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봉 (용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형제봉은 한남정맥에 속하는 산으로,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광교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 위치한다. 용인시와 수원시를 조망할 수 있으며, 암벽 코스를 포함한 다양한 산행 코스가 존재한다. 주변에는 용인 운학동 돌방무덤군과 운학동 가마터 등의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지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용인시의 지리 -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에서 시작해 서울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약 32.66km 길이의 하천으로, 백제 시대 군사 훈련장, 조선 시대 숯 생산지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주변 아파트 단지 및 스포츠 시설을 갖춘 도시 하천이다.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금남호남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금남호남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형제봉 (용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형제봉 |
한자 표기 | 兄弟峯 |
높이 | 448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처인구 운학동, 양지면, 남사읍 아곡리 |
산맥 | 한남정맥 |
2. 지리
형제봉은 한남정맥에 속해있는 산으로, 칠장산(492m)에서 시작하여 도덕산, 국사봉(안성), 상봉, 달기봉, 무너미고개, 함박산(349.3m), 학고개, 부아산(402.7m), 메주고개, 석성산(471.5m), 할미성, 인성산(122.4m), 형제봉, 광교산(582m), 백운산(560m), 수리산, 국사봉(538m), 청계산(618m), 응봉(348m), 관악산(629m), 소래산, 성주산, 철마산, 계양산, 가현봉, 필봉산, 학운산, 것고개, 문수산 등으로 이어진다.
용인 지역은 한반도 산맥의 본 줄기 중 하나인 한남정맥이 통과하는 곳이다. 양지면 등촌은 마을 뒷산에 보이는 바위가 여성의 성기 모양이라 이를 가리기 위해 등나무를 심은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용인 지역의 많은 삼태기 형국 지역에서는 마을 앞에 소나무 등을 심어 삼태기가 바람에 날아가지 못하도록 했다고 한다.
형제봉에는 여러 등산 코스가 있는데,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 출발 코스와 경기대 출발 코스가 대표적이다.
3. 전해오는 이야기
4. 산행 코스
4. 1. 경기대학교 출발 코스
경기대 반딧불이 화장실에서부터 산행을 시작한다. 호수를 옆으로 끼고 올라가는 평탄한 등산로 산책길은 가볍게 트래킹하기 좋은 길이다. 형제봉을 오르는 바위는 몇 번 타고 올라도 재미있을 듯한 암벽 코스이다. 70도 경사로 뒤쪽에 돌아서 내려오는 길이 보인다. 멀리서 보면 두 개의 봉우리로 보인다. 그래서 형제봉, 내려다보면 용인시와 수원시 두 형제를 거느리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모두 한눈에 내려다보이고 앞이 탁 트여 있어 전망이 훌륭하다. 야간 산행으로 도시의 불빛을 볼 수 있는 곳이다.
4. 2.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 출발 코스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에서 출발하는 코스는 많이 찾는 등산로 중 하나이다. 와우정사 입구에서 보면 멀리 와우정사와 은이산(365m)이 보인다. 형제봉(448m)에 올라 된봉 쉼터 쪽으로 내려오면 바로 남곡리이다.
5. 주변 명소
형제봉 앞자락에는 용인 운학동 돌방무덤군과 용인 운학동 가마터가 있다. 용인 운학동 돌방무덤군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雲鶴洞)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돌방무덤으로, 1997년 12월 10일 용인시 향토유적 제43호, 제44호로 지정되었다. 국사봉 남서자락에 위치해 있다. 용인 운학동 가마터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雲鶴洞)에 있는 조선시대 17세기 백자 가마 터이다.
5. 1. 용인 운학동 돌방무덤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雲鶴洞)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돌방무덤으로, 1997년 12월 10일 용인시 향토유적 제43호, 제44호로 지정되었다. 형제봉 앞자락에서 멀리 보이며 국사봉 남서자락에 위치해 있다.5. 2. 용인 운학동 가마터
용인 운학동 가마터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雲鶴洞)에 있는 조선시대 17세기 백자 가마 터이다. 총 두 곳에 분포하고 있어 운학동 가마 터 요지1호와 가마 터 요지2호로 구분되는데, 가마 터 1호는 '번어들'이라 불리는 경작지 일대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