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해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해등은 선박, 항공기, 우주선 등의 안전 운항을 위해 사용되는 등화 장치이다. 1838년 미국에서 해상 항해등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이 통과된 이후, 영국,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항해등 관련 규정을 제정했다. 1972년 해상 충돌 예방 규칙(COLREGs)은 선박에 필요한 항해등의 요구 사항을 규정한다. 항공기의 경우, 왼쪽 날개 끝단에 적색, 오른쪽 날개 끝단에 녹색, 꼬리 부분에 흰색 항법등을 설치하며, 충돌 방지등으로 고휘도 스트로브 등을 사용한다. 우주선 역시 LED를 활용한 항해등을 사용하며, 시그너스 우주선과 스페이스X 드래곤 우주선 등이 그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해 용어 - 톤수
    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양한 측정 단위로, 화물의 질량, 용적, 자산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하며, 운송료, 세금 등 선박 관련 비용과 규제에 영향을 미친다.
  • 항해 용어 - TEU
    TEU는 20피트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해운업계에서 항만 물동량이나 선박 적재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국제 무역량 측정 지표 및 경제 정책 수립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항공우주공학 - 처녀 비행
    처녀 비행은 항공기나 로켓의 최초 비행을 의미하며, 본 문서는 몽골피에 형제의 열기구부터 벌컨 센타우르 로켓까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항공기 및 로켓의 처녀 비행 목록과 기술적 의미를 다룬다.
  • 항공우주공학 - 비행성
    비행성은 항공기의 조종성, 안정성, 조종사의 조작 반응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항공기 안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평가하며, 플라이 바이 와이어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향상되어 왔다.
항해등
개요
정의선박, 항공기, 우주선의 위치, 방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명
목적
선박다른 선박과의 충돌 방지
야간 또는 시야가 제한된 조건에서 다른 선박의 존재와 움직임을 알림
특정 활동 (예: 어업, 준설) 중임을 나타냄
항공기다른 항공기와의 충돌 방지
야간 또는 시야가 제한된 조건에서 다른 항공기의 존재와 움직임을 알림
우주선우주 공간에서 다른 우주선과의 충돌 방지
우주선의 방향 및 상태 정보 제공
종류
선박마스트등 (Masthead light): 선박의 전방을 비추는 흰색 등
현등 (Sidelight): 선박의 좌현 (Port, 빨간색) 및 우현 (Starboard, 초록색)에 있는 등
선미등 (Sternlight): 선박의 후방을 비추는 흰색 등
예선등 (Towing light): 예인선이 다른 선박을 예인할 때 사용하는 노란색 등
전주등 (All-round light): 360도 모든 방향으로 비추는 등 (흰색,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
섬광등 (Flashing light): 일정한 간격으로 빛을 내는 등
항공기항행등 (Navigation lights): 항공기의 양쪽 날개 끝 (빨간색, 초록색)과 꼬리 (흰색)에 있는 등
회전등 (Rotating beacon): 공항의 위치를 나타내는 회전하는 등 (흰색, 녹색)
스트로브등 (Strobe light): 강렬한 섬광을 내는 등
중요성
안전항행 안전 확보에 필수적임
법규 준수국제 및 국내 법규에 따른 항행등 설치 및 작동 의무

2. 역사

2. 1. 해상 항해등의 역사

1838년 미국은 일몰에서 일출 사이에 운행하는 증기선에 하나 이상의 신호등을 설치하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색상, 가시성 및 위치는 지정되지 않았다.[2] 1846년 영국은 증기 항해법 1846년을 통과시켜 영국 해군 최고 사령관이 모든 외항 증기선에 등화를 설치하도록 규정을 발표할 수 있게 했다.[2] 해군성은 1848년에 이 권한을 행사하여 증기선이 항해 중일 때는 적색 및 녹색 현측등과 흰색 마스트 헤드 등, 정박 중일 때는 단일 흰색 등화를 표시하도록 요구했다.[3]

1849년 미국 의회는 등화 요구 사항을 범주선으로 확대했다. 1889년 미국은 충돌 방지 규정을 고려하기 위해 제1차 국제 해사 회의를 소집했다. 그 결과인 워싱턴 회의 규칙은 1890년 미국에서 채택되었고 1897년 국제적으로 발효되었다. 이 규칙에는 증기선이 두 번째 마스트 헤드 등을 설치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1948년 국제 해상 인명 안전 회의는 길이 150피트를 초과하는 동력선에만 의무적인 두 번째 마스트 헤드 등과 거의 모든 선박에 고정된 선미등을 권고했다. 그 이후로 규정은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4] 1972년에 제정된 해상 충돌 예방 규칙 (COLREGs)은 선박에 필요한 항해등의 요구 사항을 규정한다.[12]

항해등의 보이는 방식. 2는 관찰자를 향하고 있다. 4는 관찰자의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


좌우의 적색과 녹색 색상은 비너클에 설치된 켈빈 볼의 색상에서 유래되었다. 비너클은 노천 갑판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야간에도 항법 계기를 읽을 수 있도록 불이 켜져 있었던 것이 기원이라고 한다.

2. 2. 항공 항해등의 역사

항공기에는 선박과 유사하게 외부 항법등이 장착되어 있다.[7] 이는 활주로 진입 또는 엔진 시동과 같은 행동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7] 역사적으로 백열 전구가 조명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수명이 긴 발광 다이오드(LED)로 대체되고 있다.[14]

항공기 항법등은 반세기 전에 확립된 선박의 관례를 따르며, 왼쪽 날개 끝단 앞 가장자리에는 빨간색 항법등이, 오른쪽 날개 끝단 앞 가장자리에는 녹색등이 있다.[8] 흰색 항법등은 꼬리 또는 각 날개 끝단에 최대한 뒤쪽에 위치한다.[8] 고휘도 스트로브 등은 충돌 방지등을 돕기 위해 항공기에 설치된다.[9] 충돌 방지등은 동체, 날개 끝, 꼬리 끝의 상단과 하단에 있는 깜박이는 조명이다.[9] 그 목적은 엔진 작동 또는 활주로 진입과 같이 지상 승무원과 다른 항공기가 알아야 할 사항이 발생했을 때 다른 사람에게 경고하는 것이다.[9]

민간 항공에서 조종사는 엔진이 꺼진 후에도 게이트에 있을 때는 일몰부터 일출까지 항법등을 켜두어야 한다.[15] 고휘도 흰색 스트로브 등은 적색 섬광과 함께 충돌 방지등 시스템의 일부이다.[15]

1996년 3월 11일 이후에 제작된 모든 항공기는 시정이 좋지 않은 모든 비행 활동에 대해 충돌 방지등 시스템(스트로브 등 또는 회전식 등대)을 켜야 한다.[16] 충돌 방지 시스템은 가시성이 좋은 경우에도 권장되며, 스트로브와 등대만 필요한 곳에서는 주간에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흰색(투명)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백 직전에 조종사는 엔진이 시동될 예정임을 지상 승무원에게 알리기 위해 등대등을 켜두어야 한다. 이 등대등은 비행 시간 동안 계속 켜져 있다. 택싱하는 동안에는 택시등이 켜진다. 활주로에 진입할 때는 택시등이 꺼지고 착륙등과 스트로브가 켜진다. 10,000피트를 통과할 때는 착륙등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조종사는 이를 끌 수 있다. 착륙할 때도 동일한 사이클이 역순으로 적용된다.[16] 착륙등은 항공기 전면의 밝은 흰색, 앞쪽 및 아래쪽을 향하는 조명이다. 그 목적은 조종사가 착륙 구역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지상 승무원이 접근하는 항공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6]

민간 상업용 항공기에는 항법등 외에도 다른 조명이 있다. 여기에는 꼬리 날개에 회사 로고를 비추는 로고등이 포함된다. 이 조명은 켜는 것이 선택 사항이지만 대부분의 조종사는 다른 항공기에서 더 잘 보이도록 야간에 켠다. 최신 항공기에는 날개등도 있다. 이들은 동체의 엔진 카울링 바로 앞 바깥쪽에 위치한다. 이것들을 켜는 것은 필수 사항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에는 조종사가 엔진 점검을 위해, 그리고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동안 항공기 근처의 지면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이 조명을 켠다.[10] 드물게 보이지만, 국제 신호 코드는 의료 항공기가 자신의 신호를 알리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방향에서 보이는 청색 점멸등(분당 60~100회 점멸)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0]

1) 항행등 2) 미등 3) 충돌 방지등 4) 로고등


항공등


적색과 녹색의 항공등

2. 3. 우주선 항해등의 역사

ORBITEC는 2011년에 우주선 외장에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 시스템을 개발했다.[11][17]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설계된 무인 수송선인 시그너스는 5개의 점멸하는 고출력 LED 조명으로 구성된 항법 조명 시스템을 사용한다.[11] 시그너스는 선체의 좌현에 적색 점멸등, 우현에 녹색 점멸등, 상단에 2개의 백색 점멸등, 하단에 1개의 황색 점멸등을 표시한다.[17]

국제 우주 정거장에 접근하는 시그너스 5. 우주선 후방에 항해등이 보인다. 하부의 황색등은 이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스페이스X 드래곤의 적색 및 녹색 항해등


스페이스X드래곤드래곤 2 우주선 역시 적색 및 녹색 조명과 함께 점멸 스트로브를 갖추고 있다.

3. 종류 및 배치

3. 1. 해상 항해등

1838년 미국은 일몰에서 일출 사이에 운행하는 증기선에 하나 이상의 신호등을 설치하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켰으나, 색상, 가시성 및 위치는 지정되지 않았다.[2] 1846년 영국은 증기 항해법 1846년을 통과시켜 영국 해군 최고 사령관이 모든 외항 증기선에 등화를 설치하도록 규정을 발표할 수 있게 했다. 해군성은 1848년에 이 권한을 행사하여 증기선이 항해 중일 때는 적색 및 녹색 측면 등과 흰색 마스트 헤드 등, 정박 중일 때는 단일 흰색 등화를 표시하도록 요구했다.[3] 1849년 미국 의회는 등화 요구 사항을 범주선으로 확대했다.

1889년 미국은 충돌 방지 규정을 고려하기 위해 제1차 국제 해사 회의를 소집했다. 그 결과인 워싱턴 회의 규칙은 1890년 미국에서 채택되었고 1897년 국제적으로 발효되었다. 이 규칙에는 증기선이 두 번째 마스트 헤드 등을 설치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1948년 국제 해상 인명 안전 회의는 길이 150피트(45.72미터)를 초과하는 동력선에만 의무적인 두 번째 마스트 헤드 등과 거의 모든 선박에 고정된 선미등을 권고했다. 그 이후로 규정은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4]

1972년에 제정된 해상 충돌 예방 규칙 (COLREGs)은 선박에 필요한 항해등의 요구 사항을 규정한다.[6] 선박의 항해등은 다른 선박이 선박의 종류와 상대적인 각도를 판단하여 충돌 위험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범선은 정면에서 2 방위(22.5°) 후방까지 비추는 '''녹색''' 등(우현)과 정면에서 좌현(왼쪽)으로 2방위 후방까지 비추는 '''적색''' 등, 그리고 선미에서 양쪽으로 2방위 후방까지 비추는 '''백색''' 등을 장착해야 한다. 동력선은 이러한 등 외에도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백색 마스트헤드등을 장착해야 하며, 이는 정면에서 양쪽으로 2방위 후방까지 비춘다. 두 개의 마스트헤드등을 장착하는 경우, 후방에 있는 등이 전방에 있는 등보다 높아야 한다.[13]

소형 동력선(12미터 미만)은 대형 선박이 장착하는 2개 또는 3개의 백색 등 대신 하나의 전방위 백색 등을 장착할 수 있으며, 적색 및 녹색 항해등도 장착해야 한다. 최대 속도가 7노트(12.964km) 미만인 7미터 미만의 선박은 항해등을 장착할 필요는 없지만 백색 등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6] 호버크래프트는 항상, 혼잡한 구역에서 운항하는 일부 보트는 주야간에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황색 섬광등을 장착할 수도 있다. 정박 중인 선박은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백색 앵커등(선박의 길이에 따라 다름)을 표시하며, 두 개의 등불이 표시되는 경우 앞쪽 등불이 뒤쪽 등불보다 높다. "소형"으로 분류된 보트는 항해등을 장착할 의무가 없으며 손전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우의 적색과 녹색 색상은 비너클에 설치된 켈빈 볼의 색상에서 유래되었다. 비너클은 노천 갑판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야간에도 항법 계기를 읽을 수 있도록 불이 켜져 있었던 것이 기원이라고 한다.

3. 2. 항공 항해등

항공기에는 선박과 유사하게 외부 항법등이 장착되어 있으며,[7] 활주로 진입 또는 엔진 시동과 같은 행동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백열 전구가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항공기 항법등은 왼쪽 날개 끝단 앞 가장자리에 빨간색, 오른쪽 날개 끝단 앞 가장자리에 녹색등이 있다. 흰색 항법등은 꼬리 또는 각 날개 끝단에 최대한 뒤쪽에 위치한다.[8] 충돌 방지등을 돕기 위해 고휘도 스트로브 등이 설치된다.[9] 충돌 방지등은 동체, 날개 끝, 꼬리 끝의 상단과 하단에 있는 깜박이는 조명으로, 엔진 작동 또는 활주로 진입과 같이 중요한 사항을 알린다.

민간 항공에서 조종사는 일몰부터 일출까지 항법등을 켜두어야 하며, 고휘도 흰색 스트로브 등은 적색 섬광과 함께 충돌 방지등 시스템의 일부이다. 1996년 3월 11일 이후 제작된 모든 항공기는 시정이 좋지 않은 경우 충돌 방지등 시스템을 켜야 한다.

조종사는 엔진 시동을 알리기 위해 등대등을 켜두며, 비행 시간 동안 계속 켜져 있다. 택싱하는 동안에는 택시등이 켜지고, 활주로에 진입할 때는 택시등이 꺼지고 착륙등과 스트로브가 켜진다. 10,000피트를 통과할 때는 착륙등을 끌 수 있다. 착륙할 때도 동일한 사이클이 역순으로 적용된다. 착륙등은 항공기 전면의 밝은 흰색 조명으로, 조종사가 착륙 구역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민간 상업용 항공기에는 항법등 외에도 꼬리 날개에 회사 로고를 비추는 로고등, 날개등이 있다. 국제 신호 코드는 의료 항공기가 청색 점멸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0]

3. 3. 우주선 항해등

ORBITEC은 2011년에 우주선에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발광 다이오드(LED) 시스템을 개발했다.[11][17] 시그너스 우주선은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설계된 무인 수송선으로, 5개의 점멸하는 고출력 LED 조명으로 구성된 항법 조명 시스템을 사용한다.[11] 시그너스는 선체의 좌현에 적색 점멸등, 우현에 녹색 점멸등, 상단에 2개의 백색 점멸등, 하단에 1개의 황색 점멸등을 표시한다.[17]

스페이스X드래곤드래곤 2 우주선 역시 적색 및 녹색 조명과 함께 점멸 스트로브를 갖추고 있다.

4. 기술 발전 및 법규

4. 1. 기술 발전

4. 2. 법규 (국제 협약 및 국내 법규)

5. 한국의 관점 및 정책

6. 비판 및 논란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2] 간행물 9th and 10th Vic. c. 100: "An act for the regulation of steam navigation, and for requiring sea-going vessels to carry boats https://archive.org/[...] 2019-07-06
[3] 간행물 Steamers' lights – to prevent collision London Gazette 1848-07-11
[4] 문서 Handbook of the Nautical Rules of the Road
[5] 문서 abaft
[6] 웹사이트 Amalgamated International & U.S. Inland Navigation Rules: Part C - Lights and Shapes https://www.navcen.u[...] 2022-07-18
[7] 웹사이트 AC 20-30B - Aircraft Position Light and Anticollision Light Installations – Document Information https://www.faa.gov/[...] 2018-04-06
[8] 웹사이트 14 CFR 25.1385, "Position light system installation" http://www.ecfr.gov/[...] 2012-12-09
[9] 웹사이트 14 CFR 23.1401, "Anticollision light system" http://www.ecfr.gov/[...] 2012-12-09
[10] 문서 http://www.seasource[...]
[11] 웹사이트 ORBITEC Delivers First-Ever LED Lighting System for Orbital Science's Cygnus Module Spacecraft Navigation Lighting http://www.orbitec.c[...] 2013-04-13
[12] 문서 Handbook of the Nautical Rules of the Road
[13] 문서 海上における衝突の予防のための国際規則に関する条約 規則C部 灯火及び形象物
[14] 웹사이트 AC 20-30B - Aircraft Position Light and Anticollision Light Installations – Document Information 2018-04-06
[15] 웹사이트 14 CFR 25.1385, "Position light system installation" http://www.ecfr.gov/[...] 2012-12-09
[16] 웹사이트 14 CFR 23.1401, "Anticollision light system" http://www.ecfr.gov/[...] 2012-12-09
[17] 웹사이트 ORBITEC Delivers First-Ever LED Lighting System for Orbital Science's Cygnus Module Spacecraft Navigation Lighting http://www.orbitec.c[...] 2013-04-13
[18]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