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미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미면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는 면으로,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된 곳이다. 백제 시대에는 마시산군의 영현이었고, 고려 시대에는 정해현과 여미현으로 나뉘었다. 1407년 정해현과 여미현을 합쳐 해미현이 되었으며, 이후 현감, 병마절도사영, 해미읍성 등이 설치되었다. 1895년 해미군으로 승격되었고, 1914년 서산군 지성면으로 개명되었다가 1917년 해미면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한서대학교,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해미 백씨, 해미 한씨, 해미 곽씨 등 여러 본관 성씨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성연면
성연면은 충청남도 서산시 중앙에 위치한 분지 지형의 면으로, 교통 요충지이자 자동차산업 집적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일람리, 고남리, 오사리 등 여러 리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역사와 지리적 특징을 갖는다.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대산읍
대산읍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며 큰 산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지질 구조와 관광 자원을 갖춘 곳이다. - 1917년 설치 - 중앙동 (포항시)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중앙동은 1931년 천구정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교육 및 공공, 금융, 의료 기관이 위치하고 주요 도로망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 1917년 설치 - 남면 (홍천군)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남면은 고구려 시대 벌력천현에서 신라 경덕왕 때 화산현으로, 조선 시대 금물산면으로 변화를 거쳐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양덕원터미널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이 운행되고 유치리는 '청춘불패' 촬영지로 알려진 11개 법정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서산시 - 서산해미도서관
서산해미도서관은 1993년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개관하여 평생학습관으로 지정되었고, 멀티미디어 자료실을 운영하며, 2019년 충청남도서산교육지원청해미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서산시 - 서산시립도서관
서산시립도서관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하며, 1995년 본관을 개관하여 자료실, 열람실, 강당 등을 갖추고 이동도서관을 운영하며,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미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해미면 |
한자 표기 | 海美面 |
영문 표기 | Haemi-myeon |
광역시/도 | 충청남도 |
시/군/구 | 서산시 |
![]() | |
![]() | |
면적 | 68.27 |
세대 | 3,805 |
세대 조사일 | 2013년 10월 31일 |
인구 | 8,773 |
인구 조사일 | 2013년 10월 31일 |
법정리 | 22 |
행정리 | 29 |
반 | 111 |
면사무소 | 해미면 남문2로 109 |
홈페이지 | 해미면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해미면 휴암리에는 기원전 8세기경에 조성된 신석기·청동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백제 때 마시산군(馬尸山郡)의 영현으로 우견현(牛見縣)이라 했다.[1]
고려 태조 때 고구현(高丘縣) 땅을 떼어 정해현(貞海縣)을 설치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운주(運州) 임내에 있다가, 감무(監務)를 두었다.[1]
여미현(餘美縣)은 본래 백제의 여촌현(餘村縣)인데, 신라에서 여읍현(餘邑縣)으로 고쳐 혜성군(槥城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여미현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에 운주 임내에 있다가, 1106년(예종 원년)에 비로소 감무를 두었다.[1]
1407년(태종 7) 정해현과 여미현을 합해 해미현(海美縣)이라 했고, 1413년(태종 13)에 현감을 두었다. 1418년(태종 18) 병마절도사영(덕산병영) 이전, 1491년(성종 22) 해미읍성("탱자성") 축성, 1579년(선조 12) 충무공 이순신이 10개월간 군관으로 근무, 1621년(효종 2) 호서좌영을 설치하였다.
1895년(고종 32) 해미군으로 승격되었고, 1914년 서산, 해미, 태안 3군을 통합하여 서산군 지성면으로 개명, 1917년 서산군 해미면으로 변경, 1995년 서산시 해미면이 되었다.
2. 1. 고대
해미면 휴암리에는 기원전 8세기경에 조성된 신석기·청동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백제 때 마시산군(馬尸山郡)의 영현으로 우견현(牛見縣)이라 했다.[1]정해현(貞海縣)은 고려 태조 때 고구현(高丘縣) 땅을 떼어 설치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운주(運州) 임내에 있다가, 감무(監務)를 두었다.[1]
여미현(餘美縣)은 본래 백제의 여촌현(餘村縣)인데, 신라에서 여읍현(餘邑縣)으로 고쳐 혜성군(槥城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여미현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에 운주 임내에 있다가, 1106년(예종 원년)에 비로소 감무를 두었다.[1]
2. 2. 조선 시대
해미면은 조선 500년 역사가 살아 숨쉬는 해미읍성과 천주교 선열들의 순교 성지를 중심으로 서해안에서 제일 높은 가야산이 있는 곳이다. 또한 황락․산수 계곡의 자연 경관이 어우러진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관광 도시이다.[1] 조선 태종은 해미에 충청병영을 설치하여 충청도 육군의 최고지휘자인 병마절도사가 머물며 당시 출몰하였던 왜구를 경계하였다. 이 역할은 1651년 청주로 충청병영이 옮겨갈 때까지 계속되었다.1407년(태종 7) 정해현과 여미현을 합해 해미현(海美縣)이라 했고, 1413년(태종 13)에 현감을 두었다.
- 1418년(태종 18) 병마절도사영(덕산병영) 이전
- 1491년(성종 22) 해미읍성("탱자성") 축성
- 1579년(선조 12) 충무공 이순신 10개월간 군관으로 근무.
- 1621년(효종 2) 호서좌영 설치.
2. 3. 근현대
- 1407년(태종 7) 정해현과 여미현을 합해 해미현(海美縣)이라 하고, 1413년(태종 13)에 현감을 두었다.
- 1418년(태종 18) 병마절도사영(덕산병영)을 이전해 왔다.
- 1491년(성종 22) 해미읍성("탱자성")을 축성했다.
- 1579년(선조 12) 충무공 이순신이 10개월간 군관으로 근무했다.
- 1621년(효종 2) 호서좌영을 설치했다.
- 1895년(고종 32) 해미군으로 승격되었다.
- 1914년 서산, 해미, 태안 3군을 통합하여 서산군 지성면으로 개명했다.
- 1917년 서산군 해미면으로 고쳤다.
- 1995년 서산시 해미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행정 구역 |
---|
관유리 |
귀밀리 |
기지리 |
대곡리 |
동암리 |
반양리 |
산수리 |
삼송리 |
석포리 |
양림리 |
억대리 |
언암리 |
오학리 |
웅소성리 |
읍내리 |
응평리 |
저성리 |
전천리 |
조산리 |
홍천리 |
황락리 |
휴암리 |
4. 면사무소
해미읍성 인근에 해미면사무소가 있으며, 면사무소 건물이 성 모양이다.
5. 교육
해미면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들이 있다.
또한, 제20전투비행단이 위치하고 있다.
6. 본관 성씨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해미의 토성으로 정해현(貞海縣)에 백(白)·한(韓)·구(仇)·윤(尹)씨, 여미현(餘美縣)에 곽(郭)·박(朴)·명(明)·여(余)씨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
6. 1. 정해현(貞海縣)
고려 태조 때 고구현(高丘縣) 땅을 떼어 정해현(貞海縣)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운주(運州) 임내에 있다가 감무(監務)를 두었다.[2]세종실록지리지에는 해미의 토성으로 정해현(貞海縣)에는 백(白)·한(韓)·구(仇)·윤(尹)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2]
- '''해미 백씨(海美白氏)''' 시조 백광성(白光城)은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1561년(명종 16) 진사시에 급제했다. 문신이자 시인인 백광홍(白光弘), 백광훈(白光勳), 백광안(白光顔) 형제와는 종형제간이다. 2000년 인구는 24가구 87명이다.
- '''해미 한씨(海美韓氏)''' 고려 태조 때 몽웅역(夢熊驛)의 아전 한(韓)씨가 큰 공이 있어서 대광(大匡)의 작호(爵號)를 내리고, 고구현(高丘縣) 땅을 떼어 정해현으로 하고 그 관향으로 삼았다고 했다.
- '''해미 구씨(海美仇氏)''' 구씨(仇氏)는 정조 때 구씨(具氏)가 되었다고 한다.
- '''해미 윤씨(海美尹氏)'''
6. 2. 여미현(餘美縣)
본래 백제의 여촌현(餘村縣)이었는데, 신라에서 여읍현(餘邑縣)으로 고쳐 혜성군(槥城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에서 여미현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에 운주 임내에 있다가, 1106년(예종 원년)에 비로소 감무를 두었다.[2]세종실록지리지에는 여미현(餘美縣)에 곽(郭)·박(朴)·명(明)·여(余)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2]
참조
[1]
웹인용
인사말 - 읍면동
https://www.seosan.g[...]
2022-02-14
[2]
문헌
세종실록 지리지 149권, 충청도 홍주목 해미현 조
http://sillok.histor[...]
[3]
서적
《만성시조약사(萬姓始祖略史)》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