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밴 플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밴 플리트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그리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915년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뛰어난 전술적 역량으로 고속 승진을 거듭하여 중장까지 올랐다. 한국 전쟁에서 유엔군 사령관을 역임하며 한국군의 재건과 육군사관학교 설립에 기여하여 "한국군의 아버지"로 불렸다. 전역 후에는 코리아 소사이어티 설립에 관여하고, 1992년 100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화생방학교 동문 - 매슈 리지웨이
매슈 리지웨이는 한국 전쟁에서 미 8군 및 유엔군 사령관으로 활약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NATO 최고 연합군 사령관 및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한 미국의 5성 장군이다. - 미국 육군화공학교 동문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 미국 육군화학전학교 동문 - 매슈 리지웨이
매슈 리지웨이는 한국 전쟁에서 미 8군 및 유엔군 사령관으로 활약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NATO 최고 연합군 사령관 및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한 미국의 5성 장군이다. - 미국 육군화학전학교 동문 - 존 R. 하지
존 R. 하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1945년 인천에 상륙하여 일본 총독부의 항복을 받고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군정청 사령관을 겸임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남한을 통치했으며, 195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1963년 사망했다.
제임스 밴 플리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92년 3월 19일 |
출생지 | 포트리, 뉴저지주 코이테스빌 |
사망일 | 1992년 9월 23일 (100세) |
사망지 | 포크 시티, 플로리다주 |
안장지 | 알링턴 국립묘지, 버지니아주 |
소속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5년–1953년 |
최종 계급 | 대장 |
병적 번호 | 0-3847 |
병과 | 보병 병과 |
지휘 | |
주요 지휘 | 제8군 제2군 제3군단 제23군단 제90보병사단 제4보병사단 제8보병연대 제1대대, 제29보병연대 제17기관총대대 |
주요 전투 및 작전 | |
참전 전투 | 국경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뫼즈-아르곤 공세 제2차 세계 대전 오버로드 작전 노르망디 전투 지크프리트 선 공방전 벌지 전투 서부 연합군의 독일 침공 독일 점령 그리스 내전 피르소스 작전 한국 전쟁 |
훈장 | |
주요 훈장 | 수훈십자훈장 (3회) 육군 공로 훈장 (4회) 은성 훈장 (3회) 공로훈장 (2회) 청동성훈장 (3회) 퍼플 하트 (3회) 태극무공훈장 |
기타 이력 | |
기타 활동 | 미식축구 코치 외교관 사업가 작가 목장 경영자 |
2. 생애
제임스 밴 플리트는 뉴저지주에서 태어나 유아기에 가족과 함께 플로리다주로 이주하여 성장했으며, 1915년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미국 육군 보병 장교로 임관했다. 그의 졸업 동기 중에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오마 브래들리 등 훗날 유명한 장군이 된 인물들이 많아 "별이 쏟아진 학번(the class the stars fell oneng)"으로 불린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대대장으로 복무 중 부상을 입었고, 전후에는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ROTC 교관으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제8보병연대장으로 참전하여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유타 해변 상륙을 지휘했으며, 초기에는 조지 C. 마셜 육군 참모총장의 오해로 진급이 누락되었으나 오해가 풀린 후 빠르게 승진하여 조지 S. 패튼 장군 휘하 제3군 예하 제3군단장을 역임했다.
전후 그리스 군사원조단장으로 파견되어 그리스 내전에서 정부군을 지원했다. 1951년 4월, 한국 전쟁 중 매슈 B. 리지웨이의 후임으로 미국 제8군 사령관에 부임하여 전쟁을 지휘했다. 특히 대한민국 육군의 현대화와 육군사관학교 재건 등 장교 양성에 힘써 '한국군의 아버지'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전쟁 중 미국 공군 조종사였던 아들 제임스 밴 플리트 주니어를 작전 중 잃는 개인적인 아픔을 겪기도 했다.
1953년 3월 미국 육군 대장으로 예편한 후에도, 1957년 한미 우호 증진을 위한 코리아 소사이어티 창립에 기여하는 등 한국과의 인연을 이어갔다. 1992년 9월 23일, 100세를 일기로 사망했으며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매년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제임스 A. 밴 플리트 상을 수여하고 있다.
2. 1. 성장 및 교육 배경

제임스 밴 플리트는 뉴저지주 포트 리(Fort Lee)의 코이츠빌(Coytesville) 지역에서 태어났으나, 유아 시절 가족과 함께 플로리다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플로리다주 바토우(Bartow)에 있는 서머린 연구소(Summerlin Institute) 고등학교를 다녔다.

1911년 고등학교 졸업 후, 뉴욕주 웨스트포인트(West Point)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1] 웨스트포인트 생도 시절, 그는 육군 미식축구 팀의 일원이었으며, 1914년 무패 시즌을 기록한 팀의 뛰어난 풀백(fullback)이었다.[2] 밴 플리트는 1915년에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했는데, 이 졸업반은 많은 동기생들이 훗날 장성으로 진급하여 "별이 쏟아진 학번(the class the stars fell oneng)"(별은 장군 계급장을 의미)으로 불리게 되었다.[3][4] 그의 동기생 중에는 훗날 미국 대통령이 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미 육군 원수까지 오른 오마 브래들리(Omar Bradley) 등이 있었다. 졸업과 동시에 미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2. 2. 군사 경력
뉴저지주 코이테스빌 출신으로, 1915년 미국 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하고 미국 육군 보병 장교로 임관했다.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존 J. 퍼싱 사령관 휘하에서 대대장으로 복무했으며,[5] 뫼즈-아르곤 공세 중 부상을 입었다. 전쟁 후에는 플로리다 대학교 ROTC 교관 등으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연대장으로 참전했다. 뛰어난 장교로 평가받았으나, 당시 미국 육군 참모총장 조지 C. 마셜이 이름이 비슷한 다른 장교와 혼동하여 그를 알코올 중독자로 오인하는 바람에 한동안 진급이 누락되었다. 밴 플리트는 실제로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 이러한 오해가 풀린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그는 이례적인 속도로 승진을 거듭하여 종전 시점에는 조지 S. 패튼 장군 휘하 제3군 예하에서 중장 계급으로 제3군단을 지휘하고 있었다.
1946년에는 그리스 군사원조단장으로 파견되어 그리스 내전에서 그리스 정부군을 지원하고 공산 반군의 진압을 도왔다.
1951년 4월, 매슈 B. 리지웨이의 후임으로 미국 제8군 사령관으로 부임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리지웨이가 구축한 방어선을 강화하고 공세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대한민국 육군의 장교 양성과 군사학교 설립 등 군대 현대화에 힘써 '한국군의 아버지'라는 별칭을 얻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4월, 미국 공군 조종사였던 외아들 제임스 밴 플리트 주니어를 작전 중 잃는 개인적인 아픔을 겪기도 했다.[18][19] 그는 한국 전쟁 중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지휘참모대학이나 육군전쟁대학을 거치지 않고, 워싱턴 D.C. 근무 경력 없이 대장까지 오른 이례적인 경력의 소유자였다.
1953년 3월 31일, 미 육군 대장으로 예편했다.[20]
2. 2. 1. 육사 졸업 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1915년에 졸업한 후, 미국 육군 보병 병과 소위로 임관했다.[5] 그는 뉴욕주 플랫츠버그에 주둔한 제3보병연대의 한 중대에 배속되어 1915년 9월 12일부터 10월 1일까지 복무했으며,[5] 이후 뉴욕주 새킷츠 하버의 매디슨 병영으로 옮겨 1916년 5월 11일까지 근무했다. 제3보병연대는 멕시코 국경 지역 안정을 위한 임무를 위해 텍사스주 이글 패스로 이동하여 1917년 10월 8일까지 주둔했는데, 이는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지 6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 텍사스 주둔 기간 동안 밴 플리트는 1916년 7월 1일 중위로, 1917년 5월 15일 대위로 진급했다.[6]이후 캔자스주 포트 리븐워스로 전속되어 1917년 10월 10일부터 1918년 3월 22일까지 임시 장교들을 위한 교관으로 활동했으며, 1918년 4월 6일까지 육군 훈련학교 분견대 2번을 지휘했다. 1918년 4월 10일부터 7월 4일까지는 여러 주둔지를 거치며 제16기관총대대 중대장을 역임했고, 1918년 6월 17일에는 소령으로 임시 진급했다.[5]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밴 플리트는 존 J. 퍼싱 장군 휘하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서부 전선에 파병되었다. 그는 1918년 9월 12일부터 1919년 6월 11일까지 제6보병사단 예하 제17기관총대대를 지휘했다.[5] 1918년 11월 4일, 뫼즈-아르곤 공세 중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는데, 이는 독일과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전쟁이 끝나기 불과 7일 전이었다.
전쟁 후, 밴 플리트는 플로리다 대학교의 육군 ROTC 프로그램 선임 장교로 근무했다. 동시에 그는 1923년과 1924년 두 시즌 동안 플로리다 게이터스 축구 팀의 수석 코치를 맡아 팀을 이끌었다. 그의 지도 아래 게이터스 팀은 12승 3패 4무(.737)라는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연도 | 팀 | 전체 성적 | 컨퍼런스 성적 | 컨퍼런스 순위 |
---|---|---|---|---|
1923년 | 플로리다 | 6–1–2 | 1–0–2 | 2위 |
1924년 | 플로리다 | 6–2–2 | 2–0–1 | 3위 |
합계 | 12–3–4 | 3–0–3[40] |
2.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밴 플리트는 1941년 7월부터 3년간 미국 제4보병사단 예하 제8보병연대를 지휘하며 유럽 전선에 참전했다. 1944년 6월 D-Day 상륙 작전에서는 유타 해변에 연대의 상륙을 직접 지휘했으며, 이때 보여준 뛰어난 전투 지휘력으로 미국 십자훈장(DSC)을 수훈했다.[10]당시 그의 웨스트포인트 동기인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연합군 최고 사령관(대장), 오마르 N. 브래들리는 미국 제12군집단 사령관이었고, 2년 후배인 조지프 로턴 콜린스는 미국 제7군단장이었으나, 밴 플리트는 여전히 연대장(대령) 계급에 머물러 있었다. 이는 당시 미국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조지 마셜이 그를 이름이 비슷한 다른 알코올 중독 장교와 혼동하여 진급을 누락시켰기 때문이었다. 밴 플리트는 실제로는 술을 마시지 않았음에도 이러한 오해를 받았다.
아이젠하워가 마셜에게 이 실수를 바로잡아 줄 것을 요청하면서 오해가 풀렸고, 이후 밴 플리트는 이례적으로 빠른 승진을 거듭했다. 1944년 8월 준장으로 진급하여 미국 제2보병사단 부사단장(1944년 7월~9월)을 역임했고, 잠시 미국 제4보병사단을 지휘(1944년 9월~10월)한 뒤 미국 제90보병사단 사령관(1944년 10월~1945년 2월)으로 부임했다. 1944년 11월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 그는 특히 미국 제3군 사령관이었던 조지 S. 패튼 중장의 신임을 얻었다.
미국 제23군단을 잠시 지휘한 후, 1945년 3월 17일 패튼의 제3군 예하 미국 제3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존 밀리킨 소장의 후임이 되었다.[11]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시 중장 계급으로 제3군단을 지휘했으며, 독일 점령 시기까지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6년 2월 미국으로 귀국했다.
밴 플리트는 그의 군 경력 동안 지휘 참모 대학이나 육군 전쟁 대학을 이수하지 않고 고위 지휘관까지 오른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2.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6월, 밴 플리트는 뉴욕 주지사 섬(Governor's Island)으로 재배치되어 제2 근무 사령부(2nd Service Command) 사령관을 맡았고, 이후 제1 미국 육군(1st United States Army) 부사령관이 되었다.[12] 1947년 12월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Frankfurt)로 이동하여 미국 유럽 사령부(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의 작전 참모(G-3)가 되었다.[12]1948년 2월 중장으로 진급하였고,[13] 그리스로 파견되어 미국 합동 군사 고문단(Joint U.S. Military Advisory Group)의 책임자로서 트루먼 독트린(Truman Doctrine) 집행 임무를 맡았다. 이는 1946년부터 시작된 그의 그리스 관련 임무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그는 그리스 정부와 250명의 군사 고문단에 조언하고, 4억달러 규모의 군사 원조를 관리하며 그리스 내전(Greek Civil War) 종식에 기여했다.[13] 그리스 북부 도시 카스토리아(Kastoria)의 중앙 광장에는 그의 공적을 기리는 흉상이 오랫동안 세워져 있었으며, 2007년 새로운 동상으로 교체되었다.
밴 플리트는 1950년 8월 10일부터 1951년 4월 11일까지 미 육군 제2군(Second United States Army) 총사령관을 지냈다.
2. 2. 4. 한국 전쟁 참전
1951년 4월 11일,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가 해임되고 매슈 리지웨이 장군이 후임 유엔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자, 밴 플리트는 리지웨이의 후임으로 미국 제8군 사령관에 임명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4월 14일 한국에 도착하여 공식적으로 미 제8군 사령관직을 맡았다.[14] 그는 리지웨이 장군의 전략을 이어받아 수적으로 우세한 중화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에 맞서는 작전을 지휘했다. 밴 플리트는 1951년 7월 31일 미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14]1951년 초, 밴 플리트는 공산군 배후인 원산에 상륙 작전을 제안했으나, 맥아더 해임으로 인한 정치적 여파 속에서 리지웨이 사령관은 이 계획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5]
밴 플리트는 대한민국 육군의 현대화와 육군사관학교(KMA) 재건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4] 그는 과거 그리스 군사원조단장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육군을 강화하고자 했으며, "그리스 부대를 위해 했던 것처럼" 한국군을 돕고 싶다고 말했다.[16] 1951년 10월,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은 웨스트포인트를 모델로 한 4년제 정규 육군사관학교 설립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진해구에 임시 학교 부지가 마련되었고, 웨스트포인트 졸업생 3명이 프로그램 감독으로 임명되었다.[16] 육군사관학교 개교식은 1952년 1월 20일에 열렸다.[16] 당시 육군참모총장 이종찬은 "육군사관학교는 우리 국민의 희망입니다… 미국 육군사관학교와 같은 명예롭고 존경받는 전통을 확고히 세움으로써 이 새로운 기관에 대한 우리의 기여를 확신합니다."[16]라고 평가하며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러한 공로로 2015년 대한민국 국방부는 밴 플리트 장군을 "대한민국 육군의 아버지"로 칭했으며,[17] 육군사관학교에는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1960년 3월 31일 동상이 세워졌다.[19]
전쟁 중 개인적인 아픔도 겪었다. 1952년 4월, 그의 아들이자 미국 공군 조종사였던 제임스 밴 플리트 주니어 대위가 B-26 폭격기를 몰고 해주 상공에서 야간 임무 수행 중 실종되어 사망 처리되었다.[18][19]
밴 플리트는 1953년 2월 11일까지 제8군 사령관직을 수행했으며, 후임으로는 맥스웰 테일러 장군이 부임했다. 한국을 떠나기 전인 1953년 1월 19일,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계단에서 열린 환송식 연설에서 그는 "저는 돌아올 것입니다. 여러분은 저를 여러분의 일부로 만들었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제 일부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제 심장을 돌려달라고 부탁하지 않겠습니다. 제 심장은 여러분과 함께 남겨두겠습니다."[14]라는 말로 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현했다.
그는 한국 전쟁 참전을 마친 후 1953년 3월 31일, 61세의 나이로 미 육군에서 퇴역했다.[20]
2. 2. 5. 전역 이후 및 사후에 미친 영향

1953년 3월 31일 전역식에서 해리 S. 트루먼 전 대통령은 "밴 플리트 장군은 지금까지 내가 본 가운데 가장 최고의 장군이었다... 나는 그를 그리스에 보내 그 전쟁에서 승리했고, 나는 그를 한국에 보내 그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평가했다. 밴 플리트는 세 개의 Distinguished Service Cross, 네 개의 Distinguished Service Medal, 세 개의 은성훈장, 세 개의 동성훈장, 그리고 전투 중 부상으로 세 개의 퍼플하트 훈장을 받았지만, 정작 본인은 일반 보병에게 주어지는 전투 보병 휘장(CIB)을 가장 소중하게 여겼다.
1954년 7월 28일, 미국을 국빈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로 미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밴 플리트 장군이 한국군 육성에 기여한 공로를 강조하며 "한국인은 밴 플리트 장군을 '한국군의 아버지'라고 부른다"고 소개했다.[42] 이후 밴 플리트는 1965년 7월 21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유해가 하와이에서 한국으로 운구될 때 미군 특별기에 동승하여 마지막 길을 함께하기도 했다.

1957년에는 미국과 한국 양국 국민 간의 이해와 우호 증진을 목적으로 뉴욕에서 코리아 소사이어티를 창립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 또한, 1974년에는 울산 미포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의 수주를 돕기 위해 그리스에서 직접 활동하는 등 한국의 경제 발전에도 관심을 보였다.[43]
밴 플리트는 1992년 3월 100세 생일을 맞이하고 6개월 뒤인 9월 23일, 플로리다주 포크 시티 근교의 목장에서 수면 중 사망했다.[26] 사망 당시 미국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장성이었으며[23],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 7구역에 안장되었다.[24]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 코리아 소사이어티: 매년 한미 관계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에게 제임스 A. 밴 플리트 상을 수여하고 있다.
- 플로리다 주: 포크 시티에서 마블까지 이어지는 트레일이 '제임스 A. 밴 플리트 주립 트레일'로 명명되었다.

- 플로리다 대학교: 1946년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으며, 대학 내 군사 과학 건물을 '밴 플리트 홀'로 명명했다. 또한 1971년에는 그를 '명예 레터 위너'로 대학 체육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 1998년 플로리다 역사가 및 자문위원단은 밴 플리트를 '20세기 가장 중요한 플로리다 주민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 조지 C. 마셜 재단: 밴 플리트의 유족은 그의 기록물을 재단에 기증했으며, 이는 마셜 장군의 기록물 다음으로 큰 규모의 컬렉션이다.
- 미술품 기증: 미술품 수집가이기도 했던 그는 희귀하고 가치 있는 다수의 아시아 예술품을 새뮤얼 P. 하른 미술관에 기증했다.[36][37]
- 기념 동상: 그리스 내전 당시 최고 지휘소가 있었던 그리스 카스토리아 시 중앙 광장과,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육군을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 육군사관학교 교내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 대한민국: 2015년 6월, 대한민국 정부는 밴 플리트 장군을 기리는 기념 우표를 발행했으며, 같은 해 가을에는 국방부로부터 백선엽 한미동맹상을 받았다.
밴 플리트와 그의 첫 부인 헬렌 무어 밴 플리트(1892-1984)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 여덟 명의 손주, 그리고 열두 명의 증손주가 있었다.[35] 그의 외아들인 제임스 밴 플리트 주니어(James A. Van Fleet Jr.)는 미 공군 대위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가 1952년 4월 4일 야간 폭격 임무 중 실종되었다.[18][19]
3. 상훈
'''대한민국'''
'''미국'''
밴 플리트 장군이 받은 미국의 주요 훈장은 다음과 같다.
- 전투 보병 휘장
- 수훈십자장 - 오크잎 장식 2개 (총 3회 수훈)
- 육군 수훈 근무 훈장 - 오크잎 장식 3개 (총 4회 수훈)
- 은성훈장 - 오크잎 장식 2개 (총 3회 수훈)
- 공로훈장 - 오크잎 장식 1개 (총 2회 수훈)
- 동성훈장 - 오크잎 장식 2개 (총 3회 수훈)
- 퍼플 하트 - 오크잎 장식 2개 (총 3회 수훈)
- 항공훈장 - 오크잎 장식 1개 (총 2회 수훈)
- 육군 표창 훈장
- 멕시코 국경 근무 훈장
-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훈장 - 청동색 근무 성과장 3개
- 독일 점령군 훈장
- 미국 방위 근무 훈장
- 미국 전역 훈장
-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훈장 - 화살촉 장식 및 근무 성과장 5개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훈장
- 점령 공로 훈장
- 국토방위 근무 훈장
- 한국 근무 훈장 - 근무 성과장 7개
- 유엔 한국 메달
- 미 육군 대통령 부대 표창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기타 국가'''[38]
- 그리스: 봉황 훈장 대십자장
- 그리스: 명예훈장
- 그리스: 조지 1세 훈장 대수훈장
- 이란: 사자와 태양 훈장, 1등급[39]
- 영국: 현저 근무 훈장
-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 프랑스: 전쟁 십자훈장 야자잎 장식
- 벨기에: 전쟁 십자훈장 야자잎 장식
- 네덜란드: 오라녜나사우 훈장 대십자장 검 장식
- 콜롬비아: 보야카 훈장
또한 다음 국가의 훈장도 받았다.[38]
참조
[1]
웹사이트
Florida Sports Hall of Fame {{!}} General James Van Fleet
https://flasportshof[...]
2024-05-26
[2]
웹사이트
Gen. James A. Van Fleet - General
https://footballfoun[...]
2024-05-26
[3]
웹사이트
West Point's Class of 1915 is one the stars fell on
https://www.wearethe[...]
2024-05-26
[4]
웹사이트
James Alward Van Fleet - General, United States Army
https://www.arlingto[...]
2023-09-04
[5]
웹사이트
History Van Fleet
https://www.dominion[...]
2024-05-26
[6]
논문
COLLECTION: JAMES A. VAN FLEET PAPERS
http://www.marshallf[...]
[7]
웹사이트
Typescript of a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Florida" by Klein Graham
http://ufdc.ufl.edu/[...]
Ufdc.ufl.edu
2017-05-31
[8]
웹사이트
J.A. Van Fleet Records by Year
http://cfbdatawareho[...]
2009-09-21
[9]
웹사이트
James A. Van Fleet • Cullum's Register • 5404
http://penelope.uchi[...]
[10]
뉴스
James A. Van Fleet, Leader In Korean War, Dies at 100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9-24
[11]
서적
Command Post at War: First Army Headquarters in Europe, 1943–1945
https://books.google[...]
Defense Department,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4-11-29
[12]
웹사이트
James A. Van Fleet • Cullum's Register • 5404
https://penelope.uch[...]
[13]
서적
Spyros P. Skouras, Memoirs (1893–1953)
https://www.academia[...]
Stanford
[14]
웹사이트
"WILL TO WIN" - HIS GREATEST LEGACY
http://vanfleetfound[...]
2023-04-10
[15]
웹사이트
CHAPTER XXII: Signs of Armistice
https://history.army[...]
2024-06-03
[16]
서적
In from the Cold
ANU Press
[17]
뉴스
Late U.S. general to receive award for Korean War feats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5-11-01
[18]
뉴스
Monument erected to honor West Point graduates killed in Korean Wa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0-09-18
[19]
뉴스
Osan unveils monument dedicated to fallen Airmen
https://www.retirees[...]
Air Force Retiree Services
2012-06-20
[20]
뉴스
James A. Van Fleet, Leader In Korean War, Dies at 100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9-24
[21]
웹사이트
What's My Line? – General James A. Van Fleet (Jul 26, 1953)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7-05-31
[22]
논문
The Will to Win: The Life of General James A. Van Fleet
[23]
웹사이트
Van Fleet, Oldest Living 4-Star General, Turns 100
https://www.latimes.[...]
2024-06-03
[24]
웹사이트
Burial Detail: Van Fleet, James A (Section 7, Grave 8195-A) – ANC Explorer
https://ancexplorer.[...]
[25]
웹사이트
ANC Explorer
https://ancexplorer.[...]
2021-02-24
[26]
뉴스
Gen. James Van Fleet, 100; Hero Exalted by Truman
https://www.newspape[...]
1992-09-24
[27]
웹사이트
James Alward Van Fleet
http://militarytimes[...]
[28]
웹사이트
Gen. James A. Van Fleet Hall
http://www.uff.ufl.e[...]
[29]
웹사이트
Honorary Letter Winners
http://www.gatorfclu[...]
[30]
뉴스
O'Connell Lauded for Actions
https://news.google.[...]
Sarasota Journal
1971-05-03
[31]
잡지
The 50 Most Important Floridians of the 20th Century
The Ledger
[32]
웹사이트
Library Collections - The George C. Marshall Foundation
https://www.marshall[...]
2024-06-03
[33]
웹사이트
Van Fleet Routed Greece's Red Peril
https://www.theledge[...]
2006-04-17
[34]
웹사이트
General's grandson shares leadership lessons in Korea
https://www.army.mil[...]
2014-09-03
[35]
웹사이트
James Alward van Fleet :: New Netherland Institute
https://www.newnethe[...]
2024-06-03
[36]
웹사이트
Van Fleet's Artworks Displayed At UF
https://www.theledge[...]
2024-06-03
[37]
논문
Promoting the Study of Korean Art in the United States: Samuel P. Harn Museum of Art, University of Florida (2008–2019)
https://www.research[...]
[38]
웹사이트
US Army Officers 1939–1945
http://www.unithisto[...]
2014-05-28
[39]
위키소스
https://en.wikisourc[...]
[40]
간행물
2009 Southern Conference Football Media Guide
http://www.soconspor[...]
2010-03-16
[41]
뉴스
마거리트 히긴스의 못다한 이야기(4) 밴 플리트 장군과의 인터뷰
국방일보
2010-06-01
[42]
웹인용
한국군의 아버지 '제임스 밴 플리트(James Alward Van Fleet)'
http://www.pa.go.kr/[...]
2017-05-30
[43]
웹인용
밴 플리트 장군 및 밴 플리트 재단 소개
https://www.kita.net[...]
밴 플리트 재단
2023-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