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팰리세이드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대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이다. 2018년 로스앤젤레스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어, 2018년 12월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센슈어스 스포티니스'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여 대형 캐스케이드 그릴과 분리형 헤드램프가 특징이다. 1세대 모델은 2.2L 디젤 및 3.8L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2022년 부분 변경 모델 출시 이후, 2024년 12월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2세대 모델은 2.5L 가솔린 터보, 2.5L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하며, 5/7/9인승 모델을 제공한다. 북미, 호주,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도 판매되고 있으며, 경쟁 차종으로는 기아 모하비, 텔루라이드, 쉐보레 트래버스 등이 있다. 차명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해변인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18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넥쏘 현대 넥쏘는 현대자동차에서 2018년 출시한 수소 연료 전지 SUV로, 1회 충전으로 최대 630km 주행이 가능하며 첨단 공기 정화 시스템과 운전 보조 시스템을 갖추고 안전성도 인정받았다.
2018년 도입된 자동차 - 혼다 인사이트 혼다 인사이트는 혼다에서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세 번의 세대를 거치며 각 세대별로 독특한 특징과 디자인을 가진 뛰어난 연비와 친환경성을 목표로 개발된 차량이다.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팰리세이드는 2018년 로스앤젤레스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8]2018년12월 11일,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다.[60]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인 '센슈어스 스포티니스'가 반영되어 대형 캐스케이드 그릴과 분리형 헤드램프가 특징이다.
한국 시장에서는 202ps의 2.2L 직렬 4기통 디젤과 295ps의 3.8L V형 6기통 GDi 2종이 준비되며, 모두 버튼식 8단 AT가 조합된다. 북미 사양은 DRL(주간 주행등)이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된 특징적인 전면 마스크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 사양은 한국 규정에 따라 상단 DRL과 하단 DRL 사이를 잇도록 그 사이에 작은 램프가 존재하며, 3등식 LED 램프를 채용하고 있다. 현대차의 패밀리룩인 육각형 모양의 "캐스케이딩 그릴"이 채용되었다. 수직 형태의 테일 램프가 채용되었으며, 그 옆에는 LED 램프를 통합한 크롬 장식을 배치했다.
내장 역시 최근 현대차 각 차종과 공통되는 수평형 레이아웃을 채용했다. 중앙에는 10.25인치 크기의 대형 터치 스크린이 위치해 있으며, 대시보드에는 우드 그레인과 인조 가죽을 사용했다. 현대 SUV 라인업이 내세우는 "브리지 타입 센터 콘솔"이 채용되었으며, 버튼식 변속기 탑재로 실내 공간의 넓이를 연출했다.
2. 1. 팰리세이드 (2018년 12월 11일~2022년 5월 19일)
현대 팰리세이드 전측면
현대 팰리세이드 후측면
현대 팰리세이드 익스클루시브
현대 팰리세이드 프레스티지
현대 팰리세이드 캘리그래피
2018년 11월 LA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67] 대한민국 내수형 모델은 대한민국 자동차 법규에 따라 주간주행등(DRL) 디자인에 차이가 있으며, 하단 헤드램프에 3개의 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2.2리터 커먼레일 디젤 엔진과 V6 3.8리터 앳킨슨 사이클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이 제공되며, 8단 자동변속기와 전자식 변속버튼(SBW)이 탑재된다. 4륜구동 모델에는 전자식 AWD 시스템인 HTRAC과 함께 험로 주행 모드(SNOW, MUD, SAND)가 적용되어 주행 성능을 향상시켰다.[67]
실내는 7인치 컬러 LCD 클러스터와 10.25인치 내비게이션, 브리지 타입 콘솔 등으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나파가죽 시트, KRELL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12 스피커), 운전석 자세 메모리 시스템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이 제공된다.
2022년4월 13일, 2022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최초 공개된 후,[68][69]5월 19일 대한민국에서 더 뉴 팰리세이드가 정식 출시되었다.[70] 1세대 팰리세이드의 첫 부분변경 모델이다.
전면부의 캐스케이드 그릴은 파라메트릭 실드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넓이와 크기가 확장됐다. 그릴과 헤드램프, 주간주행등까지 하나로 이어지는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수직으로 연결된 주간주행등은 두껍게 다듬어 차량의 바깥쪽으로 배치했다. 측면의 전장은 기존 모델보다 15mm 길어졌으며, 18인치/20인치 알로이 휠에 신규 디자인이 적용됐다. 후면부는 스키드 플레이트와 트레일러 히치 덮개가 확장 적용됐다. 차량 내부에는 12.3인치 디스플레이를 기본 적용하고, 에어컨과 히터 등 공조 기능의 조작을 터치 방식으로 전환했다.[70] 또한 흡음재 두께 증대를 통해 실내 정숙성을 확보했으며, 충격 흡수 장치 개선으로 고속주행시 진동을 최소화했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 후방 주차 충돌 방지 보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등의 기술이 개선 및 추가 적용되었으며, 디지털 키 2 터치 기술이 신규 탑재됐다. 외장컬러는 어비스블랙펄, 쉐머링 실버 메탈릭, 문라이트 블루 펄, 가이아 브라운 펄, 그라파이트 그레이 메탈릭, 크리미 화이트 펄, 로버스트 에메랄드 펄(캘리그래피 등급 전용)이 있다.
2세대 팰리세이드는 당초 예상보다 양산 시기가 앞당겨져 2024년 12월에 양산이 시작되었다.[71] 파워트레인 라인업에 큰 변화가 있었는데, 기존의 2.2리터 디젤 엔진은 단종되고, 세타3 2.5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또한, 기존의 V6 3.8리터 가솔린 엔진은 V6 3.5리터 엔진으로 대체될 예정이며, 현대 싼타페에 적용된 세타3 2.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도 추가될 예정이다. 승차 정원은 기존의 5/7인승 외에 9인승이 추가되어, 단종된 현대 트라제 XG의 역할을 계승한다. 2세대 팰리세이드는 유럽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며, 북미 시장보다 먼저 출시될 예정이다.[71]
구분
가솔린 2.5 T
2.5 T 하이브리드
전장(mm)
5,060
전폭(mm)
1,980
전고(mm)
1,805
축거(mm)
2,970
윤거(전, mm)
1,711
윤거(후, mm)
1,723
엔진 형식
Smartstream G2.5T
Smartstream G2.5T 하이브리드
연료탱크용량(ℓ)
72
배기량(cc)
2,497
최고 출력(ps/rpm)
281 / 5,800
262 / 5,800
최대 토크(kg*m/rpm)
43.0 / 1,700~4,000
36.0 / 1,800~4,500
모델
연식
변속기
출력
토크
0–100 km/h (공식)
최고 속도
가솔린
스마트스트림 G2.5 T-GDi
2024–현재
8단 자동변속기
281 PS @ 5,800 rpm
43 kgf·m @ 1,700–4,000 rpm
하이브리드
스마트스트림 G2.5 T-GDi 하이브리드
2025–현재
6단 자동변속기
334 PS @ 5,800 rpm
3. 1. 디 올 뉴 팰리세이드 (LX3, 2024년 12월~현재)
2024년12월로 양산 시기가 앞당겨졌다.[71] 세타3 2.5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이 신규 적용되고, 기존 2.2리터 디젤 엔진은 단종될 예정이다. V6 3.8리터 가솔린 엔진은 V6 3.5리터 엔진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현대 싼타페에 장착되는 세타3 2.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도 추가될 예정이다. 승차 정원은 기존의 5/7인승 외에 9인승이 추가되어, 단종된 현대 트라제 XG의 역할도 계승한다. 유럽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며, 북미 시장보다 먼저 출시될 예정이다.[71]
3. 1. 1. 제원
wikitable
구분
가솔린 2.5 T
2.5 T 하이브리드
전장(mm)
5,060
전폭(mm)
1,980
전고(mm)
1,805
축거(mm)
2,970
윤거(전, mm)
1,711
윤거(후, mm)
1,723
엔진 형식
Smartstream G2.5T
Smartstream G2.5T 하이브리드
연료탱크용량(ℓ)
72
배기량(cc)
2,497
최고 출력(ps/rpm)
281 / 5,800
262 / 5,800
최대 토크(kg*m/rpm)
43.0 / 1,700~4,000
36.0 / 1,800~4,500
모델
연식
변속기
출력
토크
0–100 km/h (공식)
최고 속도
가솔린
스마트스트림 G2.5 T-GDi
2024–현재
8단 자동변속기
281 PS @ 5,800 rpm
43 kgf·m @ 1,700–4,000 rpm
하이브리드
스마트스트림 G2.5 T-GDi 하이브리드
2025–현재
6단 자동변속기
334 PS @ 5,800 rpm
4. 해외 시장
현대 팰리세이드는 북미, 호주,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각 시장의 특성에 맞춰 엔진 라인업, 편의 사양, 트림 구성 등에 차이가 있다.
'''북미 시장'''
현대 팰리세이드는 2019년 여름부터 북미 시장에서 판매가 시작되었다.[14] 아이들 스톱 앤 고(ISG)가 적용된 3.8리터 앳킨슨 사이클 V6 엔진이 탑재된다.[14] 트림은 SE, SEL, Limited, 그리고 2021년형부터 추가된 최상위 트림인 Calligraphy 등으로 구성된다.
현대 팰리세이드는 2020년 12월 호주 시장에 출시되었다.[19][20] 우측 핸들 모델이 확정된 이후 출시되었으며, 3.8리터 V6 가솔린 전륜구동 또는 2.2리터 터보 디젤 사륜구동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21] 출시 당시 하이랜더 트림은 7인승 또는 8인승, 기본 트림은 8인승으로 제공되었다.
2021년 8월에는 기본 트림과 하이랜더 트림 사이에 위치하는 엘리트 트림이 추가되었다.[22] 2022년 8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면서 기본 트림이 단종되고, 하이랜더 트림은 캘리그래피 트림으로 대체되었다.[23][24] 캘리그래피 트림은 블랙 잉크 스타일링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24]
'''러시아 시장'''
팰리세이드는 2020년 12월 러시아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과 3.5리터 V6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25] 이 차량은 칼리닌그라드의 아브토토르(Avtotor) 공장에서 현지 조립되었다.[13]
'''동남아시아 시장'''
현대 팰리세이드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각 국가별로 엔진 라인업과 트림 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필리핀에서는 2019년 4월에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과 7인승 구성의 단일 트림으로 처음 출시되었다.[17] 2023년 1월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나, 특별 주문으로만 구매할 수 있다.[18]
인도네시아에서는 2020년 12월에 공개된 후 2021년 1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26] 프라임 및 시그니처 트림으로 제공되며, 시그니처 트림에만 사륜구동이 제공된다. 모든 모델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26] 2022년 7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27]
싱가포르에서는 2021년 4월 30일에 8인승 단일 트림으로 출시되었으며, 3.5리터 V6 가솔린 엔진을 사용한다.[28] 2023년 1월에는 7인승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29]
말레이시아 시장에는 2021년 12월 16일에 7인승 및 8인승 구성과 두 가지 엔진 옵션을 제공하는 럭스(Luxe) 및 이그제큐티브(Exec) 트림으로 출시되었다.[32] 3.8리터 V6 가솔린 전륜구동(럭스) 또는 2.2리터 터보 디젤 사륜구동(이그제큐티브)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다.[32] 2023년 1월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이전 모델과 동일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한다.[33]
베트남에서는 2023년 9월 15일, 닌빈(Ninh Bình)에 위치한 HTMV 공장에서 현지 조립 모델로 출시되었다.[34] 6인승 및 7인승 구성의 Exclusive 및 Prestige 트림으로 제공되며, 모든 트림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34]
태국에서는 2024년 11월 8일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35][36] 베트남에서 수입되며, Exclusive 2WD 및 Prestige AWD 트림 레벨로 제공된다. 모든 모델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35][36]
4. 1. 북미 시장
현대 팰리세이드는 2019년 여름부터 북미 시장에서 판매가 시작되었다.[14] 아이들 스톱 앤 고(ISG)가 적용된 3.8리터 앳킨슨 사이클 V6 엔진이 탑재된다.[14] 트림은 SE, SEL, Limited, 그리고 2021년형부터 추가된 최상위 트림인 Calligraphy 등으로 구성된다.
연도
미국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2019년
28,736
52,299
2020년
82,661
64,791
2021년
86,539
52,338
1,442
4. 2. 호주 시장
현대 팰리세이드는 2020년 12월 호주 시장에 출시되었다.[19][20] 우측 핸들 모델이 확정된 이후 출시되었으며, 3.8리터 V6 가솔린 전륜구동 또는 2.2리터 터보 디젤 사륜구동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21] 출시 당시 하이랜더 트림은 7인승 또는 8인승, 기본 트림은 8인승으로 제공되었다.
2021년 8월에는 기본 트림과 하이랜더 트림 사이에 위치하는 엘리트 트림이 추가되었다.[22] 2022년 8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면서 기본 트림이 단종되고, 하이랜더 트림은 캘리그래피 트림으로 대체되었다.[23][24] 캘리그래피 트림은 블랙 잉크 스타일링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24]
4. 3. 러시아 시장
팰리세이드는 2020년 12월 러시아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과 3.5리터 V6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25] 이 차량은 칼리닌그라드의 아브토토르(Avtotor) 공장에서 현지 조립되었다.[13]
4. 4. 동남아시아 시장
현대 팰리세이드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각 국가별로 엔진 라인업과 트림 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필리핀에서는 2019년 4월에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과 7인승 구성의 단일 트림으로 처음 출시되었다.[17] 2023년 1월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나, 특별 주문으로만 구매할 수 있다.[18]
인도네시아에서는 2020년 12월에 공개된 후 2021년 1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26] 프라임 및 시그니처 트림으로 제공되며, 시그니처 트림에만 사륜구동이 제공된다. 모든 모델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26] 2022년 7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27]
싱가포르에서는 2021년 4월 30일에 8인승 단일 트림으로 출시되었으며, 3.5리터 V6 가솔린 엔진을 사용한다.[28] 2023년 1월에는 7인승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29]
말레이시아 시장에는 2021년 12월 16일에 7인승 및 8인승 구성과 두 가지 엔진 옵션을 제공하는 럭스(Luxe) 및 이그제큐티브(Exec) 트림으로 출시되었다.[32] 3.8리터 V6 가솔린 전륜구동(럭스) 또는 2.2리터 터보 디젤 사륜구동(이그제큐티브)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다.[32] 2023년 1월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이전 모델과 동일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한다.[33]
베트남에서는 2023년 9월 15일, 닌빈(Ninh Bình)에 위치한 HTMV 공장에서 현지 조립 모델로 출시되었다.[34] 6인승 및 7인승 구성의 Exclusive 및 Prestige 트림으로 제공되며, 모든 트림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34]
태국에서는 2024년 11월 8일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35][36] 베트남에서 수입되며, Exclusive 2WD 및 Prestige AWD 트림 레벨로 제공된다. 모든 모델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35][36]
5. 경쟁 차종
기아자동차에서는 모하비, 텔루라이드, EV9를 생산하고, 쉐보레에서는 트래버스를 생산한다. 쌍용자동차에서는 올 뉴 렉스턴을 생산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