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트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트 조약은 1812년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시킨 조약으로, 1814년 12월 24일 벨기에 헨트에서 미국과 영국 대표단에 의해 서명되었다. 조약은 전쟁 이전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하며, 모든 포로의 석방, 영토 반환, 그리고 미국-캐나다 국경의 전쟁 전 상태 유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헨트 조약은 미국 상원의 비준을 거쳐 1815년 2월에 발효되었으며, 이후 미국과 영국 간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원주민 부족의 희생과 노예제 존속 문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4년 12월 - 하트퍼드 회의
하트퍼드 회의는 1814년 말부터 1815년 초까지 뉴잉글랜드 연방당 대표들이 미영 전쟁에 대한 불만과 연방 정부 정책에 대한 반발로 헌법 개정 및 지역 이익 보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에서 개최되었으나, 종전으로 정치적 의미를 잃고 연방당 몰락을 가속화했다.
헨트 조약 | |
---|---|
조약 정보 | |
조약 이름 | 헨트 조약 |
![]() | |
조약 종류 | 양자 평화 조약 |
서명일 | 1814년 12월 24일 |
서명 장소 | 네덜란드 연합 왕국 헨트 |
발효일 | 1815년 2월 17일 |
서명 당사자 | 갬비어 경 (영국) 헨리 골번 (영국) 윌리엄 애덤스 (영국) 존 퀸시 애덤스 (미국) 제임스 베이어드 (미국) 헨리 클레이 (미국) 조너선 러셀 (미국) 앨버트 갤러틴 (미국) |
조약 당사국 | 영국 미국 |
위키소스 | 헨트 조약 |
추가 정보 | |
각주 | 미국은 모빌 지역을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얻었지만, 조약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
조약 목적 | |
내용 | 미영 전쟁의 강화 조약 |
2. 배경
1812년 전쟁의 발발 배경에는 나폴레옹 전쟁과 그에 따른 영국의 대미 정책 변화가 있었다.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영국은 대미 강경 정책을 펼칠 여력이 있었지만, 전쟁의 장기화와 국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협상에 임하게 되었다.
1813년 말,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가 중재를 제안했으나 영국은 거부했다.[3] 이후 스웨덴 괴테보리에서 직접 회담을 열기로 합의했지만, 영국은 대표단 파견을 미루었다. 1814년 4월, 나폴레옹의 퇴위 이후 영국 내에서는 미국과의 전쟁에서 큰 이득을 요구하는 강경 여론이 비등했다. 그러나 리버풀 백작은 전쟁 장기화에 따른 부담을 인지하고 있었다.
미국은 영국의 중재 제안을 거부한 후, 1814년 중반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되었다. 나폴레옹의 패배로 영국의 대미 봉쇄와 선원 징발은 명분을 잃었고,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징발 중단 요구를 철회했다.
결국 1814년 6월 말, 남부 네덜란드의 겐트에서 협상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존 퀸시 애덤스를 비롯한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했고, 영국은 런던과 긴밀히 연락하는 하급 관리들을 보냈다.
2. 1. 협상 과정
1813년 말,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 황제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영국과 미국 간의 평화 협상을 중재할 것을 제안했지만, 영국은 이를 거부했다. 1814년 1월 초, 스웨덴 괴테보리에서 직접 평화 회담을 열기로 합의했지만, 영국은 몇 달 동안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았다.1814년 4월 나폴레옹의 퇴위 이후, 영국 여론은 미국과의 전쟁에서 큰 이득을 요구했다. 그러나 로버트 젠킨슨 리버풀 백작은 전시 과세에 대한 반대 여론과 리버풀, 브리스틀 상인들의 대미 무역 재개 요구를 알고 있었기에 장기전으로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3]
미국이 평화 협상 중재 제안을 거부한 후, 영국은 1814년 중반에 방향을 바꿨다. 1814년 3월~4월 나폴레옹의 패배와 함께, 프랑스와의 미국 무역 중단과 미국 선박의 선원 징발이라는 영국의 주요 목표는 사문화되었다.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미국이 더 이상 영국으로부터 징발의 종식을 요구할 수 없으며 평화 과정에서 그 요구를 공식적으로 철회했다고 의회에 알렸다.
결국 1814년 6월 말, 협상 장소를 남부 네덜란드의 겐트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미국은 존 퀸시 애덤스, 헨리 클레이, 제임스 A. 베이어드, 조나단 러셀, 앨버트 갤러틴 등 5명의 위원을 파견했다. 영국은 하급 관리들을 파견했고, 이들은 런던의 상급자들과 긴밀히 연락했다.
1814년 8월 8일, 겐트에서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다. 미국 외교관들은 매디슨 대통령의 징병 중단 요구와 영국이 캐나다를 미국에 넘겨주라는 제안을 제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영국은 원주민 국가를 캐나다 남서부 지역(오하이오주부터 위스콘신주까지의 지역)에 설립하는 것을 요구했다. 미국은 완충 국가 설치를 거부했고, 헨리 걸번은 "모든 미국인의 마음속에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그들의 영토를 차지하려는 확고한 결의가 있다"고 말했다.[2] 애덤스는 미국 경계 내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강력한 제국적 주권 주장을 분명히 했다. 영국 협상가들은 완충 국가를 평화의 ''필수불가결조건''으로 제시했고, 협상은 결렬 직전에 이르렀다. 결국 영국 정부는 제9조를 받아들여 양국이 원주민 적들과 평화를 맺고 원주민 국가들에게 "1811년에 누렸거나 권리가 있었던 모든 소유물, 권리 및 특권"을 회복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영국은 뉴욕주 침략 계획이 잘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미국이 그레이트레이크에 해군을 배치하지 않고, 뉴펀들랜드 해역에서 미국의 어업권을 유지하는 대가로 미시시피 강에 대한 특정 통행권을 영국이 갖도록 요구했다. 미국은 이러한 요구를 거부했고 교착 상태에 빠졌다.
협상 중 영국은 네 차례의 침략을 감행했다. 워싱턴 방화는 성공했지만, 볼티모어 점령에는 실패했다. 영국군은 뉴브런즈윅에서 메인주를 침략하여 뉴아일랜드 식민지를 재건하려 했다. 뉴욕주 북부에서는 1만 명의 영국군이 뉴잉글랜드를 차단하려 했지만, 플랫츠버그 전투에서 패배하고 캐나다로 돌아갔다.
리버풀 경은 웰링턴 공작에게 전쟁에서 승리하라는 임무를 맡겨 캐나다로 가도록 요청했지만, 웰링턴은 유럽에서 자신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그는 "전쟁 상황으로 보아 미국으로부터 영토 양보를 요구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
결국 양측은 자국이 평화를 원하고 전쟁을 계속할 실질적인 이유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영국은 나폴레옹의 패배 이후 유럽 재건에 몰두하고 있었다. 리버풀은 영국 협상가들에게 현상 유지를 제안했고, 미국 협상가들은 영국의 해상 관행 종식과 캐나다 영토에 대한 요구를 철회하고 그 조건에 동의했다. 양측은 포로를 교환하고, 영국은 노예를 미국 노예 소유주로부터 해방시켰거나 재정적 보상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3. 조약의 주요 내용
이 조약으로 모든 포로가 석방되었고, 미국과 영국 사이에 빼앗긴 모든 땅과 선박이 반환되었다 (모빌과 퍼디도 강 서쪽의 스페인령 서플로리다는 스페인에 반환되지 않았다).[5] 미국에 반환된 지역은 수피리어 호와 미시간 호 근처, 그리고 메인주에 있는 약 10000000acre에 달하는 영토였다.[5] 미국이 점령했던 상부 캐나다(현재 온타리오) 지역은 영국의 통치하에 돌아왔지만, 미국은 펜사콜라만 스페인령 플로리다에 반환했다. 퍼디도 강 서쪽의 스페인령 서플로리다 전 지역, 중요한 항구 도시인 모빌을 포함한 지역은 1813년 미국이 점령했지만, 겐트 조약은 미국이 이 지역을 떠나도록 강제하지 않았다. 조약은 미국-캐나다 국경의 전쟁 전 경계에 아무런 변화도 가져오지 않았다.[6]
영국은 전쟁 중 해방시킨 모든 흑인 노예들을 미국으로 돌려보내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1826년, 영국은 미국 노예 소유주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미국 정부에 1204960USD를 지불했다.[6] 양국은 또한 대서양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6]
4. 조약 체결 이후
1814년 12월 24일에 체결된 헨트 조약은 1812년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시켰다. 이 소식은 뉴올리언스 전투에서 미국이 큰 승리를 거둔 직후 미국에 도착하여, 조약은 즉각적인 지지를 얻었다.[7] 영국은 1815년 2월 13일 보위어 요새에 도착한 배를 통해 조약 체결 소식을 전해 들었다.[7]
미국 상원은 1815년 2월 16일 만장일치로 조약을 승인했고,[7]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2월 17일 워싱턴 D.C.에서 영국 외교관과 비준서를 교환했다. 조약은 2월 18일 선포되었다.
이 조약으로 미국과 영국 간의 북동부 국경이 확정되었고, 미국의 캐나다에 대한 야망은 좌절되었다. 비록 원주민 부족들은 영국과 동맹을 맺었지만 패배하여, 미국은 서쪽으로의 확장을 계속할 수 있었다. 영국은 조약에 징병 문제가 언급되지 않아 해상권을 유지했고, 이는 영국에게 중요한 승리였다.[7]
1815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양국 간에는 여러 영토 및 외교 분쟁이 발생했지만, 모두 중재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되었다.[7] 또한 영국은 폐지된 노예 무역의 정신을 이후 미국의 정치에 반영하여, 결국 미국 남북 전쟁이라는 사건으로 이어지게 했다.
4. 1. 역사적 평가 및 기념

1921년 9월에 헌정된 평화 아치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워싱턴주 사이의 더글러스-블레인 국경을 넘는 곳에 높이 20.5m로 서 있다. 이 기념비는 캐나다-미국 국경을 가로지르는 영구적으로 열린 문을 상징한다.[8]
1922년에는 시카고의 워싱턴 공원에 ''시간의 분수''가 헌정되어 미국과 영국 간의 110년간의 평화를 기념했다.[9] 1927년 미국과 캐나다 간의 1세기 이상의 평화를 기념하기 위해 뉴욕주 버펄로와 온타리오주 포트이리 사이의 평화의 다리가 개통되었다.
페리의 승리와 국제 평화 기념관(1936년)은 오하이오주 사우스 배스 섬 근처에서 일어난 에리호 전투를 기념하는 곳이다. 이 전투에서 올리버 해저드 페리 제독이 이끄는 함대가 1812년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해전 중 하나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섬의 지협에 위치한 이 기념관은 전쟁 이후 영국, 캐나다, 미국 사이의 지속적인 평화를 기념하기도 한다.
5. 존 퀸시 애덤스
존 퀸시 애덤스는 1814년 겐트 조약 체결 당시 미국 측 협상 대표단의 책임자였다.[1] 그는 헨리 클레이, 제임스 A. 베이어드, 조나단 러셀, 앨버트 갤러틴과 함께 협상단을 구성했다.[1] 당시 영국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해 군사적, 경제적으로 지쳐 있었고, 빈 회의를 통해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기 때문에 미국과의 휴전을 원했다.[1]
이 조약으로 미국과 영국 간의 북동부 국경이 확정되었고, 미국의 캐나다에 대한 야망은 좌절되었다.[1] 또한 영국은 폐지된 노예 무역의 정신을 미국의 정치에 반영하여, 훗날 미국 남북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게 하였다.[1]
6. 1824년, 182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참조
[1]
웹사이트
The Senate Approves for Ratification the Treaty of Ghent
https://www.senate.g[...]
[2]
서적
Citizens of Convenience: The Imperial Origins of American Nationhood on the U.S.-Canadian Border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7
[3]
서적
Jefferson and His Colleagues, A Chronicle of the Virginia Dynasty
https://www.fulltext[...]
1921
[4]
뉴스
The peace of Christmas Eve
http://www.americanh[...]
2007-12-24
[5]
서적
Concise Historical Atlas of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
transcribed full text of treaty
Treaty of Ghent; 1814 [transcription]
http://avalon.law.ya[...]
British-American Diplomacy: Avalon Project: Lillian Goldman Law Library: Yale Law School: Yale University
[7]
서적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801-1817
https://www.gutenber[...]
Charles Scribner's Sons
2024-06-02
[8]
웹사이트
History of a Peace Park
http://www.peacearch[...]
United States Canada Peace Anniversary Association
[9]
서적
Travel Chicago: City Guide and Maps
https://www.kobo.com[...]
MobileReference.com
2013-05-05
[10]
문서
The U.S. gained some territory from Spain, but that was not mentioned in the Trea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