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F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FB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전방 엔진-후륜 구동 방식의 대형 버스이다. 1982년 FB485 모델을 시작으로 1986년 FB500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대우 BF, 아시아 AM907과 경쟁했다. FB485는 현대 HD170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로, 대우중공업의 엔진을 사용했고, FB500은 RB520의 차체 디자인을 기반으로 미쓰비시 엔진을 탑재했다. 1992년 현대 에어로시티에 통합되면서 단종되었으며, FB500은 총 12,458대가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도입된 자동차 - 미쓰비시 파제로
    미쓰비시 파제로는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1982년부터 2021년까지 생산한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로, 다카르 랠리에서 12번의 우승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4세대에 걸쳐 발전했다.
  • 1982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마치
    닛산 마치는 1982년 출시된 닛산의 소형 해치백 자동차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디자인과 파생 모델을 선보였고, 2세대 모델은 '올해의 차'를 수상하는 등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춰왔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현대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FB - [자동차]에 관한 문서
현대 FB
라오스에 있는 현대 FB500
제조사현대자동차
생산 기간전 세계
차종후륜구동 차량
플랫폼미쓰비시 후소 FK/FM/FG 버스 섀시
차체 형태버스
변속기현대/미쓰비시 (수동)
관련 차종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
디자이너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

2. 특징

전형적인 전방 엔진-후륜 구동(FR) 방식의 버스이다. 1982년 최초 모델(FB485)이 생산되었고, 1986년 풀 모델 체인지된 FB500이 출시되었다. 1992년 단종될 때까지 페이스리프트 없이 생산되었다. 주요 경쟁 차종은 대우 BF와 AM907이다.[1]

전방 엔진 차량 특성상 바닥 높이가 1m 정도로 높고, 전후 높이가 일정하다. 냉방 장치는 옵션으로 제공되었으며, 후방에 서브 엔진 타입으로 장착되었다.[1] 엔진은 FB485에는 대우중공업(현 두산인프라코어)의 D0846HM/V, FB500에는 미쓰비시의 D6BR 엔진이 장착되었다. 변속기는 기본적으로 전진 5단, 후진 1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었고, 옵션으로 전진 6단, 후진 1단의 ZF 수동변속기를 장착할 수 있었다. 서스펜션은 리프 서스펜션(판스프링)을 사용하였다.

3. 모델

현대 FB는 FB485와 FB500 두 가지 모델로 나뉜다.


  • FB485: 1982년 1월에 출시된 10.1미터급 대형 버스로, 휠베이스[2]가 4.85m인 것에서 모델명이 유래되었다. 1986년 2월 FB500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FB500: 1986년 2월에 FB485의 후속 모델로 출시된 10.2미터급 대형 버스이다. 휠베이스[2]가 5m인 것에서 모델명이 유래되었다. 1992년에 에어로시티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


두 모델 모두 대우 BF, 아시아자동차 AM907, 아시아 코스모스 등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

3. 1. FB485

FB485는 10.1미터급 대형 버스로, 모델명은 휠베이스[2]가 4.85m인 것에서 유래하였다. 1982년 1월HD170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로 출시되었다. 외형은 포드의 섀시와 바디를 응용한 HD170에서 일부 수정되었으나, 제동장치가 유압식에서 공기식으로 변경되고 운전석 계기반이 개선되었다. 엔진은 대우중공업(현 두산인프라코어)과 MAN사의 기술제휴로 만든 D0846HM(7,255cc급) 엔진을 사용하였다.

1983년 8월부터 슬라이딩형 중문이 옵션으로 채용되었고 하차벨이 추가되었다. 1985년 중반 전문 위의 빗물받이가 RB520/520L과 같은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1986년 2월 FB500 출시로 단종되었다. 실내 색상 및 시내버스형 실내 천장의 둥근 손잡이는 아이보리색 계열의 흰색이었다. 아시아, 일본, 북한, 중국, 타이완식 전후륜휠 6홀 8핀 형식이다.

주로 대도시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서울, 부산, 대구 등에서 시내버스로 많이 도입되었다. 중소도시와 농어촌 지역에도 일부 이용되었다. 국방부와 치안본부(현 경찰청)에 공식 납품되어 병력/경력 수송버스로도 이용되었다. 서울, 부산 등에서 시내좌석버스로 많이 이용되었고, 자가용은 1990년대 초중반까지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경쟁 차종인 새한(대우) BF101보다 판매량은 적었으나, HD160/170보다 판매량이 증가하여 현대 버스 인기의 초석을 놓았다. 대차 시기는 1980년대 후반(조기 대차)부터 1995년 초반까지 다양하다.

3. 2. FB500

FB500은 전장 10.2미터급 대형 버스이다. 모델명은 휠베이스[2]가 5m인 데서 유래하였다. 1986년 2월 FB485의 후속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1992년에어로시티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면서 현대의 대형 전방엔진 버스는 생산을 종료하였다.

외형은 동시대 동종 리어엔진버스인 RB520의 차체 디자인을 응용하였고, 엔진은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에서 도입하여 만든 D6BR(6기통 7,545cc급) 엔진을 사용하였다. 시내버스형 및 경찰납품용 모델과 자가용/직행형 및 군납용 모델의 엔진 출력과 미션을 다르게 적용하여 서로 성능 및 용도를 차별화하였다.[4] 측면 창문 배열 및 실내 색상도 차별화하여 시내버스형 및 경찰 납품형 모델은 측면 5칸 형식의 창문에 실내 및 시내버스형의 실내 천장 둥근 손잡이는 회색을 띄고 있었다. 단, 경찰 납품형은 실내 색상이 아이보리색 계열의 흰색을 띄고 있었다. 자가용/직행형 및 군납용 모델은 측면 5칸 창문에 후부 끝에 작은 크기의 개방형 창문이 1개 더 있었고 실내 색상이 아이보리색 계열의 흰색을 띄고 있었다. 현대 FB500은 전후륜휠 6홀 8핀 형식이다.

1986년 2월 현대 FB500 형식은 시내형 도시형버스/시내형 농어촌형버스/시내형 시내마을형버스/시내형 시내순환형버스/시내좌석형 시내 직행 좌석형 버스/시외형 시외완행버스형의 전중문형과 현대 FB500 관광버스/자가용버스/시외형 시외직행버스형의 전문형이 있었다. 1990년에 후면부 차량번호판 등이 기존의 번호판 위에 1개 있는 형식에서 번호판 양 옆으로 2개 있는 형식으로 변경되고 1991년에 신형 리어엔진 시내버스인 에어로시티 출시 이후 도시형/농어촌형의 하차벨/슬라이딩 중문창틀이 그것과 같은 형식을 적용하였다.

1987년부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에서는 프론트 엔진 차량의 도입이 금지됨에 따라 시내버스로 도입되지 못하였고, 지방의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시내버스, 마을버스, 순환버스로 많이 이용되었다. 시내버스 슬라이딩중문차량은 주로 중도시와 울산광역시에서 많이 이용되었으며, 소도시와 농어촌지역은 주로 시내버스 폴딩중문차량을 많이 이용하였다. 국방부와 치안본부(현 경찰청)에 공식 납품되어 병력/경력 수송버스로도 많이 이용되었다.

당시 프론트엔진 버스가 퇴조기에 있었기 때문에 자가용 모델의 판매는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대차시기의 경우 도시/농어촌 승합형은 1993년부터 대차가 이루어지다가 1990년대 중후반에는 마을버스 양산시 원동면 노선과 시내버스로 가장 많이 운행한 울산광역시에 그나마 많이 남아 있었으며 울산광역시에 있던 버스들도 2001년을 끝으로 운행을 종료하였다.

현재는 대한민국 내에서는 아주 적은 양이 생존하고 있으며, 다수의 차량이 주로 미얀마, 라오스로 팔려나갔다. 총 생산량은 12,458량이다.

4. 모델 컨셉 (영문판 추가 내용)

FB 버스 및 코치 섀시는 현대자동차의 상업용 차량 자회사인 Thames의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엔진은 차량 전면에 장착되었으며, 앞바퀴 구동 전면 및 후면 차축 앞에 위치했다.[1]

초기 현대 FB485 및 FB500 모델은 이후 지속적인 개선 프로그램의 기준 차량이 되었다. 1986년에는 전방 엔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FB485 및 FB500을 대체할 새로운 모델이 개발되었다. 신형 차량의 바닥 높이는 낮아졌으며, 이를 위해 과급 디젤 엔진이 한쪽으로 기울어졌다.[1]

참조

[1] 문서 냉방기 가동용 엔진은 현대 그레이스, 현대 포터, 현대 갤로퍼 등에 사용된 미쓰비시 D4BX 엔진을 사용하였다.
[2] 문서 전후 차축간 거리를 말한다.
[3] 뉴스 http://newslibrary.n[...] 1983-08-04
[4] 문서 당시 현대 FB500 카탈로그에 의하면, 시내버스형 및 경찰납품용은 185마력에 5단 미션을 적용하여 연비 중심으로 세팅하였고(최고시속 85km/h), 자가용/직행형 및 군납용은 190마력에 6단 미션을 적용하여 성능 중심으로 세팅하였다(최고시속 105km/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