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대한민국)는 주한 미군의 의료 물자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1928년 제6의무보급창으로 시작되어, 6.25 전쟁 참전, 여러 차례 부대 개편 및 주둔지 이동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2019년 육군의무군수사령부로 전속되었으며, 제563의무군수중대와 제95의무분견대 (혈액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군수부대 - 한국 근무단
    한국 근무단은 한국 전쟁 당시 미8군의 물자 부족 해결을 위해 창설된 '민간인 수송단'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KSC 대대라는 명칭으로 미군의 병참 및 한미 연합 훈련을 지원하며 한미 동맹 강화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예하의 지원 부대이다.
  • 미국 육군의 군수부대 - 군수분과
    군의 작전 수행에 필요한 물자 수송 및 관리, 장비 유지보수, 예산 편성 및 집행을 담당하는 군수분과는 스마트 군수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대화를 추진 중이나, 예산 낭비에 대한 비판과 함께 투명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 미국 육군의 의무부대 -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유럽)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유럽)은 미국 육군의 의료 물자 보급 및 관리를 담당하며, 1951년 창설 이후 여러 차례의 개편을 거쳐 현재는 제226의무대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카이저슬라테른에 위치한다.
  • 미국 육군의 의무부대 - 육군이동외과병원
    육군이동외과병원은 전쟁 중 부상병에게 신속한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군 병원 시스템으로, 한국 전쟁에서 헬리콥터 수송과 야전 응급 처치를 통해 생존율을 높였으며, 2006년 전투 지원 병원으로 전환되기 전까지 대한민국 군 의료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대한민국)
기본 정보
이름주한 미국 육군 의무물자 센터
원어 이름United States Army Medical Materiel Center-Korea
약칭USAMMC-K
collage
collage
활동 기간1942년 5월 25일 ~ 1946년 1월 18일
1946년 월 15일 ~ 현재
병과의무대
종류의무군수부대
역할주한 미군에 대한 의료물자 보급
규모1개 중대, 1개 분견대
명령 체계제65의무여단
육군의무군수사령부
본부대한민국 칠곡군 왜관읍 캠프 캐럴
참전WW2, 유럽 전구
한국 전쟁

2. 역사

부대는 처음에 1928년 12월 25일 텍사스주의 포트 샘 휴스턴에서 제6의무보급창으로 구상되었지만, 소집되지 않은 비활성화된 부대로 남겨졌다.[1] 1942년 5월 25일이 돼서야 부대는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 전구에 전개하였고, 종전 후에는 뉴저지주의 캠프 킬머로 귀환하여 1946년 1월 18일에 해산, 다시 7월 15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 잭슨에서 재소집되었다.[1]

6.25 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8월 28일 일본 열도에 도착하고 9월 11일에 부산항을 통해 한반도 전구에 배치되었다.[1] 휴전 이후에는 1955년 11월에 인천부평구에 조성된 ASCOM 도시로 옮겨갔다.[1] 캠프 마켓의 반환을 계기로 ASCOM 도시가 사라지자, 1973년 6월 1일에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군사예비지인 제51보급지점으로 이사하였다.[1]

1978년 1월 1일, 제6의무지원광학정비부대(Medical Supply, Optical and Maintenance Unit영어, MEDSOM)로 개편되었다.[1]

1988년 1월 11일, 칠곡군 왜관읍캠프 캐럴로 옮겼다.[1]

2008년 10월 16일, 제563의무군수중대가 한국에 도착하였다. 제168다기능의무대대에 예속되어 현재 주한 의료물자원을 지원하고 있다.[1]

2019년 6월 1일, 육군의무군수사령부로 전속하였다. 9월 9일, 혈액 보급 및 취급을 맡을 제95의무분견대 (혈액 지원)의 작전통제권을 넘겨받았다.[1]

스트리머내역
200px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스트리머에 글귀 없음
200px

한국 전쟁


2. 1. 창설 및 제2차 세계 대전

부대는 1928년 12월 25일 텍사스주의 포트 샘 휴스턴에서 제6의무보급창으로 구상되었지만, 소집되지 않은 비활성화된 부대로 남겨졌다.[1] 1942년 5월 25일 부대는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 전구에 전개하였고, 종전 후에는 뉴저지주의 캠프 킬머로 귀환하여 1946년 1월 18일에 해산, 다시 7월 15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 잭슨에서 재소집되었다.[1]

6.25 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8월 28일 일본 열도에 도착하고 9월 11일에 부산항을 통해 한반도 전구에 배치되었다.[1]

스트리머내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스트리머에 글귀 없음

한국 전쟁


2. 2. 6.25 전쟁

부대는 1942년 5월 25일에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 전구에 전개하였고, 종전 후에는 뉴저지주의 캠프 킬머로 귀환하여 1946년 1월 18일에 해산, 다시 7월 15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 잭슨에서 재소집되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8월 28일 일본에 도착하고 9월 11일에 부산항을 통해 한반도 전구에 배치되었다. 휴전 이후에는 1955년 11월에 인천 부평구에 조성된 ASCOM 도시로 옮겨갔다. 1973년 6월 1일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군사예비지인 제51보급지점으로 이사하였다.

6.25 전쟁에 참전하여, 1950년 UN 방어, 1950년 UN 공격, 1950~1951년 CCF 개입, 1951년 첫번째 UN 반격, 1951년 CCF 춘계 공세, 1951년 UN 하계-추계 공세, 1951~1952년 두번째 한국 동계, 1952년 한국 하계-추계, 1952~1953년 세번째 한국 동계, 1953년 한국 하계 전투에 참전했다는 스트리머를 수여받았다.


한국 전쟁


2. 3. 냉전 및 현대

부대는 1928년 12월 25일 텍사스주의 포트 샘 휴스턴에서 제6의무보급창으로 처음 구상되었으나, 소집되지 않고 비활성화 상태로 남아있었다. 1942년 5월 25일 부대가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유럽 전구에 전개되었고, 종전 후 뉴저지주의 캠프 킬머로 귀환하여 1946년 1월 18일에 해산했다. 이후 1946년 7월 15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 잭슨에서 재소집되었다.[1]

6.25 전쟁이 발발하자, 부대는 1950년 8월 28일 일본 열도에 도착하여 9월 11일 부산항을 통해 한반도 전구에 배치되었다. 휴전 이후 1955년 11월, 부대는 인천시 부평구에 조성된 ASCOM 도시로 이동했다. 1973년 6월 1일, ASCOM 도시가 사라지면서 (캠프 마켓의 반환을 계기로)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제51보급지점으로 이전하였다.[1]

1978년 1월 1일, 제6의무지원광학정비부대(MEDSOM)로 개편되었다. 1988년 1월 11일에는 칠곡군 왜관읍캠프 캐럴로 이전하였다.[1]

2008년 10월 16일, 제563의무군수중대가 한국에 도착하여 제168다기능의무대대에 예속되어 주한 의료물자원을 지원하고 있다. 2019년 6월 1일, 육군의무군수사령부로 전속되었고, 9월 9일에는 제95의무분견대 (혈액 지원)의 작전통제권을 넘겨받아 혈액 보급 및 취급을 담당하게 되었다.[1]

스트리머내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스트리머에 글귀 없음

한국 전쟁


3. 부대 구성

제563의무군수중대와 제95의무분견대 (혈액 지원)로 구성되어 있다.[2][1]

4. 소속

제8군에 1950년대부터 소속되었다. 1963년 5월에는 제7군수사령부에, 1960년대에는 제65의무단에 소속되었다. 1971년 6월 21일에는 주한 의무사령부(MEDCOM-K)에 소속되었고, 1984년 8월 16일에는 제18의무사령부에 소속되었다. 2008년 10월 16일, 제65의무여단에 작전통제권(OPCON)이 배속되었다. 2019년 9월 17일, 의무연구물자사령부 예하 의무물자군수사령부에 직접 보고하는 부대로 예속되었다.

5. 계보


  • 1928년 12월 21일, 제6의무보급창/6th Medical Supply Depot영어로 창설되었다.
  • 1943년 8월 24일, 제6의무창중대/6th Medical Depot Company영어로 개편되었다.
  • 1949년 3월 1일, 제6군 의무보급창/6th Army Medical Depot영어으로 개편되었다.
  • 1954년 4월 1일, 제6의무창/6th Medical Depot영어으로 개편되었다.
  • 1978년 1월 1일, 제6의무부대/6th Medical Unit영어로 개편되었다.
  • 1993년 9월 16일, 제16의무군수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16th Medical Battalion영어로 개편되었다.
  • 2009년 10월 16일, 주한 미국 육군 의무물자소/United States Army Medical Materiel Center - Korea영어로 개편되었다.

참조

[1] 뉴스 USAMMC-K gains operational control of blood support detachment https://www.army.mil[...] Army Medical Logistics Command Public Affairs 2019-09-09
[2] 웹인용 95th Medical Detachment (Blood Knights)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6-03-15
[3] 웹인용 General Orders No.41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1955-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