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코 오베르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코 아우구스티뉘스 오베르만(1930–2001)은 네덜란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신학대학원, 튀빙겐 대학교, 애리조나 대학교 등에서 교회 역사 및 종교 개혁을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는 《중세 신학의 수확: 가브리엘 비엘과 중세 후기 유명론》(1963), 《루터: 신과 악마 사이의 인간》(1989) 등이 있다. 그는 중세 후기 및 종교 개혁 연구에 기여했으며,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미국 철학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1996년에는 A.H. 하이네켄 박사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 교육자 - 설민석
설민석은 한국사 강사, 방송인, 기업인으로서 이투스, 메가스터디, EBSi 등에서 활동했고 단꿈교육과 단꿈아이의 대표이사를 맡았으며, 방송 출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고, 《설민석의 한국사 대모험》,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등의 저서가 있다. - 역사 교육자 - 최태성
최태성은 대성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 역사 강사로, 백영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EBS 한국사 강사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고 현재 모두의 별★별 한국사 연구소 소장과 외교부 산하 재외 동포 재단 자문위원, 이투스 및 EBSi 강사, 그리고 방송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20세기 기독교 신학자 - 제임스 바
제임스 바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구약학자로서, 성경 언어 의미론과 근본주의 비판에 기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20세기 기독교 신학자 - 아돌프 폰 하르나크
아돌프 폰 하르나크는 독일의 신학자로서, 자유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교회사, 교의사, 신약성서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기독교의 본질》을 저술하고 카이저 빌헬름 협회 초대 총재를 역임하며 기독교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역사가 - 마르크 뤼터
마르크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유민주국민당 대표를 지냈고,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하다 2023년 사임했다. - 네덜란드의 역사가 - 아브라함 카이퍼
아브라함 카이퍼는 신칼뱅주의를 주창하고 영역 주권 사상을 발전시킨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사회 보수주의를 주창하며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헤이코 오베르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헤이코 아우휘스티뉘스 오베르만 |
출생일 | 1930년 10월 15일 |
출생지 |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
사망일 | 2001년 4월 22일 |
사망지 | 미국 애리조나주 투손 |
국적 | 네덜란드 |
배우자 | 헤이르트라위다 레이싱크 (1956년 결혼) |
수상 | 하이네켄 상 (1996년) |
학문 분야 | 역사 신학 |
세부 학문 분야 | 교회사 역사신학 후기 중세사 |
근무지 | 하버드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애리조나 대학교 |
지도 학생 | 앤드루 고 데이비드 스타인메츠 |
주요 관심사 | 종교개혁 |
주요 저서 | 《중세 신학의 수확》(1963년) 《루터》(1989년) |
학력 | 위트레흐트 대학교 |
학문 |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토마스 브래드워딘 대주교, 14세기 아우구스티누스주의자 |
박사 학위 취득 연도 | 1957년 |
주목할 만한 학생 | 브래드 S. 그레고리 |
2. 생애
헤이코 오베르만은 중세 후기와 종교개혁 연구의 권위자였다. 주요 저서로는 ''중세 신학의 수확: 가브리엘 비엘과 중세 후기 유명론''(1963)과 마르틴 루터의 전기 ''루터: 신과 악마 사이의 인간''(1989)이 있다. 오베르만은 루터에 대해 "신과 악마 사이에서 기독교적 실존에 대한 그의 관점을 예민하게 이해하지 않고서는 루터의 경험과 신앙의 환경을 파악할 방법이 없다. 사탄의 권능에 대한 인식이 없이는,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은 그리스도에 대한 관념으로 축소된다. 그리고 루터의 믿음은 시대의 조류에 따라 혼란스러운 망상이 된다"라고 썼다.[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베르만은 1930년 10월 15일 위트레흐트에서 태어났다. 1957년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 학문적 경력
오베르만은 1958년 하버드 신학대학원 교수로 합류했다. 그는 그곳에서 강사에서 부교수로, 1963년에는 교회 역사 교수로 빠르게 승진했다. 1964년 하버드 신학대학원에서 윈 교회 역사학 교수로 임명되어 1966년까지 그곳에서 가르쳤다.[1] 이후 독일 튀빙겐 대학교 신학부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중세 후기 및 종교개혁 연구소 소장을 겸임했다. 만년에는 애리조나 대학교에 중세 후기 및 종교 개혁 연구 부서를 설립했다.[1]2. 3. 말년과 죽음
오베르만은 2001년 4월 22일에 사망했다.[1]3. 학문적 업적과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수상 및 영예
오베르만은 학자이자 교육자로서의 위상을 인정받아 수많은 명예 학위와 국내외 기관과의 관계를 맺었다. 그는 1963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3] 1964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4] 1991년 미국 철학회 회원이 되었다.[5] 1996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그에게 역사가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인 역사 분야의 A.H. 하이네켄 박사상을 수여했다. 2001년, 그의 사망 직전, 그는 2002년에 네덜란드의 베아트릭스 여왕으로부터 네덜란드 학문과 문화를 특별히 대표한 공로를 인정받아 기사작위를 받을 예정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애리조나 대학교에서는 1988년 역사학 정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989년에는 5성급 교수 교육상, 1999년에는 사회 행동 과학 대학원 교육상, 2001년에는 SBS 자문위원회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5. 저서 목록
헤이코 오베르만의 저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헌정 문집'''
- 케네스 하겐 편집, ''아우구스티누스, 수확, 그리고 신학 (1300–1650): 헤이코 아우구스티누스 오버만에게 헌정된 에세이, 그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라이덴: 브릴, 1990)
- 로버트 제임스 바스트와 앤드루 콜린 고 편집, ''연속성과 변화: 후기 중세와 종교 개혁 역사의 수확: 헤이코 A. 오버만에게 그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헌정된 에세이'' (라이덴: 브릴, 2000)[1]
5. 1. 단행본
- ''토마스 브래드와딘 주교, 14세기 아우구스티누스회의 신학: 역사적 맥락에서 그의 신학 연구'' (1957)
- ''중세 신학의 수확: 가브리엘 비엘과 후기 중세 유명론'' (1963, 2001)
-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본 성모 마리아'' (1971)
- ''Contra Vanam Curiositatem: Seelenwinkel과 Weltall 사이의 신학 장'' (1974)
- ''종교개혁의 생성과 가치 평가: 길의 논쟁에서 신앙의 투쟁까지'' (1977); 영어 번역: ''종교개혁의 거장: 유럽의 새로운 지적 분위기의 등장'' (1981)
- ''반유대주의의 뿌리. 인문주의와 종교개혁 시대의 기독교의 공포와 유대인 재앙'' (1981); 영어 번역: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반유대주의의 뿌리'' (1984)
- ''루터 – 신과 악마 사이의 인간'' (1981); 영어 번역: ''루터 – 신과 악마 사이의 인간'' (1993)
- ''De Erfenis van Calvijn: Grootheid en Grenzen'' (1988)
- 피터 다이케마 편집, ''존 칼빈과 난민의 종교 개혁'' (2009)
5. 2. 수집된 에세이
- Dawn of the Reformation: Essays in Late Medieval and Early Reformation Thought|종교개혁의 새벽: 후기 중세와 초기 종교개혁 사상에 관한 에세이영어 (1986)
- The Reformation: Roots and Ramifications|종교 개혁: 뿌리와 결과영어 (1993)
- The Impact of the Reformation: Essays|종교개혁의 영향: 에세이영어 (1994)
- The Two Reformations: The Journey from the Last Days to the New World|두 번의 종교 개혁: 마지막 날에서 신세계로의 여정영어 (2003)
- Zwei Reformationen: Luther und Calvin—alte und neue Welt.|두 번의 종교개혁: 루터와 칼빈 - 옛 세계와 신세계de (2003)
5. 3. 편집된 자료
- H.A. 오버만 편집, ''종교개혁의 선구자: 후기 중세 사상의 형태'' (뉴욕: 홀트, 라인하트 앤 윈스턴, 1966); 재판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81).
- 가브리엘 비엘, ''Defensorium Obedientiae Apostolicae Et Alia Documenta'', H.A. 오버만, 다니엘 E. 제르포스, 윌리엄 J. 코트니 편집 및 번역 (캠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Belknap Press, 1968)
5. 4. 헌정 문집
- 케네스 하겐 편집, ''아우구스티누스, 수확, 그리고 신학 (1300–1650): 헤이코 아우구스티누스 오버만에게 헌정된 에세이, 그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라이덴: 브릴, 1990)
- 로버트 제임스 바스트와 앤드루 콜린 고 편집, ''연속성과 변화: 후기 중세와 종교 개혁 역사의 수확: 헤이코 A. 오버만에게 그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헌정된 에세이'' (라이덴: 브릴, 2000)[1]
참조
[1]
웹사이트
"Founder Heiko A. Oberman ! The Division for Late Medieval and Reformation Studies"
https://web.archive.[...]
2015-11-16
[2]
서적
"Luther: Man Between God and the Devil"
Yal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Heiko Augustinus Oberman (1930–2001)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17
[4]
웹사이트
Heiko Augustinus Oberman
https://www.amacad.o[...]
2022-04-14
[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4-14
[6]
뉴스
Heiko Oberman; History Professor, Biographer of Martin Luthe
https://www.latimes.[...]
L.A. TIMES
2001-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