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구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 구씨는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전해지는 성씨로, 신라 시대 인물 구도(仇道)를 시조로 보는 설도 있다. 고려 시대에는 구성길을 시조로 하여 의안군에 봉해졌으며, 그의 후손들이 벼슬을 지냈다. 1791년 정조의 명으로 仇(원수)의 의미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구시창에게 구(具)씨로 사성되었고, 창원 구씨는 이후 具씨로 성씨를 변경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창원 구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9명을 배출했으며, 함안, 밀양, 구미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창원 구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창원 구씨 | |
시조 | 구성길(仇成吉) 일명 구진(具鎭) |
중시조 | 구설(仇雪) |
집성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우천리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송라리 |
인물 | 구자평 구연수 구용서 구용현 구영록 구종태 구상찬 구남수 |
년도 | 2015 |
인구 | 13,339명 |
순위 | 349 |
비고 | 창원구씨 종친회 |
2. 기원
삼국사기에 따르면, 구(仇)씨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진흥왕 때의 장수 구진(仇珍), 문무왕 때 고구려 정벌에 참여한 구기(仇杞) 등이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1]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 김알지의 후손 중 구도(仇道)를 시조로 보는 견해도 있다. 노상직의 《동국씨족고》(東國氏族攷)에는 창원 구씨 일족이 춘추전국시대 송나라의 인물 구목(仇牧)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으나, 교차 검증이 불가능하고 구목의 후손이 한반도로 이주했다는 기록도 없어 추측에 불과하다.[2]
창원 구씨의 시조는 구성길(仇成吉)이며, 광평성의 시중, 나주도대행대 시중을 역임한 구진(具鎭)이다. 구성길은 945년에 서경유수관 시중으로 재임시에 왕식렴과 왕규의 반란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워 의안군(義安君)에 봉해지고 의창군(義安郡)을 식읍(食邑)으로 하사 받았고 내의성의 으뜸 벼슬인 내의령에 임명되었다.[6] 구성길의 아들 구희(仇喜)는 사찬, 원봉성 대조, 흥문감경, 내의령 등을 지냈다.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 오진탑비,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등의 비문을 쓴 구족달(仇足達)도 이 시기 사람이다.
1791년 정조의 명으로 훈련도감 집사 구시창(仇始昌)에게 "구성(仇姓)이 비록 오래 되었으나 구자성(具字性)이 더 좋으니 구씨(具氏)로 고쳐라" 하며 사성(賜姓)한 것이 유래이다.[8] 성씨에 쓰이는 한자인 仇(원수)의 의미가 좋지 않아 구시창 개인에게 연교문(筵敎文)을 보내어 새 성씨로 바꾸게 하였는데, 구(仇)씨 문중 전체에서 더 확실한 문적(門籍)이 필요하다고 상서(上書)하여 이를 허락하였다.[9]
삼국사기에 따르면, 구(仇)씨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진흥왕 때 장수였던 구진(仇珍), 문무왕 때 고구려 정벌에 참여했던 구기(仇杞) 등이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1] 김알지의 후손이자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인 구도(仇道)를 시조로 보는 견해도 있다. 노상직의 《동국씨족고》(東國氏族攷)는 창원 구씨 일족이 춘추전국시대 송나라의 인물 구목(仇牧)의 후손이라는 설을 제시하지만, 교차 검증이 불가능하고 구목의 후손이 한반도로 이주했다는 기록도 없어 추측으로 여겨진다.[2]
창원 구씨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오히려 《세종실록》의 《지리지》에는 "의창(義昌)의 촌성(村姓)이 구(仇)"라는 구절이 있고,[3] 후대의 기록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미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창원에서 시작된 성씨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김해 금관국의 마지막 왕인 구해(仇亥)의 이름, 함안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안라국의 인물 중 구례사기모(久禮斯己母), 구취유리(久取柔利)라는 이름,[4] 창원 지방에 위치했던 가야인 탁순국의 지명이 구사모라(久斯牟羅)[4], 구사군(仇史郡)[5]이었다는 사실 등은 구(仇)라는 성씨가 창원 지방의 지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3. 역사
그러나 구성길의 4대손부터 공민왕 때 구설(仇雪)까지 400여 년 동안의 세계(世係)의 내력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고려 말의 생원 구설(仇雪)을 1세조(一世祖)로 한다. 이 400여 년 사이에 수안현감 구경(仇景), 예조참봉(參奉) 구염(仇廉) 등의 인물이 있었다. 구설의 아들인 구종길(仇宗吉)을 중시조(中始祖)로 한 임오보(壬午譜)를 영조 38년(1762)부터 지금까지 보책(譜冊)의 토대로 삼고 있다.
구종길(仇宗吉)은 세종 4년(1442)에 과거에 급제하여 집현전 직제학에 이르렀고, 《동국여지승람》, 《조선역대 명신록》(朝鮮歷代名臣錄)에 부모를 공경하는 효심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6] 구종길의 아들 대, 즉 제3세(第三世)에 이르러 4개의 파(派)가 나뉘게 된다. 이후 세종 대의 강계부사(江界府使) 및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구복한(仇復漢), 문종과 단종 대의 구동직(仇東直) 등의 인물이 있었다. 구종길(仇宗吉)의 아들 3형제와 동생 구원길(仇元吉)의 아들, 즉 구종길의 조카를 합하여 총 4파조로 분파되었다.[7]파명 파조 부사공파(府使公派) 구복한(仇復漢) 진사공파(進士公派) 구동설(仇東薛) 승지공파(承旨公派) 구동직(仇東直) 처사공파(處士公派) 구석훈(仇錫勳)
4. 성씨 변경
이에 창원 구(仇)씨 문중 전체가 구(具)로 성씨를 바꾸어 쓰게 되었고, 1798년 일성록 및 승정원일기에 성씨를 하사한 사실을 기록하고 확증하였다. 그러나 고려 초 구족달(仇足達)이 보현사 오진탑비에서는 仇, 정토사 법경대사탑비에서는 具를 성씨로 사용했음을 볼 때,[10] 정조의 사성 이전에도 성씨를 바꿔 쓰는 경우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새로운 성씨인 具를 사성받은 이후 변화에 따른 혼란이 지속되어 1797년(정조 21년)부터 1924년까지의 기록이 완전하지 않으며, 일부 창원 구씨 사람들이 능성 구씨, 회산 구씨로 본관을 바꾸어 이탈하는 등의 일도 일어났다. 이에 1924년 창원 구씨 대종회(大宗會)를 조직하여 갑자보(甲子譜)를 새로이 간행하였다.
5. 본관
오히려 《세종실록》의 《지리지》에는 "의창(義昌)의 촌성(村姓)이 구(仇)"라는 구절이 있고[3], 후대 기록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미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창원에서 시작된 성씨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김해 금관국의 마지막 왕인 구해(仇亥)의 이름, 함안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안라국 인물 중 구례사기모(久禮斯己母), 구취유리(久取柔利)라는 이름,[4] 창원 지방에 위치했던 가야 탁순국의 지명인 구사모라(久斯牟羅), 구사군(仇史郡)[5] 등의 지명은 구(仇)라는 성씨가 창원 지역의 지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창원의 옛 지명은 신라 시대의 굴자(屈自), 의안(義安), 구사(仇史), 고려 시대의 의창(義昌), 회산(檜山) 등이 있으며, 지명 변화에 따라 관향지(貫鄕地) 명칭도 자연스럽게 바뀌었다.
6. 인물
시대 이름 주요 경력 삼국시대 이전 구도(仇道) 신라 갈문왕 삼국시대 구수혜 좌우군주 삼국시대 구천(仇天) 이벌찬(486년), 국정 총괄 삼국시대 구지포례(仇遲布禮) 파진찬(541년), 상대등(576년), 545년 《국사(國史)》 편찬, 구천의 아들 삼국시대 구사(仇史) 경주부 구사성(仇史城) 제군사(諸軍事) 역임, 염산산성, 구룡산(九龍山)으로 개칭됨 고려 구성길(仇成吉) 창원 구씨 시조(始祖), 구진(具鎭), 광평성 시중, 나주도대행대 시중, 내의령 고려 구희(仇喜) 원봉성대조, 흥문감경, 내의령 고려 구승(仇勝) 형부상서 역임 고려 구대(仇代) 탁라 성주, 배융부위(陪戎副尉), 유격장군(遊擊將軍) 조선 세종 구종길(仇宗吉) 창원 구씨 중시조(中始祖), 집현전 정자, 직제학, 제학, 의정부 영의정부사. 묘소: 창원시 동읍 남산리 구천등(龜川嶝) 유좌(酉坐). 조선 세종 구복한(仇復漢) 부사공파 파조(派祖), 충청도사, 강계부사, 전라도 병마도절제사, 영중추원사, 영의정부사 조선 문종 구동직(仇東直) 승지공파 파조(派祖), 승지, 영의정부사 조선 단종, 세조, 성종 구자평(仇自平) 함경도사, 예조정랑, 사헌부장령, 청평군 군수 조선 선조 구정열(仇廷說) 홍문관 교리 조선 선조 구응진(仇應辰) , 구응삼(仇應參), 구응성(仇應星) 당상관, 선무원종공신 조선 선조 구지(仇之) 전주 판관, 나주 목사, 선무원종 1등 공신 일제 강점기 구연수 을미사변 가담,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수록 대한민국 구용서 한국은행 초대 총재, 전 상공부 장관 대한민국 구용현 제11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구종태 전 한국세무사협회 회장, 제16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구영록 서울대학교 교수, 국제정치학회장 대한민국 구상진 변호사, 전 서울시립대 로스쿨 원장 대한민국 구영보 전 우정사업본부 본부장 (2대) 대한민국 구경헌 전 한국전자파학회 회장,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대한민국 구경룡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 대한민국 구상훈 경남무형문화재 제6호(마산농청놀이좌상) 대한민국 구옥회 해군사관학교 33기, 제48대 해군사관학교 학교장 (중장) 대한민국 구원근 육군사관학교 42기, 초대 육군동원전력사령관 (소장) 대한민국 구도권 전 경상남도청 기획조정실장 대한민국 구현옥 전 안락서원 원장, 창원구씨대종회 회장 역임 대한민국 구판옥 숭충사제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구연수 knn기술국장, 부산영어방송 초대본부장 대한민국 구경철 스틱인베스트먼트 부사장, 공인회계사 대한민국 구상찬 제18대 국회의원, 주상하이 총영사 대한민국 구형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대한민국 구남수 제5대 부산가정법원장, 울산지방법원장 대한민국 구자근 제21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구영태 전 청와대 경호처장, 전 에너지관리공단 부이사장, 청와대 경호실 최장기근속자
6. 1. 역사 속 인물
6. 2. 대한민국
7. 과거 급제자
창원 구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
---|
구자평, 구정열 |
무과 |
구귀생, 구보, 구신남, 구여탁, 구응진, 구진, 구형윤, 구호룡, 구흥작 |
생원시 |
구정 |
진사시 |
구유온 |
8. 항렬자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
동(東) | |환(煥) / |훈(熏) | 재(在) / 재(載) | |진(鎭) / |옥(鈺) | 영(永) | |근(根) | 병(炳) | |효(孝) | 종(鐘) | |수(洙) | 상(相) | |렬(烈) | 시(時) | |현(鉉) | 연(演) | |업(業) | 형(炯) | |균(均) |
9. 집성촌
지역 |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강명리·봉성리 |
밀양 구곡 |
고성 송산, 회화면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부산 사상구, 동래구 |
창원 봉산, 두릉, 용정 |
경상남도 의령군 |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
진해 |
이천시 |
합천군 |
김해 담안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
철원 금화 |
양산시 물금읍 |
10. 인구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14,035명으로 조사되었다. 1985년 조사에서는 22,126명, 2015년 조사에서는 13,339명이었다.
연도 | 인구(명) |
---|---|
1985년 | 22,126 |
2000년 | 14,035 |
2015년 | 13,339 |
참조
[1]
웹인용
신라본기 제 6권, 문무왕(文武王) 8년 10월 22일 <고구려 정벌에 대한 공을 포상하다>
http://db.history.go[...]
[2]
웹인용
창원 구씨
http://busan.grandcu[...]
[3]
웹인용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창원 도호부
http://sillok.histor[...]
[4]
웹인용
일본서기 권 17, 남대적천황 계체천황 24년 가을 <任那가 毛野臣의 횡포를 고함. 百濟와 新羅의 毛野臣 공격>
http://db.history.go[...]
[5]
웹인용
삼국유사 제 3권(卷 第三) 제4탑상(塔像第四)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南白月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 <백월산 이름의 유래>
http://db.history.go[...]
[6]
웹인용
"[우리 조상의 뿌리를 찾아] 족보 창원 구씨편(昌原具氏編)"
http://weekly.hankoo[...]
[7]
웹인용
창원구씨(昌原具氏)
http://m.smgnews.co.[...]
[8]
웹인용
정조실록 48권, 정조 22년 6월 6일 무술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9]
저널
고려시대 성씨 확산의 동인과 성씨의 기능
http://www.dbpia.co.[...]
한국역사연구회
2019-08-15
[10]
웹인용
구족달(仇足達)
http://encykorea.ak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