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는 핀란드의 법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초대 핀란드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어린 시절 라흐티와 오울루에서 성장하며 법학을 전공했고, 핀란드 원로원에서 법제 업무를 담당하며 러시아화 정책에 저항하는 호헌파로 활동했다. 1905년 핀란드 국회 개혁에 참여하고, 1917년 2월 혁명 이후 헌법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핀란드 공화국 정부 형태를 설계했다. 1919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사회 통합과 온건한 개혁을 추진했다. 대통령 재임 중 8개의 내각을 지명했고, 1930년 라푸아 운동에 의해 납치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 말년에는 대통령 선거에 재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대통령의 법률 고문으로 활동했다. 스톨베리는 핀란드 헌법의 아버지로 존경받으며, 도덕적이고 엄격한 민주주의와 법치의 수호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법학자 - 마르틴 베처
마르틴 베처는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에 참여한 핀란드 군인이자 변호사로, 핀란드 근위 소총 대대 장교, 러시아 제국군 대대장, 핀란드 육군 사단장 등을 역임하며 군 복무 후 법률 관련 직무를 수행했다. - 청년 핀란드인당의 정치인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는 핀란드의 독립에 기여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원로원 의장으로서 독립 선언을 주도하고 대통령을 역임하며 반공주의 정책을 펼쳐 정국 안정에 기여했다. - 청년 핀란드인당의 정치인 - 루키나 하그만
루키나 하그만은 핀란드의 교사이자 여성 운동가, 작가, 정치인으로, 의회 의원 활동, 여성 단체 조직, 평화 운동 참여, 전기 집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원어명 | Kaarlo Juho Ståhlberg |
로마자 표기 | Kaarlo Juho Ståhlberg |
다른 이름 | Carl Johan Ståhlberg (출생명) |
출생일 | 1865년 1월 28일 |
출생지 | 수오무살미, 카이누, 핀란드 대공국 |
사망일 | 1952년 9월 22일 |
사망지 | 헬싱키, 핀란드 |
안장지 | 히에타니에미 공동묘지 |
정당 | 국민진보당 |
배우자 | 헤드비히 이레네 보흘베리 (사별); 에스테르 핼스트룀 |
직업 | 변호사; 공무원; 교수; 판사 |
![]() | |
공직 | |
직책 | 핀란드 대통령 |
대수 | 초대 |
임기 시작 | 1919년 7월 26일 |
임기 종료 | 1925년 3월 2일 |
총리 | 카를로 카스트렌 유호 벤놀라 라파엘 에리히 아이모 카를로 카얀데르 퀴외스티 칼리오 라우리 잉그만 |
전임 |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섭정) |
후임 | 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
직책2 | 의회 의장 |
임기2 | 1914년 |
전임2 | 오스카리 토코이 |
후임2 | 쿨레르보 만네르 |
직책3 | 상공국장 |
임기3 | 1905년 12월 1일 – 1907년 12월 6일 |
전임3 | 세바스티안 그리펜베리 |
후임3 | 에드바르드 혤트 |
내각3 | 메켈린 원로원 |
총리3 | 레오 메켈린 |
2. 어린 시절
스톨베리는 라흐티에서 문법학교를 다녔으나, 어린 시절 부친이 사망하면서 가족이 재정적으로 어려워졌다. 독지가 라우리 코발라이넨의 도움으로 오울루로 이사하여 학업을 계속 이어갈 수 있었으며, 코발라이넨은 스톨베리에게 제2의 아버지 같은 존재로 회고될 정도로 큰 영향을 주었다. 스톨베리 가족은 언제나 핀란드어를 사용했다.
2. 1. 가족 배경
카이누 지역 수오무살미에서 보조목사 요한 가브리엘 스톨베리와 그의 아내 아만다 구스타파 카스트렌의 둘째로 태어났다. 스톨베리가와 카스트렌가의 남자 조상들은 모두 루터교 성직자였다.[4] 세례명은 "칼 유한"(Carl Johan|[ˈkɑːɭ ˈjuːhan]sv)이었으나, 나중에 대부분의 페노마니아들처럼 핀란드식인 "카를로 유호"(Kaarlo Juho|[ˈkɑːrlo ˈjuho]fi)로 개명했다.[4]2. 2. 학업 과정
오울루 뤼세오 사립학교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반에서 수석을 차지했다.[4] 1889년 헬싱키 대학교에서 법학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893년에는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공무원 경력
스톨베리는 핀란드 대공국 시절 원로원에서 법제 업무를 담당하며, 러시아의 러시아화 정책에 맞서 핀란드의 헌법적 권리를 옹호하는 "호헌파"의 일원이었다. 1891년 핀란드 국회 재무위원회 서기를 거쳐 1894년 헬싱키 대학교 행정법 및 경제학 조교수가 되었고, 청년 핀란드당에 입당하면서 정치에 적극 참여했다.[1]
1898년 원로원 민사국 규약서기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원로원 서기 중 두 번째로 높은 직위였다.[3] 스톨베리의 임명은 니콜라이 보브리코프 총독이 승인했지만, 보브리코프 재임 기간은 러시아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호헌파였던 스톨베리와는 정반대 방향으로 국정이 운영되었다.[3]
3. 1. 여성 참정권 및 금주법에 대한 입장
핀란드 대공국 원로원에서 오랫동안 법제 관련 일을 했던 스톨베리는 러시아화 정책에 저항하는 "호헌파"였다. 그는 여성참정권을 지지했으며, 금주법 문제에 대해서는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3. 2. 헬싱키 시 평의회 의원 활동
스톨베리는 1901년부터 1903년까지 헬싱키 시 평의회 평의원을 지냈다.[4] 1902년, 강제 병역 법제화에 반대하다가 원로원 민사국 규약서기직에서 해임되었다.[4]4. 정치인 경력
스톨베리는 1891년 핀란드 의회의 재정 위원회 서기를 역임했으며, 1894년 헬싱키 대학교에서 행정법 및 경제학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이때부터 청년 핀란드당의 일원으로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1]
1898년 원로원 민사부의 의전 비서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핀란드 정부에서 두 번째로 높은 보고관 직위였다. 이 임명은 니콜라이 보브리코프 핀란드 총독에 의해 승인되었으나,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시작된 러시아화 정책은 ''입헌주의자''였던 스톨베리가 반대하는 모든 것을 대표했다. 1901년 헬싱키 시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1903년까지 재임했고, 1902년에는 엄격한 법률주의적 견해와 강제 징병에 대한 입법 반대로 인해 의전 비서직에서 해임되었다.[1]
스톨베리는 핀란드가 차르 치하의 대공국이었던 시기에 원로원 법안의 제시자이자 계획자로서 오랜 경력을 쌓았다. 그는 "''입헌주의자''"로서 핀란드 러시아화 시도에 반대하여 입법 저항을 포함한 기존의 핀란드 헌법 체제 및 헌법적 입법 정책을 지지했다. 또한 여성 참정권을 지지했고, 금주법에 대해서는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1]
1908년 해메 남부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1910년까지 재임했다. 1914년부터는 오울루 남부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918년 최고행정재판소 재판소장으로 임명되면서 의원직을 사퇴했다.[3]
1917년 2월 혁명 발발 직후, 비사회주의자 의원들은 스톨베리를 차기 원로원장으로 지지했으나, 사회민주당은 그를 지지하지 않아 오스카리 토코이가 원로원장이 되었다.[3]
4. 1. 핀란드 국회 개혁 참여
스톨베리는 1904년부터 1905년까지 핀란드 국회의 시민부 의원을 지냈다. 1905년 레오 메켈린을 수반으로 하는 새 원로원에서 상공국장으로 임명되었다. 호헌파들로 이루어진 새 원로원의 최대 과제는 핀란드 국회의 개혁이었다. 스톨베리는 핀란드 국회를 핀란드 의회로 전환시키는 법제개혁의 초안 마련에 참여했다.[1] 이후 1907년 금주법을 발의했다가 의회에 거부당하자 원로원에서 사퇴했다.[1]4. 2. 핀란드 의회 의장 역임
1914년 핀란드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3]4. 3. 헌법위원회 위원장 활동
2월 혁명 이후, 스톨베리는 헌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위원회는 2월 혁명과 니콜라이 2세의 퇴위와 관련된 사건들을 고려하여 핀란드의 새로운 정부 형태를 수립하기 위해 설립되었다.[3] 헌법위원회에서 승인된 새로운 정부 형태는 스웨덴 통치 시대인 1772년 헌법에 크게 기반을 두었다.[3] 하지만 이 제안은 러시아 임시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고, 10월 혁명과 핀란드 독립 선언을 둘러싼 혼란과 긴급한 상황으로 인해 한동안 잊혀졌다.[3]5. 핀란드 헌법 설계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하면서 헌법위원회가 새로운 정부 제안서를 다시 작성했다.[1] 헌법위원회 위원장인 스톨베리는 헌법 초안을 마련하고 수정하는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그의 제안은 1919년 핀란드 헌법으로 제정되었다.[1] 1918년 핀란드 내전을 거치면서, 핀란드의 국체를 둘러싼 공화주의자와 군주주의자 간의 논쟁으로 수많은 제안이 오갔다.[1]
5. 1. 공화제 지지
1918년 핀란드 내전 이후, 핀란드의 국체를 정하는 문제로 공화주의자들과 군주주의자들이 논쟁을 벌였다. 내전에서 승리한 보수파는 대개 입헌군주제를 지지했지만, 스톨베리는 공화제를 강력하게 지지했다.[1] 그는 최고행정재판소 재판소장으로 임명되면서 의회의원직을 내려놓았기 때문에, 1918년 10월 프리드리히 카를 폰 헤센 공자를 핀란드 국왕으로 추대하는 문제에 관한 표결에는 참여하지 못했다.[1]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망하면서 헤센 공자를 왕으로 옹립하는 것은 무산되었고, 핀란드는 공화국이 되는 것이 확실시되었다.[1] 이후 스톨베리는 대통령을 직접 선거로 선출할 것을 지지했지만, 국가평의회는 선거인단제를 선택하되, 초대 대통령은 의회에서 선출하기로 결정했다.[1]5. 2. 대통령 선출 방식 논쟁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하면서 헌법위원회는 새로운 정부 제안서를 다시 작성했다. 헌법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스톨베리는 헌법 초안을 마련하고 고치는 일에 참여했다. 1918년 핀란드 내전을 거치고, 이후 국체를 정하는 문제로 공화주의자들과 군주주의자들이 논쟁하는 가운데 셀 수 없이 많은 제안들이 오갔다. 1918년, 내전에서 승리한 보수파는 대개 입헌군주제를 지지했지만 스톨베리는 공화제를 지지했다. 스톨베리는 최고행정재판소 재판소장으로 임명되면서 의회의원직을 내려놓았기에 그해 10월 프리드리히 카를 폰 헤센 공자를 핀란드 국왕으로 추대하는 문제에 관한 표결에 참여하지 못했다.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망하면서 헤센 공자를 왕으로 옹립하는 것은 없던 일이 되었고, 핀란드는 공화국이 되는 것이 확실시되었다. 이에 스톨베리는 대통령을 직접선거로 선출할 것을 지지했지만 국가평의회는 선거인단제를 선택하되, 초대 대통령은 의회에서 선출하기로 결정했다.6. 대통령 임기
스톨베리는 1919년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진보당과 농업동맹의 지지를 받아 국민연합당과 스웨덴인당이 지지한 만네르헤임을 143대 50으로 꺾고 핀란드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0] 그는 다음날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대통령궁에 입주했다.[21]
스톨베리는 대통령으로서 격식을 중시하고 수줍음이 많은 성격 탓에 대중 연설 시 미리 원고를 작성했으며, 공식 행사나 해외 순방을 자제했다. 1917년 홀아비가 되었으나, 1920년 에스터 핼스트룀(Ester Hällström)과 재혼했다. 그는 경쟁자였던 스빈후부드와는 대조적으로, 측근이나 지지자들을 많이 만들지 못했다. 자유민주주의를 지지했지만, 개인적인 인기는 없었다.
초대 대통령으로서 스톨베리는 대통령직 수행에 관한 다양한 선례와 해석을 남겼다. 핀란드 대통령의 첫 공식 해외 방문은 그의 후임인 L. K. 렐란더 대통령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6. 1. 내각 구성 및 운영
스톨베리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총 8개의 내각을 지명했다. 이 내각들은 주로 농업동맹, 국민진보당, 국민연합당, 스웨덴인당의 연정으로 구성되었지만, 2개의 선거관리내각도 있었다.[22] 스톨베리는 내각과 때때로 의견 불일치가 있더라도, 자신이 지명한 내각을 대체로 지지했다.[22] 예외적인 경우로 1924년 1월 제1차 칼리오 내각을 사퇴시킨 일이 있는데, 1923년 공산주의 성향의 의원 27명이 체포당하자 스톨베리는 총리 퀴외스티 칼리오에게 즉시 재선거를 통해 의원 수 200명을 회복할 것을 주문했지만 칼리오가 불복했기 때문이다.[22]6. 2. 사회 통합 노력
스톨베리는 대통령으로서 온건한 사회경제적 개혁을 추진하여 국민 통합에 힘썼다. 그는 노동조합이 경영주 단체와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노동 계약을 협상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빈곤층에 대한 공공 지원을 개선하는 법안, 그리고 부유한 지주로부터 전직 소작농과 토지가 없는 기타 농촌 사람들에게 토지를 분배하는 칼리오법에 서명했다.[23]6. 2. 1. 적핀란드 가담자 사면
스톨베리는 온건한 사회경제적 개혁을 지지하여, 과거 적핀란드 가담자들도 민주공화국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는 적군 가담으로 수감된 사람들 대부분을 사면했는데, 이는 우익 세력, 특히 백핀란드 가담자들과 군부 고급 장교들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스톨베리는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사면을 강행했다.[23] 이러한 그의 노력은 핀란드 사회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였다.6. 3. 외교 정책
스톨베리는 올란드 위기로 인해 스웨덴에 대해 소극적인 외교 정책을 취했다. 독일에 대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며, 폴란드, 영국, 프랑스와는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23]6. 3. 1. 올란드 위기
스톨베리는 외교 정책에서 스웨덴에 대해 유보적인 태도를 취했는데, 이는 그의 재임 초기 발생한 올란드 위기 때문이었다.[23]7. 말년
스톨베리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핀란드 사회에 꾸준히 기여했다. 헬싱키 대학교 총장직 제안을 거절하고 내각의 법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30년부터 1933년까지는 우시마 선거구에서 국민진보당 소속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1946년 공직에서 은퇴한 후에는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대통령의 법률고문으로 활동했다. 1948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핀란드와의 우호협조상호원조조약 체결을 제안했을 때, 파시키비 대통령은 스톨베리에게 모스크바 파견 협상 대표단 참여를 제안했으나, 스톨베리는 소련이 핀란드를 발칸반도 국가들처럼 위성국으로 만들려 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거절했다.
1952년 스톨베리는 사망했고, 헬싱키의 히에타니에미 묘지에 안장되었다.
스톨베리는 핀란드 역대 대통령 중 흠 잡을 데 없는 인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는 도덕적이고 엄격한 민주주의와 법치의 수호자이며, 핀란드 헌법의 아버지로 존경받는다. 대통령직에서 자발적으로 내려온 것도 그가 권력에 굶주린 정치인이 아니었다는 증거로 회자된다.[26]
7. 1. 라푸아 운동의 납치 시도
1930년, 극우파 라푸아 운동 세력이 스톨베리 부부를 납치해 소련 국경에 갖다 버리려 했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오히려 라푸아 운동은 쇠퇴하게 되었다.[24]

7. 2. 대통령 선거 재출마
1930년, 극우파 라푸아 운동이 스톨베리 부부를 납치해 소련 국경에 갖다 버리려 한 스톨베리 납치사건이 발생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라푸아 운동은 역풍을 맞아 쇠퇴하게 되었다.[24]스톨베리는 1931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 국민진보당 후보로 다시 출마했지만, 3차 결선투표까지 간 끝에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에게 불과 2표 차로 패배했다.[24] 1937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했지만 3위에 그쳤다.[24]
7. 3. 파시키비 대통령의 법률고문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대통령의 법률고문으로 활동하며, 파시키비와 자주 논의를 하였다. 스톨베리가 사망하기 2주 전까지도 파시키비와 회동했다.[24] 파시키비 대통령 시절 스톨베리가 "회색 추기경"으로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사실은 파시키비의 개인 문서보관고가 공개된 이후에야 밝혀졌다.1950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파시키비가 자신의 임기를 연장시키는 특별법을 통과시키려 하자, 스톨베리는 파시키비에게 서한을 보내 그 시도를 비난했다.[25]
8. 평가
스톨베리는 핀란드 헌법의 아버지이자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수호자로 널리 존경받는다. 그는 도덕적이고 원칙적인 인물로 평가되며, 권력에 얽매이지 않고 자발적으로 대통령직을 사임한 점도 높이 평가된다.[15] 그의 청렴하고 원칙적인 리더십은 핀란드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스톨베리가 핀란드 내전 이후 보여준 국민 통합 노력과 사회경제적 개혁 정책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특히, 그의 온건한 중도주의적 리더십은 사회 갈등을 완화하고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한 모범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반면, 국민의힘 관점에서는 스톨베리의 적핀란드 가담자 사면 정책이 지나치게 관대했다고 비판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외교 정책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스톨베리가 극우파 라푸아 운동에게 납치당했던 사건[24]은 그의 민주주의적 신념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핀란드 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의 후임 대통령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는 스톨베리를 법률 고문으로 임명하고 자주 자문을 구할 정도로 그의 식견을 높이 평가했다.[24]
9.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3차 득표율 | 3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19년 선거 | 핀란드의 대통령 | 1대 | 국민진보당 | 73.33% | 143표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 | 1위 | ||||
1931년 선거 | 핀란드의 대통령 | 3대 | 국민진보당 | 19.33% | 58표 | 49.67% | 149표 | 49.67% | 149표 | 2위 | 낙선 |
1937년 선거 | 핀란드의 대통령 | 4대 | 국민진보당 | 50.00% | 150표 | 6.33% | 19표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 | 3위 | 낙선 | |
1943년 선거 | 핀란드의 대통령 | 5대 | 국민진보당 | 0.36% | 1표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 | 3위 | 낙선 | |||
1946년 선거 | 핀란드의 대통령 | 7대 | 국민진보당 | 8.09% | 14표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 | 2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Edustajamatrikkeli
http://www.eduskunta[...]
Eduskunta
[2]
웹사이트
War or Peace for Finland? Neoclassical Realist Case Study of Finnish Foreign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Anti-Bolshevik Intervention in Russia 1918–1920
https://tampub.uta.f[...]
University of Tampere
2009-02-02
[3]
서적
Aspects of the Governing of the Finns (Studies in Modern European History)
Peter Lang Inc., International Academic Publishers
2010
[4]
웹사이트
Ståhlberg, Kaarlo Juho (1865–1952)
http://www.kansalli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0-06-07
[5]
문서
[6]
문서
[7]
서적
Tamminiemestä Mäntyniemeen
WSOY
2000
[8]
서적
Vuoroin vieraissa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2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Tamminiemestä Mäntyniemeen
WSOY
2000
[13]
서적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Suomen Valkoisen Ruusun ja Suomen Leijonan ritarikunnat
Edita
[17]
간행물
Ar Triju zvaigžņu ordeni apbalvoto: 1. sarakstu.
https://periodika.ln[...]
1926-11-17
[18]
서적
Aikalaiskirja 1934
https://runeberg.org[...]
Otava
[19]
웹사이트
Vabaduse Risti diplomid
http://vas.muuseum.e[...]
Vabadussõja Ajaloo Seltsist
2023-05-08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Tamminiemestä Mäntyniemeen
WSOY
2000
[2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