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석불좌상으로, 현재 함양중고등학교에 위치해 있다. 4m가 넘는 거대한 크기이며, 얼굴과 오른손, 무릎, 대좌 일부가 손상되었다. 얼굴은 마모되었지만 큼직하고 강건한 인상을 주며,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옷은 우견편단 형식이며, 오른팔은 굵고 우람하며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는 사각형이며, 연꽃무늬, 안상, 구름무늬 등이 조각되어 있다. 고려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군의 문화유산 - 함양 상림
    함양 상림은 최치원이 함양 태수 시절 홍수 방지를 위해 조성한 숲으로, 과거 대관림이라 불렸으나 홍수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역사적,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함양군의 문화유산 - 함양 남계서원
    함양 남계서원은 조선시대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고, 정유재란 때 소실 후 재건되었으며,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하여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정여창을 비롯한 여러 인물을 배향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보물 - 영남루
    영남루는 밀양강변에 위치한 누각으로, 신라 시대 사찰에서 기원하여 고려 시대에 재건, 조선 시대에 중건을 거쳐 헌종 때 재건된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며, 익루 및 주변 비석들과 함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 경상남도의 보물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불교 경전 등을 담은 총 54종 2,835판의 목판으로,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해인사 대장경판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한국 목판 인쇄술과 서각예술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 석불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 석불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높이 1.8m의 석조 보살 좌상으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앞에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약왕보살로 추정되고, 안정적인 자세와 화려하고 섬세한 표현이 특징이며, 고려 전기 탑전 공양보살상의 독창적인 도상과 구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이름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영어 이름Stone Seated Buddha of Gyosan-ri, Hamyang
유형보물
지정 번호376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배움길 11 (교산리)
시대고려시대
관리함양군
수량1구
문화재청 ID12,03760000,38

2. 상세

2. 1. 외형

2. 2. 대좌

3. 역사적 배경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시대에 조성된 석불좌상으로, 현재 함양중고등학교 안에 있다. 불상은 4m가 넘는 거대한 크기이며, 얼굴과 오른손, 무릎 및 대좌 일부가 손상된 상태이다.

얼굴은 많이 닳았고 머리 부분도 파손이 심하지만, 큼직하고 강건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얼굴 형태는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보물 제375호)과 유사하며, 밝은 미소를 띤 모습도 비슷하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치는 우견편단 형식이며,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모습이다. 몸을 가로지르는 옷주름은 평행을 이루며 다소 형식적으로 처리되었다. 오른팔은 굵고 우람하며, 손끝이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한 채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대좌는 사각형으로, 윗부분의 앞뒷면은 깨졌고 양쪽 옆면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대좌 중간 부분에는 안상(眼象)이, 아랫부분에는 구름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이 불상은 고려 불상의 힘과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고 있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3. 1. 조성 시기 및 배경

3. 2. 역사적 의의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은 고려시대의 석불좌상으로 현재 함양중고등학교 안에 있다. 대좌 높이까지 포함하여 4m가 넘는 거대한 조각이나, 불상 뒤의 광배(光背)가 없어지고 불상의 얼굴과 오른손, 무릎 및 대좌(臺座) 일부가 파손된 상태이다.

얼굴은 마모가 심하고 머리 부분도 파손이 심해 세부적인 모습은 알 수 없지만, 큼직하고 강건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얼굴 형태는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보물 제375호)과 유사하며, 밝은 미소까지 닮았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치는 우견편단 형식이며,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모습이다. 몸을 가로지르는 옷주름은 평행을 이루지만 다소 형식적으로 처리되었다. 오른팔은 굵고 우람하며, 손은 깨졌지만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한 채 무릎 위에 올려 놓았다.

대좌는 사각형인데 윗부분의 앞뒷면은 깨졌고, 양쪽 옆면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대좌 중간 부분에는 안상(眼象)이, 아랫부분에는 구름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이 불상은 고려 불상의 힘과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고 있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4. 보존 및 관리

4. 1. 현지 안내문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시대 석불 좌상으로, 원래 청룡사터 또는 용산사터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고려 시대 석조 불상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잘 표현한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불상은 대좌까지 포함하면 높이가 4m가 넘을 만큼 거대하며, 불상 뒤 광배, 얼굴 일부와 오른손, 무릎과 대좌 일부는 없어졌다.

얼굴은 몹시 닳았고 머리 부분도 심하게 파손되었지만 큼직하고 강건해 보인다. 이러한 얼굴은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과 비슷하며, 밝은 미소도 비슷하다. 목에는 세 줄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옷은 왼쪽 어깨에 걸쳐져 있으며, 신체도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다. 오른팔이 굵고 우람하며, 오른손은 깨져 없어졌지만 손끝이 땅을 가리키는 모양을 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대좌는 사각형이며 상대, 중대, 하대의 3부분으로 되어 있다. 상대(上臺)는 앞뒷면이 깨져 있지만 양쪽 옆면에는 연꽃무늬를, 중대(中臺)에는 눈 모양의 안상(眼象)을, 하대(下臺)에는 겹연꽃무늬를 새겼다.

영문 안내문에는 석불이 고려 시대의 조각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고 설명되어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