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위원회 (핀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헌법위원회는 핀란드 의회의 상임 위원회로, 헌법 관련 법률안 심사, 정부 견제, 기타 헌법 관련 사안 심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위원회는 1906년 설립되었으며, 핀란드 독립 이후 현재까지 헌법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역대 위원장 목록이 존재하며, 한국 국회와의 비교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 의회 - 핀란드의 교섭단체
핀란드의 교섭단체는 핀란드 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대표하고 조정하며, 역사적 발전과 함께 변화해 왔고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핀란드 의회 - 핀란드의 의회의장
핀란드 의회의장은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 진행을 주관하며, 제1부의장과 제2부의장의 보좌를 받는다. - 1907년 설립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1907년 설립 - 흥사단
흥사단은 안창호가 1913년 민족의 독립과 번영을 위해 설립한 민족운동 단체로, 독립운동 지원, 인재 양성, 교민 권익 보호 활동을 전개했으며, 해방 후에는 사회 개혁 운동, 교육 사업, 시민 운동 등을 추진하며 민족통일운동, 투명사회운동, 교육운동을 주요 운동으로 삼고 있다.
헌법위원회 (핀란드) |
---|
2. 역사
핀란드 의회 헌법위원회는 1906년 핀란드 대공국 의회가 단원제로 개편되면서 설치되었다. 헌법위원회는 헌법 초안 작성 및 개정, 기본권 관련 법률 심사 등의 업무를 담당해왔다.
헌법위원회의 역대 위원장과 소속 정당, 임기는 다음과 같다.
위원장 | 정당 | 임기 |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청년 핀란드당 | 1907년–1909년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청년 핀란드당 | 1909년 |
요나스 카스트렌 | 청년 핀란드당 | 1909년–1910년 |
위리외 매켈린 | 사회민주당 | 1910년 |
레오 메켈린 | 스웨덴인당 | 1910년 |
라베 브레데 | 스웨덴인당 | 1911년–1912년 |
카를 쇠데르홀름 | 스웨덴인당 | 1912년–1913년 |
레오 메켈린 | 스웨덴인당 | 1913년–1914년 |
라우리 잉그만 | 청년 핀란드당 | 1914년–1917년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국민진보당 | 1917년–1918년 |
라베 브레데 | 스웨덴인당 | 1918년–1919년 |
헤이키 리타부오리 | 국민진보당 | 1919년 |
하네스 뤼외매 | 사회민주당 | 1919년 |
산테리 알키오 | 농업동맹 | 1919년–1920년 |
파보 비르쿠넨 | 국민연합당 | 1921년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국민연합당 | 1921년–1922년 |
유호 휘뵈넨 | 농업동맹 | 1922년–1924년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국민연합당 | 1924년–1926년 |
요하네스 펠토넨 | 국민연합당 | 1926년–1927년 |
위리외 푸하카 | 국민연합당 | 1927년–1928년 |
에르키 쿠오카넨 | 국민연합당 | 1929년–1930년 |
안티 툴렌헤이모 | 국민연합당 | 1930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30년–1933년 |
에로 뤼드만 | 국민진보당 | 1933년–1936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36년–1941년 |
우르호 케코넨 | 농업동맹 | 1940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40년–1941년 |
토이보 호렐리 | 국민연합당 | 1941년 |
안티 하크첼 | 국민연합당 | 1941년–1944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44년–1945년 |
아르비 아흐마바라 | 국민연합당 | 1945년–1954년 |
닐로 혼칼라 | 국민연합당 | 1954년 |
패이비외 헤테매키 | 국민연합당 | 1954년–1958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58년–1962년 |
에르키 툴리 | 국민연합당 | 1962년–1966년 |
유소 해이키외 | 국민연합당 | 1966년–1979년 |
에르키 퓌스튀넨 | 국민연합당 | 1979년–1983년 |
페카 뢰위튀니에미 | 국민연합당 | 1983년–1985년 |
벤 취스코비츠 | 국민연합당 | 1985년–1993년 |
사울리 니니스퇴 | 국민연합당 | 1993년–1995년 |
카리 해캐미에스 | 국민연합당 | 1995년–1996년 |
빌레 이탤래 | 국민연합당 | 1996년–2000년 |
파울라 코코넨 | 국민연합당 | 2000년–2003년 |
벤 취스코비츠 | 국민연합당 | 2003년 |
키모 사시 | 국민연합당 | 2003년–2007년 |
얀 바파부오리 | 국민연합당 | 2007년 |
키모 사시 | 국민연합당 | 2007년–2011년 |
요하나 오얄라니에멜래 | 사회민주당 | 2011년 |
요하네스 코스키넨 | 사회민주당 | 2011년–2015년 |
아니카 라핀티에 | 좌파동맹 | 2015년-현임 |
2. 1. 설립 초기 (1906년 ~ 1917년)
1906년 핀란드 대공국 의회가 단원제 의회로 개편되면서 헌법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헌법 초안 작성 및 개정, 기본권 관련 법률 심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등 청년 핀란드당 소속 위원장들이 활동하였다.위원장 | 정당 | 임기 |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청년 핀란드당 | 1907년–1909년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청년 핀란드당 | 1909년 |
요나스 카스트렌 | 청년 핀란드당 | 1909년–1910년 |
위리외 매켈린 | 사회민주당 | 1910년 |
레오 메켈린 | 스웨덴인당 | 1910년 |
라베 브레데 | 스웨덴인당 | 1911년–1912년 |
카를 쇠데르홀름 | 스웨덴인당 | 1912년–1913년 |
레오 메켈린 | 스웨덴인당 | 1913–1914 |
라우리 잉그만 | 청년 핀란드당 | 1914년–1917년 |
2. 2. 핀란드 독립 이후 (1917년 ~ 현재)
핀란드 독립 이후 헌법위원회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특히 핀란드 공화국 헌법 제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위원장 | 정당 | 임기 |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국민진보당 | 1917년–1918년 |
라베 브레데 | 스웨덴인당 | 1918년–1919년 |
헤이키 리타부오리 | 국민진보당 | 1919년 |
하네스 뤼외매 | 사회민주당 | 1919년 |
산테리 알키오 | 농업동맹 | 1919년–1920년 |
파보 비르쿠넨 | 국민연합당 | 1921년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국민연합당 | 1921년–1922년 |
유호 휘뵈넨 | 농업동맹 | 1922년–1924년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국민연합당 | 1924년–1926년 |
요하네스 펠토넨 | 국민연합당 | 1926년–1927년 |
위리외 푸하카 | 국민연합당 | 1927년–1928년 |
에르키 쿠오카넨 | 국민연합당 | 1929년–1930년 |
안티 툴렌헤이모 | 국민연합당 | 1930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30년–1933년 |
에로 뤼드만 | 국민진보당 | 1933년–1936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36년–1941년 |
우르호 케코넨 | 농업동맹 | 1940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40년–1941년 |
토이보 호렐리 | 국민연합당 | 1941년 |
안티 하크첼 | 국민연합당 | 1941년–1944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44년–1945년 |
아르비 아흐마바라 | 국민연합당 | 1945년–1954년 |
닐로 혼칼라 | 국민연합당 | 1954년 |
패이비외 헤테매키 | 국민연합당 | 1954년–1958년 |
오스카리 레흐토넨 | 국민연합당 | 1958년–1962년 |
에르키 툴리 | 국민연합당 | 1962년–1966년 |
유소 해이키외 | 국민연합당 | 1966년–1979년 |
에르키 퓌스튀넨 | 국민연합당 | 1979년–1983년 |
페카 뢰위튀니에미 | 국민연합당 | 1983년–1985년 |
벤 취스코비츠 | 국민연합당 | 1985년–1993년 |
사울리 니니스퇴 | 국민연합당 | 1993년–1995년 |
카리 해캐미에스 | 국민연합당 | 1995년–1996년 |
빌레 이탤래 | 국민연합당 | 1996년–2000년 |
파울라 코코넨 | 국민연합당 | 2000년–2003년 |
벤 취스코비츠 | 국민연합당 | 2003년 |
키모 사시 | 국민연합당 | 2003년–2007년 |
얀 바파부오리 | 국민연합당 | 2007년 |
키모 사시 | 국민연합당 | 2007년–2011년 |
요하나 오얄라니에멜래 | 사회민주당 | 2011년 |
요하네스 코스키넨 | 사회민주당 | 2011년–2015년 |
아니카 라핀티에 | 좌파동맹 | 2015년-현임 |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핀란드 의회 헌법위원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는 법제사법위원회이다. 두 위원회 모두 법률안과 정책의 헌법적합성을 심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민연합당, 농업동맹, 사회민주당 등 다양한 정당 출신 위원장들이 헌법위원회를 이끌었다. 특히, 우르호 케코넨, 요하네스 코스키넨 등은 핀란드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
3. 역할과 권한
4. 역대 위원장
위원장 정당 임기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청년 핀란드당 1907년–1909년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청년 핀란드당 1909년 요나스 카스트렌 청년 핀란드당 1909년–1910년 위리외 매켈린 사회민주당 1910년 레오 메켈린 스웨덴인당 1910년 라베 브레데 스웨덴인당 1911년–1912년 카를 쇠데르홀름 스웨덴인당 1912년–1913년 레오 메켈린 스웨덴인당 1913년–1914년 라우리 잉그만 청년 핀란드당 1914년–1917년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국민진보당 1917년–1918년 라베 브레데 스웨덴인당 1918년–1919년 헤이키 리타부오리 국민진보당 1919년 하네스 뤼외매 사회민주당 1919년 산테리 알키오 농업동맹 1919년–1920년 파보 비르쿠넨 국민연합당 1921년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국민연합당 1921년–1922년 유호 휘뵈넨 농업동맹 1922년–1924년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국민연합당 1924년–1926년 요하네스 펠토넨 국민연합당 1926년–1927년 위리외 푸하카 국민연합당 1927년–1928년 에르키 쿠오카넨 국민연합당 1929년–1930년 안티 툴렌헤이모 국민연합당 1930년 오스카리 레흐토넨 국민연합당 1930년–1933년 에로 뤼드만 국민진보당 1933년–1936년 오스카리 레흐토넨 국민연합당 1936년–1941년 우르호 케코넨 농업동맹 1940년 오스카리 레흐토넨 국민연합당 1940년–1941년 토이보 호렐리 국민연합당 1941년 안티 하크첼 국민연합당 1941년–1944년 오스카리 레흐토넨 국민연합당 1944년–1945년 아르비 아흐마바라 국민연합당 1945년–1954년 닐로 혼칼라 국민연합당 1954년 패이비외 헤테매키 국민연합당 1954년–1958년 오스카리 레흐토넨 국민연합당 1958년–1962년 에르키 툴리 국민연합당 1962년–1966년 유소 해이키외 국민연합당 1966년–1979년 에르키 퓌스튀넨 국민연합당 1979년–1983년 페카 뢰위튀니에미 국민연합당 1983년–1985년 벤 취스코비츠 국민연합당 1985년–1993년 사울리 니니스퇴 국민연합당 1993년–1995년 카리 해캐미에스 국민연합당 1995년–1996년 빌레 이탤래 국민연합당 1996년–2000년 파울라 코코넨 국민연합당 2000년–2003년 벤 취스코비츠 국민연합당 2003년 키모 사시 국민연합당 2003년–2007년 얀 바파부오리 국민연합당 2007년 키모 사시 국민연합당 2007년–2011년 요하나 오얄라니에멜래 사회민주당 2011년 요하네스 코스키넨 사회민주당 2011년–2015년 아니카 라핀티에 좌파동맹 2015년-현임
5. 한국 국회와의 비교
그러나 핀란드 헌법위원회는 법률안의 헌법적합성 심사에 있어 사전적·추상적 권한을 갖는 반면,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사후적·구체적 심사만을 담당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핀란드 헌법위원회는 법률안이 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되기 전에 헌법 위반 여부를 심사하여 의견을 제시하지만, 대한민국 법제사법위원회는 법률안이 본회의를 통과하여 정부로 이송된 후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통해서만 위헌 여부를 가릴 수 있다.
또한, 핀란드 헌법위원회는 일반 법률안뿐만 아니라 예산안, 국제 조약 등 다양한 안건에 대해 헌법적합성 심사를 수행하는 반면, 대한민국 법제사법위원회는 법률안과 관련된 안건에 대한 심사에 집중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