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에어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에어로는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가 공동 설계하여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버스를 배지 엔지니어링한 대한민국 버스 모델이다. 1985년부터 2010년까지 1세대와 2세대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에어로 스페이스, 에어로 익스프레스, 에어로 퀸 등의 다양한 모델이 존재했다. 1세대 모델은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의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2세대 모델은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2세대 모델과 공동 개발되었다. 현대 에어로는 디젤 및 CNG 엔진을 사용했으며, 파워텍 엔진을 장착하기도 했다. 현재는 경기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서울특별시 등에서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버스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대한민국의 버스 - 자일대우 FX
    자일대우 FX는 자일대우버스에서 2004년부터 생산한 BH 시리즈의 후속 버스 차종으로, 스탠더드 데크 모델인 FX115 크루저, FX116 크루징 애로우, FX120 크루징 스타와 하이데크 모델인 FX212 슈퍼 크루저, FX212 슈퍼스타 등으로 구성되어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 등과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모델 체계를 갖추었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엑셀
    현대 엑셀은 1985년 현대자동차가 출시한 소형차로, 미쓰비시 미라주를 기반으로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으며 해치백, 세단 형태로 출시, 미국에 수출된 최초의 현대차로 1995년 엑센트로 교체될 때까지 생산되었고,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잦은 고장과 판매 부진을 겪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현대 에어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2. 모델

현대 에어로는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 후소와의 기술 제휴 및 공동 개발을 통해 생산한 대형버스 모델이다. 크게 각진 외형의 1세대와 유선형 외형의 2세대로 나뉘며, 두 세대 모두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주요 모델 라인업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 '''에어로 스페이스''' Aero Spaceeng: 일반적인 높이의 스탠다드 데크 모델이 주를 이루며, 짧은 차체(숏바디)와 긴 차체(롱바디) 모델이 모두 존재했다. 디젤 엔진 외에 CNG를 연료로 사용하는 모델도 있었다.
  • '''에어로 익스프레스''' Aero Expresseng: 스탠다드 데크 모델과 높은 차체의 하이 데크 모델이 모두 존재했으며, 주로 긴 차체 모델로 생산되었다.
  • '''에어로 퀸''' Aero Queeneng: 하이 데크 사양의 고급형 모델로, 주로 장거리 노선이나 우등고속버스 시장을 겨냥했다.


1세대는 1985년부터 1995년까지 생산되었고, 2세대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되었다. 2세대 모델은 2000년대 후반 현대자동차의 독자 개발 모델인 유니버스가 출시되면서 점차 단종 수순을 밟았다. 각 세대별 모델의 구체적인 특징과 변천사, 세부 라인업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제 1세대 (MS7, 1985년 ~ 1995년)

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하이클래스 후면


금호고속 현대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


대원고속 현대 에어로 하이클래스


현대 에어로 1세대는 현대자동차1985년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현 미쓰비시 후소)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버스 MS7계의 설계를 도입하여 라이선스 생산한 대형버스 모델이다. 엔진을 포함한 설계 대부분이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버스를 기반으로 했다.

주요 모델 라인업은 에어로 스페이스, 에어로 익스프레스, 에어로 퀸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현대 에어로 1세대 모델 라인업'''
모델 구분세부 모델차체 길이데크 높이서스펜션
에어로 스페이스에어로 스페이스 LD짧은 휠베이스일반 데크리프/에어 선택 가능
에어로 스페이스 LS짧은 휠베이스일반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하이 스페이스긴 휠베이스일반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익스프레스에어로 익스프레스 LDX긴 휠베이스일반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긴 휠베이스하이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익스프레스 하이클래스긴 휠베이스하이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퀸에어로 퀸긴 휠베이스하이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긴 휠베이스하이 데크에어 서스펜션



에어로 스페이스는 스탠다드 데커(일반 데크) 사양만 있었고 짧은 차체 모델도 선택 가능했으며, 디젤 연료 모델 외에 압축 천연 가스(CNG) 모델도 설정되었다. 에어로 익스프레스는 스탠다드 데커와 하이 데커 사양이 모두 존재했으며, 에어로 퀸은 하이 데커 사양만 있는 고급형 모델이었다. 에어로 익스프레스와 에어로 퀸은 긴 차체 모델만 제공되었다.

미쓰비시 후소의 원본 모델과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전면 유리가 2장으로 나뉜 형태가 표준이었고, 서스펜션은 차축 현가식(리지드 액슬)이 기본 사양이었다(후기형에서는 독립 현가 사양이 폐지됨). 미쓰비시 모델에 있던 슈퍼 하이데커 사양은 현대 에어로 라인업에는 없었으며, 현대 에어로 퀸은 에어로 익스프레스의 고급 사양으로 자리매김했다. 변속기는 핑거 시프트 옵션이 없었고, 에어백도 장착되지 않았다. 짧은 차체 모델에 한해 리프 서스펜션을 선택할 수도 있었다.

엔진은 미쓰비시 후소의 V형 8기통 8DC9 또는 8DC11 엔진을 기본으로 탑재했으며, 원래 노선 버스용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스타 등에 사용되던 직렬 6기통 6D22 엔진도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1992년 미쓰비시가 2세대 에어로 버스(MS8계)로 모델을 변경한 이후에도 현대자동차는 당분간 1세대(MS7계) 기반 모델 생산을 계속했다. MS8계에 준하는 모델로 변경된 것은 1995년이었다.

2. 2. 제 2세대 (MS8, 1995년 ~ 2010년)

LS: 짧은 휠베이스, 일반 데크, 에어 서스펜션
하이 스페이스 Hi-Spaceeng: 긴 휠베이스, 일반 데크, 에어 서스펜션에어로 익스프레스 Aero Expresseng일반/하이 데크, 긴 휠베이스, 에어 서스펜션LDX: 일반 데크
HSX: 하이 데크
하이클래스 Hi-Classeng: 하이 데크에어로 퀸 Aero Queeneng하이 데크, 고급형, 긴 휠베이스, 에어 서스펜션
퀸 하이클래스 Queen Hi-Classeng



짧은 차체(숏바디)는 에어로 스페이스 모델에서만 선택할 수 있었고, 에어로 익스프레스와 에어로 퀸은 긴 차체(롱바디)만 제공되었다. 에어로 스페이스는 기본적으로 일반 데크(스탠다드 데커), 에어로 퀸은 하이데커 사양만 있었지만, 에어로 익스프레스는 일반 데크(LDX)와 하이데커(HSX, 하이클래스)를 모두 선택할 수 있었다.

원본 모델인 미쓰비시 후소 차량과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엔진은 초기에는 미쓰비시 후소의 V형 8기통 8DC9, 8DC11 엔진이나 시내버스 모델(에어로스타)에 주로 쓰이던 직렬 6기통 6D22 엔진을 탑재했다. 그러나 2000년부터는 현대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PowerTec 직렬 6기통 터보 엔진으로 전면 교체하였고, 이 엔진은 후속 모델인 유니버스에도 이어졌다. 한편, 에어로 스페이스 모델에는 CNG 엔진 옵션도 제공되었다.

2006년,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후속 대형 버스 모델인 유니버스를 출시하면서 에어로 익스프레스와 에어로 퀸 같은 하이데커 모델은 단종 수순을 밟았다. 일반 데크 모델인 에어로 스페이스는 2010년까지 생산을 이어가다가 유니버스로 완전히 통합되면서 최종 단종되었다. 이로써 1970년대부터 30년 이상 이어져 온 현대자동차의 일본 모델 라이선스 생산 역사는 마무리되고, 독자 모델 시대를 열게 되었다.

3. 사양

현대 에어로는 후부엔진-후륜구동(RR) 방식을 채택한 대형 버스로, 길이는 11.6m부터 12m급까지 다양하며, 스탠더드 데크(SD)부터 하이데커(HD)까지 여러 모델이 있었다. 주요 모델 라인업으로는 '''에어로 스페이스'''(SD), '''에어로 익스프레스'''(SD/HD), '''에어로 퀸'''(HD) 세 가지가 존재했다. 이 중 짧은 차체는 에어로 스페이스 모델만 선택 가능했으며, 에어로 퀸 하이 클래스는 다양한 선택 사양을 통해 관광용부터 우등 고속버스까지 폭넓게 사용되었다.

1985년 생산 초기에는 미쓰비시 후소의 에어로 버스 MS7계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이후 현대자동차는 독자적인 개량을 거쳤다. 미쓰비시 후소의 동급 모델과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현대 에어로는 전면 유리가 2장인 것이 표준이었고, 서스펜션은 차축 현가식(리지드 액슬)이 기본 사양이었다(후기형에서는 독립 현가 사양이 폐지됨). 또한, 미쓰비시 후소 모델과 달리 슈퍼 하이데커(SHD)급 모델은 없었으며, 현대 에어로 퀸은 에어로 익스프레스의 고급 사양으로 자리매김했다. 핑거 시프트(FF 쉬프트)나 에어백 같은 편의/안전 사양은 제공되지 않았다. 짧은 차체 모델에 한해 리프 서스펜션을 선택할 수도 있었다.

엔진과 변속기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탑재되었으며, 초기에는 미쓰비시 후소의 기술을 도입했으나 점차 국산화되었다.[7][8][9][10] (세부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2003년 6월부터는 에어로 스페이스 LD/LS 모델에 광역직행버스 용도로 CNG 엔진(Q-CNG)을 선택 사양으로 추가했다. 2006년 11월 후속 모델인 현대 유니버스가 출시된 이후 단종 직전까지 생산된 에어로 스페이스 LD/LS 모델에는 기존 하이클래스, 하이스페이스 모델에 적용되던 프론트 스포일러, 리어 스포일러와 후면 가니쉬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상품성을 개선했다.

3. 1. 엔진

현대 에어로는 후부엔진-후륜구동(RR) 방식의 대형 버스로, 초기 모델은 미쓰비시 후소의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되었다. 1985년 미쓰비시 자동차(현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로부터 에어로버스 MS7계의 설계를 엔진 포함하여 거의 그대로 라이선스 생산하기 시작했다.[7][8] 초기에는 미쓰비시 후소의 직렬 6기통 엔진이나 V형 8기통 엔진(8DC9, 8DC11 등)을 탑재하였다. 또한, 노선용 버스에 사용되던 직렬 6기통 6D22 엔진도 선택 가능했다.

2세대 중기형부터는 미쓰비시 직렬 6기통 터보 인터쿨러 엔진을 개량한 현대의 Q-340 엔진[9]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 이후에는 자체 개발한 PowerTec 직렬 6기통 터보 엔진[10]으로 전면 전환하여 기술 자립도를 높였다. 이는 현재 현대 유니버스 모델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2년 하이클래스 모델 출시부터는 파워텍 엔진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변속기는 파워텍 380마력 모델까지 다이모스 제 수동 5단 변속기가 기본이었고, 410마력 모델에는 ZF 제 수동 6단 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에어로 스페이스 LD/LS 고급좌석형에는 앨리슨 또는 ZF 제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1년 단종되었다.

2003년 6월~7월부터는 에어로 스페이스 LD/LS 모델에 광역직행버스용 CNG 엔진인 Q-CNG 엔진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하였다.

모델배출가스흡기 방식배기량출력토크최고 속도
D6AV유로 2자연 흡기11149cc235PS78kgm116km/h
D6AB터보300PS110kgm126km/h
D6AC340PS140kgm122km/h
D6CA유로 312937cc300PS148kgm135km/h
D6CB12344cc410PS173kgm142km/h
D8AB유로 217787cc370PS
D8AV16031cc290PS
D8AY320PS


3. 2. 변속기

현대 에어로의 변속기는 기본적으로 파워텍 380마력 모델까지 다이모스의 직진 5단/후진 1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410마력 모델에는 ZF의 직진 6단/후진 1단 수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 과거 에어로 스페이스 LD/LS 고급좌석형 모델에 한해서는 앨리슨 또는 ZF의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1년에 단종되었다.

4. 대한민국 내 운행 현황

wikitext

지역운행 업체
경기도경진여객, 용남고속[4], 대명운수[3]
전라남도광신고속
전라북도대한고속
서울특별시김포교통[1], 남성교통[2]


참조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정보
[5] 정보
[6] 정보
[7] 정보
[8] 정보
[9] 정보
[10] 정보
[11] 정보
[12] 정보
[13] 정보
[14] 정보
[15] 정보
[16] 정보
[17] 정보
[18] 정보
[19] 정보
[20]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