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를리베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를리베르크는 스위스 취리히 호수 북쪽 제방에 위치한 도시이다.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8세기에는 "테클리스빌"이라는 마을이 세워졌다. 1153~1155년 "Hardiperc"로 처음 언급되었고, 1412년 취리히와 연관되어 마일렌 구에 속해 있다. 헤를리베르크는 포도 재배가 중요했으며, 1896년 철도 개통으로 취리히 교외로 발전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6,567명이며, 독일어를 주로 사용한다. 헤를리베르크-펠트마일렌역이 있으며, 취리히 호수 해운 보트가 운행된다. 개신교, 가톨릭 교회가 있으며, 크리스토프 블로허 등 유명 인사들의 고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리히호의 취락 - 촐리콘
스위스 판넨슈틸 지역의 촐리콘은 살기 좋은 도시로, 넓은 면적이 정착지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일어 사용 주민이 다수이고,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으며, 유명 인사들의 묘지가 있는 곳이다. - 취리히호의 취락 - 라퍼스빌
라퍼스빌은 스위스 취리히 호수 북쪽 기슭의 시담 지협에 위치한 "장미의 도시"로, 라퍼스빌 성과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로마 시대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역사적인 목교와 선사 시대 수상 가옥 유적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취리히주의 지방 자치체 - 촐리콘
스위스 판넨슈틸 지역의 촐리콘은 살기 좋은 도시로, 넓은 면적이 정착지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일어 사용 주민이 다수이고,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으며, 유명 인사들의 묘지가 있는 곳이다. - 취리히주의 지방 자치체 - 레겐스도르프
레겐스도르프는 스위스 취리히주에 위치한 14.6k㎡ 면적의 도시로, 870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푸르트바흐 강을 중심으로 여러 마을로 구성되어 있고 취리히 S-반을 통해 대중교통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FC 레겐스도르프 축구 클럽과 식물학자 존 고스바일러, 봅슬레이 선수 하인츠 슈테틀러와 관련이 있다.
헤를리베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지방 자치 단체 종류 | 지방 자치 단체 |
칸톤 | 취리히주 |
구 | 마일렌구 |
우편 번호 | 8704 |
지방 자치 단체 코드 | 0152 |
면적 | 8.97 |
해발 고도 | 464 |
인구 | 6,391 |
인구 조사 년도 | 2018년 |
웹사이트 | 헤를리베르크 공식 웹사이트 |
인접 지방 자치 단체 | 에크, 에를렌바흐, 퀴스나흐트, 마우어, 마일렌, 오버리덴, 탈빌 |
2. 역사
헤를리베르크는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중세 시대에는 포도 재배가 중요한 산업이었으며, 취리히와의 관계 속에서 발전해왔다. 근대에 들어 학교와 교회가 설립되었고, 19세기 말 취리히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취리히의 교외 지역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맞았다.
2. 1. 초기 역사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이 발견되었다.8세기에는 '테클리스빌'이라는 마을이 세워졌다. '베초'(오늘날 베츠빌)라는 작은 마을은 797년에 장크트갈렌 수도원에 기증되었다. '브라이트빌', '키텐뮐레', '인트빌'을 포함한 다른 여러 작은 마을도 있었다.
헤를리베르크는 1153년~1155년 사이에 '하르디퍼크'(Hardipercdeu)로 처음 언급되었다. 1273년에는 '헤르디퍼크'(Herdiperchdeu)로, 15세기 중반에는 '헤를리베르크'(Härlibergdeu)로 언급되었다.[4]
포도 재배는 수세기 동안 중요했다. 중세 시대에는 대부분의 토지가 취리히의 교회들(그로스뮌스터, 프라우뮌스터)에 속했지만, 1412년에 헤를리베르크는 관리인의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헤를리베르크는 취리히와 연관되었다. 1815년부터 이 지방 자치체는 마일렌 구에 속해 있다.
'베츠빌'의 예배당은 1370년 이전에 세워졌다. 최초의 학교는 1639년에 문을 열었으며, 1687년에는 지역 교구가 설립되었다.
1886년 포도 재배가 절정에 달했을 때, 헤를리베르크에는 1.3km2의 포도원을 관리하는 174명의 포도 재배자가 있었다.
1896년 취리히로 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헤를리베르크는 취리히 교외 지역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2. 2. 중세 시대
8세기에 '테클리스빌'이라는 마을이 세워졌으며, 797년에는 '베초'(오늘날의 베츠빌)라는 작은 마을이 장크트갈렌 수도원에 기증되었다. 이 외에도 '브라이트빌', '키텐뮐레', '인트빌' 등 여러 작은 마을들이 존재했다.
헤를리베르크라는 지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해왔다.
시기 | 지명 |
---|---|
1153년 ~ 1155년 | 하르디퍼크 (Hardiperc) |
1273년 | 헤르디퍼크 (Herdiperch) |
15세기 중반 | 헤를리베르크 (Härliberg) |
[4]
중세 시대 동안 헤를리베르크의 토지 대부분은 취리히의 주요 교회인 그로스뮌스터와 프라우뮌스터 소유였다. 그러나 1412년, 헤를리베르크는 독자적인 관리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취리히와 행정적으로 연결되었다. 이후 1815년부터는 마일렌 구에 속하게 되었다.
베츠빌의 예배당은 1370년 이전에 이미 존재했으며, 첫 번째 학교는 1639년에 문을 열었다. 1687년에는 지역 교구 교회가 세워졌다.
포도 재배는 수세기 동안 이 지역의 중요한 산업이었다. 특히 1886년 포도 재배가 절정에 달했을 때는 174명의 포도 재배자가 1.3km2에 달하는 포도원을 관리했다.
1896년 취리히까지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헤를리베르크는 점차 취리히의 교외 지역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2. 3. 근대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이 발견되었다.8세기에는 "테클리스빌"이라는 마을이 세워졌다. "베초" (현재 "베츠빌")라는 작은 마을은 797년에 장크트갈렌 수도원에 기증되었다. "브라이트빌", "키텐뮐레" 및 "인트빌"을 포함한 다른 여러 작은 마을도 있었다.
헤를리베르크는 1153년에서 1155년 사이에 "하르디퍼크"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헌에 언급되었다. 이후 1273년에는 "헤르디퍼크"로, 15세기 중반에는 현재의 이름인 "헤를리베르크"로 불리게 되었다.[4] 베츠빌의 예배당은 1370년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세 시대에 헤를리베르크의 토지 대부분은 취리히의 주요 교회인 그로스뮌스터와 프라우뮌스터 소유였으나, 포도 재배는 수 세기 동안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12년, 헤를리베르크는 관리인이 다스리는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취리히와 공식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최초의 학교는 1639년에 문을 열었으며, 1687년에는 지역 교구가 설립되었다. 1815년부터 헤를리베르크는 마일렌구에 속하게 되었다.
1886년은 포도 재배가 정점에 달했던 시기로, 당시 기록에 따르면 174명의 포도 재배자가 1.3km2에 달하는 포도원을 관리했다.
1896년 취리히까지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헤를리베르크는 취리히의 교외 지역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2. 4. 현대
1896년 취리히로 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헤를리베르크는 취리히 교외 지역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3. 지리
헤를리베르크는 취리히 호수 북쪽 제방, 파넨슈틸 지역에 위치한다.[1] 지역 방언으로는 ''헤를리베르크''(Herrlibärg)라고 불린다. 중앙 광장에서 취리히 중앙역까지의 거리는 12km이다.
헤를리베르크의 면적은 9km2이다.[2]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비율 |
---|---|
농업용 | 56.5% |
산림 | 24.2% |
정착지 (건물 또는 도로) | 19.2% |
불모지 (강, 빙하 또는 산) | 0.1% |
1996년 기준으로 주택과 건물이 전체 면적의 15.1%를 차지했고, 교통 기반시설이 4.2%를 차지했다.[3] 전체 비생산 지역 중 물(하천과 호수)은 면적의 0.1%를 차지했다.[2] 2007년 기준으로 전체 시정촌 면적의 18.2%에서 어떤 형태로든 건설이 진행 중이었다.[3]
시정촌은 취리히 호수를 따라 세 개의 별도 정착지, 호숫가 정착지, 계단식 경사면의 이중 마을, 언덕 꼭대기 정착지로 구성된다. 지역은 5개의 계층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은 마을인 베츠빌(de), 브라이트빌(de, 현재는 키텐뮐레(de)로 알려짐) 및 흩어져 있는 농가도 포함한다.
4. 인구통계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헤를리베르크의 인구는 6,567명이다.[3] 2007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14.6%가 외국 국적자였다. 2008년 기준으로 인구의 성별 분포는 남성 48.5%, 여성 51.5%였다. 지난 10년 동안 인구는 13.8%의 비율로 증가했다.
2000년 기준으로 인구의 연령 분포는 어린이와 청소년(0~19세)이 전체 인구의 21.4%, 성인(20~64세)이 62.6%, 노인(64세 이상)이 16%를 차지한다. 헤를리베르크에는 2,422세대가 있다.[3]
헤를리베르크의 실업률은 1.48%이다. 2005년 기준으로 1차 경제 부문에 94명이 고용되어 있으며, 이 부문에 약 25개의 사업체가 종사하고 있다. 2차 경제 부문에는 122명이 고용되어 있으며, 이 부문에는 29개의 사업체가 있다. 3차 경제 부문에는 785명이 고용되어 있으며, 이 부문에는 194개의 사업체가 있다.[2] 2007년 기준으로 근로 인구의 55.6%가 상근직으로 고용되었고, 44.4%가 시간제로 고용되었다.[3]
역사적 인구 변화는 다음 표와 같다.[4]
연도 | 인구 |
---|---|
1467 | 42가구 |
1634 | 516 |
1760 | 979 |
1850 | 1,144 |
1888 | 964 |
1900 | 985 |
1950 | 2,298 |
2000 | 5,499 |
4. 1. 언어
2000년 기준으로 헤를리베르크 주민 대부분은 독일어를 사용하며, 그 비율은 89.2%에 달한다. 영어는 2.9%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프랑스어가 2.2%로 그 뒤를 잇는다.[3]4. 2. 종교
2008년 기준으로 헤를리베르크에는 1,571명의 가톨릭교 신자와 2,564명의 개신교 신자가 있었다. 2000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52.3%가 개신교 신자였는데, 이 중 50.8%는 스위스 개혁 교회에, 1.5%는 다른 개신교 교단에 속했다. 가톨릭교 신자는 인구의 26.6%를 차지했다. 그 외에 이슬람교도는 없었으며, 3.7%는 기타 종교(목록에 명시되지 않음)를 믿었고, 2.6%는 특정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무신론자 또는 불가지론자는 14.5%였다.[3]4. 3. 교육
스위스 전체 인구는 일반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다. 헤를리베르크에서는 25세에서 64세 사이의 인구 중 약 88.5%가 의무 교육이 아닌 상위 중등 교육 또는 추가 고등 교육(대학교 또는 응용학문대학)을 이수했다.[3]4. 4. 정치
2007년 선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당은 41%의 득표율을 기록한 스위스 국민당이었다. 다음 세 개의 인기 정당은 FDP (26.5%), SPS (10%), CSP (8.8%)였다.5. 교통
헤를리베르크-펠트마일렌역은 취리히 S-반의 S6 노선과 S16 노선이 정차하는 역이며, S16 노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여름철에는 취리히호 해운( Zürichsee-Schifffahrtsgesellschaft|취리히제-쉬프파르츠게젤샤프트de, ZSG)이 취리히행 및 라퍼스빌행 정기 선박을 호수를 따라 운행한다.
6. 문화
헤를리베르크는 독특한 건축 양식을 지닌 교회를 비롯한 종교 건축물이 있으며, 정치,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유명 인사들이 거주하거나 연고를 둔 곳으로 알려져 있다.
6. 1. 명소

헤를리베르크에는 세 개의 교회가 있다. 개신교 교회는 베츠빌과 탈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에 지어진 가톨릭 교회 성 마리엔은 건축 양식이 독특하여 주목할 만하다.
6. 2. 유명 인사
헤를리베르크는 여러 유명 인사들의 거주지이거나 연고가 있는 곳이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스위스인 정치인이자 산업가이며 전 스위스 연방 평의회 의원을 지낸 크리스토프 블로허가 있다. 스위스 출판인 위르크 마르콰르트 역시 이곳 출신이다.유명한 오르가니스트이자 하프시코드 연주자, 지휘자이며 바흐 해석가로 알려진 카를 리히터는 뮌헨에서 뮌헨 바흐 합창단 및 바흐 오케스트라와 함께 활동하지 않을 때 헤를리베르크의 베츠빌에 거주했다. 네덜란드인 타이포그래퍼인 빌렘 샌드베르크는 이곳에서 인쇄공 견습 과정을 거쳤다.
2011년 12월에는 세계적인 테니스 선수 로저 페더러와 그의 아내 미르카가 헤를리베르크 라우브홀츨리 지역에 5779m2 규모의 부지를 매입하여 집을 지을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5] 또한, 전 ''스위스 은행 협회'' 공동 이사인 니콜라우스 센은 2014년 11월 2일 헤를리베르크에서 생을 마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Kanton Zürich, Statistisches Amt: Region Pfannenstiel
http://www.statistik[...]
2009-06-16
[2]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http://www.bfs.admin[...]
2016-01-05
[3]
웹사이트
Statistics Zurich
http://www.statistik[...]
2009-08-04
[4]
문서
Herrliberg
[5]
웹사이트
Roger Federer Herrliberg Bound - in the Local News - ZURICH4YOU.CH - THE ENGLISH ONLINE PLATFORM FOR EXPATS LIVING IN ZURICH
http://www.zurich4yo[...]
[6]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http://www.bfs.admin[...]
2016-01-05
[7]
웹사이트
Statistics Zurich
http://www.statistik[...]
2009-08-04
[8]
문서
Herrlibe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