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남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남고속은 194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업체로, 1961년 용남여객자동차(주)로 법인 설립되었다. 시외버스, 공항버스, 시내버스, 직행좌석버스 등을 운행하며, 2021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다. 주요 사업장으로는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에 위치한 본사 외에 여러 시내, 시외 영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남고속 계열사 - 경진여객
경진여객은 1970년 대명여객으로 설립되어 사명 변경과 사업 확장을 거쳐 현재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을 운행하는 경기도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용남고속 계열사 - 제부여객
제부여객은 경기도 화성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화성여객에서 사명이 변경되었고 용남고속을 거쳐 현재는 사모펀드 MC 파트너스에 인수되어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1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 삼성여객에서 유래되어 현재는 대원여객의 계열사이다. - 194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대원고속
대원고속은 1948년 중앙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KD운송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운송 기업으로, 경기도 동남부 지역에서 다양한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광주시에서 핵심적인 노선망을 구축하고 충청북도 면허의 고속버스 차량을 운행하는 특징이 있다. - 194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파리 교통공단
파리 교통공단은 1948년 설립된 프랑스 공기업으로 파리 시와 주변 지역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운영하며, 2000년대 이후 해외 시장으로 확장하여 여러 도시의 대중교통 시스템 운영에 참여하고 있고, 2024년부터는 파리 지역 대중교통 노선 운영권이 경쟁 입찰에 부쳐질 예정이다. - 경기도의 공항버스 기업 - 경남여객
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되어 경기도 용인시에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로, 2017년부터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을 운영하며 친환경 전기 버스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 경기도의 공항버스 기업 - 대원고속
대원고속은 1948년 중앙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KD운송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운송 기업으로, 경기도 동남부 지역에서 다양한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광주시에서 핵심적인 노선망을 구축하고 충청북도 면허의 고속버스 차량을 운행하는 특징이 있다.
용남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48년 2월 1961년 8월 23일 (용남고속) 2006년 9월 27일 (용남고속버스라인) 2018년 5월 9일 (용남공항리무진)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88 (오목천동) |
사업 지역 | 수원터미널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 270 (권선동) 영통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1368번길 2 동탄영업소 : 경기도 화성시 10용사로 636 (반송동) 신갈영업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기곡로 20 (하갈동) 오산영업소 : 경기도 오산시 경기대로 24-13 (갈곶동) 온양영업소 :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217번길 9 (모종동) 천안영업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43 (신부동) |
국가 | 대한민국 |
대표 | 권성욱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재무 정보 (2018년) | |
자본금 (용남고속) | 300,000,000원 |
자본금 (용남고속버스라인) | 500,000,000원 |
매출액 (용남고속) | 57,176,839,883원 |
매출액 (용남고속버스라인) | 19,570,871,161원 |
영업이익 (용남고속) | -5,017,497,758원 |
영업이익 (용남고속버스라인) | -2,670,061,068원 |
순이익 (용남고속) | -5,508,343,372원 |
순이익 (용남고속버스라인) | -6,110,620,443원 |
자산총액 (용남고속) | 27,740,730,553원 |
자산총액 (용남고속버스라인) | 22,729,593,429원 |
고용 정보 (2018년 12월) | |
종업원 (용남고속) | 717명 |
종업원 (용남고속버스라인) | 192명 |
기타 정보 | |
계열사 | 제부여객 경진여객 |
주주 (용남고속) | 에코모빌리티: 100% |
주주 (용남고속버스라인) | 조인행 외 특수관계인: 100% |
웹사이트 | 용남고속 |
2. 연혁
1948년 2월: 경기면허 1호 회사 설립
1961년 8월 23일: '''용남여객자동차 (주)''' 법인 설립
1995년 1월 27일: 경일여객에서 일반좌석버스 777번 (수원역 ~ 사당역) 노선 양수
1996년 8월 5일: 일반좌석버스 777번 (수원역 ~ 사당역) 노선을 삼경운수에 양도
1996년 8월 12일: 시외버스 (수원역 ~ 사당역) 노선을 삼경운수에 양도하였으나 이후 직행좌석버스 7770번으로 형간전환
1997년 2월: (주)삼성여객에서 직행좌석버스 1007번 (수원역 ~ 잠실역) 노선 양수
1997년 12월: 직행좌석버스 1007-1번 (경희대학교 ~ 잠실역) 노선 개통
1998년 8월: 현재의 대표이사 취임하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1999년 2월: 직행좌석버스 3000번 (수원역 ~ 강남역) 노선, 직행좌석버스 3001번 (경희대학교 ~ 강남역) 노선 개통
2000년 2월: 직행좌석버스 7000번 (경희대학교 ~ 사당역) 노선 개통, 직행좌석버스 2007번 (수원역 ~ 단대오거리역) 노선을 삼경운수에 양도
2000년 10월: 직행좌석버스 1009번 (수원역 ~ 강변역) 노선 개통
2001년 4월: 용남고속 홈페이지 개설
2002년 8월: 태화상운으로부터 안산 ~ 천안, 안산 ~ 대전, 안산 ~ 서산 시외버스 노선 양수
2002년 10월: 성산교통 (현재는 경남여객에 통합)으로부터 직행좌석버스 5100번 (경희대학교 ~ 신논현역), 5100-1번 (경희대학교 ~ 양재역) 노선 양수
2002년 11월: 직행좌석버스 3007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강남역) 개통
2002년 12월: 직행좌석버스 1007번, 1007-1번, 1009번 대원고속으로 노선 양도 및 직행좌석버스 3003번 (수원여자대학교 ~ 강남역) 노선 개통 대원고속에서 동서울-천안,아산 시외버스 노선 양수
2004년 4월: 명진여객으로부터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신논현역 시외버스 노선 양수 (현재는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됨)
2004년 9월: 신원여객의 폐업으로 시내버스 전 노선 양수
2005년 1월: 110번 좌석버스 경원여객으로 양도.
2005년 2월: 직행좌석버스 5100-1번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3001번 노선에 통폐합
2005년 3월: 직행좌석버스 3002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강남역) 노선, 직행좌석버스 7001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사당역) 노선 개통
2006년 1월: 온양 ~ 천안 ~ 안양간 시외버스 노선 및 수원 ~ 평택간 시외버스 노선 폐지(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대체 이용)
2006년 5월: 도시형버스 9번 (경희대학교 ~ 금곡동) 노선 개통
2006년 6월: 일산 킨텍스 ~ 안양 ~ 보령간 시외버스 노선, 서수원 ~ 오산 ~ 보령간 시외버스 노선 개통
2006년 7월: 성남 ~ 평택 ~ 군산간 시외버스 노선 개통
2006년 9월 27일: 시외버스사업부문을 ''''용남시외버스 (주)'''로 분할
2007년 4월: 직행좌석버스 7002번 (동탄신도시 ~ 사당역) 노선 개통
2007년 8월: 동탄신도시 ~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간 공항버스 노선 개통
2007년 8월 20일: 용남고속이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 386-2에 학원지점을 개설하였다.
2008년 일자 미상: 저상버스 운행 (88번, 9번, 83번, 2-1번, 15-1번)
2008년 12월: 화성시 시내버스 업체인 제부여객 인수
2009년 6월: '''용남시외버스 (주)'''를 '''용남고속버스라인 (주)'''로 사명변경
2009년 12월: 강화 ~ 김포한강신도시 ~ 김포국제공항 ~ 청주 노선을 강화운수에서 양수 운행 및 수원 ~ 한남동 ~ 을지로5가간 시외버스 노선 개통
2010년 4월: 도시형버스 1번 (호매실동 ~ 반송고등학교) 노선 개통
2010년 8월: 경기순환버스 8407번 (의왕시 고천동 ~ 대화역) 노선 및 경기순환버스 8409번 (의왕시 고천동 ~ 경기도청 제2청사) 노선 개통
2010년 11월: 도시형버스 99-1번 (경희대학교 ~ 망포고등학교) 노선 개통, 도시형버스 46번 (경기대학교 ~ 오목천동 ~ 병점) 순환형태의 노선에서 병점 ~ 수원역 구간이 폐선되면서 (경기대학교 ~ 병점)를 왕복운행하는 노선 형태로 변경
2011년 1월: 국토해양부의 광역급행버스 M5107번 노선의 개통으로 인해 수원 ~ 한남동 ~ 을지로5가간 시외버스 노선 폐지 (현재 간선급행버스 8800번이 이 시외버스 노선의 대부분 구간을 대체 운행하고 있다.)
2011년 2월: 경기순환버스 8407번은 경원여객, 경기순환버스 8409번은 경기고속으로 각각 노선 양도 및 8409번의 노선 변경으로 인해 수원 ~ 구리 ~ 의정부간 시외버스 노선 폐지
2011년 3월: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신논현역 시외버스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
2011년 4월: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사당역 시외버스 노선 신설
2011년 6월: 직행좌석버스 3001번 폐지
2012년 4월: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사당역 시외버스 노선 폐지 및 직행좌석버스 5300-1번 (갈곶동 ~ 강남역) 노선 개통
2012년 12월: 중부고속으로부터 천안 ~ 성환 ~ 평택 시외버스 노선 양수
2013년 11월: 간선급행버스 8800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노선 개통
2015년 4월: 수원시내버스 51번 도시형버스 노선에 타요버스 4대 운행을 실시하고 내부는 타요목소리 안내방송도 실시
2015년 12월 8일: 수원시내버스 15번 도시형버스 노선을 제부여객으로 이관하였다.
2015년 12월 21일: 시외버스 R8323번 (성남 - 평택대학교 - 평택 - 남서울대학교) 노선을 대원고속 시외버스 R8420번 (성남 - 오산 - 송탄 - 국제대학교) 노선 그리고 성남 ~ 평택 시외버스 노선들을 경기고속에 매각하였다.
2016년 8월 17일: 시내버스 22-1번과 46-1번이 22번으로 통합되었다.
2016년 9월 1일: 도시형버스 123번 신설
2017년 1월 24일: 직행좌석버스 3000번 (수원역 ~ 강남역) 노선을 경진여객으로 이관하였고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던 도시형버스 34번, 34-1번 노선을 이관 받았다.
2017년 2월 6일: 굿모닝 급행버스 G5100번 신설
2017년 5월 12일: 도시형버스 90번 폐선, 19번 신설
2017년 7월 1일: 도시형버스 123번이 따복버스 123A번으로 전환되었으며, 따복버스 123B번이 신설되었다.
2017년 8월 23일: 도시형버스 52번 폐선
2017년 10월 25일: 도시형버스 99-1번 폐선
2018년 1월 2일: 자동차운전학원 관련 사업을 용남자동차운전전문학원 주식회사로 분리.
2018년 1월 24일: 굿모닝 급행버스 G3007번 신설
2018년 4월 1일: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M5532번 (갈곶동 ~ 사당역) 노선을 오산교통에서 이관 받았다.
2018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201번 신설 (오산교통 공동 배차)
2018년 5월: 굿모닝 급행버스 G3007번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3008번으로 형간 전환
2018년 5월 9일: '''용남공항리무진 주식회사''' 설립
2018년 6월 3일: 경기공항리무진버스의 공항버스 노선 양수
2019년 3월 12일: M5443번 개통
2019년 12월 20일: 59번 개통
2020년 12월 31일: 국토교통부의 광역버스 M5443번, M5532번 노선을 경진여객에 양도
2021년 8월 3일: 사모펀드 'MC 파트너스'가 용남고속 인수
2022년 1월 1일: 4-1번운행증단
2. 1. 1940-1990년대: 설립 및 성장
1948년 2월, 용남고속은 경기면허 1호 회사를 설립하며 운수업을 시작하였다. 1961년 8월 23일에는 '''용남여객자동차 (주)''' 법인을 설립하였다.1995년 1월 27일, 경일여객으로부터 일반좌석버스 777번 (수원역 ~ 사당역) 노선을 양수하였으나, 1996년 8월 5일 삼경운수에 다시 양도하였다. 1996년 8월 12일에는 시외버스 (수원역 ~ 사당역) 노선을 삼경운수에 양도하였고, 이 노선은 이후 직행좌석버스 7770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1997년 2월, (주)삼성여객으로부터 직행좌석버스 1007번 (수원역 ~ 잠실역) 노선을 양수하였다. 1998년 8월, 현재의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 2. 2000년대: 노선 확장 및 사업 다각화
1998년 8월 현재의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대에 용남고속은 노선 확장 및 사업 다각화를 진행했다. 2000년 2월 직행좌석버스 7000번 (경희대학교 ~ 사당역) 노선을 개통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직행좌석버스 1009번 (수원역 ~ 강변역) 노선을 개통했다. 2001년 4월에는 용남고속 홈페이지가 개설되었다.2002년 8월 태화상운으로부터 안산 ~ 천안, 안산 ~ 대전, 안산 ~ 서산 시외버스 노선을 양수하였고, 10월에는 성산교통 (현재는 경남여객에 통합)으로부터 직행좌석버스 5100번 (경희대학교 ~ 신논현역), 5100-1번 (경희대학교 ~ 양재역) 노선을 양수하였다. 11월에는 직행좌석버스 3007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강남역)이 개통되었고, 12월에는 직행좌석버스 1007번, 1007-1번, 1009번을 대원고속으로 양도하고, 직행좌석버스 3003번 (수원여자대학교 ~ 강남역) 노선을 개통하였으며, 대원고속에서 동서울-천안,아산 시외버스 노선을 양수하였다.
2004년 4월 명진여객으로부터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신논현역 시외버스 노선(현재는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됨)을 양수하였고, 9월에는 신원여객의 폐업으로 시내버스 전 노선을 양수하였다. 2005년 1월 110번 좌석버스를 경원여객으로 양도하였으며, 2월에는 직행좌석버스 5100-1번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3001번 노선에 통폐합했다. 3월에는 직행좌석버스 3002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강남역) 노선, 직행좌석버스 7001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사당역) 노선이 개통되었다.
2006년 1월 온양 ~ 천안 ~ 안양간 시외버스 노선 및 수원 ~ 평택간 시외버스 노선이 폐지(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대체 이용)되었고, 5월에는 도시형버스 9번 (경희대학교 ~ 금곡동) 노선이 개통되었다. 6월에는 일산 킨텍스 ~ 안양 ~ 보령간 시외버스 노선, 서수원 ~ 오산 ~ 보령간 시외버스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7월에는 성남 ~ 평택 ~ 군산간 시외버스 노선이 개통되었다. 9월 27일 시외버스사업부문을 '''용남시외버스 (주)'''로 분할하였다.
2007년 4월 직행좌석버스 7002번 (동탄신도시 ~ 사당역) 노선이 개통되었고, 8월 동탄신도시 ~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간 공항버스 노선이 개통되었다. 2008년에는 저상버스 운행 (88번, 9번, 83번, 2-1번, 15-1번)을 시작했고, 12월 화성시 시내버스 업체인 제부여객을 인수했다.
2009년 6월 '''용남시외버스 (주)'''를 '''용남고속버스라인 (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2월 강화 ~ 김포한강신도시 ~ 김포국제공항 ~ 청주 노선을 강화운수에서 양수 운행 및 수원 ~ 한남동 ~ 을지로5가간 시외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2. 3. 2010년대: 서비스 개선 및 변화
용남고속은 2010년대에도 서비스 개선과 변화를 지속했다. 2010년 4월 호매실동과 반송고등학교를 잇는 도시형버스 1번을 개통했고, 8월에는 의왕시 고천동에서 대화역까지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8407번과 의왕시 고천동에서 경기도청 제2청사까지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8409번을 개통했다. 11월에는 경희대학교와 망포고등학교를 잇는 도시형버스 99-1번을 개통하고, 경기대학교에서 오목천동을 거쳐 병점까지 순환 운행하던 도시형버스 46번을 경기대학교와 병점을 왕복하는 노선으로 변경했다.2011년 1월, 국토해양부의 광역급행버스 M5107번 개통으로 수원과 을지로5가를 잇는 시외버스 노선이 폐지되었으나, 간선급행버스 8800번이 이 노선의 대부분 구간을 대체 운행하게 되었다. 2월에는 경기순환버스 8407번을 경원여객에, 8409번을 경기고속에 각각 양도하고, 8409번 노선 변경으로 수원, 구리, 의정부를 잇는 시외버스 노선이 폐지되었다. 3월에는 오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신논현역까지 운행하던 시외버스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전환하고, 4월에는 오산시외버스터미널과 사당역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했다. 6월에는 직행좌석버스 3001번이 폐지되었다.
2012년 4월, 오산시외버스터미널과 사당역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이 폐지되고, 갈곶동과 강남역을 잇는 직행좌석버스 5300-1번이 개통되었다. 12월에는 중부고속으로부터 천안, 성환, 평택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을 양수했다.
2013년 11월, 수원종합버스터미널과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를 잇는 간선급행버스 8800번을 개통했다.
2015년 4월, 수원시내버스 51번 도시형버스 노선에 타요버스 4대를 운행하며 타요 목소리 안내방송을 실시했다. 12월 8일에는 수원시내버스 15번 도시형버스 노선을 제부여객으로 이관했고, 12월 21일에는 시외버스 R8323번, R8420번, 성남-평택 시외버스 노선들을 경기고속에 매각했다.
2016년 8월 17일, 시내버스 22-1번과 46-1번이 22번으로 통합되었고, 9월 1일에는 도시형버스 123번이 신설되었다.
2017년 1월 24일, 직행좌석버스 3000번 (수원역 ~ 강남역) 노선을 경진여객으로 이관하고,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던 도시형버스 34번, 34-1번 노선을 이관받았다. 2월 6일에는 굿모닝 급행버스 G5100번을 신설했다. 5월 12일에는 도시형버스 90번을 폐선하고 19번을 신설했으며, 7월 1일에는 도시형버스 123번을 따복버스 123A번으로 전환하고, 따복버스 123B번을 신설했다. 8월 23일에는 도시형버스 52번, 10월 25일에는 도시형버스 99-1번이 폐선되었다.
2018년 1월 2일, 자동차운전학원 관련 사업을 용남자동차운전전문학원 주식회사로 분리했다. 1월 24일에는 굿모닝 급행버스 G3007번을 신설하고, 4월 1일에는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M5532번 (갈곶동 ~ 사당역) 노선을 오산교통에서 이관받았다. 4월 23일에는 도시형버스 201번을 신설하여 오산교통과 공동 배차했다. 5월에는 굿모닝 급행버스 G3007번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3008번으로 전환하고, 5월 9일에는 '''용남공항리무진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6월 3일 경기공항리무진버스의 공항버스 노선을 양수했다.
2019년 3월 12일 M5443번을 개통하고, 12월 20일 59번을 개통하였다.
2020년 12월 31일, 국토교통부의 광역버스 M5443번, M5532번 노선을 경진여객에 양도했다.
2021년 8월 3일, 사모펀드 'MC 파트너스'가 용남고속을 인수했다.
2. 4. 2020년대: 사모펀드 인수 및 현재
2020년 12월 31일, 국토교통부의 광역버스 M5443번, M5532번 노선을 경진여객에 양도하였다.[1] 2021년 8월 3일, 사모펀드 'MC 파트너스'가 용남고속을 인수하였다.[1]3. 운행 노선
용남고속은 시외버스와 공항버스, 시내버스를 운행한다. 공항버스 A8835, A8837 2개 노선과 시외버스 노선, 시내버스 3003, 5200, 5300, 5300-1, 7002, M5532(국토부 광역급행형버스) 노선은 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운행하며, 나머지 시내버스는 용남고속(주)에서 운행한다.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시내일반 | 직행좌석 | 광역급행 | ! 기타 | 시내일반 | 직행좌석 | 광역급행 | ! 기타 | |
용남고속 | 18 | 12 | 201 | 100 |
'''도시형버스'''
- ● 2-1번: 남부공영차고 - 반정아이파크4단지 정문, 반정아이파크5단지 후문 - 망포역 - 벽산아파트 후문 - 현대홈타운 - 벽적골 - 영통역 - 청명역 - 태평양화학 - 매탄성일A - 동수원우체국 - 이춘택병원 - 수원역 - 화서오거리 - 화서역 - 당수지구A-4BL - 당수지구상업부지 <전기저상버스 운행>
- ● 9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무궁화전자 - 한국 2차아파트 - 매탄동 성일아파트 - 동수원우체국 - 인계파밀리에 - 이춘택병원 - 수원역 - 농촌진흥청 - 구운중학교 - 강남A - 가온마을 - LG빌리지 - 칠보마을 - 신미주A - 칠보초등학교 <저상운행>
- ● 9-1번 공공관리제 노선: 수원여자대학교 - 능실마을 - 칠보초등학교 - 구운중학교 - 농촌진흥청 - 수원역 - 이춘택병원 - 인계파밀리에 - 동수원우체국 - 매탄성일A - 무궁화전자 - 영통역 - 경희대학교 - 한보라마을 - 공세지구 대주피오레2단지(2011년 11월 신설)
- ● 13-5번: 동탄신도시 - 동탄2동주민센터 - 동탄1동주민센터 - 한림대병원, 이마트동탄점 - 삼성반도체후문 - 신영통현대A - 망포동 - 망포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역 - 서둔동 - 농촌진흥청 - 구운중학교 - 호매실삼익A - 칠보마을 - LG빌리지 - 당수동 <전기저상버스 3대 운행>
- ● 19번: 서부공영차고지 - 호매실엔루체 - 금곡LG2.3단지 - 구운동삼환아파트 - 화서역.스타필드수원 - 정자종합시장 - 수성중사거리 - 수원종합운동장.수원KT위즈파크 - 조원동.조원시장 - 경기남부보훈지청.경기북중후문 - 광교중앙역.경기도청 - 수원컨벤션센터.수원롯데아울렛 - 수원지방법원 - 상현역 - 상현고교 - 수원시동부차고지 (2023년 11월 01일 부로 기종점 변경되었습니다.) <전기저상버스 운행>
- ● 34번: 협성대학교정문 ↔ 봉담한신아파트후문 ↔ 장안대후문 ↔ 삼봉마을.신안인스빌 ↔ 봉담읍행정복지센터 ↔ 동화리.동남아파트 ↔ 대진아이엠.LH3단지 ↔ 수영오거리 ↔ 이마트 봉담점 ↔ 와우리 ↔ 수원대학교 ↔ 융건릉 ↔ 용주사 ↔ 안녕농협 ↔ 안용중학교 ↔ 병점역 후문 ↔ 한일타운 ↔ 홈플러스 병점점 ↔ 병점역 사거리 ↔ 화남아파트 ↔ 안화고등학교 ↔ 태안주공 7~11단지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 반월삼거리 ↔ 신영통현대타운 ↔ 태장초등학교 ↔ 망포역 ↔ 살구골 동아, 현대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흥덕중학교 ↔ 이마트 흥덕점 ↔ 흥덕 1, 2단지 ↔ 태평양화학 ↔ 홈플러스 원천점 ↔ 광교호수공원 ↔ 광교동부차고지 (이 노선은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2024년 2월 1일 협성대학교정문으로 변경) <전기저상버스 운행>
- ● 34-1번: 협성대학교정문 ↔ 봉담한신아파트후문 ↔ 장안대후문 ↔ 삼봉마을.신안인스빌 ↔ 봉담읍행정복지센터 ↔ 국민체육센터 ↔ 봉담택지지구 ↔ 동화휴먼시아1단지.상봉초등학교 ↔ 동화중학교 ↔ 와우초등학교 ↔ 수원대학교 ↔ 융건릉 ↔ 용주사 ↔ 안녕농협 ↔ 안용중학교 ↔ 병점역 후문 ↔ 한일타운 ↔ 홈플러스 병점점 ↔ 병점역 사거리 ↔ 화남아파트 ↔ 안화고등학교 ↔ 태안주공 7~11단지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 반월삼거리 ↔ 신영통현대타운 ↔ 태장초등학교 ↔ 망포역 ↔ 살구골 동아, 현대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흥덕중학교 ↔ 이마트 흥덕점 ↔ 광교호반마을 (휴먼시아20, 수자인) ↔ 광교호수공원 ↔ 광교동부차고지 (이 노선은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2024년 2월 1일 협성대학교정문으로 변경) <전기저상버스 운행>
- ● 88번: 수원여자대학교 - 권선구청 - 탑동 - 서호초교 - 수원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법원사거리 - 성빈센트병원 - 팔달문 - 장안문 - 조원시장 - 조원동 주공아파트 <저상운행>
- ● 92번: 곡반정동 - 임광A - 동수원뉴코아 - 수원시청, 수원시청역 - 매교역 - 경기도청 - 수원역 - 서둔동 - 농촌진흥청 - 삼환아파트 - 화서역 - 수성고등학교 - 동신A - 수원SK스카이뷰 - 동원고등학교 <전기저상버스 운행>
- ● 99번: 수원여자대학교 - 능실마을 - 칠보마을 - 가온마을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성균관대역 - 동원고 - 동신A - 만석공원 - 한일타운 - 조원시장 - 북중 - 팔달구청 - 아주대학교 - 법원사거리 - 매탄4단지 - 매탄고 - 매탄권선역 - 망포역 - 신영통 - 한림대병원 - 동탄역 - 대우푸르지오A (2008년 3월 망포고↔황골 노선으로 운행 개시. 2014-11-01 매탄동-흥덕지구-기산동 단축. 2015-11-10 동탄2신도시 - 동탄역 연장) <전기저상버스 3대 운행>
- ● 99-2번: 수원여자대학교 - 오목천청구A - 수원산업단지 - 탑동입구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성균관대역 - 천천초, 중, 고교 - 동남보건대학교 - 만석공원 - 한일타운 - 조원시장 - 북중 - 팔달구청 - 아주대학교 - 법원사거리 - 동수원뉴코아 - 수원시청역, 갤러리아백화점 - 농수산물시장 - 유원보성A - 수원아이파크시티 - 곡반정동 (2012-09-04 ~ ) <전기저상버스 운행>
- ● 777번: 수원역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고천 ↔ 호계사거리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남태령역 ↔ 사당역 (2020년 12월 31일부로 경진여객에서 이관) <저상 운행>
'''직행좌석버스'''
- ● 3002번: 수원남부버스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권선시장 - 갤러리아백화점 - 청소년문화센터 - 월드메르디앙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테크노밸리 - 광교 웰빙타운 - 서수지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헌릉 나들목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3003번: 수원여자대학교 - 구운동 - 백설마을 - 동남보건대 - 천천동 - 성균관대역 - 동원고등학교 (서울 방향만 경유)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선바위역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 우면산터널 - 예술의 전당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 선암로 나들목 - 선바위역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3007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양재 나들목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 3008번: 선일초등학교.수원아이파크시티 -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 - 아주대학교 - 광교테크노밸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2층버스 운행)
- ● 510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수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성산교통(현 경남여객)으로부터 양도 받음)
- ● 5200번: 오산차고지 - 오산청호아파트 - 오산빌리지 - 원동푸르지오 - 대원/한양수자인아파트 - 오산시티자아1.2단지 - 오산센트럴푸르지오 - 은계주공아파트 - 화성초등학교 - 수청주공아파트 - 매홀중학교 - 스마트시티센터 - 세미초등학교 - 세교자이후문 - 교육청사거리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봉담 ~ 동탄) - 경부고속도로 - KCC사옥 - 신논현역.인터파크 (2020년 5월 15일 신설)(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5300번: 갈곶동차고지 - 갈곶동 - 오산역,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오산시청 - 운암동 주공 3단지 - 오산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음.) (구 명진여객,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2층버스 운행)
- ● 5300-1번: 갈곶동차고지 - 갈곶동 - 오산역,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오산시청 - 운암동 주공 3단지 - 오산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서초 나들목 - 남부터미널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음.)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전세 차량으로만 운행)
- ● 700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태평양화학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북수원 나들목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남태령역 - 사당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7001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북수원 나들목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남태령역 - 사당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7002번: 수원남부버스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권선시장 - 농수산물시장 - 청소년문화센터 - 광교신도시 - 서수지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서판교 나들목 - 인덕원역4호선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8450번: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웃거리.힐스테이트수원테라스 - 서수원버스터미널 - 산본역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고양 (백석) (2024년 8월 1일 시외 R8450번 → 직행좌석 형간전환 및 노선 구간 변경)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G5100번: 경희대학교 - 살구골 동아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황골주공,황골벽산아파트 - 두진아파트 - 수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역삼동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교육개발원 입구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2017년 2월 6일 신설, 2층버스 운행)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M5532영어번: 갈곶동.동부아파트 - 원동초등학교 - 오산역.오산터미널 - U-City 센터앞 - 세교13단지 - 죽미마을입구 - 봉담동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예술의전당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자중고등학교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 사당역
:** 2017년 3월 20일에 신설된 노선이다.
:** 2018년 4월 1일 오산교통에서 이관받았다.
:** 2020년 12월 31일 경진여객에 양도했지만, 2022년 12월 31일부로 다시 이관받았다.
:**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이자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준공영제 노선이다.
'''간선급행버스'''
- 8800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시 평생교육학습관 - 경기도문화의전당, 두산 위브아파트, 코오롱 하늘채아파트 - 매탄동 삼성 1차, 매탄동 주공 4단지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팔달구청 - 우만동 4단지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한남대교 - 순천향대학교 병원 - 남산1호터널 - 을지로3가역 - 을지로입구역 - 시청역 - 삼성프라자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2013년 11월 12일 개통)
'''시외버스'''
용남고속은 시외버스 3개 노선, 16대를 운행하고 있다.[2]
{| class="wikitable"
|-
! 운행 노선
|-
| 동서울 발
* ● R1309번: 동서울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가천대역 - 천안 |
* ● R1312번: 동서울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가천대역 - 천안 - 봉강교 - 온양 |
|-
| 수원 발
* ● R8327번: 수원 - 아주대학교 - 영통 - 신갈 - 천안 |
|}
'''공항버스'''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2]
- A8835번: 동탄 라마다호텔 - 동탄 신라스테이 - 다은마을 (상행), 메타폴리스 (하행) - 능동 주공A - 병점 중심상가 - 안녕동 - 융건릉 - 신일해피트리2차 - 효행초등학교 - 봉담택지지구 중심상가 -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 A8837번: 동탄역 - 동탄 라마다호텔 - 동탄 신라스테이 - 다은마을 (상행), 메타폴리스 (하행) - 능동 주공A - 병점 중심상가 -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3. 1. 시내버스
wikitext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시내일반 | 직행좌석 | 광역급행 | ! 기타 | 시내일반 | 직행좌석 | 광역급행 | ! 기타 | |
용남고속 | 18 | 12 | 201 | 100 |
'''도시형버스'''
- ● 2-1번: 남부공영차고 - 반정아이파크4단지 정문, 반정아이파크5단지 후문 - 망포역 - 벽산아파트 후문 - 현대홈타운 - 벽적골 - 영통역 - 청명역 - 태평양화학 - 매탄성일A - 동수원우체국 - 이춘택병원 - 수원역 - 화서오거리 - 화서역 - 당수지구A-4BL - 당수지구상업부지 <전기저상버스 운행>
- ● 9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무궁화전자 - 한국 2차아파트 - 매탄동 성일아파트 - 동수원우체국 - 인계파밀리에 - 이춘택병원 - 수원역 - 농촌진흥청 - 구운중학교 - 강남A - 가온마을 - LG빌리지 - 칠보마을 - 신미주A - 칠보초등학교 <저상운행>
- ● 9-1번 공공관리제 노선: 수원여자대학교 - 능실마을 - 칠보초등학교 - 구운중학교 - 농촌진흥청 - 수원역 - 이춘택병원 - 인계파밀리에 - 동수원우체국 - 매탄성일A - 무궁화전자 - 영통역 - 경희대학교 - 한보라마을 - 공세지구 대주피오레2단지(2011년 11월 신설)
- ● 13-5번: 동탄신도시 - 동탄2동주민센터 - 동탄1동주민센터 - 한림대병원, 이마트동탄점 - 삼성반도체후문 - 신영통현대A - 망포동 - 망포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역 - 서둔동 - 농촌진흥청 - 구운중학교 - 호매실삼익A - 칠보마을 - LG빌리지 - 당수동 <전기저상버스 3대 운행>
- ● 19번: 서부공영차고지 - 호매실엔루체 - 금곡LG2.3단지 - 구운동삼환아파트 - 화서역.스타필드수원 - 정자종합시장 - 수성중사거리 - 수원종합운동장.수원KT위즈파크 - 조원동.조원시장 - 경기남부보훈지청.경기북중후문 - 광교중앙역.경기도청 - 수원컨벤션센터.수원롯데아울렛 - 수원지방법원 - 상현역 - 상현고교 - 수원시동부차고지 (2023년 11월 01일 부로 기종점 변경되었습니다.) <전기저상버스 운행>
- ● 34번: 협성대학교정문 ↔ 봉담한신아파트후문 ↔ 장안대후문 ↔ 삼봉마을.신안인스빌 ↔ 봉담읍행정복지센터 ↔ 동화리.동남아파트 ↔ 대진아이엠.LH3단지 ↔ 수영오거리 ↔ 이마트 봉담점 ↔ 와우리 ↔ 수원대학교 ↔ 융건릉 ↔ 용주사 ↔ 안녕농협 ↔ 안용중학교 ↔ 병점역 후문 ↔ 한일타운 ↔ 홈플러스 병점점 ↔ 병점역 사거리 ↔ 화남아파트 ↔ 안화고등학교 ↔ 태안주공 7~11단지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 반월삼거리 ↔ 신영통현대타운 ↔ 태장초등학교 ↔ 망포역 ↔ 살구골 동아, 현대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흥덕중학교 ↔ 이마트 흥덕점 ↔ 흥덕 1, 2단지 ↔ 태평양화학 ↔ 홈플러스 원천점 ↔ 광교호수공원 ↔ 광교동부차고지 (이 노선은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2024년 2월 1일 협성대학교정문으로 변경) <전기저상버스 운행>
- ● 34-1번: 협성대학교정문 ↔ 봉담한신아파트후문 ↔ 장안대후문 ↔ 삼봉마을.신안인스빌 ↔ 봉담읍행정복지센터 ↔ 국민체육센터 ↔ 봉담택지지구 ↔ 동화휴먼시아1단지.상봉초등학교 ↔ 동화중학교 ↔ 와우초등학교 ↔ 수원대학교 ↔ 융건릉 ↔ 용주사 ↔ 안녕농협 ↔ 안용중학교 ↔ 병점역 후문 ↔ 한일타운 ↔ 홈플러스 병점점 ↔ 병점역 사거리 ↔ 화남아파트 ↔ 안화고등학교 ↔ 태안주공 7~11단지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 반월삼거리 ↔ 신영통현대타운 ↔ 태장초등학교 ↔ 망포역 ↔ 살구골 동아, 현대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흥덕중학교 ↔ 이마트 흥덕점 ↔ 광교호반마을 (휴먼시아20, 수자인) ↔ 광교호수공원 ↔ 광교동부차고지 (이 노선은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2024년 2월 1일 협성대학교정문으로 변경) <전기저상버스 운행>
- ● 88번: 수원여자대학교 - 권선구청 - 탑동 - 서호초교 - 수원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법원사거리 - 성빈센트병원 - 팔달문 - 장안문 - 조원시장 - 조원동 주공아파트 <저상운행>
- ● 92번: 곡반정동 - 임광A - 동수원뉴코아 - 수원시청, 수원시청역 - 매교역 - 경기도청 - 수원역 - 서둔동 - 농촌진흥청 - 삼환아파트 - 화서역 - 수성고등학교 - 동신A - 수원SK스카이뷰 - 동원고등학교 <전기저상버스 운행>
- ● 99번: 수원여자대학교 - 능실마을 - 칠보마을 - 가온마을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성균관대역 - 동원고 - 동신A - 만석공원 - 한일타운 - 조원시장 - 북중 - 팔달구청 - 아주대학교 - 법원사거리 - 매탄4단지 - 매탄고 - 매탄권선역 - 망포역 - 신영통 - 한림대병원 - 동탄역 - 대우푸르지오A (2008년 3월 망포고↔황골 노선으로 운행 개시. 2014-11-01 매탄동-흥덕지구-기산동 단축. 2015-11-10 동탄2신도시 - 동탄역 연장) <전기저상버스 3대 운행>
- ● 99-2번: 수원여자대학교 - 오목천청구A - 수원산업단지 - 탑동입구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성균관대역 - 천천초, 중, 고교 - 동남보건대학교 - 만석공원 - 한일타운 - 조원시장 - 북중 - 팔달구청 - 아주대학교 - 법원사거리 - 동수원뉴코아 - 수원시청역, 갤러리아백화점 - 농수산물시장 - 유원보성A - 수원아이파크시티 - 곡반정동 (2012-09-04 ~ ) <전기저상버스 운행>
- ● 777번: 수원역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고천 ↔ 호계사거리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남태령역 ↔ 사당역 (2020년 12월 31일부로 경진여객에서 이관) <저상 운행>
'''직행좌석버스'''
- ● 3002번: 수원남부버스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권선시장 - 갤러리아백화점 - 청소년문화센터 - 월드메르디앙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테크노밸리 - 광교 웰빙타운 - 서수지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헌릉 나들목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3003번: 수원여자대학교 - 구운동 - 백설마을 - 동남보건대 - 천천동 - 성균관대역 - 동원고등학교 (서울 방향만 경유)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선바위역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 우면산터널 - 예술의 전당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 선암로 나들목 - 선바위역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3007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양재 나들목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 3008번: 선일초등학교.수원아이파크시티 -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 - 아주대학교 - 광교테크노밸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2층버스 운행)
- ● 510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수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성산교통(현 경남여객)으로부터 양도 받음)
- ● 5200번: 오산차고지 - 오산청호아파트 - 오산빌리지 - 원동푸르지오 - 대원/한양수자인아파트 - 오산시티자아1.2단지 - 오산센트럴푸르지오 - 은계주공아파트 - 화성초등학교 - 수청주공아파트 - 매홀중학교 - 스마트시티센터 - 세미초등학교 - 세교자이후문 - 교육청사거리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봉담 ~ 동탄) - 경부고속도로 - KCC사옥 - 신논현역.인터파크 (2020년 5월 15일 신설)(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5300번: 갈곶동차고지 - 갈곶동 - 오산역,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오산시청 - 운암동 주공 3단지 - 오산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음.) (구 명진여객,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2층버스 운행)
- ● 5300-1번: 갈곶동차고지 - 갈곶동 - 오산역,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오산시청 - 운암동 주공 3단지 - 오산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서초 나들목 - 남부터미널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음.)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전세 차량으로만 운행)
- ● 700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태평양화학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북수원 나들목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남태령역 - 사당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7001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북수원 나들목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남태령역 - 사당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7002번: 수원남부버스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권선시장 - 농수산물시장 - 청소년문화센터 - 광교신도시 - 서수지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서판교 나들목 - 인덕원역4호선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8450번: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웃거리.힐스테이트수원테라스 - 서수원버스터미널 - 산본역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고양 (백석) (2024년 8월 1일 시외 R8450번 → 직행좌석 형간전환 및 노선 구간 변경)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G5100번: 경희대학교 - 살구골 동아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황골주공,황골벽산아파트 - 두진아파트 - 수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역삼동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교육개발원 입구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2017년 2월 6일 신설, 2층버스 운행)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M5532영어번: 갈곶동.동부아파트 - 원동초등학교 - 오산역.오산터미널 - U-City 센터앞 - 세교13단지 - 죽미마을입구 - 봉담동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예술의전당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자중고등학교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 사당역
:** 2017년 3월 20일에 신설된 노선이다.
:** 2018년 4월 1일 오산교통에서 이관받았다.
:** 2020년 12월 31일 경진여객에 양도했지만, 2022년 12월 31일부로 다시 이관받았다.
:**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이자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준공영제 노선이다.
'''간선급행버스'''
- 8800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시 평생교육학습관 - 경기도문화의전당, 두산 위브아파트, 코오롱 하늘채아파트 - 매탄동 삼성 1차, 매탄동 주공 4단지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팔달구청 - 우만동 4단지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한남대교 - 순천향대학교 병원 - 남산1호터널 - 을지로3가역 - 을지로입구역 - 시청역 - 삼성프라자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2013년 11월 12일 개통)
3. 1. 1. 도시형버스
- ● 2-1번: 남부공영차고 - 반정아이파크4단지 정문, 반정아이파크5단지 후문 - 망포역 - 벽산아파트 후문 - 현대홈타운 - 벽적골 - 영통역 - 청명역 - 태평양화학 - 매탄성일A - 동수원우체국 - 이춘택병원 - 수원역 - 화서오거리 - 화서역 - 당수지구A-4BL - 당수지구상업부지 <전기저상버스 운행>
- ● 9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무궁화전자 - 한국 2차아파트 - 매탄동 성일아파트 - 동수원우체국 - 인계파밀리에 - 이춘택병원 - 수원역 - 농촌진흥청 - 구운중학교 - 강남A - 가온마을 - LG빌리지 - 칠보마을 - 신미주A - 칠보초등학교 <저상운행>
- ● 9-1번 공공관리제 노선: 수원여자대학교 - 능실마을 - 칠보초등학교 - 구운중학교 - 농촌진흥청 - 수원역 - 이춘택병원 - 인계파밀리에 - 동수원우체국 - 매탄성일A - 무궁화전자 - 영통역 - 경희대학교 - 한보라마을 - 공세지구 대주피오레2단지(2011년 11월 신설)
- ● 13-5번: 동탄신도시 - 동탄2동주민센터 - 동탄1동주민센터 - 한림대병원, 이마트동탄점 - 삼성반도체후문 - 신영통현대A - 망포동 - 망포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역 - 서둔동 - 농촌진흥청 - 구운중학교 - 호매실삼익A - 칠보마을 - LG빌리지 - 당수동 <전기저상버스 3대 운행>
- ● 19번: 서부공영차고지 - 호매실엔루체 - 금곡LG2.3단지 - 구운동삼환아파트 - 화서역.스타필드수원 - 정자종합시장 - 수성중사거리 - 수원종합운동장.수원KT위즈파크 - 조원동.조원시장 - 경기남부보훈지청.경기북중후문 - 광교중앙역.경기도청 - 수원컨벤션센터.수원롯데아울렛 - 수원지방법원 - 상현역 - 상현고교 - 수원시동부차고지 (2023년 11월 01일 부로 기종점 변경되었습니다.) <전기저상버스 운행>
- ● 34번: 협성대학교정문 ↔ 봉담한신아파트후문 ↔ 장안대후문 ↔ 삼봉마을.신안인스빌 ↔ 봉담읍행정복지센터 ↔ 동화리.동남아파트 ↔ 대진아이엠.LH3단지 ↔ 수영오거리 ↔ 이마트 봉담점 ↔ 와우리 ↔ 수원대학교 ↔ 융건릉 ↔ 용주사 ↔ 안녕농협 ↔ 안용중학교 ↔ 병점역 후문 ↔ 한일타운 ↔ 홈플러스 병점점 ↔ 병점역 사거리 ↔ 화남아파트 ↔ 안화고등학교 ↔ 태안주공 7~11단지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 반월삼거리 ↔ 신영통현대타운 ↔ 태장초등학교 ↔ 망포역 ↔ 살구골 동아, 현대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흥덕중학교 ↔ 이마트 흥덕점 ↔ 흥덕 1, 2단지 ↔ 태평양화학 ↔ 홈플러스 원천점 ↔ 광교호수공원 ↔ 광교동부차고지 (이 노선은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2024년 2월 1일 협성대학교정문으로 변경) <전기저상버스 운행>
- ● 34-1번: 협성대학교정문 ↔ 봉담한신아파트후문 ↔ 장안대후문 ↔ 삼봉마을.신안인스빌 ↔ 봉담읍행정복지센터 ↔ 국민체육센터 ↔ 봉담택지지구 ↔ 동화휴먼시아1단지.상봉초등학교 ↔ 동화중학교 ↔ 와우초등학교 ↔ 수원대학교 ↔ 융건릉 ↔ 용주사 ↔ 안녕농협 ↔ 안용중학교 ↔ 병점역 후문 ↔ 한일타운 ↔ 홈플러스 병점점 ↔ 병점역 사거리 ↔ 화남아파트 ↔ 안화고등학교 ↔ 태안주공 7~11단지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 반월삼거리 ↔ 신영통현대타운 ↔ 태장초등학교 ↔ 망포역 ↔ 살구골 동아, 현대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흥덕중학교 ↔ 이마트 흥덕점 ↔ 광교호반마을 (휴먼시아20, 수자인) ↔ 광교호수공원 ↔ 광교동부차고지 (이 노선은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2024년 2월 1일 협성대학교정문으로 변경) <전기저상버스 운행>
- ● 88번: 수원여자대학교 - 권선구청 - 탑동 - 서호초교 - 수원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법원사거리 - 성빈센트병원 - 팔달문 - 장안문 - 조원시장 - 조원동 주공아파트 <저상운행>
- ● 92번: 곡반정동 - 임광A - 동수원뉴코아 - 수원시청, 수원시청역 - 매교역 - 경기도청 - 수원역 - 서둔동 - 농촌진흥청 - 삼환아파트 - 화서역 - 수성고등학교 - 동신A - 수원SK스카이뷰 - 동원고등학교 <전기저상버스 운행>
- ● 99번: 수원여자대학교 - 능실마을 - 칠보마을 - 가온마을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성균관대역 - 동원고 - 동신A - 만석공원 - 한일타운 - 조원시장 - 북중 - 팔달구청 - 아주대학교 - 법원사거리 - 매탄4단지 - 매탄고 - 매탄권선역 - 망포역 - 신영통 - 한림대병원 - 동탄역 - 대우푸르지오A (2008년 3월 망포고↔황골 노선으로 운행 개시. 2014-11-01 매탄동-흥덕지구-기산동 단축. 2015-11-10 동탄2신도시 - 동탄역 연장) <전기저상버스 3대 운행>
- ● 99-2번: 수원여자대학교 - 오목천청구A - 수원산업단지 - 탑동입구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성균관대역 - 천천초, 중, 고교 - 동남보건대학교 - 만석공원 - 한일타운 - 조원시장 - 북중 - 팔달구청 - 아주대학교 - 법원사거리 - 동수원뉴코아 - 수원시청역, 갤러리아백화점 - 농수산물시장 - 유원보성A - 수원아이파크시티 - 곡반정동 (2012-09-04 ~ ) <전기저상버스 운행>
- ● 777번: 수원역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고천 ↔ 호계사거리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남태령역 ↔ 사당역 (2020년 12월 31일부로 경진여객에서 이관) <저상 운행>
3. 1. 2. 직행좌석버스
- ● 3002번: 수원남부버스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권선시장 - 갤러리아백화점 - 청소년문화센터 - 월드메르디앙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테크노밸리 - 광교 웰빙타운 - 서수지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헌릉 나들목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3003번: 수원여자대학교 - 구운동 - 백설마을 - 동남보건대 - 천천동 - 성균관대역 - 동원고등학교 (서울 방향만 경유)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선바위역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 우면산터널 - 예술의 전당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 선암로 나들목 - 선바위역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3007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양재 나들목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 3008번: 선일초등학교.수원아이파크시티 -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 - 아주대학교 - 광교테크노밸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2층버스 운행)
- ● 510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수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성산교통(현 경남여객)으로부터 양도 받음)
- ● 5200번: 오산차고지 - 오산청호아파트 - 오산빌리지 - 원동푸르지오 - 대원/한양수자인아파트 - 오산시티자아1.2단지 - 오산센트럴푸르지오 - 은계주공아파트 - 화성초등학교 - 수청주공아파트 - 매홀중학교 - 스마트시티센터 - 세미초등학교 - 세교자이후문 - 교육청사거리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봉담 ~ 동탄) - 경부고속도로 - KCC사옥 - 신논현역.인터파크 (2020년 5월 15일 신설)(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5300번: 갈곶동차고지 - 갈곶동 - 오산역,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오산시청 - 운암동 주공 3단지 - 오산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음.) (구 명진여객,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2층버스 운행)
- ● 5300-1번: 갈곶동차고지 - 갈곶동 - 오산역,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오산시청 - 운암동 주공 3단지 - 오산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서초 나들목 - 남부터미널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음.)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전세 차량으로만 운행)
- ● 700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태평양화학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북수원 나들목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남태령역 - 사당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7001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임광아파트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북수원 나들목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남태령역 - 사당역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 7002번: 수원남부버스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권선시장 - 농수산물시장 - 청소년문화센터 - 광교신도시 - 서수지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서판교 나들목 - 인덕원역4호선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8450번: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웃거리.힐스테이트수원테라스 - 서수원버스터미널 - 산본역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고양 (백석) (2024년 8월 1일 시외 R8450번 → 직행좌석 형간전환 및 노선 구간 변경)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
- ● G5100번: 경희대학교 - 살구골 동아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황골주공,황골벽산아파트 - 두진아파트 - 수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KCC 사옥 - 신논현역 - 강남역 - 역삼동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교육개발원 입구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2017년 2월 6일 신설, 2층버스 운행)
3. 1. 3.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M5532영어번: 갈곶동.동부아파트 - 원동초등학교 - 오산역.오산터미널 - U-City 센터앞 - 세교13단지 - 죽미마을입구 - 봉담동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예술의전당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자중고등학교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 사당역
:** 2017년 3월 20일에 신설된 노선이다.
:** 2018년 4월 1일 오산교통에서 이관받았다.
:** 2020년 12월 31일 경진여객에 양도했지만, 2022년 12월 31일부로 다시 이관받았다.
:** 용남고속버스라인 노선이자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준공영제 노선이다.
3. 1. 4. 간선급행버스
- 8800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시 평생교육학습관 - 경기도문화의전당, 두산 위브아파트, 코오롱 하늘채아파트 - 매탄동 삼성 1차, 매탄동 주공 4단지 - 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팔달구청 - 우만동 4단지 - 경기대학교 후문 - 광교역 입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한남대교 - 순천향대학교 병원 - 남산1호터널 - 을지로3가역 - 을지로입구역 - 시청역 - 삼성프라자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2013년 11월 12일 개통)
3. 2. 시외버스
용남고속은 시외버스 3개 노선, 16대를 운행하고 있다.[2]{| class="wikitable"
|-
! 운행 노선
|-
| 동서울 발
* ● R1309번: 동서울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가천대역 - 천안 |
* ● R1312번: 동서울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가천대역 - 천안 - 봉강교 - 온양 |
|-
| 수원 발
* ● R8327번: 수원 - 아주대학교 - 영통 - 신갈 - 천안 |
|-
| 공항버스
* ● A8835번: 동탄 라마다호텔 - 동탄 신라스테이 - 다은마을 (상행), 메타폴리스 (하행) - 능동 주공A - 병점 중심상가 - 안녕동 - 융건릉 - 신일해피트리2차 - 효행초등학교 - 봉담택지지구 중심상가 -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이 노선은 대원고속과 공동배차한다.> |
* ● A8837번: 동탄역 - 동탄 라마다호텔 - 동탄 신라스테이 - 다은마을 (상행), 메타폴리스 (하행) - 능동 주공A - 병점 중심상가 -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이 노선은 대원고속과 공동배차한다.> |
|}
3. 3. 공항버스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2]4. 이전 운행 노선
용남고속이 시내버스를 인수하기 전 신원여객이 운행했던 노선도 포함되어 있다.
## 도시형버스
용남고속은 과거 다양한 도시형버스 노선을 운영했다.
- 1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신도시 반송고등학교까지 운행했다. 2010년 4월 운행을 시작하여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6년 3월 18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게 되었다.
- 2번: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이 있었다. 초기에는 화서동에서 우만동을 잇는 노선이었고, 이후 화서동에서 망포동까지 연장되었다. 3기 노선은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수원역을 거쳐 세류초등학교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다. 2015년 8월 18일 1번에 통합되었다.
- 2-2번: 남부공영차고에서 율전 화남아파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6년 3월 18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했다.
- 2-5번: 곡반정동에서 한양 수자인아파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다. 2012년 9월 5일 폐선되었다.
- 3번: 초기에는 조원동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했고, 이후 남부차고에서 삼환아파트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0년 3월 26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4번: 연무동에서 조원동을 잇는 노선이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4-1번: 남부공영차고에서 조원동 주공아파트까지 운행했다. 2019년 8월 7일 노선이 변경 및 연장되었으나, 2022년 1월 1일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4-2번: 대덕사에서 광교동부차고까지 운행했다. (2014-09-25 ~ 2015-03-23)
- 8번: 조원동 주공아파트에서 뉴코아아울렛까지 운행했다. 2011년 12월 1일 신설되었고, 2014년 4월 2일 신갈저수지-수원시청 구간으로 단축, 2014년 11월 1일 99-1번과 통합되었다.
- 9-2번: 광교동부차고에서 칠보초등학교까지 운행했다. 2013년 7월 24일 신설되었으며, 2019년 5월 1일 수원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2번: 연무동에서 경기대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12-1번: 연무동에서 영통회차장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15번: 동탄신도시에서 서수원푸르지오까지 운행했으며, 2015년 12월 8일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5-1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역, 포스코까지 운행했으며, 2020년 3월 10일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7번: 수원여대에서 수원KT위즈파크·조원동까지 운행했다. 2015년 7월 29일 신설, 2016년 9월 1일 52번에 통합되었다.
- 18번: 광교동부차고에서 법원사거리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으나 2018년 11월 5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2014년 5월 27일 개통되었다.
- 22-1번: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남양 연구소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했다. 2016년 8월 17일 22번으로 통합되었다.
- 28번: 신영통에서 보정역까지 운행했으며, 2006년 폐선되었다.
- 29번: 연무동과 망포동, 권선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 35번: 조원동에서 경희대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35-1번: 조원동에서 신영통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36번: 이목동에서 동원고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으나 신원여객 부도 이후 철수했다.
- 37번: 경기대학교 입구에서 한국민속촌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1년 10월 25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38번: 연무동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39번: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5년 10월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했다.
- 40번: 파장동에서 영신여고까지 운행했다.
- 46-1번: 수원역에서 수원연화장까지 운행했다. 2016년 8월 17일 22번으로 통합되었다.[3]
- 47번: 2006년에는 이목동에서 영신여고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10년대에는 광교동부차고에서 수원역을 거쳐 화서역까지 운행했다. 2012년 2월부터 2014년 10월 1일까지 운행했으며, 개통 초기에는 병점까지, 이후에는 칠보 방면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 50-1번: 연무동에서 오목천동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노선)
- 52번: 광교동부차고에서 장안구청까지 운행했으며, 2017년 8월 23일 폐선되었다.
- 55번: 이목동차고지에서 오목천청구A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5년 10월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했다.
- 57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농수산물시장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13년 5월 15일부터 2015년 2월 10일까지 운행했다.
- 59번: 남부공영차고에서 동탄2차고지까지 운행했다. 2019년 12월 20일 4-1번에서 분할 신설되었고, 2020년 1월 8일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63번: 영통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배차)
- 64번: 영통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배차)
- 70번: 영통회차장(망포역)에서 광교산까지 운행 예정이었으나,[4] 개통되지 못했다.
- 78번: 곡반정동에서 이의동까지 운행했다.
- 80번: 동원고에서 칠보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82번: 곡반정동에서 팔달문을 거쳐 다시 곡반정동으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이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07년 초 폐선되었다.
- 83번: 곡반정동에서 팔달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14년 3월 5일 폐선되었다.[5]
- 83-3번: 곡반정동에서 수원역을 거쳐 다시 성빈센트병원까지 운행했다.
- 84번: 영통에서 칠보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85번: 연화장에서 아주대학교까지 운행했다. 2005년 11월 폐선되었으며, 2005년 중반까지는 탑동에서 아주대학교 입구를 거쳐 수원 연화장까지 운행했다.
- 86번: 칠보에서 우만동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 88-1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광교호수마을(휴먼시아32, 참누리)까지 운행했으며, 2022년 5월 17일부로 폐선되었다.
- 90번: 1기 노선은 파장동에서 터미널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2기 노선은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상현역(광교마을)까지 운행했다. 2016년 2월 1일부터 2017년 5월 12일까지 운행했다.
- 92-1번: 1기 노선은 경희대학교에서 동신아파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기 노선은 동탄신도시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1년 10월 25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96번: 곡반정동에서 파장동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
- 98번: 이목동차고지에서 한화꿈에그린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0년 3월 26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98-1번: 파장동에서 원천동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 99-1번: 동부차고에서 교통공원까지 운행했다. 2014년 11월 1일 8번과 통합되었고, 2014년 12월 26일 동탄차고-기산중 구간이 연장되었다. 2017년 10월 25일 폐선되었다.
- 106번: 한국아파트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다. 1996년 폐지되었으며, 신원여객 시절 노선이다.
- 113번: 1990년대에는 화서동에서 우만동까지 운행했으며, 1994년 5월 1일 도시형버스 2번에 통합되었다. 이후 신설된 113번은 신영통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114번: 화서동에서 우만동까지 운행했으며, 1994년 5월 1일 도시형버스 3번에 통합되었다.
- 115번: 조원동에서 수원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했으며,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118번: 경희대학교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했으며,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123A번: 경기도청에서 출발하여 수원역과 호매실을 거쳐 경기도청으로 돌아오는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했다.[6] 2017년 7월 1일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으며, 2022년 6월 30일 폐선되었다.[6]
- 123D번: 수원여자대학교입구에서 수원역까지 새벽 첫 차만 운행했으며, 123A번과 함께 폐선되었다.
- 201번: 원영화남아파트에서 광교테크노밸리까지 운행했다. 2018년 4월 23일 개통되었으며, 오산교통과 공동 배차했으나 2018년 10월 22일부터 오산교통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640번: 경희대에서 안양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배차)
## 일반좌석버스
용남고속은 과거 다양한 일반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였다.
- 110번: 영통지구에서 출발하여 수원역, 상록수역, 안산시청, 안산역을 거쳐 반월공업단지까지 운행하였다. 신원여객에서 노선을 인수받았으나, 이후 경원여객에 양도되었고, 수원역 - 선부동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333번: 영통동에서 출발하여 수원역, 수원종합운동장, 의왕시청, 관악역, 석수역, 구로공단역, 신대방역, 신림역을 거쳐 신림동까지 운행하였다. 삼경운수에서 노선을 받았으나 다시 이관 후 폐선되었다.
- 720번: 수원역에서 출발하여 경기도청, 아주대학교, 경기대학교 후문, 수지구청, 미금역, KT 본사, 야탑역을 지나 남한산성입구역까지 운행하였다. 1999년 1월 경기고속에 양도 후 같은 해 5월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오목천동에서 광교신도시로 단축되었으며, 오목천동 ~ 광교신도시 구간은 대체 노선인 도시형버스 730번이 재개통하였다. 이 노선은 경기교통, 용일여객, 남양여객과 공동 배차를 했다.
- 777번: 수원역에서 출발하여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의왕시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남태령역을 거쳐 사당역까지 운행하였다. 1995년 1월 27일 경일여객에서 노선을 인수받아 운행하다가 1996년 8월 5일 삼경운수로, 1997년 8월 12일 경진여객으로 이관 후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다.
## 직행좌석버스
용남고속은 여러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거나 운영했던 회사이다.
- 1007번: 수원역과 잠실역을 잇는 노선으로, 경기도청, 팔달문, 경기대학교 후문, 수서역, 가락시장역 등을 경유한다. 1997년 2월에 삼성여객에서 인계받아 운행하다가 2002년 12월 대원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1007-1번: 경희대학교와 잠실역을 잇는 노선으로, 신영통, 아주대학교,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서역 등을 경유한다. 2002년 12월 대원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1009번: 수원역과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화서역, 동남보건대학, 복정역, 장지역, 잠실역, 강변역 등을 경유한다. 2002년 12월 대원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1550-1번: 한신대학교와 양재시민의숲역을 잇는 노선으로, 병점역, 경희대학교,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했었다.
- 1550-3번: 동탄공영차고지와 양재시민의숲역을 잇는 노선으로, 메타폴리스,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560-1번: 동탄신도시와 양재시민의숲역을 잇는 노선으로, 한국민속촌,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는다.
- 2007번: 수원역과 단대오거리역을 잇는 노선으로,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모란역, 신흥역 등을 경유한다. 삼경운수로 노선을 이관했다.
- 3000번: 수원여대와 선바위역을 잇는 노선으로, 수원역, 경기도청, 장안문, 예술의 전당, 서초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3001번: 경희대학교와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신영통, 아주대학교, 양재시민의숲역 등을 경유한다. 2011년 6월 노선이 폐지되었으며, 이 노선은 5100번으로 대체되었다.
- 5100-1번: 경희대학교와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신영통, 아주대학교, 서울남부버스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2005년 2월 직행좌석버스 3001번과 노선 통합 이후 2011년 6월 최종 폐선되었다. 이 노선은 성산교통(경남여객)으로부터 양도 받았다.
- 8407번: 의왕시 고천동과 대화역을 잇는 노선으로, 범계역, 백석역, 마두역, 주엽역 등을 경유한다.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았으며, 2011년 2월 경원여객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8409번: 의왕시 고천동과 경기도 제2청사를 잇는 노선으로, 범계역, 장암역, 의정부역, 의정부버스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았으며, 2011년 2월 경기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굿모닝 급행버스
- ● G3007번: 선일초등학교.수원아이파크시티 -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 - 아주대학교 - 광교테크노밸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2층버스 운행을 하였으며, 2018년 1월 24일 신설되었다. 2018년 5월 직행좌석버스 3008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경진여객으로 이관된 M5443번은 능실마을21단지, 한양수자인파크원, 칠보마을, 서수원버스터미널을 거쳐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하여 서초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2019년 3월 12일에 개통되었으나, 2020년 12월 31일 운송 사업자가 변경되었다.
## 시외버스, 공항버스
용남고속은 과거 다양한 시외버스와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노선이 폐지되거나 다른 회사로 양도되었다.
- R7770번: 수원역 ~ 사당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1996년 삼경운수에 양도되었고, 이후 직행좌석버스 777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1997년에는 경진여객으로 양도되었다.
- R8318번: 천안 ~ 성환 ~ 평택 노선은 2013년 6월 1일 폐선되었다.
- R8323번: 성남 - 평택대학교 - 평택 - 남서울대학교 노선과 R8420번: 성남 - 오산 - 송탄 - 국제대학교 노선은 2015년 12월 대원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R8450번: 수원 - 고양 (백석) - 고양 (화정) 노선은 2021년 2월 15일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2024년 8월 1일 직행좌석 8450번으로 형간 전환될 예정이다.
- 수원 ~ 평택, 온양 ~ 천안 ~ 안양 노선은 2006년 1월 폐지되었다.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노선은 2011년 1월 폐지되었으며, 현재 간선급행버스 8800번이 대부분 구간을 대체 운행 중이다.
- 수원 ~ 구리 ~ 의정부 노선은 2011년 2월 폐지되었고, 현재 경기고속 경기순환버스 8409번이 전 구간을 대체 운행 중이다.
-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강남역 - 양재시민의숲역 노선은 2004년 4월 명진여객에서 받았으나, 2011년 3월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 군산 ~ 성남, 군산 ~ 평택 ~ 송탄 노선은 2010년 10월 금남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사당역 노선은 2012년 4월 직행좌석버스 5300-1번 개통으로 운행 중단되었다.
- 강화 ~ 김포국제공항 ~ 청주 노선은 2012년 9월 충북리무진으로 양도되었다.
- 성남 ~ 평택 노선은 2015년 12월 대원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안산 - 대전 노선(대원고속, 금남고속과 공동운행), 안산 - 상록수역 - 천안 노선(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운행)은 2020년 12월 1일 한양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안산 - 기지시 - 당진 - 서산 - 태안 노선(충남고속과 공동운행)은 2020년 5월 한양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안양 - 광명역 - 기지시 - 당진 - 서산 - 태안 노선(충남고속과 공동운행)은 한양고속으로 양도되었다.
공항버스의 경우, A4000번과 A4300-1번은 2018년 6월 3일 경기공항리무진버스에서 양수받았으나, 2020년 9월 15일부로 경기공항리무진으로 다시 이관되어 운행하고 있다.
4. 1. 도시형버스
용남고속은 과거 다양한 도시형버스 노선을 운영했다.- 1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신도시 반송고등학교까지 운행했다. 2010년 4월 운행을 시작하여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6년 3월 18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게 되었다.
- 2번: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이 있었다. 초기에는 화서동에서 우만동을 잇는 노선이었고, 이후 화서동에서 망포동까지 연장되었다. 3기 노선은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수원역을 거쳐 세류초등학교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다. 2015년 8월 18일 1번에 통합되었다.
- 2-2번: 남부공영차고에서 율전 화남아파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6년 3월 18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했다.
- 2-5번: 곡반정동에서 한양 수자인아파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다. 2012년 9월 5일 폐선되었다.
- 3번: 초기에는 조원동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했고, 이후 남부차고에서 삼환아파트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0년 3월 26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4번: 연무동에서 조원동을 잇는 노선이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4-1번: 남부공영차고에서 조원동 주공아파트까지 운행했다. 2019년 8월 7일 노선이 변경 및 연장되었으나, 2022년 1월 1일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4-2번: 대덕사에서 광교동부차고까지 운행했다. (2014-09-25 ~ 2015-03-23)
- 8번: 조원동 주공아파트에서 뉴코아아울렛까지 운행했다. 2011년 12월 1일 신설되었고, 2014년 4월 2일 신갈저수지-수원시청 구간으로 단축, 2014년 11월 1일 99-1번과 통합되었다.
- 9-2번: 광교동부차고에서 칠보초등학교까지 운행했다. 2013년 7월 24일 신설되었으며, 2019년 5월 1일 수원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2번: 연무동에서 경기대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12-1번: 연무동에서 영통회차장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15번: 동탄신도시에서 서수원푸르지오까지 운행했으며, 2015년 12월 8일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5-1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역, 포스코까지 운행했으며, 2020년 3월 10일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7번: 수원여대에서 수원KT위즈파크·조원동까지 운행했다. 2015년 7월 29일 신설, 2016년 9월 1일 52번에 통합되었다.
- 18번: 광교동부차고에서 법원사거리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으나 2018년 11월 5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2014년 5월 27일 개통되었다.
- 22-1번: 현대·기아차 남양 연구소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했다. 2016년 8월 17일 22번으로 통합되었다.
- 28번: 신영통에서 보정역까지 운행했으며, 2006년 폐선되었다.
- 29번: 연무동과 망포동, 권선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 35번: 조원동에서 경희대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35-1번: 조원동에서 신영통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36번: 이목동에서 동원고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으나 신원여객 부도 이후 철수했다.
- 37번: 경기대학교 입구에서 한국민속촌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1년 10월 25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38번: 연무동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39번: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5년 10월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했다.
- 40번: 파장동에서 영신여고까지 운행했다.
- 46-1번: 수원역에서 수원연화장까지 운행했다. 2016년 8월 17일 22번으로 통합되었다.[3]
- 47번: 2006년에는 이목동에서 영신여고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10년대에는 광교동부차고에서 수원역을 거쳐 화서역까지 운행했다. 2012년 2월부터 2014년 10월 1일까지 운행했으며, 개통 초기에는 병점까지, 이후에는 칠보 방면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 50-1번: 연무동에서 오목천동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노선)
- 52번: 광교동부차고에서 장안구청까지 운행했으며, 2017년 8월 23일 폐선되었다.
- 55번: 이목동차고지에서 오목천청구A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15년 10월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했다.
- 57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농수산물시장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13년 5월 15일부터 2015년 2월 10일까지 운행했다.
- 59번: 남부공영차고에서 동탄2차고지까지 운행했다. 2019년 12월 20일 4-1번에서 분할 신설되었고, 2020년 1월 8일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63번: 영통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배차)
- 64번: 영통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배차)
- 70번: 영통회차장(망포역)에서 광교산까지 운행 예정이었으나,[4] 개통되지 못했다.
- 78번: 곡반정동에서 이의동까지 운행했다.
- 80번: 동원고에서 칠보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82번: 곡반정동에서 팔달문을 거쳐 다시 곡반정동으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이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07년 초 폐선되었다.
- 83번: 곡반정동에서 팔달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014년 3월 5일 폐선되었다.[5]
- 83-3번: 곡반정동에서 수원역을 거쳐 다시 성빈센트병원까지 운행했다.
- 84번: 영통에서 칠보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 85번: 연화장에서 아주대학교까지 운행했다. 2005년 11월 폐선되었으며, 2005년 중반까지는 탑동에서 아주대학교 입구를 거쳐 수원 연화장까지 운행했다.
- 86번: 칠보에서 우만동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 88-1번: 수원여자대학교에서 광교호수마을(휴먼시아32, 참누리)까지 운행했으며, 2022년 5월 17일부로 폐선되었다.
- 90번: 1기 노선은 파장동에서 터미널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2기 노선은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상현역(광교마을)까지 운행했다. 2016년 2월 1일부터 2017년 5월 12일까지 운행했다.
- 92-1번: 1기 노선은 경희대학교에서 동신아파트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2기 노선은 동탄신도시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1년 10월 25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96번: 곡반정동에서 파장동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
- 98번: 이목동차고지에서 한화꿈에그린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했으나 2020년 3월 26일부터 수원여객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98-1번: 파장동에서 원천동까지 운행했으며, 수원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 99-1번: 동부차고에서 교통공원까지 운행했다. 2014년 11월 1일 8번과 통합되었고, 2014년 12월 26일 동탄차고-기산중 구간이 연장되었다. 2017년 10월 25일 폐선되었다.
- 106번: 한국아파트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다. 1996년 폐지되었으며, 신원여객 시절 노선이다.
- 113번: 1990년대에는 화서동에서 우만동까지 운행했으며, 1994년 5월 1일 도시형버스 2번에 통합되었다. 이후 신설된 113번은 신영통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114번: 화서동에서 우만동까지 운행했으며, 1994년 5월 1일 도시형버스 3번에 통합되었다.
- 115번: 조원동에서 수원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했으며,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118번: 경희대학교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했으며, 신원여객 부도와 함께 운행이 중지, 폐선되었다.
- 123A번: 경기도청에서 출발하여 수원역과 호매실을 거쳐 경기도청으로 돌아오는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했다.[6] 2017년 7월 1일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으며, 2022년 6월 30일 폐선되었다.[6]
- 123D번: 수원여자대학교입구에서 수원역까지 새벽 첫 차만 운행했으며, 123A번과 함께 폐선되었다.
- 201번: 원영화남아파트에서 광교테크노밸리까지 운행했다. 2018년 4월 23일 개통되었으며, 오산교통과 공동 배차했으나 2018년 10월 22일부터 오산교통이 단독 운행하고 있다.
- 640번: 경희대에서 안양까지 운행했다. (신원여객 시절 노선, 수원여객과 공동배차)
4. 2. 일반좌석버스
용남고속은 과거 다양한 일반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였다.- 110번: 영통지구에서 출발하여 수원역, 상록수역, 안산시청, 안산역을 거쳐 반월공업단지까지 운행하였다. 신원여객에서 노선을 인수받았으나, 이후 경원여객에 양도되었고, 수원역 - 선부동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333번: 영통동에서 출발하여 수원역, 수원종합운동장, 의왕시청, 관악역, 석수역, 구로공단역, 신대방역, 신림역을 거쳐 신림동까지 운행하였다. 삼경운수에서 노선을 받았으나 다시 이관 후 폐선되었다.
- 720번: 수원역에서 출발하여 경기도청, 아주대학교, 경기대학교 후문, 수지구청, 미금역, KT 본사, 야탑역을 지나 남한산성입구역까지 운행하였다. 1999년 1월 경기고속에 양도 후 같은 해 5월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오목천동에서 광교신도시로 단축되었으며, 오목천동 ~ 광교신도시 구간은 대체 노선인 도시형버스 730번이 재개통하였다. 이 노선은 경기교통, 용일여객, 남양여객과 공동 배차를 했다.
- 777번: 수원역에서 출발하여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의왕시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남태령역을 거쳐 사당역까지 운행하였다. 1995년 1월 27일 경일여객에서 노선을 인수받아 운행하다가 1996년 8월 5일 삼경운수로, 1997년 8월 12일 경진여객으로 이관 후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다.
4. 3. 직행좌석버스
용남고속은 여러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거나 운영했던 회사이다.- 1007번: 수원역과 잠실역을 잇는 노선으로, 경기도청, 팔달문, 경기대학교 후문, 수서역, 가락시장역 등을 경유한다. 1997년 2월에 삼성여객에서 인계받아 운행하다가 2002년 12월 대원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1007-1번: 경희대학교와 잠실역을 잇는 노선으로, 신영통, 아주대학교,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서역 등을 경유한다. 2002년 12월 대원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1009번: 수원역과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화서역, 동남보건대학, 복정역, 장지역, 잠실역, 강변역 등을 경유한다. 2002년 12월 대원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1550-1번: 한신대학교와 양재시민의숲역을 잇는 노선으로, 병점역, 경희대학교,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했었다.
- 1550-3번: 동탄공영차고지와 양재시민의숲역을 잇는 노선으로, 메타폴리스,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560-1번: 동탄신도시와 양재시민의숲역을 잇는 노선으로, 한국민속촌,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는다.
- 2007번: 수원역과 단대오거리역을 잇는 노선으로,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모란역, 신흥역 등을 경유한다. 삼경운수로 노선을 이관했다.
- 3000번: 수원여대와 선바위역을 잇는 노선으로, 수원역, 경기도청, 장안문, 예술의 전당, 서초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2017년 1월 24일 경진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3001번: 경희대학교와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신영통, 아주대학교, 양재시민의숲역 등을 경유한다. 2011년 6월 노선이 폐지되었으며, 이 노선은 5100번으로 대체되었다.
- 5100-1번: 경희대학교와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신영통, 아주대학교, 서울남부버스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2005년 2월 직행좌석버스 3001번과 노선 통합 이후 2011년 6월 최종 폐선되었다. 이 노선은 성산교통(경남여객)으로부터 양도 받았다.
- 8407번: 의왕시 고천동과 대화역을 잇는 노선으로, 범계역, 백석역, 마두역, 주엽역 등을 경유한다.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았으며, 2011년 2월 경원여객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 8409번: 의왕시 고천동과 경기도 제2청사를 잇는 노선으로, 범계역, 장암역, 의정부역, 의정부버스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수원시 구간은 영업 운행 하지 않았으며, 2011년 2월 경기고속으로 노선을 양도했다.
4. 4. 굿모닝 급행버스
- ● G3007번: 선일초등학교.수원아이파크시티 -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 - 아주대학교 - 광교테크노밸리 - 동수원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 신갈 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 반포 나들목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2층버스 운행을 하였으며, 2018년 1월 24일 신설되었다. 2018년 5월 직행좌석버스 3008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4. 5.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경진여객으로 이관된 M5443번은 능실마을21단지, 한양수자인파크원, 칠보마을, 서수원버스터미널을 거쳐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하여 서초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2019년 3월 12일에 개통되었으나, 2020년 12월 31일 운송 사업자가 변경되었다.4. 6. 시외버스, 공항버스
용남고속은 과거 다양한 시외버스와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노선이 폐지되거나 다른 회사로 양도되었다.- R7770번: 수원역 ~ 사당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1996년 삼경운수에 양도되었고, 이후 직행좌석버스 777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1997년에는 경진여객으로 양도되었다.
- R8318번: 천안 ~ 성환 ~ 평택 노선은 2013년 6월 1일 폐선되었다.
- R8323번: 성남 - 평택대학교 - 평택 - 남서울대학교 노선과 R8420번: 성남 - 오산 - 송탄 - 국제대학교 노선은 2015년 12월 대원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R8450번: 수원 - 고양 (백석) - 고양 (화정) 노선은 2021년 2월 15일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2024년 8월 1일 직행좌석 8450번으로 형간 전환될 예정이다.
- 수원 ~ 평택, 온양 ~ 천안 ~ 안양 노선은 2006년 1월 폐지되었다.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노선은 2011년 1월 폐지되었으며, 현재 간선급행버스 8800번이 대부분 구간을 대체 운행 중이다.
- 수원 ~ 구리 ~ 의정부 노선은 2011년 2월 폐지되었고, 현재 경기고속 경기순환버스 8409번이 전 구간을 대체 운행 중이다.
-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강남역 - 양재시민의숲역 노선은 2004년 4월 명진여객에서 받았으나, 2011년 3월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 군산 ~ 성남, 군산 ~ 평택 ~ 송탄 노선은 2010년 10월 금남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사당역 노선은 2012년 4월 직행좌석버스 5300-1번 개통으로 운행 중단되었다.
- 강화 ~ 김포국제공항 ~ 청주 노선은 2012년 9월 충북리무진으로 양도되었다.
- 성남 ~ 평택 노선은 2015년 12월 대원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안산 - 대전 노선(대원고속, 금남고속과 공동운행), 안산 - 상록수역 - 천안 노선(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운행)은 2020년 12월 1일 한양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안산 - 기지시 - 당진 - 서산 - 태안 노선(충남고속과 공동운행)은 2020년 5월 한양고속으로 양도되었다.
- 안양 - 광명역 - 기지시 - 당진 - 서산 - 태안 노선(충남고속과 공동운행)은 한양고속으로 양도되었다.
공항버스의 경우, A4000번과 A4300-1번은 2018년 6월 3일 경기공항리무진버스에서 양수받았으나, 2020년 9월 15일부로 경기공항리무진으로 다시 이관되어 운행하고 있다.
5. 사업장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88 (오목천동)에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그 밖에 신갈, 동탄, 영통, 이목동, 경희대학교, 오산 등지에 시내 영업소를 두고 있다. 온양, 수원, 동서울, 안산, 안양, 천안, 평택, 신갈, 동탄, 경희대학교, 오산 등지에는 시외 영업소를 두고 있다. 용남고속, 용남고속버스라인, 용남공항리무진 본점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88 (오목천동)에 위치한다. 용남고속 학원지점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매송고색로506번길 18 (오목천동)에, 용남고속버스라인 수원지점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88 (오목천동)에 있다.
6. 보유 차량
용남고속은 기아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기아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션샤인,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블루시티,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더블데커,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EX, BYD eBus-11, BYD eBus-12, 하이거 하이퍼스 1611P,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를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문서
동서울에서는 지정좌석제 운영으로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3]
문서
초기 노선: 연무동 - 팔달문 - 수원역 - 오목천동 - 수원대 - 보통리
[4]
뉴스
수원시, 道 최초 하이브리드 버스 5대 도입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4-02-20
[5]
문서
이전에 82번과 유사한 노선으로, 팔달문 순환 구간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였다. 2006년 11월경 권선시장 경유를 폐지하고 직선화하였으며, 2010년 12월 8일에 팔달문 순환 구간을 폐지하였다.
[6]
웹사이트
따복버스가 달린다! 따복버스~ 이제 수원에서 만나요~
http://www.gg.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