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함정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함정본부는 일본 해군에서 함선 및 병기 개발을 담당했던 기관으로, 1880년 해군성 주함국으로 시작하여 함정국, 해군함정본부, 해군기술본부 등을 거쳐 1945년 해체되었다. 1900년 해군함정본부 설립 이후, 해군공창을 관할하며 다양한 무기와 함선을 개발했다. 주요 개발 장비로는 기뢰, 어뢰, 함포 등이 있으며, 다이쇼 시대에는 "X년식"으로 명명된 다양한 무기들을 개발했다. 1920년 이후 워싱턴 군축 조약 체결, 군축 회담, 전쟁 등의 시기를 거치며 조직 개편과 함선 건조 계획 수정을 반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기관 - 일본 해군성
일본 해군성은 187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해군 군정을 담당하며 해군 정책을 총괄하고 태평양 전쟁을 주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해군과 함께 폐지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관 - 군령부
군령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작전 지휘 및 국방 전략을 담당한 천황 직속 기관이었으나, 군국주의적 색채를 띠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폐지되었다. - 일본의 폐지된 외국 - 교육총감부
교육총감부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교육기관 통괄 조직으로, 육군 내 교육기관 지휘, 병참 감독, 교육 과정 연구 등을 수행한 요직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폐지되었고 군국주의 교육 강화 등의 비판을 받았다. - 일본의 폐지된 외국 - 참모본부 (일본)
참모본부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령 기관으로, 군정에서 독립하여 군령권을 행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침략 전쟁을 주도하며 여러 사건과 논란의 중심에 섰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되어 일본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880년 설립 - 혁명 기념일
혁명 기념일은 프랑스 혁명의 시작을 알린 바스티유 감옥 습격을 기념하며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하는 프랑스의 국경일로, 매년 7월 14일에 불꽃놀이와 군사 퍼레이드 등의 행사가 전국적으로 개최된다. - 1880년 설립 - 통리기무아문
통리기무아문은 1880년 조선의 개화 정책에 따라 설치되어 대외 외교, 통상, 재정, 군사 업무를 담당했으며, 청나라의 기구를 본떠 만들어졌고,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다.
해군함정본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해군함정본부 |
원어 명칭 | 海軍艦政本部 (일본어) |
로마자 표기 | Kaigun Kansei Honbu (가이군 칸세이 혼부) |
약칭 | 칸폰 (艦本) Kanhon |
영어 명칭 | Navy Technical Department |
기관 정보 | |
설립일 | 1900년 5월 20일 |
해산일 | 1945년 11월 1일 |
상급 기관 | 해군성 |
역할 및 기능 | |
주요 업무 | 해군의 함정, 병기, 항공기 등의 설계, 연구, 개발, 생산 관리 |
조직 |
2. 역사
해군함정본부의 역사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함선 건조 및 기술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880년 11월 11일 해군성 '주함국'으로 설립되어 함선 병기 개발을 담당하면서 시작되었다. 1886년 1월 29일 기관, 연료 등을 담당하던 기관본부와 통합하여 함정국으로 개편되었고, 1900년 5월 20일 해군함정본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해군함정본부는 설립 초기부터 시모세 화약, 이쥬인 신관, 미야하라식 수관부 등 다양한 신기술을 채용하며 발전을 거듭했다. 1915년에는 행정 부문과 연구 부문이 분리되었다가 1920년에 다시 통합되는 등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1922년 워싱턴 군축 조약과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회담의 영향으로 함선 건조에 제한을 받게 되자, 일본 해군은 함선의 소형화와 중무장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는 모가미급, 하쓰하루급 등 소형 함선에 강력한 무장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1934년 도모즈루 사건과 1935년 제4함대 사건은 함선 설계의 문제점을 드러냈고, 해군함정본부는 함선 설계를 재조정해야 했다. 이후 야마토급 전함, 쇼카쿠급 항공모함 등 대형 함선 건조를 추진하며 태평양 전쟁을 준비했다.
1945년 해군성이 폐지되면서 해군함정본부도 함께 폐지되었다.
2. 1. 설립 초기 (1880년 ~ 1900년)
1880년 11월 11일, 해군성은 함선 및 병기 개발을 담당하는 '주함국'을 설립하였다. 1884년 12월 16일에는 기관, 연료, 기계공학을 담당하는 외국기관인 '기관본부'가 설립되었다. 1886년 1월 29일, 해군성은 주함국과 기관본부를 통합하여 '함정국'을 설립하고, 함정국의 자문기관으로 조함회의와 병기회의를 설치하였다.1889년 3월 8일, 해군성 내부 부서 개편에 따라 군무국은 제1국, 함정국은 제2국, 경리국은 제3국으로 개칭되었다. 조함회의와 병기회의는 기술회의로 통합되었다. 1893년에는 시모세 마사치카가 발명한 시모세 화약이 해군에 채용되었다. 같은 해 5월 20일, 제2국은 폐지되고 관련 부서는 제1국과 군무국으로 이관되었다.
1898년 3월 30일, 조함조병감독관령이 제정되었고, 오다 기요조 중좌가 발명한 '오다식 자동혈유기'(小田式自働繋維器일본어)가 채용되었다.
2. 2. 발전기 (1900년 ~ 1920년)
1900년, 군령부 차장이었던 이쥬인 고로 소장의 연구팀이 개발한 이쥬인 신관이 채용되었다.[6] 같은 해 5월 20일에는 해군함정본부가 설립되었다.1901년에는 함정본부 제4부장이었던 미야하라 지로 기관총감이 개발한 '미야하라식 수관부(미야하라식 수관 보일러)'가 채용되었다.[6]
1903년 11월 10일, 해군 진수부 직할 조병창과 병기창이 재편성되어 해군함정본부 관할 해군공창으로 통합되었다.
1915년 10월 1일, 행정 부문은 해군성 내부 부국인 함정부로 이관되었고, 연구 및 생산 부문은 해군기술본부로 통합되었다.[6]
1916년 4월 1일에는 함정국으로 개편되었다.
1919년 8월 4일, 해군화약창이 설립되었다.
1920년 8월 1일, 해군성은 88함대 계획에 필요한 예산을 공표하였다.
2. 3. 군축 조약과 재편 (1920년 ~ 1930년)
1920년 10월 1일, 함정국과 기술본부가 다시 해군함정본부로 통합되었고, 잠수함부가 제7부로 설립되었다.[6] 1922년 2월 6일, 워싱턴 군축 조약이 체결되면서 해군성은 군함 건조를 해군공창뿐만 아니라 민간 조선소에도 발주하기 시작했다.[6]1923년 4월 1일, 조병창과 함형시험소가 해군기술연구소로 통합되었다.[6] 1927년 4월 5일, 항공부가 해군성 외국으로 독립하여 해군항공본부로 재편성되면서, 모든 항공 병기와 항공 작전에 관한 연구 업무가 이전되었다.[6] 1928년 3월 1일, 제1부에서 전기부가 분리되면서 잠수함부가 제5부로 변경되었다.[6]
2. 4.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1930년 ~ 1945년)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회담의 결과로, 일본 해군은 함선의 소형화와 중무장화를 추구하는 조함 방침을 세웠다.[6] 1931년에는 제1차 해군보충계획에 따라 모가미급 중순양함과 하쓰하루급 구축함 등의 건조가 시작되었다.[6]1933년 4월 1일, 해군함정본부 제1부에서 수뢰부와 항해부가 분리되었다. 전기부는 제3부, 조함부는 제4부, 조기부는 제5부, 잠수함부는 제6부로 개명되었다.[6]
1934년에는 제2차 해군보충계획에 따라 소류, 히류, 도네급 중순양함 등의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도모즈루 사건으로 인해 스기 마사토 본부장이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6] 1935년 9월 26일에는 제4함대 사건이 발생하여 함선 설계를 재조정하게 되었다.[6]
1937년, 제3차 해군보충계획이 개정되어 야마토급 전함, 무사시급 전함, 쇼카쿠급 항공모함 등의 건조가 시작되었다.[6] 1938년 11월 15일에는 부서 개편으로 기뢰, 음향병기부가 신설되고 잠수함부는 제7부로 개명되었다.[6]
1939년에는 제4차 해군보충계획이 개정되어 시나노, 아가노급 경순양함, 아키쓰키급 구축함, 시마카제와 보조함선 건조 계획이 수립되었다.[6]
1942년 태평양 전쟁 발발에 따라 제5차 해군보충계획이 개정되었다.[6] 1943년 5월 1일에는 잠수함부가 해군성 내부부국으로 전속되었다.[6]
1945년 11월 1일, 해군성 및 해군함정본부와 기타 외국, 내국이 모두 폐지되었다.[6]
3. 구조
1900년(메이지 33년) 설치 당시에는 조병(제1부), 연료(제2부), 조선(제3부), 조기(제4부)였다. 1915년(다이쇼 4년)에 조병 부문을 세분화하고, 연료 부문을 폐지하여 5부로 재편되었으며, 이후 부서의 신설과 폐지를 반복했다. 이때, 부서는 결번이 생기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제2부를 폐지하는 경우, 제2부가 결번이 되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 제7부를 새로운 제2부로 옮기고 제7부를 폐지) 개번(改番)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설치된 잠수함부의 경우, 제7부(1920년) → 제3부(1923년) → 제2부(1927년) → 제5부(1928년) → 제6부(1933년) → 제7부(1938년)로 빈번하게 개번이 반복되었다. 그러나 바뀌는 것은 부서의 번호뿐이며, 분장(맡은 일)도 바뀌지 않고, 스태프(간부)도 많은 수가 유임되었다.[1]
1938년부터 1943년(쇼와 18년)까지 5년 동안은 7개 부문으로 나뉘어 있었다.[1]
- 제1부: 포공부(대포)
- 제2부: 수뢰부
- 제3부: 전기부(무선, 전탐)
- 제4부: 조선부
- 제5부: 조기부(기관)
- 제6부: 항해부
- 제7부: 잠수함부
1943년(쇼와 18년)에 제7부가 해군성 직할의 잠수함부로 독립했기 때문에, 종전 시에는 제6부까지의 6부 체제가 되었으며, 상선의 전시 급조를 추진하기 위해 임시 상선반을 증설했다. 1919년 (다이쇼 8년)에 신설된 제6부(항공 부문)는 4년 후인 1923년(다이쇼 12년)에 항공 본부가 개설되면서 핵심 조직으로서 제6부가 양도되었다.[1]
3. 1. 부서
1900년 5월 20일 해군함정본부 설립 당시 부서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부서명 | 설명 |
---|---|
제1부 | 조병 |
제2부 | 연료 |
제3부 | 조함 |
제4부 | 조기 |
제5부 | |
제6부 | 항공 (1923년, 해군항공본부로 분리) |
1943년 4월 30일 기준 해군함정본부 부서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
부서명 | 설명 |
---|---|
제1부 | 화포부 |
제2부 | 수뢰부 (1933년 4월 1일 재설립) |
제3부 | 전기부 |
제4부 | 조함부 |
제5부 | 조기부 (기관) |
제6부 | 항해부 (1933년 4월 1일 재설립) |
제7부 | 잠수함부 (1943년, 해군성 직속 부서로 전속) |
잠수함부는 7, 3, 2, 5, 6, 7과 같이 서수가 계속 바뀌었다.[1]
1915년에 조병 부문을 세분화하고 연료 부문을 폐지하여 5부로 재편되었으며, 이후 부서의 신설과 폐지를 반복했다. 이때, 부서는 결번이 생기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제2부를 폐지하는 경우, 제2부가 결번이 되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 제7부를 새로운 제2부로 옮기고 제7부를 폐지) 개번(改番)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1]
마지막으로 설치된 잠수함부의 경우, 제7부(1920년) → 제3부(1923년) → 제2부(1927년) → 제5부(1928년) → 제6부(1933년) → 제7부(1938년)로 빈번하게 개번이 반복되었다. 그러나 바뀌는 것은 부서의 번호뿐이며, 분장은 바뀌지 않고, 스태프도 많은 수가 유임되었다.[1]
1938년부터 1943년까지는 7개 부문으로 나뉘어 있었다.[1] 1943년에 제7부가 해군성 직할의 잠수함부로 독립했기 때문에, 종전 시에는 제6부까지의 6부 체제가 되었으며, 상선의 전시 급조를 추진하기 위해 임시 상선반을 증설했다. 1919년에 신설된 제6부(항공 부문)는 4년 후인 1923년에 항공 본부가 개설되면서 핵심 조직으로서 제6부가 양도되었다.[1]
3. 2. 외국
해군함정본부는 1880년 11월 11일에 해군성 ''주함국''으로 설립되어 함선 병기 개발 업무를 시작하였다. 1884년 12월 16일에는 기관, 연료, 기계공학을 담당하는 외국 기관인 기관본부가 설립되었다. 1886년 1월 29일, 해군성은 주함국과 기관본부를 함정국으로 통합하고, 함정국의 고문 기관으로 조함회의와 병기회의를 설립하였다.1889년 3월 8일, 해군성 내부 부국 개편에 따라 군무국은 제1국, 함정국은 제2국, 경리국은 제3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조함회의와 병기회의는 기술회의로 통합되었다. 1893년 5월 20일에는 제2국이 폐지되고 부서가 제1국/국무국으로 전속되었다.
1900년 5월 20일, 해군함정본부가 설립되었다. 1915년 10월 1일, 행정 부문은 해군성 내부 부국 함정부로 이관되고, 연구 생산 부문은 해군기술본부로 통합되었다. 1916년 4월 1일, 함정국으로 개편되었다.
1920년 10월 1일, 함정국과 기술본부가 다시 해군함정본부로 재통합되고, 새로운 부서인 잠수함부가 제7부로서 설립되었다. 1922년 2월 6일, 워싱턴 군축 조약에 조인하여 강대국 간의 함선 건조 경쟁이 끝나고, 해군성은 군함을 해군공창뿐만 아니라 민간 조선소에도 발주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1923년 4월 1일, 해군성은 조병창과 함형시험소를 해군기술연구소로 통합하였다. 1927년 4월 5일, 항공부가 해군성 외국으로 독립하여 해군항공본부로 재편성되었다. 1945년 11월 1일, 해군성과 해군함정본부, 기타 외부 및 내부 기관이 모두 폐지되었다.
4. 개발 장비
해군함정본부에서 개발한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1][2]
명칭 | 비고 |
---|---|
9년식 기뢰 | |
45구경 3년식 12 cm 포 | |
45구경 3년식 41 cm 포 | |
50구경 3년식 14 cm 포 | |
50구경 3년식 12.7 cm 포 | |
50구경 3년식 20 cm 포 (I/II) | |
60구경 3년식 15.5 cm 포 | |
45구경 5년식 48 cm 포 |
4. 1. 다이쇼 시대
해군함정본부는 다이쇼 시대에 다양한 무기를 개발했다. 이는 "X년식" 무기로 알려졌으며, 여기서 X는 다이쇼 천황의 재위 연도(1912년 7월 30일 ~ 1926년 12월 25일)를 나타낸다.[1][2]이 명명법은 메이지 시대 (메이지 천황의 재위 기간 (1867년 2월 13일 ~ 1912년 7월 30일))에서 이어졌다. "8.0인치 45구경, 41년식" (1908년)에 대한 기록이 존재한다.[2]
{| class="wikitable"
|+ 다이쇼 시대 해군함정본부 개발 무기
|-
! 명칭
! 비고
|-
| 9년식 기뢰
| ''토사''의 잔해에서 실험용 폭약으로 사용
|-
| 45구경 3년식 12 cm 포
|
|-
| 45구경 3년식 41 cm 포
|
|-
| 50구경 3년식 14 cm 포
|
|-
| 50구경 3년식 12.7 cm 포
|
|-
| 50구경 3년식 20 cm 포 (I/II)
|
|-
| 60구경 3년식 15.5 cm 포
|
|-
| 45구경 5년식 48 cm 포
|
|-
| 45구경 3년식 12 cm 포
|
|-
| 41 cm/45 3식 함포
|
|-
| 20 cm/50 3식 함포 (I)
|
|-
| 20 cm/50 3식 함포 (II)
|
|-
| 15.5 cm/60 3식 함포
|
|-
| 14 cm/50 3식 함포
|
|-
| 12.7 cm/50 3식 함포
|
|-
| 12cm/45 3식 함포
| "3식"은 1914년에 도입된 웰린 폐쇄기를 의미
|-
| 48 cm/45 5년식 해군 함포
|
|-
| 6년식 어뢰
|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수상함과 잠수함에 널리 사용.
항목 | 제원 |
---|---|
구경 | 약 53.34cm |
길이 | 약 6.71m |
중량 | 약 1431.99kg |
폭약 | 약 200.03kg |
사정거리 |
|-
| 8년식 어뢰
| 이전 모델의 개선된 형태
항목 | 제원 |
---|---|
직경 | 약 60.96cm |
길이 | 약 8.23m |
중량 | 약 2361.85kg |
폭약 | 약 345.18kg |
사정거리 |
- 탑재 함선: 무츠키형 구축함
|-
| 11년식 (1922년) 포미
| 수평식 왕복 블록 방식, 1922년 채택. 4.7인치 3년식 120mm 45구경 해군포와 일본 잠수함의 표준 갑판포였던 5.5인치 14 cm/40 11년식 해군포에 사용.
- 탑재 함선
- 오토리급 어뢰정
- 해대형 잠수함
- B형 잠수함
- C형 잠수함
|}
4. 2. 기타
- 9년식 기뢰
- 45구경 3년식 12cm 포
- 45구경 3년식 41cm 포
- 50구경 3년식 14cm 포
- 50구경 3년식 12.7cm 포
- 50구경 3년식 20cm 포 (I/II)
- 60구경 3년식 15.5cm 포
- 45구경 5년식 48cm 포
5. 계보
날짜 | 사건 |
---|---|
1880년 11월 11일 | 해군성 주함국 설립, 함선 병기개발 업무 시작. |
1884년 12월 16일 | 기관, 연료, 기계공학 담당 기관본부 설립. |
1886년 1월 29일 | 주함국과 기관본부가 함정국으로 통합, 조함회의와 병기회의 설립. |
1889년 3월 8일 | 군무국은 제1국, 함정국은 제2국, 경리국은 제3국으로 개편. 기술회의 설립. |
1893년 5월 20일 | 제2국 폐지, 부서가 제1국/국무국으로 전속. |
1900년 5월 20일 | 해군함정본부 설립. |
1915년 10월 1일 | 해군성 내부부국 함정부로 행정부문 이관, 연구 생산부문은 해군기술본부로 통합. |
1916년 4월 1일 | 함정국으로 개편. |
1920년 10월 1일 | 함정국과 기술본부가 다시 해군함정본부로 재통합, 잠수함부가 제7부로 설립. |
1923년 4월 1일 | 해군함정본부 부서 개편 (항공부, 제6부, 제7부 폐지, 전기부 제1부로 병합, 잠수함부 제3부로 개명). |
1927년 4월 5일 | 항공부가 해군항공본부로 독립, 수뢰부와 항해병기부가 제1부로 병합. 잠수함부는 제2부, 조함부는 3부, 조기부는 제4부로 개명. |
1928년 3월 1일 | 제1부에서 전기부 분리, 잠수함부 제2부에서 제5부로 개명. |
1933년 4월 1일 | 제1부에서 수뢰부와 항해부 분리. 전기부는 제3부, 조함부는 제4부, 조기부는 제5부, 잠수함부는 제6부로 개명. |
1938년 11월 15일 | 기뢰, 음향병기부 설립, 잠수함부 제7부로 개명. |
1943년 5월 1일 | 잠수함부가 해군성 내부부국으로 전속. |
1945년 11월 1일 | 해군성과 해군함정본부, 다른 외, 내국 모두 폐지. |
6. 역대 기관장
직책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해군성 함정국장 | 이토 쥰키치 소장 | 1886년 1월 29일 | 1889년 3월 8일 | |
해군성 제2국장 | (겸무) 시바야마 야하치 대좌 | 1889년 3월 8일 | 1889년 5월 16일 | |
해군성 제2국장 | 이토 쥰키치 소장 | 1889년 5월 17일 | 1890년 5월 21일 | |
해군성 제2국장 | 아이우라 키미치 소장 | 1890년 5월 23일 | 1892년 12월 12일 | |
해군성 제2국장 | 후쿠시마 케이텐 소장 | 1892년 12월 12일 | 1893년 5월 20일 | |
해군 함정본부장[7] | 카쿠타 히데마츠 중장 | 1900년 5월 20일 | ||
해군 함정본부장[7] | 아리마 신이치 중장 (취임 시는 소장) | 1901년 7월 3일 | 나중에 교육본부장과 겸임 | |
해군 함정본부장[7] | (겸임) 사이토 마코토 중장 (취임 시는 소장) | 1905년 1월 7일 | 본무는 해군 차관 | |
해군 함정본부장[7] | (겸임) 이쥬인 고로 중장 | 1906년 1월 9일 | 본무는 군령부 차장 | |
해군 함정본부장[7] | 카타오카 시치로 중장 | 1906년 11월 22일 | 1908년 8월 28일 | |
해군 함정본부장[7] | 마츠모토 카즈 중장 (취임 시는 소장) | 1908년 8월 28일 | 1913년 12월 1일 | |
해군 함정본부장[7] | 이지치 키친 중장 | 1913년 12월 1일 | 1914년 5월 29일 | |
해군 함정본부장[7] | 무라카미 카쿠이치 중장 | 1914년 5월 29일 | 1915년 10월 1일 | |
해군 함정부장 | 나카노 나오에 소장 | 1915년 10월 1일 | 1916년 4월 1일 | |
해군성 함정국장 | 나카노 나오에 소장 | 1916년 4월 1일 | 1918년 10월 8일 | |
해군성 함정국장 | 오카다 게이스케 중장 | 1918년 10월 8일 | 1920년 10월 1일 | |
해군 기술본부장 | 무라카미 카쿠이치 중장 | 1915년 10월 1일 | 1915년 12월 13일 | |
해군 기술본부장 | 토치우치 소지로 중장 | 1915년 12월 13일 | 1917년 9월 1일 | |
해군 기술본부장 | 이토 오츠지로 중장 | 1917년 12월 12일 | 1920년 10월 1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오카다 게이스케 중장 | 1920년 10월 1일 | 1923년 5월 25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아보 키요타네 중장 | 1923년 5월 25일 | 1924년 6월 11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요시카와 야스히라 중장 | 1924년 6월 11일 | 1926년 12월 10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야마나시 카츠노신 중장 | 1926년 12월 10일 | 1928년 12월 10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취급) 야마나시 카츠노신 중장 | 1928년 12월 10일 | 1929년 2월 1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코바야시 세이조 중장 | 1929년 2월 1일 | 1930년 6월 10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후지타 나오노리 중장 | 1930년 6월 10일 | 1932년 6월 1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스기 마사토 중장 (기관과 출신) | 1932년 6월 1일 | 1934년 5월 10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겸임) 나카무라 료조 대장 | 1934년 5월 10일 | 본무는 군사참의관 | |
해군 함정본부장 | 햐쿠타케 겐고 중장 | 1936년 3월 16일 | 1936년 12월 1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우에다 무네시게 중장 (기관과 출신) | 1936년 12월 1일 | 1939년 1월 27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시오자와 코이치 중장 | 1939년 1월 27일 | 1939년 8월 30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겸임) 토요다 테이지로 중장 | 1939년 8월 30일 | 본무는 항공본부장 | |
해군 함정본부장 | 토요다 소에무 중장 | 1939년 10월 21일 | 1941년 9월 18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이와무라 키요이치 중장 | 1941년 9월 18일 | 1943년 4월 15일 | |
해군 함정본부장 | 스기야마 로쿠조 중장 | 1943년 4월 15일 | 1944년 11월 4일 | 본무는 함정본부장으로 전파본부장을 겸임 |
해군 함정본부장 | (겸임) 이노우에 시게미 중장 | 1944년 11월 4일 | 본무는 해군 차관 | |
해군 함정본부장 | 시부야 류타로 중장 (기관과 출신) | 1944년 11월 18일 | 1945년 11월 1일 |
참조
[1]
웹사이트
Japanese Torpedoes
http://www.combinedf[...]
[2]
웹사이트
Guns
http://www.ijn.dream[...]
Naval Institute Press
2010-03-17
[3]
간행물
Report of the sinking of ''I-35''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Australia)
2010-04-24
[4]
간행물
勅令第52号 海軍技術研究所令
https://dl.ndl.go.jp[...]
官報
1923-03-26
[5]
서적
第四節 海軍技術硏究所
https://dl.ndl.go.jp[...]
海軍大臣官房
1941
[6]
문서
大正4年10月1日付 海軍公報 第940号(部外秘)
[7]
문서
大正3年11月7日、発:海軍艦政本部長、宛:海軍大臣 、「駆逐艦浦風艤装員任命の件」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
뉴스
白金はロケット戦闘機「秋水」製造用に
朝日新聞
1945-10-20
[9]
웹인용
大正3년 11월 7일、発:海軍艦政本部長、宛:海軍大臣 、「駆逐艦浦風艤装員任命の件」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0-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