역사적 사건이나 이야기 등을 춤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두드러진다. 또한 연극과 불가분하게 발생·발전해 온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대륙에서 일본으로 유입되었다고 전해지는 기악(伎楽)은 가면 음악극이며 일본무용(日本舞踊)의 원류 중 하나로 여겨진다. 대표적인 무용극으로는 일본의 , 가부키(歌舞伎), 중국의 경극(京劇), 인도의 카타칼리, 자와섬의 와양 오랑, 발리섬의 레공(レゴン) 등이 있다. 이러한 무용극에서 행해지는 춤은, 작은 동작 하나하나도 세련되어 있으며 상징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춤의 형태와 동작의 상징성은 19세기 말 이후 서구의 무용수와 연극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록메이칸(鹿鳴館)에서 무도회(舞踏会)가 열리는 등 서양식 춤도 행해지게 되었다.

서민들의 춤에는 종교 의식이나 풍년을 기원하는 주술적 행위에 기원을 갖는 것이 두드러진다. 일본의 본오도리(盆踊り)는 그 이름처럼 조상의 영혼을 모시는 행사인 오봉(盆)에 사람들이 모였을 때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가을 추수 시기에도 유사한 풍습이 있다. 한국·조선의 농악(農楽)이나 중국의 양가(秧歌)도 수확과 관련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수확제의 춤 이외의 것으로 불교나 무속과 관련된 춤을 들 수 있다. 일본의 염불춤(念仏踊り)이나 조선반도의 살풀이춤(살풀이춤), 승무(僧舞)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러 명으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이 공연하는 춤의 한 종류. 많은 인원이 대열을 이루어 개별적인 춤이 아닌, 집단으로서의 춤으로 표현하는 춤 방식. 모닝구 무스메。(モーニング娘。)[83]가 50번째 싱글 “원 투 쓰리(One・Two・Three)”에서 도입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후 현재는 많은 아이돌 그룹이 채택하고 있으며, 일본에만 국한되지 않고 한국, 대만, 중국 등 해외에서도 포메이션 댄스를 도입하는 그룹이 증가했다.

토방 슨(土方巽), 오오노 카즈오(大野一雄), 카사이 사토시(笠井叡), 마로 아카고(麿赤児), 산카이주쿠(山海塾)의 아마노고시 다이(天児牛大) 등이 독특한 현대무용으로 널리 알렸다.

복잡한 리듬 등 고전적인 기법이 있는 춤은 다음과 같다.

  • 바라타나티얌(Bharata Natyam)
  • 카탁(Kathak)
  • 카타칼리(Kathakali)
  • 오디시(Odissi)
  • 쿠치푸디(Kuchipudi)
  • 마니푸리(Manipuri dance)
  • 모히니야탐(Mohiniyattam)
  • 타누라(Tannoura)


단조로운 리듬으로 전개되는, 그룹으로 하는 군무는 다음과 같다.

  • 그마르, 카를베리야(라자스탄주)
  • 댄디야, 갈바(구자라트주)
  • 방그라(펀자브주)
  • 비후(아삼주)
  • 탄누라(Tannoura)

5. 3. 2.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춤은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공동체의 주요 행사는 춤으로 자주 표현된다. 출생, 장례식, 결혼식, 전쟁 등에서 춤이 행해진다.[38] 전통 춤은 종교적 전통과 성적 기준을 포함한 문화적 도덕을 전달하고, 슬픔과 같은 억눌린 감정을 표출하며, 전쟁을 치르거나 곡식을 가는 등 공동체 구성원들의 협력을 유도하고, 영적인 의식을 행하며, 사회적 응집력에 기여한다.[39]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수천 가지의 춤이 공연된다. 이 춤들은 전통적인 스타일, 신전통적인 스타일, 고전적인 스타일로 나눌 수 있다. 특정 사회의 민속 무용, 최근 전통적인 스타일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춤, 그리고 학교나 개인 레슨에서 보다 공식적으로 전승되는 춤 등이 있다.[38] 아프리카의 춤은 유럽의 선교사와 식민 정부와 같은 많은 세력에 의해 변형되었는데, 그들은 종종 현지 춤 전통을 방탕하거나 산만하게 한다는 이유로 억압했다.[39] 현대 아프리카 문화의 춤은 여전히 새로운 맥락에서 전통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춤은 병원 개원을 축하하고, 낯선 도시에서 이주한 농촌 사람들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기독교 교회 예식에 통합될 수 있다.[39][40]

5. 3. 3. 유럽



유럽 전역의 민속 무용은 수백 년 또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지휘자가 이끄는 단체 참여, 참가자 간의 손잡기 또는 팔짱 끼기, 그리고 카롤(caroles)이라고 알려진 고정된 음악 형식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47] 메이폴 춤과 같이 많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고, 세일리와 폴카와 같이 단일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것도 있다. 스퀘어 댄스와 같은 일부 유럽 민속 무용은 신대륙으로 전파되어 이후 미국 문화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발레는 처음 이탈리아에서, 그 후 프랑스에서 리듬, 드라마, 시, 노래, 의상, 무용을 결합한 호화로운 궁정 공연에서 발전했다. 궁정 귀족들이 공연자로 참여했다. 루이 14세 치세 동안, 그 자신이 무용수였던 그는 무용을 더 체계화했다. 전문 무용수들이 궁정 아마추어들을 대신하기 시작했고, 발레 교사들은 프랑스 정부의 허가를 받았다. 최초의 발레 학교는 1661년 파리에 문을 연 왕립 무용 아카데미(Académie Royale de Danse)였다. 그 직후 아카데미와 관련된 최초의 제도화된 발레단이 결성되었는데, 이 발레단은 처음에는 전원 남성으로 구성되었지만 1681년에는 여성도 포함하게 되었다.[3]

20세기 콘서트 댄스는 더 자유로운 기법 탐구를 특징으로 하는 무용 스타일의 혁신적인 폭발을 가져왔다. 모던 댄스로 알려지게 된 것의 초기 개척자로는 로이 풀러, 아이소도라 던컨, 메리 위그먼, 루스 세인트 드니스가 있다. 음악과 무용의 관계는 에밀 자크 달크로즈가 고안한 유리드믹스의 기초가 되는데, 이는 마리 람베르와 같은 예술가들을 통해 모던 댄스와 모던 발레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루돌프 슈타이너와 마리 슈타이너 폰 지버스가 개발한 오이리트미는 전통 무용을 연상시키는 형식적인 요소와 새로운 자유로운 스타일을 결합하고 무용에 복잡한 새로운 어휘를 도입했다. 1920년대에 마사 그레이엄과 도리스 험프리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의 중요한 창시자들이 그들의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무용 스타일이 개발되었다.

중세 이후 귀족 사회에서 무도회가 성행하면서 사교댄스가 문화의 일부로 깊이 자리 잡았다. 1814년부터 1815년까지의 빈 회의에서는 무도회를 두고 "회의는 춤춘다, 그러나 나아가지 않는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대체로 발(pas)의 움직임에 중점을 둔 것이 많고, 종류에 따라서는 손을 축 늘어뜨리고 있는 경우도 있다. 독일의 베르톨트 브레히트에게는 경극의 영향이 보이며, 프랑스의 앙토냉 아르토는 발리 섬의 무용극에서 힌트를 얻어 자신의 연극 이론을 만들었다.

5. 3. 4. 아메리카

아프리카와 유럽의 춤의 영향을 받았지만, 미국에서 독자적인 대중음악과 함께 추는 독자적인 춤 스타일이 발전했다.

미국의 춤
종류설명
스윙 댄스
맘보
룸바
차차차
유행 춤트위스트, 고고, 지터벅
소울 댄스/디스코범프, 워터게이트, 허슬, 버스 스톱, 스팽크
재즈댄스
스트릿 댄스
브레이크댄스
힙합
락킹
스퀘어댄스
탭댄스



유럽계 이민자들이 만들어낸 것도 있고, 아프리카에서 온 사람들이 고향의 리듬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춤도 있다. 이후 사회 상황이 변함에 따라 백인과 흑인의 구분 없이 추게 되었고,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것도 많다. 페루의 마리네라, 브라질의 삼바, 아르헨티나의 탱고는 남미 3대 춤으로 꼽힌다.

중미·남미의 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춤은 결혼식은 물론, 생일 파티와 같은 파티에서도 가볍게 춘다. 댄스홀이나 디스코, 클럽에서는 계절이나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이러한 춤을 즐긴다. 볼리비아 등의 안데스 지역에서 열리는 카니발에서는 잉카 제국 시대나 스페인 통치 시대의 기억 등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춤이 그룹별로 공연된다. (오루로 카니발 참조) 브라질의 카니발에서도 곡으로는 삼바가 사용되지만, 전통과 역사를 보여주는 장식과 구성으로 되어 있다.

6. 춤의 현대적 동향

과거에는 문화가 방산적(放散的)으로 발전했지만, 현재는 문화가 수렴적(收斂的) 발전을 이룩하는 시대라고 한다.

20세기 발레단의 모리스 베잘은 단순한 무용가나 안무가가 아니라 연출가이자 극작가이기도 했다. 그는 다른 예술과의 종합적인 연결을 통해 현대를 이야기하고 있다.

최근에는 뮤지컬이 대중의 인기를 끌어 세계적인 것이 되고 있다. 장기간에 걸쳐 크게 히트한 제롬 로빈스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댄스, 노래, 드라마를 융합시킨 성공작이다. 이는 다른 예술과의 종합적인 결합을 통한 무용의 새로운 국면이라고 할 수 있다.

수렴적 방향은 무용계 내에서도 발레와 현대 무용의 접근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봄의 제전은 1913년에 바슬라프 니진스키가 안무했고, 1920년에는 마리 비그만, 그 후에는 전위적 발레인 모리스 베잘이 다루었다. 발레와 모던 댄스는 토슈즈를 신는지 여부에 따라 구별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토슈즈를 신지 않는 발레가 나타나면서 다루어지는 제재도 현대 무용과의 구별이 어려워졌다. 그리고 각 무용단의 개성이 제재에 반영되어 표현 수법을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춤은 일반적으로 음악과 함께 공연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또한 음악의 박자에 맞춰 공연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탭댄스나 검보트 댄스와 같이 일부 춤은 음악 대신 (또는 음악 외에) 자체적인 청각적 반주를 제공할 수 있다. 음악과 춤의 많은 초기 형태는 서로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자주 함께 공연된다. 전통적인 춤과 음악의 결합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지그, 왈츠, 탱고, 디스코, 살사가 있다. 바로크 음악과 바로크 댄스와 같이 일부 음악 장르는 평행적인 춤 형태를 가지고 있다. 다른 종류의 춤과 음악은 명칭을 공유할 수 있지만, 고전주의 음악과 클래식 발레와 같이 별도로 발전했을 수 있다. 안무와 음악은 서로를 보완하여 안무가와 무용수가 전달하는 이야기를 표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13]

춤은 틱톡을 포함한 많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 형태가 되었다. 2020년 틱톡 댄스는 고립된 개인들이 가상 형식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68]

7. 관련 직업군


  • 무용가 (순수무용가, 한국무용가, 발레무용가, 현대무용가, 무용수, 백댄서 등)
  • 무용교육자 (교수, 교사, 강사 등)
  • 공연기획자
  • 대중무용수


클래식 발레를 비롯한 여러 무용 스타일의 훈련이 주로 이루어지는 무용 스튜디오에서 연습하는 무용수


전문 무용수는 일반적으로 계약직으로 고용되거나 특정 공연이나 작품에 참여한다. 전문 무용수의 삶은 끊임없이 변하는 작업 환경,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낮은 임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55] 따라서 전문 무용수들은 재정적 안정을 위해 부수입을 얻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많은 전문 무용수들이 (American Guild of Musical Artists), (Screen Actors Guild), (Actors' Equity Association)과 같은 노동조합에 소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동조합은 회원들의 근무 조건과 최저 임금을 설정한다.[55]

무용 강사는 일반적으로 무용 공연 교육이나 경쟁 무용수 코칭에 중점을 둔다. 이들은 자신이 가르치거나 코칭하는 무용 유형에 대한 공연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스포츠댄스 강사와 코치는 종종 토너먼트 댄서이거나 전직 스포츠댄스 공연자이다. 무용 강사는 자영업자일 수도 있고, 무용학교나 무용 프로그램이 있는 일반 교육 기관에 고용될 수도 있다. 일부는 대학 프로그램이나 전문 클래식 무용(예: 발레) 또는 현대 무용단과 관련된 학교에서 일하기도 한다. 다른 일부는 다양한 유형의 무용에 대한 훈련과 공연 코칭을 제공하는 소규모 개인 소유 무용학교에 고용된다.[56]

안무가는 춤의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사람들로, 대개 대학 교육을 받았으며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고용되거나, 드물게는 특정 무용단의 상주 안무가로 계약직으로 일하기도 한다.[57][58]

8. 춤과 건강

춤은 기억력 향상 등 다양한 인지 기술 발달에 도움을 준다. 춤을 출 때 파트너와의 상호작용, 스텝 및 순서 기억 등을 통해 인지 능력이 활성화된다.[84] 또한 춤과 같은 신체 활동은 신경가소성을 촉진하며, 운동과 정신적 과제를 결합하면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84]

8. 1. 신체적 건강

춤은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고,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균형 감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어 신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춤은 체중 관리와 골다공증 예방 등 뼈 건강에도 효과적이다.

8. 2. 정신적 건강

무용수들은 업계에서 특정 이상적인 체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체형에 대한 걱정이 매우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에 따르면 무용수들은 예술 분야에서 이상적인 체중에 도달하기 위해 식습관을 조절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64] 일부 무용수들은 특정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과격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흔한 예로는 체중 조절을 위해 설사약을 남용하여 비정상적인 식이 장애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연구에 따르면 많은 수의 무용수들이 과도한 운동과 식사 제한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중 조절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64] 평균 이하의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감은 무용수들의 식습관, 체중 조절 행동 및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예술적인 성격 때문에 무용수들은 자기 비판적인 경향이 강한 편이다. 공연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다양한 개인들이 자기 연민의 개념에 저항할 가능성이 있다.[65]

북미에서는 섭식 장애가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젊은 여성의 약 10%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66] 무용과 같이 외모에 중점을 둔 스포츠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날씬한 체형에 대한 엄격한 압력으로 인해 더 큰 위험에 직면한다. 무용수의 섭식 장애는 일반적으로 매우 흔하다. 발표된 데이터 분석 및 연구를 통해 무용수들이 비현실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섭식 장애 습관에 빠지거나 섭식 장애를 발병할 가능성의 비율과 정확성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추출되었다. 일반적으로 무용수는 일반 대중보다 섭식 장애, 특히 신경성 식욕 부진증과 EDNOS를 발병할 위험이 더 높다. 무용수가 신경성 과식증을 발병할 위험이 더 높다는 직접적인 상관 관계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용수는 전반적으로 섭식 장애, 특히 신경성 식욕 부진증과 EDNOS를 발병할 위험이 세 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7]

8. 3. 춤과 관련된 부상

발레는 발목과 발가락이 나머지 동작의 주요 지지대가 되는 생체 역학적 특성 때문에 부상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앵슈는 특히 모든 발가락을 모아 오랫동안 발가락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62] 발가락 패드, 발가락 테이프, 쿠션 등 포앵슈와 관련된 액세서리는 부상을 완화하고 춤을 추는 동안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63]

북미에서는 섭식 장애가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젊은 여성의 약 10%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66] 춤과 같이 외모에 중점을 둔 스포츠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날씬한 체형에 대한 엄격한 압력으로 인해 더 큰 위험에 직면한다. 일반적으로 무용수는 일반 대중보다 섭식 장애, 특히 신경성 식욕 부진증과 EDNOS를 발병할 위험이 세 배 더 높다.[67] 무용수가 신경성 과식증을 발병할 위험이 더 높다는 직접적인 상관 관계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9. 춤 외교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무용 교류가 국제 외교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예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은 춤 외교를 위한 공식을 개발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인도, 버마와 같이 과거 유럽 식민지였던 새롭게 독립한 국가들의 미적 전통을 배우고 존중하려는 노력이었고, 이는 식민지 반대 연대의 표시였다.[60]

참조

[1] 웹사이트 Theatrical and Social Dance https://sound-herita[...] 2024-10-22
[2] 서적 Prehistoric Painting Of Bhimbetk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3] 서적 Europe, 1450 to 1789: Encyclopedia of the Early Modern World Charles Scribner's Sons
[4] 간행물 The San Trance Dance: Ritual and Revitalization Among the Farm Bushmen of the Ghanzi District, Republic of Botswana 1975–1976
[5] 서적 The World of Greek Dance Finedawn 1987
[6] 저널 Yemenite Danc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New Israeli Folk Dances 1952
[7] 웹사이트 Basin with design of dancers https://web.archive.[...] National Museum of China 2017-05-23
[8] 서적 The history of Chinese dance Foreign Languages Press 1985
[9] 서적 The Chinese aesthet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0
[10] 웹사이트 Lü Shi Chun Qiu http://ctext.org/dic[...] 2017-05-23
[11] 저널 Ritual Exposure in Ancient China 1951-06
[12] 웹사이트 Dance https://www.indiacul[...] 2024-10-24
[13]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Music https://dottedmusic.[...] 2021-10-27
[14] 서적 Dance We Must Dennis Dobson Ltd. 1946
[15] 서적 Ballroom Dancing Teach Yourself Books, Hodder and Stoughton 1977
[16] 서적 Dance Dance Horizons Incorporated 1969
[17] 서적 Dance We Must Dennis Dobson Ltd. 1946
[18] 성경 Matthew 11:17
[19] 서적 Dance Dance Horizons Incorporated 1969
[20] 서적 Dance Dance Horizons Incorporated 1969
[2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22] 서적 Dance We Must Dennis Dobson Ltd. 1946
[23] 서적 Dance We Must Dennis Dobson Ltd. 1946
[24] 서적 Dancing with Helen Moller John Lane 1918
[25] 웹사이트 Helen Moller and Her Pupils https://collections.[...] Carnegie Hall Archives 1918-03-20
[26] 뉴스 Helen Moller and Dancers Appear https://www.nytimes.[...] 1918-12-27
[27] 서적 Dancing with Helen Moller; her own statement of her philosophy and practice and teaching formed upon the classic Greek model, and adapted to meet the aesthetic and hygienic needs of to-day, with forty-three full page art plates; https://archive.org/[...] John Lane Company 1918
[28] 잡지 Helen Moller https://books.google[...] Musical Courier Company 1919
[29] 서적 The Mastery of Movement MacDonald and Evans 1960
[30] 서적 The Ballet Companion: A Dancer's Guide Simon and Schuster 2007
[31] 서적 Orchesography Dover 1967
[32] 서적 The Mastery of Movement MacDonald and Evans 1960
[33] 서적 The Mastery of Movement MacDonald and Evans 1960
[34] 문서 A Different Type of Rhythm Lawrence University
[35] 웹사이트 Kabuki « MIT Global Shakespeares http://globalshakesp[...] 2011-03-08
[36] 서적 The Japanese theatre: from shamanistic ritual to contemporary plural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Rhythms Of Life Marshall Editions
[38] 서적 African Danc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01-01
[39] 학술지 African Dance: the continuity of change 1973
[40] 서적 Culture smart! Ghana customs & culture Kuperard 2009
[41] 웹사이트 Dance: The Living Spirit of Indian Arts http://www.exoticind[...]
[42] 웹사이트 The yakun natima — devil dance ritual of Sri Lanka http://www.lankalibr[...]
[43] 웹사이트 The Indonesian Folk Dances https://web.archive.[...]
[44] 서적 World Music, Vol. 1: Africa, Europe and the Middle East Rough Guides Ltd, Penguin Books
[45] 서적 Azeri Türkçesi dil kilavuzu Hacaloğlu
[46] 서적 Mesopotamien
[47] 서적 Ballet in Western Culture: A History of Its Origins and Evolution Psychology Press
[48] 뉴스 Hiplet: An Implausible Hybrid Plants Itself on Pointe https://www.nytimes.[...] 2016-09-02
[49] 서적 National Rhythms, African Roots: The Deep History of Latin American Popular Dance https://books.google[...] UNM Press 2004-01-01
[50] 서적 Latin and Caribbean Danc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1] 서적 Everynight Life: Culture and Dance in Latin/o Americ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52] 웹사이트 Dance/Movement Therapy's Influence on Adolescents Mathematics, Social-Emotional and Dance Skills https://www.artsedse[...] 2019-04-16
[53] 웹사이트 NDEO > About > Dance Education > Dance Studios https://www.ndeo.org[...]
[54] 웹사이트 NDEO > About > Dance Education > PreK-12 Schools https://www.ndeo.org[...]
[55] 학술지 (untitled) https://www.ebsco.co[...] 2008-04-24
[56] 웹사이트 Dance Teacher https://www.berklee.[...]
[57] 학술지 Making Dance, Making Sense: Epistemology and choreography 2000-12
[58] 웹사이트 dance - Choreography https://www.britanni[...]
[59] 학술지 Dance Competition Culture and Commercial Dance: Intertwined Aesthetics, Values, and Practices https://www.tandfonl[...] 2019-04-03
[60] 학술지 Performing Bandung: China's dance diplomacy with India, Indonesia, and Burma, 1953–1962 https://www.tandfonl[...] 2017-12-22
[61] 학술지 Preventing dance injuries: current perspectives https://www.tandfonl[...] 2013-09-30
[62] 학술지 Biomechanical Risks Associated with Foot and Ankle Injuries in Ballet Dancers: A Systematic Review https://www.tandfonl[...] 2022-04-18
[63] 웹사이트 A Better Pointe Shoe Is Sorely Needed https://invention.si[...] 2020-05-28
[64] 학술지 Eating and Weight Controlling Behaviours of Young Ballet Dancers https://www.karger.c[...] 1996
[65] 학술지 Nurturing self-compassionate performers https://www.tandfonl[...] 2022-03-04
[66] 학술지 Dancing in a culture of disordered eating: A feminist poststructural analysis of body and body image among young girls in the world of dance https://www.tandfonl[...] 2022-01-12
[67] 학술지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s amongst Dancer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dx.doi.org/10[...] 2013-11-26
[68] 서적 TikTok culture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worldcat[...] 2022
[69] 학술지 TikTok challenge: dance education futures in the creator economy https://www.tandfonl[...] 2022-07-01
[70] 웹사이트 VILLA OF THE MYSTERIES https://pompeiisites[...]
[71] 문서 Grau 1999
[72] 문서 Grau 1999
[73] 웹사이트 活動の指針(第2部 提言の基礎) http://www.jbdf.or.j[...] 2019-06-17
[74]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75]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76]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77] 웹사이트 The Twist dance craze https://www.thoughtc[...] 2023-05-01
[78] 웹사이트 Funky vintage step https://dangerousmin[...] 2023-04-28
[79]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80]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81]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82] 서적 現代舞踊の美学 中日本出版
[83] 웹사이트 モーニング娘。が「アイドルを超えた存在」としてシーンの垣根を飛び越え続ける5つの理由 https://rockinon.com[...]
[84] 웹사이트 Put your brain to the challenge https://www.health.h[...] 2021-06-04
[85] 문서 dance/dancer
[86] 서적 Europe, 1450 to 1789: Encyclopedia of the Early Modern World Charles Scribner's Sons
[87] 서적 The World of Greek Dance Finedawn
[88] 웹사이트 Yemenite Danc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new Jewish folk dances http://www.jstor.org[...]
[89] 문서 시시각각으로 사라져가는 움직임의 잔상(殘像)
[90] 웹인용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 국립국어원(SYSTEM)
[91] 웹인용 브리태니커 온라인에 춤 http://premium.brita[...] 2019-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