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합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장은 손바닥을 마주 대고 합하는 행위로, 산스크리트어 '안잘리'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존경, 경외, 인사, 기원 등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나마스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손바닥을 합하는 것은 뇌의 좌우 반구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며, 불교에서는 타인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는 동작으로 여겨진다. 요가에서는 정신적 안정과 유연성 증진을 위해 활용되며, 다양한 아사나에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손짓 - 악수
    악수는 만남, 인사, 작별, 축하, 감사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사 방식이며, 고대 아시리아 시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먹 부딪치기나 손 감싸기 같은 대체 인사 방식이 등장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접촉 인사가 강조되고 있다.
  • 손짓 - 주먹 인사
    주먹 인사는 두 사람이 주먹을 맞부딪히는 제스처로, 인사, 축하, 친분, 존중의 의미를 가지며, 권투 선수들의 글러브 접촉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1970년대 농구 선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는 설이 있고, 위생적인 측면에서 악수를 대체하기도 한다.
합장
개요
일본 투시타에 있는 안잘리 무드라
일본 투시타에 있는 안잘리 무드라
종류무드라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명칭
산스크리트어(Añjali Mudrā)
다른 이름(Praṇāmāsana)
합장 (合掌)
가쇼 (がっしょう)
합장 (合掌)
설명
의미
역사 및 문화적 중요성
기원 및 사용
표현 방식

다양한 종교 및 문화에서의 사용
힌두교
불교
요가
요가에서의 활용
합장 (合掌)
설명
의미

2. 어원

''안잘리''(Añjali, अञ्जलि|안잘리sa)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로, 손을 모아 만든 공간, 즉 꽃이나 물을 담거나, 기증하거나, 무언가를 받는 데 사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3][7] 손을 함께 누르고 들어 올리면 "존경", "경외", "축복", "인사" 또는 "탄원"의 형태를 의미한다.[3][7] "존경하거나 기념하다"를 의미하는 ''안지''(anj)에서 파생되었다.[11] 따라서 ''안잘리''는 "신성한 공물", "존경의 몸짓"을 의미한다.[11]

''무드라''(Mudra)는 "봉인" 또는 "기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인사 봉인"을 뜻한다.[8]

"마음의 봉인에 대한 존경"을 의미하는 ''흐리다얀잘리 무드라''(hrdayanjali mudra) 및 "자신에 대한 봉인에 대한 존경"을 의미하는 ''아트만잘리 무드라''(atmanjali mudra)로도 알려져 있다.[11]

3. 동작

안잘리 무드라는 양 손바닥을 서로 맞대고 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하여 균등하게 누르는 동작이다.[11]

일반적으로 엄지손가락이 심장 차크라에 가볍게 닿도록 가슴 앞에 두지만, 제3의 눈(아즈나 차크라)이나 미간 차크라, 또는 머리 위(사하스라라 차크라)에 두기도 한다.[11] 요가 자세에서는 몸의 한쪽 옆이나 등 뒤에 안잘리 무드라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안잘리 무드라는 일반적으로 머리를 약간 숙이는 동작을 동반한다.

4. 상징적 의미

안잘리 무드라는 산스크리트어 인사말 나마스테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내 안의 신성으로부터 당신 안의 신성에게 절합니다."로 번역되기도 한다.[8] 양 손바닥을 합치는 것은 뇌의 좌우 반구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며 통일을 나타낸다고 한다.[11][8] 이는 수행자의 신성과의 연결을 상징한다.

스리랑카에서는 신할라족이 가슴에 두 손을 모으고 약간 절하며 "아유보완"(오래 사세요)이라고 말하는 환영 제스처를 사용한다.

오른손은 부처의 청정함과 지혜를, 왼손은 중생의 부정함과 행동력을 상징하며, 양손을 합장함으로써 부처와 일체화됨을 나타낸다.[11] 불교에서 합장은 타인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나타낸다.

5. 종류 (일본 불교)


  • 견실심 합장 - 가장 일반적인 합장이다. 양손의 손바닥과 손가락을 똑바로 펴서 어긋나거나 틈이 없도록 딱 맞춘다. 순수하고 거짓 없는 기도의 마음을 표현한다고 여겨진다.
  • 허심 합장 - 손바닥과 손바닥 사이에 약간의 틈이 생기도록 맞춘다. 어린아이와 같은 깨끗한 마음을 표현한다고 여겨진다.
  • 금강 합장 - 손가락을 약간 벌리고, 서로 엇갈리게 겹치듯이 '''오른손을 위로''' 하여 손바닥을 맞춘다. 왼손을 위로 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더욱 강한 부처에 대한 귀의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며, 귀명(歸命) 합장이라고도 불린다.


한 손으로 하는 약례(略禮)라는 형식도 있다.

6. 신체적 이점 (요가)

안잘리 무드라(Anjali Mudra)는 신체적인 요가 수행의 일부로 수행되며,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수행자들에 따르면, 안잘리 무드라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심 자세"이며, 수행자가 집중하고 명상 상태에 들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11]

이 자세는 손, 손목, 손가락 및 팔의 유연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11]

7. 요가에서의 활용

안잘리 무드라는 앉거나 서는 자세에서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요가 수련에서 여러 아사나의 일부로 통합되기도 한다.[12][13][14][15][16][17][18][19][20][21]

7. 1. 주요 아사나

안잘리 무드라는 앉거나 서는 자세에서 단독으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전신 아사나의 일부로 요가 수련에 통합되기도 한다.

  • 안자네야사나(런지) - 팔을 머리 위로 뻗은 자세[12]
  • 하누만아사나(원숭이 자세)[13]
  • 말라사나(화환 자세)[14]
  • 마츠야사나(물고기 자세) - 고급 변형[15]
  • 프라사리타 파도타나사나(다리 넓게 벌려 앞으로 구부리기) - 손을 등 뒤로 한 고급 변형[16]
  • 라자카포타사나(비둘기 자세/왕 비둘기 자세) - 비둘기 자세에서의 안잘리 무드라[17]
  • 타다아사나/사마스티티(산 자세) - 태양 경배(수리야 나마스카라) 시퀀스에 사용되는 자세의 변형[18]
  • 우트카타사나(의자 자세, 문자 그대로 "사나운 자세"), 팔을 머리 위로 뻗은 자세
  • 우르드바 하스타사나(위로 향하는 경례/뻗은 산 자세) - 팔을 머리 위로 뻗은 자세[19]
  • 비라바드라사나 I(전사 I) - 팔을 머리 위로 뻗은 자세[20]
  • 브륵샤사나(나무 자세)[21]

8. 기타

비록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합장이 보편적인 인사법은 아니지만, 유럽미국 등 서구권에서는 동양인, 특히 일본인·중국인·한국인을 묘사할 때 합장하는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문화적 차이와 고정관념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미국을 비롯한 미디어(오락 프로그램·영화·애니메이션 등)에 종종 등장한다.[3]

일본에서는 불교 관련 의식 시에 행해질 뿐만 아니라, 사과를 할 때나 부탁을 할 때 상대를 띄워주기 위한 몸짓으로 사용하는 예도 있다. 또한, 식전, 식후 인사를 할 때 합장하는 예도 있는데, 이것은 불교에서 유래된 습관이다. 신토에서는 박수로 손을 마주치지만, 그 후 양손을 내리고 절하며 예배한다(신토의 배례에서는 합장하지 않는다).[4]

참조

[1] 논문 A vertical-horizontal-intersections feature base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bharatanatyam double hand mudra images Springer Science 2018-06-04
[2] 서적 Mudras of India: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Hand Gestures of Yoga and Indian Dance https://books.google[...] SD Publishers
[3]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Indien. Zweite Abteilung Brill Academic
[4] 논문 An Early Cola Lingodbhavamurti
[5] 논문 Indian Sculpture Newly Acquired
[6] 서적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Springer Singapore
[7] 서적 Practical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8] 웹사이트 For Beginners: Anjali Mudra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9] 서적 The Theory of Indian Painting: the Citrasutras, their Uses and Interpretations SOAS, University of London
[10] 서적 Theatre in Southeast Asia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Salutation Seal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2-06-12
[12] 웹사이트 Low Lung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3] 웹사이트 Monkey Pos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4] 웹사이트 Garland Pos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5] 웹사이트 Fish Pos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6] 웹사이트 Wide-Legged Forward Bend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7] 웹사이트 Pigeon Pos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8] 웹사이트 Mountain Pos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19] 웹사이트 Upward Salut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20] 웹사이트 Warrior I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21] 웹사이트 Tree Pose http://www.yogajourn[...] Yoga Journal 2009-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