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나 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나 모어는 1745년 영국에서 태어난 작가, 극작가, 박애주의자이며, 여성 교육에 대한 제한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녀는 초기 생애에 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했으며, 극작가로서도 활동하며 1762년 첫 작품을 발표했다. 1780년대에는 복음주의적 도덕주의자로서 노예제 폐지 운동에 참여했으며, 프랑스 혁명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서머싯 지역의 빈곤층 자녀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했으나, 여성 교육관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말년에는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그녀의 이름을 딴 학교와 거리가 생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복음주의자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 영국의 복음주의자 - 존 웨슬리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순회 설교와 속회 조직, 평신도 설교자 임명을 통해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키고,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옹호하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에 힘썼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여러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 성공회 작가 - 윌리엄 워즈워스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이자 레이크 디스트릭트 출신인 윌리엄 워즈워스는 프랑스 혁명, 아네트 발롱과의 관계, 콜리지와의 협력, 메리 허치슨과의 결혼 등의 삶을 살았으며, `서정 발라드`, `두 권으로 된 시집`, `서곡` 등의 작품을 남겼고, 자연과 인간 감정을 묘사한 시로 계관시인에 임명되는 영예를 얻었다.
  • 성공회 작가 -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는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신약성서 학자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등에서 신약성서학을 가르쳤으며 더럼 주교를 역임했고 현재는 세인트앤드류스 대학교에서 신약성경학과 초기 기독교 역사를 가르치며 역사적 예수 연구와 바울 신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칭의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신학적 관점은 많은 지지와 함께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영국의 보수주의 - 신보수주의
    신보수주의는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정치 사상으로, 자유주의, 민주주의, 세계화를 지향하며, 군사력 사용에 적극적이고 미국의 일방적인 행동을 강조한다.
  • 영국의 보수주의 - 이언 페이즐리
    북아일랜드의 개신교 목사이자 정치인인 이언 페이즐리는 얼스터 자유 장로교회를 설립하고 민주연합당을 창당하여 유니오니스트로서 활동하며 수십 년간 반가톨릭, 반공화주의 노선을 걸었으나, 후에는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의 수반으로서 평화 구축에 기여했다.
한나 모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21년의 한나 모어
1821년의 모어
출생 이름(정보 없음)
출생일1745년 2월 2일
출생지피쉬폰즈, 브리스톨, 잉글랜드
사망일1833년 9월 7일
사망지클리프턴, 브리스톨, 잉글랜드
발견된 장소(정보 없음)
사망 원인(정보 없음)
안장 장소링턴, 서머싯, 잉글랜드
다른 이름(정보 없음)
알려진 이유
드라마
자선 활동
교육(정보 없음)
모교(정보 없음)
고용주(정보 없음)
직업시인
극작가
작가
교육자
서명Hannah More signature EMWEA.png

2. 초기 생애

1745년 브리스틀 근처 스태플턴 교구의 피쉬폰즈에서 태어난 한나 모어는 할스턴, 노퍽의 엄격한 장로교 가문 출신인 학교 교사였던 아버지 야곱 모어(1700–1783년)에게 교육을 받았다.[2] 아버지는 잉글랜드 교회에 합류하여 사제가 되려 했으나, 재산 소송에서 패소한 후 브리스틀로 이사하여 소비세 관리로 일했으며, 이후 피쉬폰즈 무료 학교에서 가르쳤다.

한나는 부지런하고 통찰력 있는 학생으로, 어린 나이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773–1774년 겨울, 언니 사라와 마르타와 함께 런던으로 갔다. 이후 매년 런던을 방문했으며, 데이비드 개릭의 리어왕 버전에 대해 쓴 시를 통해 그와 친분을 맺게 되었다.[2] 이후 바스로 이사가 그레이트 풀트니 스트리트에서 1792년에서 1802년 사이에 머물렀다.[3]

2. 1. 교육 활동

1758년, 야곱은 언니 메리와 엘리자베스를 위해 브리스틀의 트리니티 스트리트에 여자 기숙 학교를 설립했고, 그와 그의 아내는 도시의 스토니 힐로 이사하여 남자 학교를 열었다. 한나 모어는 12살 때 여자 학교의 학생이 되었고, 성인이 되어서는 그곳에서 가르쳤다.[2]

자매들은 처음 아버지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라틴어와 수학을 배웠다. 한나는 언니들에게도 가르침을 받았는데, 언니들을 통해 프랑스어를 배웠고, 7년 전쟁 동안 프렌치에 있는 프랑스 전쟁 포로들과 시간을 보내며 회화 실력을 향상시켰다.[2]

1767년 모어는 벨몬트 부동산의 윌리엄 터너와 약혼하면서 학교 지분을 포기했다. 그는 사촌들을 가르치기 시작했을 때 만났다.[2] 6년이 지나도록 결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터너는 날짜를 정하는 것을 꺼리는 듯했고, 1773년 약혼은 파기되었다. 이것이 모어를 신경쇠약으로 이끌었고, 그녀는 웨스턴슈퍼메어 근처의 업힐에서 회복했다. 그녀는 보상으로 터너로부터 200GBP 연금을 받도록 설득되었다. 이것은 그녀를 문학 활동에 전념하도록 했다.

3. 극작가로서의 활동

한나 모어는 교사로 일하면서 젊은 여성들이 공연하기에 적합한 목가극을 쓰기 시작했다. 1762년 첫 작품 《행복 추구》를 발표하여 1780년대 중반까지 10,000부 이상 판매했다.[4] 메타스타시오의 영향을 받아 그의 오페라 《아틸리오 레굴로》를 바탕으로 《불굴의 포로》를 집필했으며, 1818년에는 《불굴의 포로》라는 제목의 비극이 출판되었다.[5] 1781년 호레이스 월폴을 만나 서신을 주고받았고, 브리스톨에서 시인 앤 이어슬리를 발견하여 그녀가 빈곤해지자 상당한 돈을 모았다. 이어슬리는 1785년 ''여러 경우에 대한 시''를 출판하여 약 600GBP를 벌었다. 모어와 몬태규는 이어슬리의 남편으로부터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신탁으로 관리했으나, 이어슬리는 자본을 요구하며 모어를 절도 혐의로 암시하여 자본을 풀도록 강요했다. 이러한 문학적, 사회적 실패로 모어는 런던 지식인 사회에서 물러났다.

3. 1. 런던 문단 활동

모어는 런던에서 새뮤얼 존슨, 조슈아 레이놀즈, 에드먼드 버크 등 문학계 인사들과 교류하려 했다. 존슨은 그녀를 "영어에서 가장 훌륭한 시인"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2] 그녀는 블루스타킹 그룹의 일원으로, 엘리자베스 몬태규의 살롱에 참석하여 프랜시스 보스카웬, 엘리자베스 카터 등과 교류하며 이들 중 일부와는 평생 친구가 되었다. 1782년에는 친구와 주변 사람들을 기리는 시 "The Bas Bleu, or, Conversation"을 썼고, 1784년에 출판되었다.

모어 (서 있는, 왼쪽, 비극의 뮤즈 멜포메네의 의인화), 다른 "블루스타킹" (1778)과 함께.


1777년 12월, 개릭이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쓴 모어의 비극 ''페르시''가 코벤트 가든에서 상연되어 성공을 거두었으며, 1785년에는 사라 시돈스와 함께 로열 극장, 드루리 레인에서 재공연되었다. ''페르시''의 사본은 1791년 모차르트의 소유물에서 발견되기도 했다.[2] 1779년에는 또 다른 희곡 ''치명적인 거짓''이 상연되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이후 모어는 희곡 집필을 중단했다.[5]

4. 복음주의적 도덕주의자

1780년대에 제임스 오글소프와 교류하며 노예 제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6] 제임스 오글소프는 노예 제도를 도덕적 문제로 오랫동안 여기고 초기 노예제 폐지론자로서 그랜빌 샤프와 함께 활동했던 인물이다. 1782년, 모어는 《성스러운 드라마》(Sacred Dramas)를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 책은 곧 19판까지 발행되었다. 이후 윌리엄 윌버포스, 재커리 매콜리와 교류하며 복음주의적 견해에 동조하였다. 1788년에는 시 《노예 제도》(Slavery)를 발표하여 노예 제도 폐지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녀는 런던 주교이자 주요 노예 제도 폐지론자인 빌비 포티어스의 친구였으며, 포티어스는 그녀를 노예 무역 반대 단체에 참여시켰다.[6]

4. 1. 프랑스 혁명에 대한 입장

1792년 토머스 페인의 《인간의 권리》 제2부가 출간되자, 영국 정부는 빈민층의 지지와 세계 혁명 촉구, 그리고 엄청난 판매량에 놀랐다. 포티어스는 한나 모어에게 페인에 대항하여 평민들을 위한 글을 쓰도록 요청했다.[31] 이에 모어는 1792년 팜플렛 ''마을 정치''를 발표했다. 모어는 이 팜플렛을 "마음이 원하는 대로 비속하다; 그러나 그것은 가장 저속한 계층의 독자를 위해 설계되었다"라고 표현했다.[31] "윌 칩"이라는 필명으로 출판된 이 팜플렛은 마을 대장장이 잭 앤빌과 마을 석공 톰 후드의 쉬운 영어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 페인의 책을 읽은 톰 후드는 잭 앤빌에게 프랑스 혁명을 찬양하며 자유와 "인간의 권리"에 기초한 새로운 헌법을 지지한다. 잭 앤빌은 영국 헌법을 칭찬하며 영국은 이미 "세계 최고의 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프랑스의 자유를 살인, 프랑스 민주주의를 다수의 폭정, 프랑스 평등을 사회 계층의 수평화, 프랑스 철학을 무신론, "인간의 권리"를 "전투, 살인,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공격한다. 톰 후드는 결국 앤빌의 결론에 동의한다.[31] 이처럼 에드먼드 버크의 사상을 쉽게 풀어쓴 이 팜플렛은 좋은 반응을 얻었다.[31]

5. 빈민 교육 및 자선 활동

브리스틀에서 태어난 한나 모어는 아버지가 세운 학교에서 가르치고 연극을 쓰기 시작했다. 블루스타킹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후기 희곡과 시는 더욱 복음적인 성격을 띠었다. 노예 무역에 반대하는 그룹에 합류하기도 했다. 1790년대에는 토머스 페인의 《인간의 권리》에 대한 반박으로 문맹 퇴치자들에게 배포하기 위해 도덕적, 종교적, 정치적 주제에 대한 소책자를 썼다.

모어는 여동생 마사와 함께 서머싯주 시골에 빈민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했다. 이 학교들은 읽기를 가르쳤지만, 쓰기는 가르치지 않았다. 이는 프랑스 혁명과 같이 민중들이 사회 구조를 변혁하는 것을 우려한 조치였다. 에드먼드 버크와 같은 보수주의 사상가들은 민중을 "하층민"으로 보았고, 혁명은 혼란만 야기한다고 생각했다. 모어 역시 이러한 보수적 관점을 공유하며, 가난한 사람들이 지배 계급의 질서에 순응하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믿었다.[31] 그녀는 반페미니스트, "반혁명적" 또는 보수적 페미니스트로 묘사되기도 한다.[31]

5. 1. ''Cheap Repository Tracts''

1794년, 토머스 페인이 기독교를 공격하는 이신론 저서 ''이성의 시대''를 출판하자, 포테우스는 한나 모어에게 페인의 사상에 맞서 싸우는 것을 도와달라고 요청했지만, 자선 학교 일에 몰두하고 있던 그녀는 거절했다.[31] 그러나 그해 말, 모어는 포테우스의 격려를 받아 1795년부터 1798년까지 매달 3편씩 출판되는 일련의 ''저렴한 보급소 소책자''(Cheap Repository Tracts)를 쓰기로 결심했다. 1795년 1월, 모어는 재커리 매컬리에게 "저속하고 품위 없는 1페니짜리 책들은 항상 흔했지만, 가난한 사람들의 주머니와 이해력 수준에 맞춰진 투기적 불신은 우리 역사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는 강력한 반작용을 필요로 합니다."라고 설명했다.[8] 그녀의 계획은 부도덕을 억제하기 위한 협회의 아이디어에서 발전되었지만, "더 읽기 쉽고 재미있는 스타일"로 쓰여졌다.[8] 이 소책자는 1795년 3월과 4월에 30만 부, 1795년 7월까지 70만 부, 1796년 3월까지 2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8] 이 소책자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만족, 절제, 겸손, 근면, 영국 헌법에 대한 존경심, 프랑스에 대한 증오, 그리고 신에 대한 신뢰와 젠트리의 친절함을 믿도록 촉구했다.[8] 아마도 가장 유명한 것은 엄청난 검소함과 만족감을 보여주는 가족을 묘사한 ''솔즈베리 평원의 양치기''일 것이다.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또한 부도덕을 억제하기 위한 협회에 아일랜드에서 그녀의 소책자를 재인쇄하도록 요청했고, 그들은 52개의 제목으로 230판 이상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9]

5. 2. 서머싯 학교 설립

1780년대부터 한나 모어는 여동생 마사와 함께 서머싯주 지역의 빈곤층 자녀를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10] 이 학교에서는 성경과 교리 문답을 가르치고, "하인으로 적합하게 만들 수 있는 거친 일"을 가르쳤다.[11] 모어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글쓰기를 허용하지 않았으며, 그들을 "학자나 철학자"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11]

이는 프랑스 혁명과 같이 민중들이 사회 구조를 변혁하는 것을 막고, 지배 계급의 질서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31] 에드먼드 버크와 같은 보수주의 사상가들에게 민중은 배움이 없고 도덕도 없는 "하층민"이었고, 혁명은 혼란만 가져오는 사건이었다.[31] 하지만 모어와 같은 정치적 보수주의자들은 온건한 사회 개혁을 생각했지, 수구를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31]

지역 영국 국교회 목사들은 그녀가 감리교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의심했고,[11] 일부 토지 소유주는 기본적인 문해력조차도 아이들의 적절한 지위보다 한 단계 높은 것으로 보았다.[12] 웨드모어에서는 웰스 대주교에게 모어를 학교에서 해임해 달라는 청원이 제출되기도 했다.[2]

6. 여성 교육관

한나 모어는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1792)를 읽지 않았으며, 여성이 "정부를 좋아할" 수는 있지만 그럴 "자격은 없다"고 믿었다. 그녀는 "변덕스럽고 변덕스러운 것은 우리 성별의 특징일 뿐"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성별 자체가 자격 미달"이라는 이유로 영국 왕립 문학회의 명예 회원 자격을 거절했다.[2] 모어는 여성 교육이 제한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당시 보수적인 여성관을 반영한 것이었다.

모어는 서머싯에 빈곤층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여,[10] 성경과 교리 문답, 그리고 "하인으로 적합하게 만들 수 있는 거친 일"을 가르쳤다. 그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글쓰기를 허용하지 않으며" 그들을 "학자나 철학자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11]

6. 1. 반(反) 페미니즘 논란

한나 모어는 정치적 보수주의 성향으로 인해 반페미니스트 또는 "반혁명적" 페미니스트로 묘사되었다.[31] 그녀는 프랑스 대혁명에 대한 반동으로, 가난한 인민들이 사회 변혁을 상상하지 못하고 지배 계급의 질서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해 제한된 교육만을 제공하는 학교를 설립했다.

모어와 그녀의 여동생 마르타가 서머싯에 설립한 학교에서는 읽기를 가르쳤지만, 쓰기는 허용하지 않았다.[31] 영국 국교회 목사들은 그녀가 감리교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의심했고,[11] 일부 토지 소유주들은 기본적인 문해력조차도 아이들의 적절한 지위보다 높다고 생각했다.[12] 웨드모어에서는 웰스 대주교에게 모어를 학교에서 해임해 달라는 청원이 제출되기도 했다.[2]

모어는 배스 앤 웰스 주교에게 자신의 학교가 "단지 하인으로 적합하게 만들 수 있는 거친 일"만을 가르친다고 항변하며, "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글쓰기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내 목표는... 하층민을 근면과 경건의 습관으로 훈련시키는 것입니다."라고 주장했다.[13]

모어는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1792)를 읽기를 거부했다. 그녀는 많은 여성들이 "정부를 좋아할" 수 있지만, 그럴 "자격이 없다"고 믿었으며, "변덕스럽고 변덕스러운 것은 우리 성별의 특징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자신의 "성별 자체가 자격 미달"이라는 이유로 영국 왕립 문학회의 명예 회원 자격을 거절했다.[2]

안나 라에티티아 바르보와 엘리자베스 해밀턴의 교육학을 읽은 사람들은 모어를 "이성에 대한 치명적인 반감"을 가진 작가로 여겼다.[14] 제인 그레그는 한나 모어와 그녀의 자매들을 만나고 친구 마사 맥티어에게 그들의 "마음이 놀라운 정도로 불구"라고 보고했다.[15]

7. 말년과 유산

한나 모어는 말년에 각지에서 온 박애주의자들의 순례를 받으며 윌링턴에서 지내다가, 1828년 이후 브리스틀 클리프턴으로 이주하여 1833년 9월 7일에 사망했다.[11] 그녀는 약 30000GBP를 남겼는데, 이는 주로 자선 단체와 종교 단체에 기부되었다. 남은 재산은 브리스틀에 있는 새로운 성 필립과 성 야곱 교회에 귀속되었다. 그녀는 자매들과 함께 윌링턴의 만성자 교회에 묻혔으며, 교회 남쪽 현관에는 지역 출신인 존 로크의 흉상 옆에 그녀의 흉상이 있다.[11]

1872년 한나 모어의 무덤


링턴 올 세인츠에 있는 모어의 흉상

7. 1. 유산

몇몇 지역 학교와 세인트 마이클 교회 (레이스터타운, 메릴랜드)가 모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40년대 브리스톨 올드 마켓에 한나 모어 초등학교가 세워졌다.[2] 2012년 지역 통화인 브리스톨 파운드에는 그녀의 이미지가 등장했다.[18] 그녀가 묻힌 링턴의 거리는 한나 모어 클로즈로 명명되었다.

하지만 자유당 정치인 오거스틴 비렐은 1906년 저서 『다시 한 번 한나 모어』에서 모어의 저서 19권을 모두 혐오감에 정원에 묻었다고 주장했다.[2]

참조

[1] 서적 Hannah More and Conservative Feminism Palgrave Macmillan
[2] 간행물 Hannah Mo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Bristol (Bristol Historical Association)
[3] 웹사이트 Bath-Heritage.co.uk http://bath-heritage[...] 2022-07-21
[4] 사전 More, Hannah (1745–1833)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Hannah More
[6] 서적 The Oglethorpe Plan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서적 The Mendips Robert Hale Ltd
[11] 웹사이트 Hannah More (1745-1833) [1894] http://www.historyho[...] Marjorie Bloy 2020-11-06
[12] 뉴스 Malcolm Rigby investigates the life of Hannah More, probably Somerset's most influential woman 2010-01-26
[13] 서적 Life and Correspondence of Hannah More, Vol. III https://books.google[...] R. B. Skelley and W. Burnside
[14] 서적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e in a Letter to Edmund Burke https://books.google[...] J. Johnson 2020-11-05
[15]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Mary Ann McCracken, 1770–1866 Allen Figgis & Co 1960
[16] 편지 Drennan-Mc Tier Letters Irish Manuscripts Commission 1795-01-17
[17] 웹사이트 Kenyon Hall site http://www.kenyon.ed[...] 2012-03-28
[18] 뉴스 Bristol launches local currency http://www.designwee[...] 2012-09-19
[19] 웹사이트 General Convention Virtual Binder https://www.vbinder.[...] 2022-07-22
[20]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British Library Manuscript Collections http://discovery.nat[...] 2016-03-01
[21]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Longleat http://discovery.nat[...] 2016-03-01
[22]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Newport Central Library http://discovery.nat[...] 2016-03-01
[23]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Bodleian Library http://discovery.nat[...] 2016-03-01
[24]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St John's College Library, Cambridge http://discovery.nat[...] 2016-03-01
[25]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National Art Library, Victoria & Albert Museum http://discovery.nat[...] 2016-03-01
[26]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Bristol Reference Library http://discovery.nat[...] 2016-03-01
[27]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Department of Manuscripts and University Archives http://discovery.nat[...] 2016-03-01
[28]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London School of Economics: The Women's Library http://discovery.nat[...] 2016-03-01
[29]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Gloucestershire Archives http://discovery.nat[...] 2016-03-01
[30]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Discovery catalogue page, National Museums Liverpool: Maritime Archives and Library http://discovery.nat[...] 2016-03-01
[31] 서적 Hannah More and Conservative Feminism Palgrave Macmil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