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풍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풍군은 신라 시대 추량화현 등으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에 포산현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현풍현으로 개칭되어 17개 면을 관할했다. 1895년 현풍현은 군으로 승격되어 대구부에 속했고, 1896년 경상북도 현풍군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14년 대구부 외곽지와 통합되어 달성군으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성군 - 유가읍
    유가읍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한 읍으로, 2018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3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유곡리공영차고지를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해 있으며 대구유가초등학교와 유가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달성군 - 화원읍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화원읍은 6개의 리로 이루어진 읍으로, 1992년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대구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주거 환경이 양호하고 교통의 요지이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김산군
    김산군은 신라시대 풍무현에서 유래하여 조선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천군에 통합되어 김천시 행정구역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비안군
    비안군은 상고 시대 소문국에 속했다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과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의성군과 예천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교육, 교통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1945년 당시 대구부와 20개 군, 울릉도를 관할 구역으로 두었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대구부 (1910년)
    대구부(1910년)는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대구 지역의 행정 구역을 지칭하며, 13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구부(1914년) 등으로 개편되었다.
현풍군
지도
기본 정보
한자縣風郡
로마자 표기Hyeonpung-gun
위치경상도
폐지 시기1914년 4월 1일
폐지 이유부군면 통폐합
역사
신라삽량주
고려밀성군
조선현풍현
조선현풍군
일본 제국대구부
행정 구역
현내면
가천면
구지면
성서면
논공면
관련 정보
현재 소속대구광역시 달성군
고령군

2. 역사

신라 경덕왕 때 현효(玄驍)로 개칭되어 화왕군에 속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비슬산의 별명인 포산현(苞山縣)으로 불리다가 1018년(현종 9년) 밀성군에 속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년) 감무를 설치하였고 구지산부곡(仇知山部曲)을 합병하였다.

1419년(조선 세종 원년) 현풍현으로 개칭되었고 17개 면을 관할하고 현감을 두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군으로 승격하여 대구부에 속하였다.[2]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현풍군으로 개편하였다.[3] 1906년 현풍군 진촌면을 고령군 개진면에, 답곡면, 왕지면을 고령군 우곡면에 편입하고, 성주목 노장면(蘆長)을 편입하였다. (15면)

1911년 10월 2일 , 을 합병하였다.[4][5] 1914년 4월 1일 대구부의 외곽지와 현풍군을 폐합하여 달성군이 되었다.[6][7]

2. 1. 신라 시대

신라 시대에는 추량화현(推良火縣) 또는 삼량화현(三良火縣)으로 불리다가 경덕왕 때 현효(玄驍)로 개칭되어 화왕군에 속하였다.

2. 2. 고려 시대

신라 경덕왕 때 현효(玄驍)로 고쳐 화왕군에 속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포산현(苞山縣, 포산은 비슬산의 별명)으로 불리다가, 1018년(현종 9년) 밀성군에 속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년)에는 감무를 설치하였고 구지산부곡(仇知山部曲)을 합병하였다.[2]

2. 3. 조선 시대

1419년(조선 세종 원년) : 현풍현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현풍읍인 현내면(縣內), 서부면(西部), 마산면(馬山), 모로촌면(牟老村), 현재의 논공읍 일부인 논공면(論工), 걸산면(乞山), 현재의 유가읍인 유가면(瑜伽), 동부면(東部), 우만면(雲滿), 말역촌면(末亦村), 현재의 구지면인 구지면(求智), 묘동면(沙洞), 오설면(烏舌), 산전면(山田面), 현재의 고령군 개진면 일부인 진촌면(津村), 우곡면 일부인 답곡면(沓谷), 왕지면(旺旨) 이상 17개 면을 관할하고 현감을 두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현풍현을 군으로 승격하여 대구부에 속하였다.[2]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현풍군으로 개편하였다.[3]

2. 4. 일제강점기

1911년 10월 2일, 서부면을 현내면에 합면하는 등 면과 동을 합병하였다.[4][5]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부면 일원현내면 일부
모로면 일원마산면 일부
동부면 일원유가면 일부
걸산면 일원논공면 일부
묘동면 일원구지면 일부
오설면 일원, 산전면 일원오산면 일원



1914년 4월 1일, 대구부의 외곽지와 현풍군을 폐합하여 달성군이 되었다. 현풍군은 달성군의 4개 면으로 재편되었다.[6][7]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현풍군 현내면, 마산면 일원달성군 현풍면 일원
현풍군 유가면, 우만면, 말역면 일원달성군 유가면 일원
현풍군 구지면, 오산면 일원달성군 구지면 일원
현풍군 논공면, 노장면 일원달성군 논공면 일원


3. 지명의 변천

현풍군은 신라 시대에 구지산부곡이었다. 고려 시대에는 현풍현(玄豊縣)으로 승격되었다가 밀성군의 속현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현풍현(玄風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3. 1. 구지

신라 시대 구지산부곡이 고려 때 현풍현에 병합된 후 조선 때 구지(求智)로 개칭되었다.

3. 2. 현풍

현풍(玄風)의 원래 한자 이름은 「玄豊」이었다. 현풍이 밀성군의 속령일 때, 아전들이 사욕에 눈이 멀어 백성을 속이고 도탄에 빠뜨려 전답이 거칠어지고 민심이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는 사실을 관찰사조정에 알리니 나라에서 「玄豊」을 「玄風」으로 개칭토록 하였다. 관리의 교화가 미치는 곳마다 바람처럼 도의심(道義心)이 확산되어 선화(善化)되라는 뜻에서 "風"자로 개칭한 것이라고 한다.[1]

4. 행정 구역 변천


  • 신라 시대 : 추량화현(推良火縣) 또는 삼량화현(三良火縣)으로 불리다가 경덕왕 때 현효(玄驍)로 개칭되어 화왕군(火王郡)에 속하였다.
  • 고려 시대 : 포산현(苞山縣, 포산은 비슬산의 일명)으로 불리다가, 1018년(현종 9년) 밀성군(密城郡)에 속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년)에는 감무를 설치하였고 구지산부곡(仇知山部曲)을 병합하였다.
  • 1419년(조선 세종 원년) : 현풍현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현풍면인 현내면(縣內), 서부면(西部), 마산면(馬山), 모로촌면(牟老村), 현재의 논공읍 일부인 논공면(論工), 걸산면(乞山), 현재의 유가읍인 유가면(瑜伽), 동부면(東部), 우만면(雲滿), 말역촌면(末亦村), 현재의 구지면인 구지면(求智), 묘동면(沙洞), 오설면(烏舌), 산전면(山田面), 현재의 고령군 개진면 일부인 진촌면(津村), 우곡면 일부인 답곡면(沓谷), 왕지면(旺旨) 이상 17개 면을 관할하고 현감을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 5월 1일) : 현풍현을 군으로 승격하여 대구부에 속하였다.[2]
  •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현풍군으로 개편하였다.[3]
  • 1906년 : 현풍군 진촌면을 고령군 개진면에, 답곡면, 왕지면을 고령군 우곡면에 편입하고, 현재의 논공읍 일부인 성주목 노장면(蘆長)을 편입하였다. (15면)
  • 1911년 10월 2일 : 서부면을 현내면에 합면하는 등 , 을 합병하였다.[4][5] (9면)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부면 일원현내면 일부
모로면 일원마산면 일부
동부면 일원유가면 일부
걸산면 일원논공면 일부
묘동면 일원구지면 일부
오설면 일원, 산전면 일원오산면 일원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현풍군 현내면, 마산면 일원달성군 현풍면 일원
현풍군 유가면, 우만면, 말역면 일원달성군 유가면 일원
현풍군 구지면, 오산면 일원달성군 구지면 일원
현풍군 논공면, 노장면 일원달성군 논공면 일원


참조

[1] 웹사이트 대동여지도를 인터넷 지도처럼 볼 수 있다. http://mirror.puzzle[...] 2018-09-04
[2]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895-05-26
[3]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08-04
[4] 법률 경상북도령 제8호 1911-10-02
[5] 법률 경상북도 고시 제27호 1911-10-02
[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s:다이쇼 2년 조선총독부령 제11[...] 1913-12-29
[7] 법률 경상북도령 제2호 :s: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경상북도[...] 1914-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