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클라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클라산은 아이슬란드 남부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Hekla'는 짧은 후드 망토를 의미하는 아이슬란드어에서 유래되었다. 1104년 분화 이후 지옥으로 가는 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헤클라는 약 40km 길이의 화산 능선 일부이며, 5.5km 길이의 열하 분화구인 Heklugjá를 포함한다. 지질학적으로는 열구와 성층 화산의 특징을 가지며, 과거 수많은 분화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기원전 1000년경 헤클라 3차 분화는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큰 홀로세 분화 중 하나로 꼽힌다. 헤클라산은 하이킹, 스키 등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장소로도 활용되며,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슬란드의 성층 화산 - 외라이바이외퀴들
외라이바이외퀴들은 아이슬란드 남동부에 위치한 화산으로, 과거 대규모 폭발성 분화를 일으켰으며, 최근 지진 및 지열 활동이 감지되었다. - 아이슬란드의 성층 화산 - 바우르다르붕카산
바우르다르붕카산은 아이슬란드 남동부 바트나예쿨 국립공원 내 바트나예쿨 빙하 아래 위치한 활화산으로, 대규모 분화와 2014-2015년 홀루흐라운 균열 분화로 아황산 가스를 대량 분출하여 대기 오염과 산성비를 유발하기도 했다. - 지수 5 화산 - 훙가통가섬
훙가 통가-훙가 하파이는 통가 하파이 제도에 있는 해저 화산으로, 2022년 대규모 분화로 섬 대부분이 파괴되고 두 개의 섬으로 분리되었으며, 과거 분화로 형성된 칼데라와 구아노 매장량을 가진 화산이다. - 지수 5 화산 - 타라웨라산
타라웨라 산은 뉴질랜드 북섬 오카타이나 칼데라 내에 위치한 유문암질 활화산으로, 1886년 대분출로 핑크 앤드 화이트 테라스를 파괴하고 와이망구 화산을 형성했으며, 15km에 달하는 현무암질 절리와 타우포 열곡과의 연관성을 가진다. - 1000미터 봉우리 - 타라웨라산
타라웨라 산은 뉴질랜드 북섬 오카타이나 칼데라 내에 위치한 유문암질 활화산으로, 1886년 대분출로 핑크 앤드 화이트 테라스를 파괴하고 와이망구 화산을 형성했으며, 15km에 달하는 현무암질 절리와 타우포 열곡과의 연관성을 가진다. - 1000미터 봉우리 - 치악산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에 걸쳐 있는 해발 1,288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으로, '은혜 갚은 꿩' 설화와 관련된 명칭, 비로봉 정상의 돌탑, 다양한 등산로, 총 길이 139.2km의 둘레길, 그리고 약 20억 년 전에 퇴적된 치악산 편마암 분포가 특징이다.
헤클라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헤클라 |
다른 이름 | 후디드 (Hooded) |
위치 | 아이슬란드 |
산맥 | 해당 없음 |
종류 | 활동적인 열구 성층 화산 |
마지막 분화 | 2000년 2월 ~ 3월 |
지리 | |
해발고도 | 1,488m |
좌표 | 63°59′32″N 19°39′57″W |
역사 | |
최초 등반 | 에그레트 올라프손, 비아르니 팔손, 1750년 6월 20일 |
기타 | |
추가 정보 | 표르사 강 근처에 위치 |
관련 지도 자료 | Wikipedia:Map data/Askja, Wikipedia:Map data/Grímsvötn, Wikipedia:Map data/Öræfi volcanic belt, Wikipedia:Map data/Hofsjökull, Wikipedia:Map data/Katla, Wikipedia:Map data/Hengill, Wikipedia:Map data/Snæfellsnes volcanic belt |
2. 어원
아이슬란드어에서 'Hekla'는 짧은 후드 망토를 의미하는 단어인데, 이는 산 정상의 잦은 구름 덮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초기 라틴어 자료에서는 이 산을 ''Mons Casule''(카술산)라고 언급한다.[4]
1104년 분화 이후, 시토회 수도사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유럽 전역에 퍼진 이야기에서 헤클라산은 지옥으로 가는 관문이라고 전해졌다.[5] 클레르보의 허버트는 자신의 저서 《기적에 관하여》(Hekla라는 이름 없이)에서 "사람들이 지옥의 굴뚝이라고 부르는 시칠리아의 유명한 불의 가마솥... 그 가마솥은 이 거대한 지옥에 비하면 작은 화로와 같다고 단언된다."라고 썼다.[7] 년경 수도사 베네데이트가 쓴 성 브렌단의 여행에 관한 시는 헤클라산을 유다 이스카리옷의 감옥으로 언급한다.
헤클라는 길이가 40km인 화산 능선의 일부이다. 이 능선에서 가장 활발한 부분은 Heklugjá|헤클뤼캬우is라고 불리는 약 5.5km 길이의 열하 분화구이며, 헤클라 자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8][9] 헤클라는 뒤집힌 보트와 매우 유사하며, 용골은 일련의 분화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두 개가 일반적으로 가장 활발하다.
3. 평판
《플라테이 책 연대기》에는 1341년 분화 당시 사람들이 산의 불길 속에서 크고 작은 새들이 날아다니는 것을 보았으며, 이것이 영혼으로 여겨졌다는 기록이 있다.[6]
16세기에 카스파 페우케르는 지옥의 문이 "헤클라 산의 밑바닥"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썼다. 헤클라산이 지옥으로 가는 문이라는 믿음은 19세기까지 지속되었다.[7] 부활절 동안 마녀들이 헤클라산에 모인다는 전설이 여전히 존재한다.[24]
4. 지리
5. 지질학
헤클라산은 열하구와 성층 화산(용암과 테프라 분출이 혼합되어 형성됨) 사이의 형태를 가지며, 아이슬란드 남부 지진대와 동부 화산대가 만나는 지역의 열구-변환 단층 접합부에 위치한다. 헤클라산의 특이한 형태는 전 세계적으로 극히 소수의 화산에서 발견되며, 특히 칠레의 칼라퀴에서 나타난다.[10] 5.5km 길이의 ''헤클루갸'' 열구는 주요 분화 시 전체 길이를 따라 열리며, 표면 아래 4km 지점에 상부가 있고 중심이 2.5km 더 낮은 것으로 추정되는 마그마 저장소에서 공급받는다. 이 챔버는 10km 이상으로 특이하게 깊숙이 뻗어 있으며,[11] 더 규장질 용암은 9km 이상에서 성숙된다.[12]
분화의 많은 부분은 더 두껍고 폭발적인 유문암, 데이사이트 또는 안산암 분출물로 시작되며, 이는 테프라를 생성하고 화산쇄설류의 가능성이 있다.[11][12] 분화의 다른 부분 또는 후반부에서는 용암류를 형성하는 더 얇은 현무암 성향의 마그마가 나온다.[11]
분화로 생성된 테프라는 플루오린 함량이 높아 동물에게 유독하다. 헤클라산의 현무암질 안산암 용암은 일반적으로 다른 인근 톨레아이트 현무암 분화(TAS 분류 참조)의 45–50%에 비해 54% 이상의 SiO2를 함유하고 있다.[32][16][13] 이는 아이슬란드에서 칼크-알칼리성 용암을 생성하는 유일한 화산이다.[14] 헤클라산 용암의 반정은 사장석, 휘석, 티타노자철석, 감람석 및 인회석을 포함할 수 있다.[39]
분화하지 않을 때 헤클라산은 종종 눈과 작은 빙하로 덮여 있다. 또한 분화가 시작되기 30~80분 전에만 지진 활동이 시작되는 특이한 무지진성을 보인다.[15] 헤클라산은 해령, 즉 발산 경계에 위치해 있다.
헤클라산은 오늘날 변형, 기울기, 변형 및 기타 움직임 및 지진 활동과 같은 매개변수에 대해 면밀히 연구되고 있다.[16] 화산 주변의 지진은 휴면 상태일 때는 일반적으로 모멘트 규모 2 미만이고 분화 시에는 규모 3이다.[15]
6. 분화사
헤클라산에서 기록된 가장 오래된 분화는 1104년에 발생했다. 그 이후로 20~30번의 큰 분화가 있었으며, 때로는 거의 쉬지 않고 6년 동안 활동하기도 했다. 헤클라산의 분화는 그 양상이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렵다. 어떤 분화는 매우 짧아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지속되지만, 어떤 분화는 몇 달에서 몇 년까지 이어지기도 한다(1947년 분화는 1947년 3월 29일에 시작되어 1948년 4월에 끝났다).[12] 일반적으로 헤클라산이 오랫동안 휴면 상태일수록 처음 분화할 때 더 크고 파괴적인 경향을 보인다. 가장 최근의 분화는 2000년 2월 26일에 있었다.시작 날짜 1950년 전 (BP) VEI 용암 부피
(km3)화산재 부피
(km3)비고 2000년 2월 26일 - 3 0.19km3 0.01km3 1991년 1월 17일 - 3 0.15km3 0.02km3 1981년 4월 9일 - 2 0.03km3[45] - 1980년 8월 17일 - 3 0.12km3[45] 0.06km3 1970년 5월 5일 align="center"| 3 0.2km3 0.07km3 1947년 3월 29일 3 4 0.8km3 0.18km3 1913년 4월 25일 align="center"| 2 0.05km3 - 1878년 2월 27일 align="center"| 2 0.2km3 - 1845년 9월 2일 align="center"| 4 0.63km3 0.23km3 1766년 4월 5일 align="center"| 4 1.3km3 0.4km3 화산재 성분은 유문암에서 데이사이트(아이슬란드 암석)이다.[46] 1725년 4월 2일 align="center"| 1 - - 1693년 2월 13일 align="center"| 4 - 0.3km3 1636년 5월 8일 align="center"| 3 - 0.18km3 1597년 1월 3일 align="center"| 4 - 0.29km3 1554년 5월 align="center"| 2 0.1km3 - 1510년 7월 25일 align="center"| 4 - 0.32km3 1389년 12월 align="center"| 3 0.2km3 0.15km3 1341년 5월 19일 align="center"| 3 - 0.18km3 1300년 7월 11일 align="center"| 4 0.5km3 0.5km3 화산재 성분은 유문암에서 데이사이트(아이슬란드 암석)이다.[46] 1222년 align="center"| 2 - 0.04km3 1206년 12월 4일 align="center"| 3 - 0.4km3 역사적 기록을 사용하여 날짜를 정함. 1158년 1월 19일 align="center"| 4 0.1km3 0.33km3 1104년 10월 15일 align="center"| 5 0 2km3 H 1 화산재, 조성은 유문암.[46] 1050년 ± 500 ± 500 - - - 781년 ± 2 ± 2 - - - 그린란드 빙핵[47] 753년 ± 2 ± 2 - - - 그린란드 빙핵[2] 650년 ± 500 ± 500 - - - 550년 ± 1500 ± 1500 - - - 350년 ± 500 ± 500 - - - 250년 ± 1500 ± 1500 - - - 기원전 1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250년 ± 500 ± 500 - - - 기원전 6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750년 ± 500 ± 500 - - - 기원전 850년 ± 80 ± 80 - - - H C 데이사이트(아이슬란드 암석) 화산재.[46] 기원전 1063년 ± 140 3013 ± 140 5 - 10km3 H 3 데이사이트, 유문암 화산재.[46] 기원전 1150년 ± 1500 ± 1500 - - - 기원전 1250년 ± 1500 ± 1500 - - - 기원전 13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1550년 align="center"| 4 - - 기원전 16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1750년 ± 500 ± 500 - - - 기원전 1850년 ± 2500 ± 2500 - - 2km3 기원전 2375년 ± 8 4325 ± 8 5 - 10km3 H 4 유문암 화산재.[46] 기원전 2335년 ± 180 ± 180 - - - H 4270 알칼리 현무암 화산재.[46] 기원전 2450년 ± 1500 ± 1500 - - - 기원전 27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2950년 ± 500 ± 500 - - - 기원전 33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3450년 ± 1500 ± 1500 - - - 기원전 3750년 ± 1500 ± 1500 - - - 기원전 3950년 ± 500 ± 500 - - - 기원전 4050년 ± 500 ± 500 - - - 기원전 4110년 ± 100 ± 100 5 0 1km3 기원전 41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4250년 ± 500 ± 500 - - - 기원전 4650년 ± 500 ± 500 - - - 기원전 4700년 align="center"| 4 - - 분화 전후의 날짜로만 제한됨 기원전 47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49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5050년 align="center"| - - - 분화 전후의 날짜로만 제한됨 기원전 5103년 ± 260 7053 ± 260 5 - 3km3 H 5 현무암에서 유문암 화산재. 기원전 5850년 ± 2500 ± 2500 - - - 기원전 10550년 ± 150 10550 ± 150 - - - H 10550 알칼리 현무암 화산재.[46]
6. 1. 선사 시대 분화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큰 홀로세 분화 중 하나는 기원전 1000년경[17][18]에 발생한 헤클라 3차 분화(H3)로, 약 7.3km3의 화산암을 대기 중으로 뿜어내어 화산 폭발 지수(VEI)를 5로 기록했다. 이로 인해 그 이후 몇 년 동안 지구 북부 지역의 기온이 낮아졌을 것이다. 이 분화의 흔적은 스코틀랜드의 이탄 습지에서 확인되었으며, 아일랜드에서는 이 시기의 연륜연대기 연구를 통해 10년 동안 나이테의 성장이 미미했음을 보여주었다.[18]
분화 | 연도 (2019년 값) | 연도 (2024년 값) |
---|---|---|
H-5 | 기원전 5050년 | 기원전 5103년 ± 260년[21] |
H-Sv | 기원전 3900년[19][20] | 기원전 3900년 |
H-4 | 기원전 2310년 ± 20년 | 기원전 2375년 ± 8년[21] |
H-3 | 기원전 950년 | 기원전 1063년 ± 140년[21] |
헤클라 3, 4, 5차 분화는 막대한 양의 유문암질 화산재와 테프라를 생성하여 아이슬란드의 80%를 덮었으며,[22] 오크니 제도,[23] 스칸디나비아,[24] 및 기타 지역[25]의 토양 프로파일에서 유용한 연대 지표로 사용되었다. H3 및 H4 분화는 최후 빙기 이후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큰 테프라 층을 생성했다.[28] 지난 7,000년 동안, 스칸디나비아, 독일, 아일랜드, 영국에 퇴적된 화산재의 3분의 1이 헤클라산에서 기원했다.[26]
6. 2. 1104년 ~ 1878년 분화
1104년 헤클라 화산은 대규모 폭발(VEI 5)을 일으켰다. 이 분화는 역사 시대에 아이슬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였으며, 아이슬란드 절반 이상(55000km2)을 라이오다사이트 테프라로 덮었다. 테프라의 양은 1.2 km3[28] 또는 2.5 km3[27]에 달했다. 이로 인해 Þjórsárdalur 계곡 등지의 농가들이 피해를 입고 버려졌다. 이 분화로 헤클라는 유럽 전역에 알려지게 되었다.[17][28]
1158년 1월 19일에는 VEI-4 규모의 분화가 있었다. 이 분화로 0.15km3 이상의 용암과 0.2km3의 테프라가 발생했다.
1206년 12월 4일에는 VEI-3 규모의 분화가 발생했다.
1222년의 VEI-2 분화와 1206년 분화는 약 0.24km3의 테프라를 주로 북동쪽으로 분출시켰다.[29]
1300년 7월 11일에 시작된 VEI-4 분화는 1년 동안 지속되었다. 아이슬란드 정착 이후 헤클라에서 두 번째로 큰 테프라 분화였으며, 0.31km3의 테프라가 30000km2의 땅을 덮었다. 0.5km3 이상의 용암도 분출되었다. 이 테프라는 Skagafjörður와 Fljót 정착지에 큰 피해를 입혀 그해 겨울 500명 이상이 사망했다.[30]

1341년 5월 19일에는 작은 규모(VEI-3)의 분화가 있었다. 헤클라 서쪽과 남서쪽에 약 50000000km3의 테프라가 쌓여 가축들이 불소증으로 많이 죽었다.[30]
1389년 말, 헤클라는 다시 분화(VEI-3)하여 남동쪽으로 많은 양의 테프라를 분출했다. 이후 분화구가 산에서 Skard 바로 위 숲으로 이동했다. Skard와 근처 농장은 12.5km2 면적의 ''Nordurhraun''을 형성하는 대규모 용암류에 의해 파괴되었다. 총 0.3km3의 용암과 50000000m3의 테프라가 생성되었다.[30]
1440년경에는 Raudölder에서 분화가 있었을 수 있지만, 용암의 SiO2 함량을 기준으로 헤클라의 분화로 분류되지는 않는다.[32][33]
1510년 분화는 7월 25일에 시작되어 매우 격렬했으며(VEI 4), Vördufell 서쪽 40km까지 화산탄을 발사했다. Rangárvellir, Holt, Landeyjar에 테프라가 쌓였으며(총 0.2km3), Landsveit의 한 남자가 사망했다.[30]
1597년 1월 3일에 시작된 VEI-4 분화는 6개월 이상 지속되었으며, 0.15km3의 테프라가 남-남동쪽으로 쌓여 Mýrdalur에 피해를 입혔다.[30]
1636년 5월 8일에 시작된 작은(VEI-3) 분화는 1년 이상 지속되었다. 50000000m3의 테프라가 북동쪽 목초지를 덮쳐 가축이 죽었다.[34]
1693년 1월 13일에 시작되어 7개월 이상 지속된 분화는 헤클라에서 가장 파괴적인 분화 중 하나였다(VEI-4). 초기 테프라 생성 속도는 60,000 m3·s−1였으며, 분화 전체에서 0.18km3의 테프라와 라하르, 쓰나미를 발생시켰다. 테프라는 북서쪽에 쌓여 Þjórsárdalur, Land, Hreppar, Biskupstungur의 농가와 숲을 파괴하고 손상시켰다. 미세한 재는 노르웨이까지 도달했다. 송어, 연어, 바다꿩 및 농장 가축이 대량으로 사망했다.[34]
1725년 4월 2일에는 매우 작은 분화(VEI-1)가 발생하여 헤클라 주변에 용암류를 생성했다. 이 용암류는 이후 다른 용암류에 덮였다. 이 분화는 용암의 SiO2 함량을 기준으로 헤클라 자체의 분화로 분류되지 않는다.[32]

1766년 분화는 대규모(VEI-4)였으며, 아이슬란드 거주 시대에 발생한 모든 분화 중 두 번째로 큰 용암류(1.3km3가 65km2을 덮음)와 세 번째로 큰 테프라 부피(0.24km3)를 기록했다. 분화는 1766년 4월 5일 오전 3시 30분경에 시작되어 1768년 5월에 종료되었다. Austur-Húnavatnssýsla와 Skagafjördur에 2~4 cm 두께의 테프라 층이 쌓여 물고기와 가축이 사망했다. Rangárvellir, Land, Hreppar도 피해를 입었다. 분화 중 최대 0.5m 크기의 용암탄이 15km|20km 떨어진 곳까지 날아갔고, 헤클라 경사면의 눈과 얼음이 녹아 홍수가 발생했다.[34]
1845년 9월 2일 오전 9시, 헤클라는 60년 이상의 휴면 끝에 갑자기 분출했다(VEI-4). 분화는 1846년 4월 5일경에 종료되었다. 초기 테프라 생성 속도는 20,000 m3·s−1였다. 총 0.17km3의 테프라가 주로 동-남동쪽에 쌓였으며, 헤클라 바로 동쪽에는 20cm|40cm 깊이였다. 가는 재는 페로 제도, 셰틀랜드 제도, 오크니 제도까지 이동했다. 서쪽과 북서쪽으로 흐르는 용암류는 25km2 면적을 덮었으며 용암 부피는 0.63km3였다. 같은 방향의 목초지에 많은 양의 검은 재가 쌓여 불소증으로 인해 많은 가축이 죽었다.[36]

1878년 2월 27일과 4월 사이에 헤클라 동쪽 약 10km 지점에서 작은 분화(VEI-2)가 발생했다. 두 개의 평행한 균열에서 0.2km3의 용암이 생성되어 15.5km2을 덮었다.

6. 3. 1913년 ~ 1948년 분화

1913년 4월 25일부터 5월 18일 사이에 헤클라산에서 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곳에서 소규모 분화(VEI-2)가 발생하여 문다펠과 람바피트에 큰 균열이 생겼고, 각각 3.8km2 및 6.3km2의 용암이 생성되었다.[36]

1947년 3월 29일부터 1948년 4월 21일까지 VEI-4 규모의 분화가 발생했다. 이는 아이슬란드에서 사람이 거주하는 동안 헤클라산의 두 번째로 큰 용암 분화이자 1900년부터 1970년까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용암 분화였을 가능성이 높다. 총 0.8km3의 용암과 0.21km3의 테프라가 발생했다. 분화 전 헤클라산의 높이는 1447m였으나 분화 후 최대 1503m로 증가했다가 이후 1491m로 감소했다.
1104년 이후 가장 긴 휴지기였던 한 세기 이상 지난 후에 분화가 발생했다. 분화 전에는 주변 지역에서 화산을 볼 수 있었지만 특이한 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분화는 오전 6시 41분 ± 3분경에 큰 굉음과 함께 발생했으며, 이후 분화는 아이슬란드 전역에서 들을 수 있었다. 오전 6시 50분에 발생한 지진은 메르칼리 등급 6을 기록했고, 분화 강도는 능선에서 4km의 균열을 덮을 때까지 증가했다. 분화 구름은 오전 7시 08분까지 30km 높이로 상승했고, 바람이 이를 남쪽으로 에이야피야트요쿨 방향으로 날아가 검게 만들었다. 경석은 오전 7시 10분경 플요트스리드에 처음 떨어졌고, 테프라와 화산재는 3cm에서 10cm 층을 형성할 때까지 계속 떨어졌다. 헤클라산에서 32km 떨어진 곳에 떨어진 용암 덩어리는 0.5m 크기였고 무게는 20kg이었다. 바트나피요틀과 헤클라산 사이에는 최대 1m 두께의 테프라 층이 쌓였고, 여기에는 직경이 0.5m 이상인 용암 덩어리도 포함되었다. 표면적이 50m2인 용암 덩어리가 최대 1km까지 헤클라산 경사면에 떨어졌다. 분화가 시작된 지 51시간 후에 핀란드 헬싱키에 화산재가 떨어졌고, 이 시간 동안 2860km를 이동했다.
분화 처음 30분 동안의 초기 테프라 생산 속도는 75,000 m3/s였고, 다음 30분 동안은 22,000 m3/s로 감소했다. 초기 단계에서 0.18km3의 테프라가 생산되었으며, 이는 밀도암 상당량 45000000km3에 해당하고, 3130km2의 육지와 바다를 덮었다. 분화로 인해 98개의 농가가 피해를 입었지만, 1970년에는 2개만 더 이상 경작되지 않았다. 테프라를 치우기 위해 대규모 자원 봉사 활동이 동원되었으며, 7월 말까지 약 1000명의 인력이 투입되었다. 분화로 인해 약 3ML의 물(눈이 녹은 물과 균열에서 직접 나온 물)이 발생하여 이트리 랑가 강이 범람했다.
분화 처음 20시간 동안 균열에서 약 3,500 m3/s의 용암이 생성되어 여러 갈래로 나뉘어 12km2에서 15km2를 덮었다. 둘째 날에는 8개의 뚜렷한 분화 기둥이 식별되었다. 860m 지점에 용암 분화구(''Hraungígur'')라고 불리는 분화구가 형성되어 용암이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어깨 분화구(''Axlargígur'')라는 또 다른 분화구에서는 10초마다 연기가 솟아오르고, 연기에서 눈에 보이는 압축파를 만드는 큰 폭발이 발생했다. 넷째, 다섯째, 여섯째 날에는 분화가 크게 줄어들었고, 어깨 분화구와 정상 분화구에서만 폭발이 발생했다.
폭발 분화는 4월 9일부터 12일까지 강도가 증가했고, 4월 28일부터 다시 감소했다. 5월 3일, 화산은 분화구에서 갑작스러운 폭발로 용암을 분출하는 것을 멈추고, 6월 초까지 장기간 테프라와 화산재를 지속적으로 분출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후 감소했다. 9월 2일, 어깨 분화구는 상단 둘레가 960m였고, 정상 분화구는 최고 지점에서 둘레가 700m였으며, 능선 위 90m였다. 5월과 6월에 아이슬란드 전역에 모래 테프라와 화산재가 떨어져 헤클라산 근처에서는 낮에도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테프라는 방목하는 양에게 불소 중독을 일으켜 걷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 겨울에는 더 많은 분화구가 형성되어 원뿔이 쌓였다. 폭발 활동은 첫 분화 후 6개월 만에 중단되었다. 용암은 분화 동안 용암 분화구에서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처음에는 100 m3/s 이상이었고, 4월과 5월 초에는 5–10 m3/s로 감소했으며 속도는 약 20cm/s였다가 증가하여, 6월 말에는 150 m3/s에 달했고, 7월 중순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최대 유속은 2–2.5 m/s였다. 거기에서 11월에는 10 m3/s 미만으로 점차 감소했다. 처음에는 용암의 SiO2 함량이 57–58%였고 Fe2O3 함량은 11%였지만, 최대 유속 시점부터 SiO2 함량은 54%로, Fe2O3 함량은 13.5%로 변경되었다.
용암 하천은 때때로 용암 동굴을 통과한 후 다시 나타났다. 용암 전선은 최대 15m 높이에 달했다. 6월 15일과 16일에는 멜펠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용암류가 30시간 만에 1km 이상 이동한 후 속도가 느려지고 6월 21일까지 용암 분화구에서 7.8km 떨어진 지점에서 멈췄다. 가장 긴 용암류는 8km 길이였고 스토라스코그스보트나르에서 멈췄다. 11월 2일 용암류 중 하나를 촬영하던 과학자는 용암 덩어리에 맞아 사망했다.[37]
용암류는 13개월 후인 4월 21일에 멈췄고, 40km2를 덮었으며 최대 깊이는 100m였다. 생성된 용암층은 주로 ʻ아ʻ아 용암 유형이었고, 파호에호에 및 ''라바 아 부델라''(용암 동굴) 지역이 있었다. 1948년 4월과 5월에는 CO2가 땅의 균열에서 방출되어 헤클라산 근처의 움푹한 곳에 모여 15마리의 양과 일부 야생 동물 및 새가 죽었다. 총 24000ton의 CO2가 방출되었다. 농부들은 이러한 움푹한 곳을 배수하기 위해 도랑을 팠고, CO2 방출은 연말까지 중단되었다.[38]

1970년 헤클라산의 분화는 1970년 5월 5일 오후 9시 23분에 시작되어 7월 5일까지 지속되었다. 분화 규모는 VEI 3이었으며, 0.2km3의 용암을 분출하여 18.5km2의 면적을 덮었고, 40000km2의 면적, 주로 화산 북서쪽에 66000000m3의 테프라를 쌓았다.
헤클라산의 주요 균열은 가장 남서쪽 끝에서만 분출했고, 분화의 대부분은 인근의 다른 균열에서 발생했다. 분화는 5월 10일에 남남서쪽에서 멈췄고, 5월 20일에 흘리다르기갸르(Hlídargígar)에서 멈췄지만, 같은 날 새로운 균열이 열렸고 7월 5일까지 이곳에서 용암이 흘러나왔다. 용암은 올리빈을 포함하는 안산암이었으며, 1947년 분화에서 나중에 생성된 용암과 유사했다.[39]
분화 전에 평소보다 많은 양의 눈이 녹아 화산이 뜨거워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분화 당일 저녁 8시 48분에 지진이 시작되었으며, 가장 큰 지진의 규모는 4였다. 분화는 오후 9시 23분 IMT ± 2분, 약하게 시작되어 점차 강해졌다. 최초의 부석은 15km 떨어진 뷔르페틀 발전소에 오후 9시 35분에 떨어져 사람들을 대피시켰다. 분화는 동시에 두 곳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즉, 숄더(Shoulder) 분화구의 남남서쪽과 용암 분화구 아래에서였다. 오후 10시 30분, 780m에 위치한 분화구에서 약 1km 높이에 달하는 용암 기둥이 생성되었다. 밤 동안 700m 높이의 용암 분수가 주 분화구에서 뿜어져 나왔다. 용암 분화구 아래에서 시작되는 500m 길이의 균열이 열렸고, 용암 분수와 다른 용암류가 여기에서 뿜어져 나왔다. 분화 시작 1시간 후, 북동쪽에 400m 길이의 새로운 균열이 열려 두 개의 주요 용암 분수를 생성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인접한 다른 균열이 열려 500m 높이의 용암 분수를 생성했다. 자정 무렵, 용암 분화구 북서쪽에 또 다른 균열이 열려 300m 이상 길이의 용암 분수를 하늘로 쏘아 올렸으며, 200m에서 300m 높이에 이르렀다. 자정까지 용암은 이미 1km2 이상을 덮었고, 다음 날 아침까지 7.5km2로 확장되어 약 1500 m³/s의 유량을 의미했다.
처음 두 시간 동안 테프라가 10000 m³/s의 속도로 생성되었다. 오후 10시 10분까지 16000m에 달했던 분화 구름은 번개를 유발했다. 테프라는 바람에 의해 북쪽으로 운반되어 하늘이 흑색으로 변했으며, 190km 떨어진 블뢴뒤오스에서는 자정부터 오전 2시까지 테프라가 떨어졌고, 오전 2시에는 330km 떨어진 어선에 재가 떨어졌다. 아이슬란드인들은 테프라가 떨어진 지역에서 접시를 밖에 놓아 그 위에 떨어진 모든 것을 포획함으로써 그 지역의 테프라 낙하를 표본 채취했다. 이것과 다른 측정 결과는 1 mm 윤곽선(헥타르당 8톤에 해당)이 북쪽 해안까지 확장되는 길고 좁은 지역임을 보여주었다.[39]

5월 6일 5시 30분까지 용암류의 길이는 4km로 측정되었다. 많은 용암탄이 주 분화구 근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중 하나는 6m2의 면적과 약 12톤의 무게를 가졌다. 제노리트는 분화구에서 생성된 물질의 약 2%를 차지했다. 이들은 현무암, 안산암, 이그님브라이트, 퇴적암과 같은 암석 유형이었다.
5월 12일 스키울크비아르(Skjólkvíar)에서 분화가 더 강해져 증기 기둥이 2500m 높이에 도달했다. 그 후 분화 강도는 점차 감소하여 5월 20일에 멈췄다. 그 당시 용암 지대는 5.8km2의 면적을 가졌다. 그날 늦게 주 흘리다르기갸르 분화구에서 1km 북쪽에 900m 길이의 균열이 열렸다. 그날 밤에는 각각 20m에서 50m 높이의 17개의 용암 분수가 있었다. 다음 날 저녁까지 각각 50m에서 100m 높이로 용암 조각을 뿜어내는 10~12개의 분화구가 형성되었다. 이 분화구 열은 외들기갸르(Öldugígar)라고 명명되었다. 점차 활성 분화구의 수가 감소했고, 이 중 가장 활발한 분화구는 능선의 높이보다 100m 더 높은 원뿔을 만들었다. 용암은 6월 중순까지 그 기저부에서 흘러나와 용암이 북쪽 분화구 벽을 뚫고 지나갈 때까지 흘러나왔다. 더 큰 원뿔은 더 많은 테프라를 생성했으며, 때때로 테프라 구름 내부에 번개가 쳤다. 7월 5일까지 분화는 멈췄다.[39]
헤클라산의 분화 동안 플루오린이 생성되어 테프라 입자의 표면에 달라붙는다. 미세 입자는 350 ppm의 플루오린 함량을 가질 수 있으며, 불소 중독은 플루오린 함량이 25 ppm인 먹이를 먹는 양에서 시작될 수 있다. 250 ppm에서는 며칠 안에 사망할 수 있다. 1783년에는 라키 화구의 분화로 인해 불소증이 발생하여 아이슬란드 양의 79%가 사망했다. 이 분화에서 생성된 일부 재는 0.2%의 플루오린 함량을 가졌으며, 분화 후 이틀 만에 오염된 풀은 최대 0.4%의 건조 중량 플루오린 함량을 가졌다. 450개의 농장과 95,000마리의 양이 분화의 영향을 받았다. 일부 양은 실내에 보관되어 건초를 먹거나 이동했지만, 다른 농부들은 가축을 밖에서 방목해야 했다.[39]

1980년 8월 17일 13시 28분에 VEI-3 규모의 분화가 시작되어 8월 20일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0.12km3의 용암과 58000000m3의 테프라를 생성하는 혼합 분화였다. 균열은 7km 길이를 따라 열렸다. 분화가 시작되기 직전에 증기 기둥이 생성되었고, 결국 분화 기둥은 15km 높이에 도달했다. 주요 테프라 퇴적물은 북북동쪽에 있었고 약 2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퇴적물은 정상에서 10km 떨어진 곳에서 20cm 두께였고, 해안에서 230km 떨어진 곳에서는 1mm 미만으로 감소했다.
용암은 처음에 정상 근처에서 생성되어 균열의 다른 부분으로 퍼져나가 약 24시간 만에 22km2의 면적을 덮었다. 마지막 스코리아는 8월 20일 아침에 관찰되었다. 이는 이전 분화 이후 최단 기간(1104년 이후 최단 기간)과 지속 기간(이전 분화는 3일이 아닌 2개월에서 2년 동안 지속)에서 모두 이례적인 분화였다.[40]
1981년 분화는 전년도 분화의 연속으로 간주되며, 1981년 4월 9일 오전 3시에 시작되어 VEI 2였으며 30000000m3의 용암을 생성하여 1981년 4월 16일까지 지속되었다. 분화는 재를 6.6km 높이로 뿜어냈고, 3개의 용암류가 시작되는 정상에 새로운 분화구가 형성되었다. 이들은 화산에서 최대 4.5km까지 뻗어나가 5km2에서 6km2를 덮었다.[33]

1991년 1월 17일부터 1991년 3월 11일까지 VEI-3 분화가 발생하여 0.15km3의 용암과 20000000m3의 테프라를 생성했다. 유황 냄새와 지진이 선행된 이 분화는 플리니식 분화로 시작되었고, 10분 이내에 11.5km 높이에 도달하는 화산재 구름을 생성하여 3시간 이내에 북북동쪽으로 200km 이상 이동하여 해안에 도달했다. 그런 다음 분화는 안산암질 용암을 생성하기 시작했고, 결국 용암류는 23km2의 면적을 덮어 평균 깊이가 6m에서 7m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헤클루기야 균열의 일부와 다른 균열에서 용암 분수가 300m 높이로 분출했다. 이틀째에는 주 분화구가 형성된 한 균열을 제외하고 모든 활동이 중단되었다. 이 2일 동안 800 m³/s의 용암이 생성되었고, 분화의 대부분 동안 1 m³/s에서 14 m³/s 사이로 느려졌다. 이 낮은 점성 용암은 약 54%의 SiO2 함량을 가졌다.[41]
6. 4. 1970년 ~ 2000년 분화
1970년 이후 헤클라산은 여러 차례 분화했다. 1970년 5월 5일 분화가 시작되어 7월 5일까지 지속되었으며, 화산 폭발 지수(VEI) 3으로 0.2km3의 용암과 0.07km3의 화산재를 분출했다.[17] 1980년 8월 17일에도 VEI 3의 분화가 발생하여 8월 20일까지 이어졌고, 0.12km3의 용암과 0.06km3의 화산재를 분출했다.[17][45] 1981년 4월 9일에는 VEI 2의 비교적 약한 분화가 발생하여 4월 16일까지 지속되었으며, 0.03km3의 용암을 분출했다.[17][45]1991년 1월 17일, 헤클라산은 다시 한번 VEI 3의 분화를 일으켜 3월 11일까지 계속되었고, 0.15km3의 용암과 0.02km3의 화산재를 뿜어냈다.[17] 가장 최근인 2000년 2월 26일의 분화는 3월 8일까지 이어졌으며, VEI 3으로 0.189km3의 용암과 10000000m3의 테프라를 방출했다.[42] 이 분화는 초기 폭발, 불기둥 형성, 스트롬볼리식 분화, 용암 분출의 네 단계를 거쳤다.[42] 분화 활동은 첫 시간 동안 가장 활발했고, 첫날 밤까지 헤클라산의 균열은 6km에서 7km 길이로 열렸다. 증기 기둥은 거의 15km 높이까지 솟아올랐고, 화산재는 아이슬란드 북부 해안의 그림세이까지 도달했다.[43]
2000년 분화 당시 NASA의 DC-8 항공기가 화산 연기를 통과하면서 화산 연기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2003년 1월, 노르볼 연구소 연구팀은 헤클라산 측면에서 약 5km 길이의 화산쇄설류 흔적을 발견했다.[42] 이는 염기성 암석 유형의 화산이 대규모 화산쇄설류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기존의 통념을 재고하게 만들었으며, 향후 분화 시 대피 범위를 더 넓혀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시작 날짜 | VEI[17] | 용암 부피 (km3)[44] | 화산재 부피 (km3)[44] | 비고 |
---|---|---|---|---|
3 | 0.19 | 0.01 | 분화 종료 }[17] | |
3 | 0.15 | 0.02 | 분화 종료 [17] | |
2 | 0.03[45] | - | 분화 종료 [17] | |
3 | 0.12[45] | 0.06 | 분화 종료 [17] | |
3 | 0.2 | 0.07 | 분화 종료 [17] |
7. 식생
헤클라산 지역은 한때 숲이 무성했다. 숲과 일부 풀은 화산재와 부석 낙하에 저지대 식물보다 훨씬 더 강하지만, 인간의 거주와 화산 활동이 결합된 영향으로 침식에 매우 취약한 불안정한 지표면이 남았다. 90000ha 규모의 조림 사업인 헤클라스코가르는 토양 비옥화와 풀 씨앗 파종을 시작으로 헤클라산 경사면에 자작나무와 버드나무 숲을 복원하려 하고 있다.[48][49] 이는 넓은 지역의 화산재를 안정시키고, 동상 융기 지표면의 바람 침식을 줄이고, 배수율을 늦춰 수침식을 감소시키며, 궁극적으로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유럽에서 동종 최대 규모의 조림 사업이다. 분출 후, 새로운 용암류의 거의 모든 '안전 지역'은 20년 안에 이끼에 의해 정착되며,[50] 이는 일반적으로 50년 이내에 최대 20cm 두께의 균일한 층으로 확장된다.[51]
과거의 분출은 테프라의 높은 불소 함량, 이산화 탄소 질식 또는 유독한 일산화 탄소 가스 방출과 관련하여 조류와 가축의 죽음과 관련이 있었으며,[12] 생태계의 국지적인 쇠퇴를 야기했을 것이다. 분출 후 용암 지대에서 지역 식물 천이는 더 잘 연구되었으며, 네 가지 광범위한 자연 천이 단계가 있고, 특히 퇴행 가능성이 있다.[52]
# 처음 70년 동안 ''Racomitrium lanuginosum'' 이끼와 Stereocaulon 이끼의 정착 및 덮개 융합
# ''Racomitrium lanuginosum'' 우세로 이끼의 이차적 정착으로 170년에서 700년이 소요될 수 있다.
# 600년 후에는, 방해가 없는 경우 아이슬란드의 자작나무 숲 극상 생태계를 향해 혈관 식물이 우세해짐
# 최초 용암류 이후 최대 860년 동안 발생했던 테프라 퇴적 후 고지대 상태/퇴행
지역적 요인 및 기타 교란은 이러한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1991년 용암류의 첫 번째 단계는 24년 만에 완료되었다.[52] 현무암 화산 토양 발달은 아이슬란드에서 전형적이다.[52] 테프라 낙하 전의 식물 높이는 혈관 식물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단일 요인이므로, 추가적인 대량 테프라 퇴적 전에 숲이 존재하면 재성장을 촉진한다.[52]
8.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헤클라산은 하이킹 명소로 인기가 높다. 가장 최근 분화 이후, 정상까지 거의 길이 이어져 있으며,[53] 하이킹에는 3~4시간이 소요된다.[24]
봄에는 분화구 가장자리를 따라 짧은 코스로 스키를 즐길 수 있다. 여름에는 분화구 가장자리를 따라 쉬운 (F) 등산 코스가 있으며,[54] 겨울에는 스노우캣을 타고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이 화산은 동쪽으로 30km 떨어진 란드만날라우가르로 가는 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으며, 인근 농장에서 숙박하거나 캠핑할 수 있다.[55] 2007년에는 방문객 센터인 레이루바키 농장의 헤클라 센터가 개장했다.[56]
9. 대중문화
헤클라는 중세 시대의 악명 이후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했다.
분야 | 작품명 및 설명 |
---|---|
건축 | 투어 헤클라(Tour Hekla): 2022년에 건설된 프랑스 파리 라데팡스에 위치한 높이 220m의 마천루로, 헤클라 화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영화 | |
음식 | 헤클라 페이스트리: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지역에서 찾을 수 있으며, 하얀 설탕 아이싱을 얹어 눈 덮인 화산처럼 보이도록 한 커다란 뒤집힌 시나몬 롤이다.[57] |
문학 | |
음악 | 욘 레이프스의 작품 Op. 52번 헤클라(1964): "역대 가장 시끄러운 클래식 음악"이라고 불려왔다. 망치로 치는 4세트의 돌, 강철판, 모루, 사이렌, 대포, 쇠사슬, 합창단, 대규모 오케스트라, 오르간이 필요하다.[59] |
선박 | |
기타 |
참조
[1]
문서
Thorarinsson, p. 19
[2]
AmCyc
Hecla
[3]
Nuttall
Hecla
[4]
문서
Thorarinsson, p. 7
[5]
문서
Thorarinsson, Hekla, p. 4
[6]
문서
Thorarinsson, p. 6
[7]
문서
Thorarinsson, p. 5
[8]
서적
Á Hekluslóðum
Árbók Ferðafélags Íslands
1995
[9]
서적
The Hekla Area. On the Volcano Hekla and its Surroundings. Synopsis of the Iceland Tourist Association Year Book 1995
1995
[10]
간행물
Ejemplos del Volcanismo Fisural en los Andes del Sur (38°L.S.)
https://books.google[...]
[11]
논문
The 1845–46 and 1766–68 eruptions at Hekla volcano: new lava volume estimates, historical accounts and emplacement dynamics
[12]
논문
Degassing regime of Hekla volcano 2012–2013
[13]
웹사이트
Hekla eruption 2000
http://hraun.vedur.i[...]
The Icelandic Meteorological Office
2008-01-19
[14]
웹사이트
Hekla
http://www.utexas.ed[...]
University of Texas
2008-04-24
[15]
웹사이트
Hekla Seismicity
http://www.earthice.[...]
University of Iceland, Institute of Earth Sciences
2008-01-14
[16]
웹사이트
Hekla Deformation
http://www.earthice.[...]
University of Iceland, Institute of Earth Sciences
2008-01-14
[17]
GVP
Hekla
2008-07-07
[18]
서적
Iron Age Communities in Britain
Routledge
[19]
웹사이트
The Selsund Pumice and the old Hekla crater
http://www.theochem.[...]
Institute of earth sciences, Reykjavik
2008-07-07
[20]
문서
Vikurhlaup í Heklugosum
Náttúrufræðingurinn
1985
[21]
논문
Exploiting the Greenland volcanic ash repository to date caldera-forming eruptions and widespread isochrons during the Holocene
[22]
웹사이트
Tephra layers as part of Holocene volcanic history
http://www.theochem.[...]
2007-10-24
[23]
웹사이트
Tephra on Orkney
http://www.fettes.co[...]
Fettes.com
2007-10-24
[24]
웹사이트
Hekla – The queen of the Icelandic volcanoes
http://www.south.is/[...]
2007-10-24
[25]
웹사이트
A Tephrochronological Database
http://www.tephrabas[...]
School of GeoSciences, The University of Edinburgh
[26]
뉴스
BBC News – Another giant UK ash cloud 'unlikely' in our lifetimes
https://www.bbc.co.u[...]
2011-08-12
[27]
웹사이트
Hekla Volcano
http://www.earthice.[...]
2008-01-14
[28]
문서
Thorarinsson, p. 11
[29]
문서
Thorarinsson, p. 12
[30]
문서
Thorarinsson, p. 14
[31]
conference
THE 1300 AD ERUPTION OF HEKLA VOLCANO, ICELAND
http://gsa.confex.co[...]
2008-03-27–2008-03-29
[32]
문서
Thorarinsson, p. 18
[33]
웹사이트
Hekla Eruption History
http://volcano.orego[...]
2007-10-07
[34]
문서
Thorarinsson, p. 15
[35]
서적
Wonders of Creation: A descriptive account of volcanoes and their phenomena
http://www.gutenberg[...]
T. Nelson & Sons
1872
[36]
문서
Thorarinsson, p. 17
[37]
웹사이트
Morgunblaðið, 04.11.1947
http://timarit.is/vi[...]
2012-07-22
[38]
문서
Thorarinsson, pp. 19–38
[39]
문서
Thorarinsson, pp. 39–58
[40]
논문
Upphaf Eldgossins í Heklu, 1980
http://homepage.ntlw[...]
2008-01-01
[41]
웹사이트
The Hekla eruption of 1991
http://volcano.orego[...]
Oregon State University
2008-07-08
[42]
논문
The millennium eruption of Hekla in February 2000
[43]
웹사이트
Hekla erupts Feb 26 – ~29, 2000
http://www.hi.is/~th[...]
2008-01-19
[44]
웹사이트
Catalogue of Icelandic Volcanoes:Catalogue of Icelandic Volcanoes:Hekla
https://icelandicvol[...]
2024-06-30
[45]
학위논문
Mass eruption rates in the explosive phase of the last five Hekla eruptions, comparison between observations and models
https://skemman.is/b[...]
Faculty of Earth Science, University of Iceland
2024-07-01
[46]
논문
High-resolution Holocene record from Torfdalsvatn, north Iceland, reveals natural and anthropogenic impacts on terrestrial and aquatic environments
[47]
논문
Decadal-to-centennial increases of volcanic aerosols from Iceland challenge the concept of a Medieval Quiet Period
[48]
웹사이트
The Hekluskogar idea
http://hekluskogar.i[...]
2008-01-14
[49]
웹사이트
The Hekla Forest Project
http://hekluskogar.i[...]
2008-01-14
[50]
논문
Spatial patterns of microsite colonisation on two young lava flows on Mount Hekla, Iceland
[51]
학위논문
High-latitude vegetation dynamics: 850 years of vegetation development on Mt Hekla, Iceland
http://www.geos.ed.a[...]
PhD thesis, University of Edinburgh, School of GeoSciences
2008-08-16
[52]
논문
Of mosses and men: Plant succession, soil development and soil carbon accretion in the sub-Arctic volcanic landscape of Hekla, Iceland
[53]
Summitpost
Hekla
2007-05-02
[54]
서적
Iceland, The Travellers Guide
Iceland Information Centre
[55]
서적
The Rough Guide to Iceland
Rough Guides
[56]
웹사이트
Leirubakki – Hekla
http://www.leirubakk[...]
2012-03-18
[57]
웹사이트
Behold! Hekla
http://www.knoxgardn[...]
2006-02-22
[58]
웹사이트
To Winter
http://www.biblioman[...]
2016-11-26
[59]
간행물
Booklet of CD: "Earquake" (sic), Helsinki Philharmonic Orchestra, Leif Segerstam. Ondine ODE 894-2
[60]
뉴스
Train Track Attacks: Debate over 'Leftist Terrorism' Erupts in Germany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11-10-13
[61]
AmCyc
[62]
Nuttall
[63]
저널
The millennium eruption of Hekla in February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