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림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림익은 청나라 말기의 무관으로, 태평천국 운동 진압에 기여했다. 1836년 진사가 되었고, 한림원 편수를 거쳐 지방관으로 근무하며 묘족의 봉기와 이원발의 난을 진압했다. 이후 태평천국군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호북순무를 역임했으나, 삼하 전투에서 패배하며 병력을 후퇴해야 했다. 1861년 태평천국군을 구원하려다 무창에서 사망했으며,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과 함께 청나라 중흥의 명신으로 불렸다. 저서로는 《독사병력》이 있다.
1836년 진사가 되고, 1838년 한림원 편수가 되는 등 초기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5] 귀주성 안순, 진원의 지부를 거쳐 묘족 봉기 진압에 참여했다. 1854년 귀동도(貴東道)가 되어 태평천국군과 전투를 벌였고, 1856년에는 무창 탈환에 성공하여 호북순무에 임명되었다. 1858년 구강을 함락하고 안경을 포위했으나, 삼하 전투에서 이속빈 부대가 패배하면서 병력을 후퇴시켰다. 1861년, 증국전이 안경을 함락시켰으나, 호림익은 같은 달 무창에서 병사했다.[5]
2. 생애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과 함께 청나라 ‘중흥의 명신’으로 불렸으며, 문충(文忠)이라는 시호가 주어졌다. 저서로는 《독사병력》(讀史兵略)이 있다.
2. 1. 초기 관직 생활
1836년 진사가 되었고, 1838년 한림원 편수가 되었다.[5] 그 후, 귀주성 안순, 진원의 지부가 되어, 묘족의 봉기와 호남성 이원발의 난을 진압했다. 호남 순무 장량기, 낙병장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귀주에 머물렀다.
2. 2. 태평천국 운동 진압
1854년 귀동도(貴東道)가 되어 귀주 향용 천 명을 이끌고 호남성, 강서성에서 태평천국군과 전투를 벌였다.[5] 1855년 호북 포정사에 임명되었으나, 태평천국이 다시 무창을 함락시키자 증국번과 함께 탈환에 나섰다. 1856년 무창 탈환에 성공하여 그 공으로 호북순무에 임명되었다.
1857년 황주에 침입한 진옥성 군을 격파했다. 1858년 구강을 함락하고 안경을 포위했으나, 11월 이속빈 부대가 삼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병력을 후퇴시켰다.
이듬해 증국번과 함께 군사를 나누어 안휘성을 침공했다. 1861년 봄, 태평천국군이 호북으로 진입하자 군대를 이끌고 구원에 나섰고, 그 사이 증국전이 안경을 공격하여 9월에 함락시켰다.
2. 3. 사망
1861년 봄, 태평천국군이 호북에 들어가자 호림익은 부대를 이끌고 구원에 나섰다. 그러나 그동안 증국전이 안경으로 진격하여 9월에 함락시켰다. 호림익은 같은 달 말 무창에서 병사했다.[5]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과 함께 청나라 ‘중흥의 명신’으로 불렸고,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참조
[1]
간행물
Hu Lin-i
[2]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3]
서적
The Rise of Moder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
서적
The Last Stand of Chinese Conservatism: The T’ung-Chih Restoration, 1862-1874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2
[5]
서적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