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연합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혁명연합전선(RUF)은 1987년 아흐마드 포디 산코가 리비아에서 군사 훈련을 받고 결성한 시에라리온의 반군 단체이다. 라이베리아의 지원을 받아 1991년 시에라리온을 침공하여 내전을 시작했으며, 다이아몬드 광산을 장악하고 주민들을 학살하는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다. 1997년 쿠데타를 일으켜 내전을 재발시켰으며, 2000년 영국, 유엔의 개입으로 2003년 지도자 사망 후 무장 해제 절차를 밟았다. 이후 혁명연합전선당으로 정당화되었으나 2007년 합병되어 소멸되었으며, 주요 특징으로는 아동 병사 사용, 분쟁 다이아몬드, 이슬람 사회주의 이념 등이 있다. 혁명연합전선의 활동은 여러 영화, 드라마, 책, 음악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폐지 - 양주군
양주군은 1895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1963년 의정부읍의 시 승격, 1980년 남양주군 분리, 1981년 동두천읍의 시 승격 이후 2003년 양주시 승격으로 폐지되었다. - 2003년 폐지 - 개성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정치,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 현재 개성공업지구와 고려 유적이 남아있는 황해북도 소재의 특별시이다. - 1991년 설립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91년 설립 - 대한민국 경찰청
대한민국 경찰청은 치안과 공공 안전 유지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미군정청 경무국에서 시작하여 내무부 외청으로 독립, 자치경찰제 도입 및 국가수사본부 출범을 거쳐 현재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국, 심의관실, 과 및 담당관실로 구성되어 전국 시·도경찰청을 통해 지역 치안을 담당하고 경찰관 양성 및 특수 조직 운영 등 다양한 치안 수요에 대응한다.
혁명연합전선 | |
---|---|
기본 정보 | |
![]() | |
활동 기간 | 1980년대 - 2002년 |
슬로건 | 권력과 부를 인민에게 |
활동 지역 | 시에라리온 |
정치 | |
이념 | 부패한 정부 타도 |
인물 | |
지도자 | 아흐메드 포디 상코 |
군사 | |
규모 | 알 수 없음 |
동맹 | NPFL |
적대 세력 | ECOMOG |
기타 | |
전신 | 알 수 없음 |
후신 | 전인민회의 (APC) |
본부 | 알 수 없음 |
2. 역사
1991년 시에라리온과 이웃한 라이베리아의 지원을 통해 혁명연합전선이 결성되었으며, 1992년에는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1] 1994년부터는 정치적 성격이 희미해지고 약탈과 폭력이 중심이 되는 집단으로 변질되었다.[3] 1996년 시에라리온 정부와 평화 협정을 체결했으나, 1997년 군사 쿠데타로 인해 내전이 재발했다.[1]
1998년 나이지리아 주도의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지원으로 아마드 테잔 카바 대통령이 복귀하면서 전투가 격화되었고, 1999년 토고 로메에서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1] 2000년 영국과 유엔이 시에라리온 내전에 개입했다.[1]
2003년 혁명연합전선 지도자 샘 보카리(Sam Bockarie)와 포다이 상코가 사망하면서, 유엔 감시하에 무장 해제 절차가 진행되었다.[1] 2004년 유엔 시에라리온 파병단(UNAMSIL)에 의해 7만 명 이상의 전투원 무장 해제가 완료되었다.[3] 내전 종식 후 혁명연합전선은 '''혁명연합전선당'''(Revolutionary United Front Party, RUFP)으로 개편되었으나, 2007년 전인민회의에 합병되어 소멸했다.[1]
2009년 이사 세사이(Issa Sesay), 모리스 칼론(Morris Kallon), 오구스틴 그바오(Augustine Gbao)가 전쟁 범죄 및 인도에 반한 죄 혐의로 기소되었다.[1]
2. 1. 결성 배경 (1970년대 ~ 1991년)
1970년대 시에라리온에서는 부패하고 강압적인 정부에 대한 민주화 요구가 높아지면서 학생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정부에 의해 탄압받았다.[3] 1984년에는 포러 베이 칼리지에서 학생들이 주도하는 정부 반대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3]1985년, 포러 베이 칼리지에서는 리비아의 카다피 대령이 주창한 이슬람 사회주의 혁명에 공감하는 학생 41명이 위험인물로 간주되어 제적 처분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3]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87년 학생 운동 참가자였던 아마드 포디 산코는 리비아에서 군사 훈련을 받고 젊은 장교들과 함께 혁명연합전선(RUF)을 창설하게 된다.[3]
초기 RUF는 찰스 G. 테일러의 지원을 받아, 포다이 산코와 그의 동맹인 아부 카누, 라시드 만사레이가 이끌었다.[4] 이들은 부패한 프리타운 엘리트 계층에 대한 반감을 품고 있던 많은 시에라리온인들에게 무상 교육, 의료, 그리고 다이아몬드 수익의 공정한 분배를 약속하며 지지를 얻었다.[5] RUF는 "더 이상의 노예도, 더 이상의 주인도 없다. 권력과 부는 국민에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시에라리온 정부를 바꾸겠다는 목표를 분명히 했다.[7]
그러나 RUF는 마르크스주의나 좌익 이념, 극단적인 민족주의나 파시즘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특정 민족이나 지역을 위한 세력임을 표방하지도 않았다.[8] 1991년, RUF는 이웃 나라 라이베리아의 지원을 받아 라이베리아 영토에서 시에라리온으로 침공했다. 이들은 부패한 정부를 타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초기에는 점령 지역 주민들에게 정치 교육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RUF의 침공에 대해 시에라리온 정부는 나이지리아에 파병을 요청하면서, 주변 국가들의 대리전 양상을 띠게 되었다.[3]
2. 2. 시에라리온 내전 (1991년 ~ 2002년)
1991년 포다이 산코와 그의 동맹인 아부 카누, 라시드 만사레이는 라이베리아의 찰스 테일러의 지원을 받아 혁명연합전선(RUF)을 창설하고 시에라리온 내전을 일으켰다.[4] 초기에는 RUF가 부패한 정부를 타도한다는 명목으로 시에라리온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5] 그러나 이후 10년간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 특히 공포를 확산시키고 주민들을 위협하기 위한 사지 절단과 아동 병사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국제적인 악명을 얻었다.[5][6]1992년 RUF는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 1995년 시에라리온 정부가 민간 군사 기업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EO사)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RUF는 타격을 입었다. 1996년 RUF는 시에라리온 정부와 평화 협정을 체결했지만, 1997년 정부가 EO사와의 계약을 해지하면서 발생한 군사 쿠데타를 계기로 내전이 재발하게 된다. RUF는 군사혁명평의회(AFRC)와 공동으로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아마드 테잔 카바 대통령을 축출하고, 조니 폴 코로마를 의장으로 하는 군사 정권을 수립했다.
1998년 나이지리아가 주도한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의 지원을 받은 아마드 테잔 카바 대통령이 복귀하면서 전투가 격화되었고, 1999년 토고 로메에서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 RUF는 정부에 참여하고, 전투원들은 무장 해제 후 국군과 통합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후 경찰 당국에 산코가 구금되었다. 2000년 영국, 유엔이 시에라리온 내전에 개입했다.
RUF는 시에라리온의 다이아몬드 광산을 장악하면서 풍부한 자금과 무기를 확보하는 한편 블러드 다이아몬드로 불릴 정도로 주민들을 학살하고 마을을 불태우는 등 파괴 활동을 자행했다. 또한 마을에 거주하던 소년, 소녀들을 납치하고 소년병으로 만들어 세력을 확장해 나가면서 전투를 확대했다. RUF 대원들은 식인 풍습을 행했다는 말도 있다.[23][24] 시에라리온 내전은 시에라리온의 기반 시설을 파괴시켰고 시에라리온의 많은 국민들에게 고통과 후유증을 가져왔다.
2003년 혁명연합전선의 지도자였던 샘 보카리(Sam Bockarie), 포다이 산코가 사망하면서 혁명연합전선은 유엔의 감시를 통한 무장 해제 절차에 들어갔다. 시에라리온 내전이 종식된 이후에는 '''혁명연합전선당'''(Revolutionary United Front Party, RUFP)이라는 정당으로 개편되었다. 이 정당은 2007년 7월에 전인민회의에 합병되면서 소멸되었다.
2009년 2월, 이사 세사이(Issa Sesay), 모리스 칼론(Morris Kallon), 오구스틴 그바오(Augustine Gbao)는 전쟁 범죄, 인도에 반한 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2. 3. 내전 이후 (2002년 ~ 현재)
2002년 시에라리온 내전 종식 이후, 혁명연합전선은 '''혁명연합전선당'''(Revolutionary United Front Party, RUFP)이라는 정당으로 개편되었다.[1] 2003년 샘 보카리와 포다이 상코가 사망하면서, 혁명연합전선은 유엔 감시하에 무장 해제 절차를 밟았다.[1] 2007년 7월 전국민회의에 합병되면서 소멸되었다.[1]2009년 2월, 이사 세사이, 모리스 칼론, 오거스틴 그바오는 전쟁 범죄 및 인도에 반한 죄 혐의로 기소되었다.[1]
3. 주요 특징
혁명연합전선은 시에라리온 동부 다이아몬드 광산을 장악하여 자금과 무기를 확보하고, 주민 학살, 팔다리 절단, 마을 방화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다. (분쟁 다이아몬드) 소년 소녀들을 납치해 마약에 중독시켜 소년병으로 만들었고, 10년 간 내전으로 시에라리온 인프라는 붕괴, 많은 국민들이 고통받았다.
지도자 포다이 산코는 무슬림(이슬람교)으로, 리비아 카다피의 이슬람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했다. RUF 구성원 대다수는 무슬림이었지만, 무슬림이 아닌 사람들도 있었다.
3. 1. 잔혹 행위 및 전쟁 범죄
혁명연합전선(RUF)은 시에라리온의 다이아몬드 광산을 장악하여 확보한 자금으로 무기를 구매하고, 주민들을 학살하거나 마을을 불태우는 등의 파괴 활동을 자행했다. 이 과정에서 채굴된 다이아몬드는 블러드 다이아몬드라고 불렸다.[9] RUF는 마을의 소년, 소녀들을 납치하여 소년병으로 만들고 세력을 확장했다.[10][11]납치된 소년병들은 부모를 살해하도록 강요받거나, 자신의 가슴에 "RUF"라는 약자가 새겨지기도 했다.[4][14][15][16] 지휘관들은 부하들의 상처에 코카인을 문지르거나, 전투 전에 코카인과 화약을 섞은 "브라운-브라운(Brown-brown)"이라는 혼합물을 투여하여 광폭하고 두려움 없는 상태로 만들었다.[1][17][18]
일부 병사들은 임산부의 배를 갈라 태아의 성별을 놓고 내기를 하는 잔혹한 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19][20] RUF는 5세 미만의 아동까지 납치했으며, 이들은 지휘관에게 절대 복종하고 잔혹한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12][13]
RUF는 포로로 잡힌 군인들의 손을 자르는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네 형제를 향해 무기를 들지 마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다이아몬드 채굴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21][22] 또한 사람들이 투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손을 자르기도 했으며,[22] 식인 풍습을 행했다는 주장도 있다.[23][24]
2009년 2월, 이사 세사이, 모리스 칼론, 오구스틴 그바오는 전쟁 범죄 및 인도에 반한 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3. 2. 이념 및 구성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의 일부 요소들을 이끈 시에라리온인들의 집단으로 결집하여 혁명연합전선(RUF)이 처음 시작되었다. 이들의 목표는 찰스 테일러가 이전에 라이베리아 정부를 전복시킨 성공을 재현하는 것이었다.[3]템네족 출신의 포다이 산코와 그의 동맹인 아부 카누, 라시드 만사레이가 찰스 G. 테일러(라이베리아)의 상당한 지원을 받아 RUF를 창설했다.[4] 초기에는 RUF는 시에라리온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는데, 많은 시에라리온인들은 부패한 것으로 여겨지는 프리타운 엘리트 계층에 반감을 품고 있었고, 무상 교육과 의료, 그리고 다이아몬드 수익의 공정한 분배를 약속받았다. 그러나 RUF는 10년간의 투쟁 동안 민간인에 대한 끔찍한 잔혹 행위, 특히 공포를 확산시키고 주민들을 위협하기 위해 사지를 절단하는 행위와 아동 병사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국제적으로 악명을 얻었다.[5][6]
RUF는 처음 결성되었을 때 "더 이상의 노예도, 더 이상의 주인도 없다. 권력과 부는 국민에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7] 시에라리온 정부를 바꾸는 것이 목표였지만, 어떤 종류의 정부가 그것을 대체할 것인지에 대한 암시는 거의 하지 않았다. 마르크스주의나 유사한 좌익 이념, 극단적인 민족주의나 파시즘을 주장하지도 않았고, 특정 민족이나 지역을 위해 싸우는 세력이라고 주장하지도 않았다.[8]
1995년 평화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RUF는 "민주주의로 가는 길: 새로운 시에라리온을 향하여"라는 소책자를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사회 정의와 범아프리카주의에 대한 수사적인 언급이 포함되어 있었다.[7]
RUF는 초반에 시에라리온 동부의 다이아몬드광산을 장악함으로써 풍부한 자금과 무기를 확보, 학살과 파괴 행위를 반복했다(분쟁 다이아몬드). 다수의 주민을 살해하고, 팔다리를 절단하고, 폭행하는 등의 행위를 저지르며 마을들을 불태웠다. 또한, 마을들의 소년 소녀들을 반쯤 강제로 납치하여, 마약에 중독시킨 후 소년병으로 편입시켜 전투를 확대시켰다. 혁명통일전선이 약 10년간 지속한 내전은 이미 취약했던 국내 인프라를 붕괴 상태로 만들었고, 내전 종결 후에도 많은 국민들에게 고통과 후유증을 남겼다.
지도자 산코는 무슬림(이슬람교도)이며, 리비아의 카다피 대령의 이슬람 사회주의에 의한 혁명을 목표로 했다. 그 때문에 RUF의 구성원은 주로 무슬림이지만, 무슬림이 아닌 자도 많이 있다.
4. 국제 사회의 개입
1998년 나이지리아가 주도한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의 지원을 받은 시에라리온의 아마드 테잔 카바 대통령이 복귀하면서 전투가 격화되었고, 1999년 토고 로메에서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26] 2000년에는 영국, 유엔이 시에라리온 내전에 개입했다.[9]
1999년 미국, 영국, 유엔(UN) 및 여러 국가의 압력으로 포다이 상코는 로메 평화협정(Lomé Peace Accord)에 서명해야 했다. 그러나 다시 전투가 발발했고, 유엔(UN)은 평화유지군을 파병했지만 실패했다. 2000년에는 500명의 유엔 평화유지군이 인질로 잡혔다가 찰스 테일러의 협상으로 석방되었다. 2001년에는 영국, 기니,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여러 국가가 군대를 파병했다. 자원 감소 등으로 약화된 혁명연합전선은 영국 특수부대에 여러 차례 패배했고, 결국 시에라리온 내전이 종식되었다.
5. 문화적 묘사
혁명연합전선(RUF)은 여러 매체에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 영화 ===
- 소리우스 사무라(Sorious Samura) 감독의 2000년작 다큐멘터리 '''프리타운의 눈물 (Cry Freetown)'''은 시에라리온 내전 희생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RUF 반군이 수도를 점령한 1999년 1월의 가장 잔혹한 시기를 묘사한다.[1]
- 2005년 영화 '''로드 오브 워 (Lord of War)'''에서 니콜라스 케이지(Nicolas Cage)가 연기한 주인공은 RUF에 무기를 판매한다.[2]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Leonardo DiCaprio) 주연의 2006년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 (Blood Diamond)'''에서 RUF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RUF는 영화 배경이 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묘사된 그룹의 지휘관들은 이야기의 주요 적대자이자 악당이다.[3]
- 2010년 영화 '''프레데터스 (Predators)'''는 지구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들이 사냥감이 되기 위해 외계 행성으로 끌려가는 이야기이며, 그 중 한 명은 맘바사(Mombasa)라는 RUF 대원으로 마허샬라 알리(Mahershala Ali)가 연기했다.[4]
- 2012년 다큐멘터리 '''인생의 가치는 사라지지 않는다 (Life does not lose its value)'''는 RUF 반군과 함께 수년간 숲에서 생활한 후 아동 병사 출신들의 재통합에 초점을 맞춘다.[5]
=== TV 드라마 ===
- 법과 질서 에피소드 "블러드 머니"는 시에라리온의 분쟁과 분쟁 다이아몬드 밀매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 워커, 텍사스 레인저는 "블러드 다이아몬드"라는 에피소드에서 RUF의 잔혹 행위와 불법 무기를 이용한 블러드 다이아몬드 암거래 실태를 부각시켰다.
=== 책 ===
- RUF의 활동은 2007년에 출판된 이스마엘 비아의 자서전 ''길 잃은 아이: 소년 병사의 회상(A Long Way Gone: Memoirs of a Boy Soldier)''의 중심 내용이다.[32]
=== 음악 ===
5. 1. 영화
- 소리우스 사무라(Sorious Samura)가 감독한 2000년작 다큐멘터리 영화 '''프리타운의 눈물 (Cry Freetown)'''은 시에라리온 내전 희생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혁명연합전선(RUF) 반군이 수도를 점령한 1999년 1월의 가장 잔혹한 시기를 묘사하고 있다.[1]
- 2005년 영화 '''로드 오브 워 (Lord of War)'''에서 니콜라스 케이지(Nicolas Cage)가 연기한 주인공은 RUF에 무기를 판매한다.[2]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Leonardo DiCaprio)가 주연한 2006년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 (Blood Diamond)'''에서 RUF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영화에서 RUF는 영화 배경이 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묘사된 그룹의 지휘관들은 이야기의 주요 적대자이자 악당이다.[3]
- 2010년 영화 '''프레데터스 (Predators)'''는 지구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들이 사냥감이 되기 위해 외계 행성으로 끌려가는 이야기이며, 그 중 한 명은 맘바사(Mombasa)라는 RUF 대원으로 마허샬라 알리(Mahershala Ali)가 연기했다.[4]
- 2012년 다큐멘터리 '''인생의 가치는 사라지지 않는다 (Life does not lose its value)'''는 RUF 반군과 함께 수년간 숲에서 생활한 후 아동 병사 출신들의 재통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5]
5. 2. TV 드라마
- 법과 질서 에피소드 "블러드 머니"는 시에라리온의 분쟁과 분쟁 다이아몬드 밀매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 워커, 텍사스 레인저는 "블러드 다이아몬드"라는 에피소드에서 혁명연합전선(RUF)의 잔혹 행위와 불법 무기를 이용한 블러드 다이아몬드 암거래 실태를 부각시켰다.
5. 3. 책
소리우스 사무라가 감독하고 2000년에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프리타운의 눈물 (Cry Freetown)'''은 시에라리온 내전 희생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혁명연합전선(RUF) 반군이 수도를 점령한 1999년 1월의 가장 잔혹한 시기를 묘사하고 있다. 2005년 영화 '''로드 오브 워 (Lord of War)'''에서 니콜라스 케이지가 연기한 주인공은 RUF에 무기를 판매한다. RUF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주연한 2006년 영화 '''블러드 다이아몬드 (Blood Diamond)'''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데, 이 영화에서 RUF는 영화 배경이 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묘사된 그룹의 지휘관들은 이야기의 주요 적대자이자 악당이다. 2010년 영화 '''프레데터스 (Predators)'''는 지구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들이 사냥감이 되기 위해 외계 행성으로 끌려가는 이야기이며, 그 중 한 명은 맘바사(Mombasa)라는 RUF 대원으로 마허샬라 알리가 연기했다. 2012년 다큐멘터리 '''인생의 가치는 사라지지 않는다 (Life does not lose its value)'''는 RUF 반군과 함께 수년간 숲에서 생활한 후 아동 병사 출신들의 재통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RUF의 활동은 2007년에 출판된 이스마엘 비아의 자서전 ''길 잃은 아이: 소년 병사의 회상(A Long Way Gone: Memoirs of a Boy Soldier)''의 중심 내용이기도 하다.[32]5. 4. 음악
칸예 웨스트는 그의 앨범 ''늦은 등록''에 ''시에라리온의 다이아몬드''라는 노래를 발표했으며, 후에 제이-Z와 함께 이 노래를 리믹스했다.참조
[1]
웹사이트
Sierra Leone : A Political History [PDF] [vcq9k0dnb5o0]
https://vdoc.pub/doc[...]
[2]
뉴스
S Leone war crimes trio convicted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2012-07-03
[3]
서적
Liberia's Civil War
2002
[4]
웹사이트
Indictment proceedings of the 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 Case No. SCSL - 2004-15-PT
http://www.sc-sl.org[...]
2004-02-05
[5]
웹사이트
WNT:Sierra Leone Amputees - ABC News
https://abcnews.go.c[...]
2018-01-06
[6]
웹사이트
Terrorism Knowledge Base
http://tkb.org/Group[...]
[7]
웹사이트
Footpaths to Democracy
http://www.sierra-le[...]
[8]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http://www.globalsec[...]
[9]
웹사이트
When Crime Pays: West African Leaders' Brutality Reaps Rewards
http://www.globalpol[...]
2001-02-01
[10]
웹사이트
What's Going On: Child Soldiers in Sierra Leone
https://www.un.org/w[...]
[11]
뉴스
Brutal child army grows up
http://news.bbc.co.u[...]
BBC News
2012-07-03
[12]
웹사이트
Sierra Leone Rebels Forcefully Recruit Child Soldiers
https://www.hrw.org/[...]
2000-05-31
[13]
웹사이트
The child soldiers of Sierra Leone
http://www.bbc.co.uk[...]
[14]
웹사이트
What The West Failed To See In Sierra Leone
http://peacecorpsonl[...]
2000-05-14
[15]
뉴스
UN: Sierra Leone should widen control
http://news.bbc.co.u[...]
2010-01-04
[16]
웹사이트
Children Forced to Kill
http://www.globalpol[...]
2000-04-08
[17]
뉴스
Former Child Soldiers Seek Redemption
https://www.washingt[...]
2010-05-22
[18]
웹사이트
Sierra Leone - Childhood - a casualty of conflict
http://web.amnesty.o[...]
2007-07-05
[19]
뉴스
Foday Sankoh, an African revolutionary
http://www.economist[...]
2003-08-07
[20]
웹사이트
Evidence of torture and human rights abuses Sierra Leone
http://www.tortureca[...]
[21]
뉴스
Return to Freetown
http://transcripts.c[...]
2010-05-22
[22]
뉴스
Diamond trade fuels bloody wars
http://cnnstudentnew[...]
2001-01-18
[23]
뉴스
Who is Foday Sankoh?
https://www.theguard[...]
2010-03-26
[24]
뉴스
The rebels advance in Sierra Leone
http://www.economist[...]
1999-01-07
[25]
웹사이트
Sierra Leone - Building the Road to Recovery
http://www.iss.co.za[...]
2003-03
[26]
웹사이트
Crimes of War
http://www.crimesofw[...]
[27]
웹사이트
'I am the scorpion. I captured the lion'
https://www.theguard[...]
2011-03-19
[28]
간행물
Alleged Taylor-RUF Racket Detailed
New Democrat
2007-06-06
[29]
웹사이트
Sierra Leone Web - Election Coverage
http://www.sierra-le[...]
[30]
웹사이트
As RUF Merges with APC, Youth Groups Say ‘Ernest Koroma is Salone’s Saviour: Sierra Leone News
http://news.sl/drweb[...]
2007-07-23
[31]
논문
The Legacy of a Revolution that Never Happened: The Post-War Politics of Former Rebel Party RUFP in Sierra Leone
https://www.cambridg[...]
2021-04
[32]
서적
A Long Way Gone: Memoirs of a Boy Soldier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2007-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