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프 (바이에른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프는 독일 바이에른주에 위치한 도시로, 프랑켄발트, 피히텔 산맥, 포크트란트 지역에 인접해 있다. 로마 시대에는 바리스키/나리스키 부족의 거주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밤베르크 주교령에 속했다. 1373년부터 1792년까지 호엔촐레른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프로이센, 프랑스, 바이에른을 거쳐 현재 바이에른주에 속하게 되었다. 주요 산업은 섬유·의류, 맥주 양조이며, 호프 국제 영화제, 민속 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주 - 파사우
파사우는 독일 바이에른주에 위치한 세 강 합류 지점의 역사적인 교통 요충지로서, 로마 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와 파사우 조약, 검 제조 중심지로의 명성, 바로크 건축물, 성 스테판 대성당, 그리고 아돌프 히틀러의 초기 생활과 대홍수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과 관련이 있으며, 현재는 국제 교류를 활발히 하는 도시이다. - 바이에른주 - 뉘른베르크
뉘른베르크는 독일 바이에른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 신성 로마 제국의 중심지이자 나치 시대 뉘른베르크 집회 개최지였으며 현재는 경제 중심지이자 인권과 평화를 위한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호프 (바이에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위치 | 바이에른주 |
행정 구역 | 오버프랑켄 |
군 | 군 독립시 |
시정촌 코드 | 09464000 |
면적 | 58.02 |
해발 고도 | 470-600m |
우편 번호 | 95031-95032 |
지역 번호 | 09281 |
자동차 번호판 | HO |
웹사이트 | www.hof.de |
정치 | |
시장 | 에바 되흘라 |
시장 임기 | 2020–26 |
시장 직함 | 상급 시장 |
소속 정당 | SPD |
기타 정보 | |
음식 | (소시지 판매원) |
2. 역사
중세 시대의 호프는 프로빈키아 바리스코룸에 위치해 있었으며, 라틴어로는 Curiae Variscorumla 또는 Curiae Nariscorumla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바리스키/나리스키의 궁정"을 의미한다.[7] 호프는 수에비 민족의 바리스키 (또는 나리스키) 부족의 족장들이 궁정을 열었던 장소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바리스키족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제42장)에서 마르코만니 전쟁에 참여한 것으로 잠시 등장한다. 그들의 족장 발라오는 서기 167년경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이 고대 민족들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 의해 이탈리아로 이주되어 그들의 정체성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다. 몇 세기 후 (4 또는 5세기)에는 바리스키가 살았던 곳에 알려지지 않은 아르말라우시 민족이 등장했지만, Variscila라는 라틴어 이름은 이 지역에 계속 사용되었다.[7] 이는 인근의 플라우엔이 Plavia Variscorum으로 불리고, 호프가 Curia Variscorum으로 불린다는 사실로 증명된다. Curiae Variscorumla이라는 이름은 수년에 걸쳐 수많은 문서와 출판물에서 호프 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8] 이러한 유산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데, Hofde라는 단어는 독일어로 '궁정'을, curiaela는 라틴어로 '궁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6세기경 슬라브족인 소르브족이 호프를 통과하는 잘레강 근처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소르브족은 기원후 631년에 처음 언급되었는데, 프레데가르 연대기는 그들을 "수르비"라고 묘사하며 사모의 동맹인 데르반의 통치를 받는다고 기록했다. 샤를마뉴와 그의 후손들이 통치하는 프랑크 왕국은 이교도 슬라브족을 기독교화하려 했고, 그들을 상대로 다양한 원정을 벌였다. 프랑크 왕국 연대기는 기원후 806년에 소르브 공작 밀리두흐가 프랑크족과 싸우다 샤를마뉴의 아들인 젊은 샤를에게 호프 인근의 오늘날 바이스엔펠스에서 살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호프가 위치한 지역은 이 시기에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의 교회 관할 아래에 들어갔다. 이후 1007년, 호프를 포함한 지역은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에서 분리되어 이 지역에 기독교를 더 널리 전파하기 위해 설립된 밤베르크 주교령에 속하게 되었다.
호프 주변 지역은 이 시기에 미지의 땅으로 남아 있었지만, 세상과 고립되어 있지는 않았다. 호프는 왕이나 공작의 영지는 아니었지만, 다소 보호받는 매우 중요한 무역로인 비아 임페리에 위치해 있었다. 이 도로는 이탈리아에서 발트해로 이어졌으며, 호프는 라이프치히, 츠비카우, 뉘른베르크의 번성하는 시장이 발전하면서 여행자와 상인들의 휴식처가 되기에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인근 에르츠 산맥에서 은과 주석의 광업이 발전하면서 이 지역의 무역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1080년경 농부들(아마도 소르브인) 집단이 오늘날 호프 지역에 정착하여 잘레 강변 클라우스엔베르크에 예배당을 짓고, 정착지를 "레켄체"라고 불렀다.[9] 레켄체는 서슬라브어 Rekavicazlw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강"을 의미한다.[9] 레켄체는 1214년 성 로렌츠 교회의 알베르투스 신부가 밤베르크 주교에게 보낸 문서[10]에 처음 언급되었다. 호프는 1080년경에 개척 농지 레켄체(Rekkenze)로 창설되었으며, 이 이름은 레그니츠 강에 연유한다.[9][10]
슬라브어는 이 지역의 지형에 많은 흔적을 남겼으며, 오늘날까지 호프 인근에는 "레그니츠"라고 알려진 두 개의 수로, 상/남부 레그니츠와 하/북부 레그니츠가 있다. 호프 주변 지역인 포크트란트의 바이에른-보헤미아 남부 지역은 레그니츠란트로 알려져 있다.
레켄제 정착지는 후에 호프가 되었으며, 1276년의 문서에서 "curia Reckenize"(레켄제의 법정) 및 "schlosz Reckenitz"(레케니츠 성)로도 불린다. "Hof"라는 이름은 "Regnitz의 법정 위의 도시"를 의미하는 Stadt am Regnitzhofde의 축약형으로 제안되었다. 호프의 다른 이름으로는 Curia Bavaricala(Variscorum), Curiae Nariscorumla 등이 있다.[11]
1230년경, 안데크스-메라니아의 오토 1세 공작은 레켄체 농업 정착지(Altstadtde) 북쪽 지역, 현재 Neustadtde(신시가지)로 알려진 하류 지역을 요새화했다.
1098년 안데크스의 베르톨트 2세가 그의 아버지의 영지를 상속받았는데, 여기에는 오늘날의 상프랑켄 지역도 포함되어 있었다. 1130년대에 그는 쿨름바흐에 플라센부르크 성을 건설했고, 1137년부터 그는 '플라센부르크 백작'이라고 칭했다.
1248년 안데크스-메라니아 왕가가 단절되자, 바이덴의 포크트 가문은 호프를 포함한 레그니츠란트를 획득했다. 바이덴의 포크트 하인리히 8세 (1258–1279)는 호프 시와 레그니츠란트를 얻었다. 그는 오를라뮌데 백작 헤르만 2세와 안데크스-메라니아의 베아트릭스 (오토 1세 백작의 딸)의 딸인 소피와 결혼했다.
바이덴의 포크트 가문의 지휘 아래 최초의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고, 빈민 병원(Armenspitals)의 기초가 세워졌다 (). 1270년에는 호프에 성이 처음 언급되었으며, 1278년에는 포크트의 지원으로 클라리센클로스터가 설립되었다. 이 수도원은 1291년 최초의 프란치스코회 교황 교황 니콜라우스 4세에 의해 축복을 받았고, 1292년 성 십자가 프란치스코 수도원에 속하게 되었다.
1299년, 호프 시의 75%가 화재로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궁핍해졌다. 호프를 재건하는 데 30년 이상이 걸렸지만, 재건 과정 중 (1319년) 바이덴의 포크트 하인리히 12세 (1302–1324)는 호프시에 전통적인 권리와 특권을 확인했다. 이러한 권리는 호프를 공식적인 도시로 만들었다.
1373년, 바이덴의 포크트 하인리히 16세는 레그니츠란트를 뉘른베르크 부르크라프 프리드리히 5세에게 매각했다.
1398년 1월 21일, 부르크그라프 프리드리히 5세가 사망하고 그의 영토는 두 아들인 요한 3세와 프리드리히 4세에게 분할되어 이른바 바이로이트 후국이 창설되었다. 호프는 1791년 12월 2일까지 이 호엔촐레른 후국에 속했으며, 이 기간 동안 Hochfürstlich-Brandenburgische Hauptstadt Hoff im Voigtlandede(“포크트란트의 호프, 제후 브란덴부르크 수도”)로 알려졌다.
후스 전쟁 말기(후스파에 대한 제4차 및 제5차 십자군 사이) 호프는 얀 후스를 따르는 후스파에 의해 약탈당했다. 1430년, 후스파가 Spanilé jízdy(또는 "아름다운 기행")라고 부르던 시기에, 그들은 호프를 습격하여 황폐화시켰다. 1월 25일, 그들은 플라우엔을 불태운 후 호프로 향했다. 1월 말부터 2월까지 그들은 공격을 가해 마침내 뚫고 들어가 많은 호프 주민들을 살해하고 호프를 약탈하고 불태웠다. 그들은 또한 호프의 주민들을 전리품으로 끌고 갔다.
1430년에는 후스교도가 침공하여 심하게 파괴되었다. 이후 이러한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사격 서클이 1432년에 발족했다. 이 길드의 매년 사격 연습일은 "호프의 국민의 축일"로 지정되었으며, "슬리퍼의 날"이라고 불린다(어떤 멤버가 당황해서 슬리퍼를 신은 채로 연습에 왔다는 고사에 유래한 이름).
1464년 병원과 병원 교회([http://www.hospitalkirche-hof.de/geschich.htm Hospitalkirche])가 재건되었다.
1487년 현대의 성 마리엔 교회 근처에 야콥스베크 순례자를 위한 니클라스 교회에 재단이 세워졌다. 야콥스베크는 스페인 갈리시아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서 끝나는 유명한 산티아고 순례길의 일부이다. 지금은 사라진 이 순례자 여관을 기념하는 현판이 마리엔 교회 벽에 걸려 있다.
1498년 호프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망루가 건설되었다.
1517년은 95개조로 개신교 종교 개혁의 불씨를 지폈지만, 호프에서는 1517년에 오를라플라츠와 성 미카엘리스교회 주변 50채의 가옥을 파괴하고 사택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끔찍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시기 호프의 다양한 교회와 예배당은 모두 호프의 수석 목사(Oberpfarrerde)인 호엔촐레른 가문의 안스바흐의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의 관할 아래 있었다. 이 가문은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해 종교를 이용하며 서로 자주 다퉜다. 프리드리히는 개신교 신앙을 자신의 이점으로 이용한 동생 경건왕 게오르크와 달리 가톨릭 교회 편을 드는 경향이 있었다.
1524년, 개혁적인 성직자 카스파르 뢰너는 원장의 불만으로 인해 비르켄펠트 수도원에서의 설교직에서 해임되어 수석 목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 아래 호프로 오게 되었다. 뢰너는 미사를 독일어로 집전하고 미사 중에 독일어 찬송가를 불렀다.[12] 그는 호프에 도착하여 설교를 통해 개혁적인 분위기를 계속해서 전달했다. 그는 1518년 마르틴 루터의 친구로서 비텐베르크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그를 따라왔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이해할 만하다.[13]
뢰너가 호프에 도착한 직후, 츠비카우 출신의 급진적인 평신도 설교자 니콜라우스 슈토르히도 호프에 도착했다. 호프 연대기 기록가 에녹 비트만에 따르면, 슈토르히는 1524년 말 호프에서 직조공으로 일하면서 여전히 설교를 하고 추종자를 얻고 있었다. 이전에는 토마스 뮌처와 함께 일했던 슈토르히는 또한 재세례파 운동의 선구자로 여겨지는데, 비트만이 그가 호프에서 성인 세례를 설교하고 시행했다고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는 뢰너와 호프의 다른 사람들에 의해 반대되었고, 1525년 1월 말에 그는 츠비카우 시장에게 그곳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거절당했고, 필리프 멜란히톤은 요아힘 카메라리우스에게 보낸 편지(1525년 4월 17일)에서 슈토르히가 1525년 농민 전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뢰너가 호프에 머무는 기간도 짧았고, 수석 목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는 그가 도착한 다음 해(1525년)에 그를 해임하고, 가톨릭 사제 볼프강 테흐로 교체했다. 1527년 부활절에 테흐는 지옥으로의 강하 재연극에서 그리스도를 연기하는 동안 젊은이들에게 고의적으로 수염과 머리카락에 불을 붙였다. 뢰너와 같은 사람들에게 사제에 대한 불경을 배우게 되었다고 믿은 테흐는 호프를 떠나 할레 안 데어 잘레로 갔다.
뢰너는 비텐베르크(1526년)와 욀츠니츠(1527년)에서 시간을 보낸 후, 프리드리히의 루터교 신자인 동생 경건왕 게오르크에 의해 1528년 호프에서 복직되었다. 그 후 뢰너는 호프 출신 신학자이자 수학자, 학교 교사 니콜라우스 메들러와 협력하여 호프로 돌아왔다(그 역시 루터의 제자였다). 그들은 함께 보다 과감하게 종교 개혁을 도입했다. 호프에서 최초의 복음주의(루터교) 성찬식은 1529년 9월 5일 성 미카엘리스교회에서 뢰너에 의해 거행되었다. 이 공개적인 행위는 호프가 가톨릭 교회의 관할에 정면으로 맞서 루터교로 공개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뢰너와 메들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거센 반대에 계속 직면했고, 결국 호프에서 해임되는 결과를 맞이했다.
목사 카스파르 뢰너는 당시 선도적인 신학자이자 작가였으며, 교회 전례(Gottesdienstordnungde), 교리 문답서, 찬송가 등을 저술했다.[14] 호프에 있는 동안 그는 호프 시장(Bürgermeister) 콘라트 펠리처의 딸 마르가레테 펠리처와 결혼하여 요한 조슈아 뢰너의 아버지이자 유명한 루터교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 요슈아 슈테그만의 증조할아버지가 되었다.
뢰너와 메들러는 지역 총독(Landhauptmannde) 크리스토프 폰 보이비츠를 포함한 강력한 개인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반대를 받았는데, 그는 밤베르크 주교의 지지자였다. 마르틴 루터와 친분이 있었던 뢰너 목사와 메들러 교사는 이러한 반대에 대한 조언을 구했고, 1531년 6월 7일 비텐베르크에서 루터가 보낸 편지를 받았는데, 그들은 계속 머물 것을 격려했다. 편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Martin Luther an die verehrten Brüder in Christo und treuen Bürger der Stadt Hof, Kaspar Löner, Pfarrer, und Nikolaus Medler, Schullehrer.de"
번역: "[마르틴 루터가] 호프 시의 존경하는 그리스도 안의 형제들과 신실한 시민들, 카스파르 뢰너 목사, 니콜라스 메들러 교사에게"
그러나 그 다음 달(1531년 7월 13일), 뢰너와 메들러는 모두 호프에서 쫓겨났다. 이는 경건왕 게오르크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영토에 개신교를 도입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프에서 수많은 수익권을 가지고 있는 그의 형제 프리드리히의 지속적인 반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또한 호프 안팎에서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과 권력을 가지고 있던 사람은 밤베르크 주교 레트비츠의 바이간트였다. 이 두 사람은 경건왕 게오르크와 개혁가들의 영향력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532년, 경건왕 게오르크는 유명한 신학자이자 개혁가인 슈테판 아그리콜라를 얻어 호프의 성 미카엘리스교회에 배치할 수 있었다. 또한 1532년에는 호프 전역에서 지역 귀부인이자 수녀(베로니카 폰 체트비츠)가 호프의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 수도원을 떠나 호프 김나지움의 교장 콘라트 마이어와 결혼하여 서약 위반한 사건으로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다. 아그리콜라 목사는 1542년까지 호프에서 영향력 있는 사역을 계속했으며, 호프의 목사로 재직하는 동안 1537년 슈말칼덴에서 열린 루터교 신학자 회의에 참석했고, 마르틴 루터가 작성한 슈말칼덴 조항에 서명했다.
이 시기에 호프의 가톨릭 신자는 심각하게 제한되었지만, 몇십 년 동안 유지되었다. 1538년에는 지그문트교회가 철거되었고, 성 강골프 교회가 매각되었다(나중에 불에 타 창고로 바뀌었다).
1546년,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 알브레히트 알키비아데스는 호프에 김나지움을 설립했는데, 오늘날 이곳은 장 폴 김나지움(Jean-Paul Gymnasium)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곳의 가장 유명한 학생인 장 파울 프리드리히 리히터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장 폴 김나지움은 상프랑켄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이다.
1553년, 제2차 변경백 전쟁으로 인해 호프는 뉘른베르크 군과 보헤미아 왕국 군에 포위되어 점령되었다.
1683년 호프는 라이프치히와 뉘른베르크 사이의 우편 서비스 연결 지점이 되었다. 우편은 일주일에 두 번 통과했다. 레겐스부르크 (1692년)와 드레스덴 (1693년)으로의 우편 연결이 뒤따랐다.
1743년에 호프성은 불타 없어졌다. 이 성은 변경백으로부터 임명된 Landeshauptmannschaft Hof의 관리인의 거처였다. 그러나 성은 이 화재 이후 재건되지 않았다. 루트비히 거리 14번 건물에 붙여진 기념 표식은 오늘날에도 변경백 시대를 연상시키며, "브란덴부르크의 집"이라고 불린다.
1564년 호프에서 프란체스코 수도원이 폐지된 후, 가톨릭은 1810년 가톨릭 바이에른이 프랑코니아를 매입할 때까지 실제로 다시 도시에서 입지를 굳히지 못했다. 1837년이 되어서야 호프의 가톨릭 신자들이 자체 사제를 얻었고, 1844년이 되어서야 작은 교회가 건설되었다(마리엔교회).
이 도시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령 (궁정 소재지 이전 후에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령)의 일부가 되어, Landeshauptmannschaft Hof가 되었다. 이 시대의 호프의 공식적인 칭호는 "Hochfürstlich brandenburgische Hauptstadt Hof im Vogtlandte" (포크트란트에 있는 브란덴부르크 후의 주요 도시 호프)였다.
1791년 12월 2일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와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의 마지막 변경백이었던 카를 알렉산더 변경백이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에게 매각하면서 프로이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일원이었다.
1792년에 호프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령과 함께 프로이센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1805년 11월 3일, 프로이센은 포츠담 조약을 체결하여 나폴레옹이 4주 이내에 평화에 동의하지 않으면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참전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1805년 12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제3차 동맹을 격파하면서 이 조약은 무효가 되었다. 이후 프로이센 사절인 하우그비츠 백작은 프로이센과 프랑스 간의 동맹을 선언하는 쇤브룬 조약 (1805년 12월 15일)을 협상해야 했고, 프로이센은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를 포기해야 했다.
1806년 2월, 하우그비츠는 쇤브룬 조약을 비준하고 프로이센에 유리한 수정을 확보하기 위해 파리로 갔지만, 나폴레옹은 조약을 찢고 프로이센이 양도해야 할 영토를 두 배로 늘리고 영국과의 단절을 강요하는 새로운 조약을 작성하게 했다. 2월 15일에 서명된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유럽에서 완전히 고립되었고, 그해 말 나폴레옹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806–1807)에서 호프는 프로이센 군의 타운치엔 장군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다. 1806년 10월 8일, 타운치엔은 호프를 거의 버렸고, 같은 날 나폴레옹의 원수 장 드 디외 술트의 제4군단의 경 기병대에 의해 쉽게 점령되었다. 호프는 나폴레옹의 [http://www.napoleongames.com/campaign_in_saxony.html 작센 원정]의 이상적인 '출발점'이 되었고, 다음 날 슐라이츠 전투에서 프랑스의 승리와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승리로 이어졌다.
나폴레옹은 1810년 6월 30일에 호프를 바이에른 왕국에 매각했다. 1792년에 호프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령과 함께 프로이센 왕국에 속하게 되었으나,1806년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가 1810년 바이에른 왕국에 매각되었다.
1823년에 발생한 화재는 노이슈타트의 거의 전역을 태웠다. 19세기 말에는 알트슈타트가 확장되어 많은 가옥이 신축되었는데, 이는 현재 "노이슈타트"라고 불리는 지역까지 미쳤다.
1823년 9월 4일, 마을에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 10채 중 9채가 파괴되는 등 사실상 마을 전체가 파괴되었다.
1848년, 호프에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남북 철도와 작센-바이에른 철도가 개통했다. 처음 호프역은 시의 중심부, 현재의 우체국 근처에 있었지만, 1880년에 주요 환승역으로서 시 경계에서 떨어진 곳에 새로운 호프역이 건설되었다. 1901년부터 1920년대 초까지는 노면전차가 시와 역을 연결했지만, 그 후 시내버스로 대체되었다. 바이에른과 작센의 국경역으로서, 호프역은 그에 걸맞은 기능을 갖추었다.
1945년, 호프는 공습을 받아 일반 시민에게도 희생자가 발생했다. 1945년, 호프는 공습으로 인해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1945년 말까지 이전 인구의 두 배를 수용했으며, 인근 보헤미아에서 온 독일어 사용 난민을 수용했다. 보헤미아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독일어 사용 인구에 대한 광범위한 민족 청소가 진행되고 있었다.[17]
1945년부터 1990년까지 호프는 국경 근처에 위치하여 동독과 서독 사이에 있었다. 1989년, 서독으로 여행하거나 이민할 권리를 요구하여 허가받은 수천 명의 동독 시민들이 특별 열차에 실려 동독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추방"되어 호프의 철도역에서 처음 서독 땅에 도착했다. 호프는 구 베를린-뮌헨 고속도로 근처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냉전이 무력 충돌로 확대될 경우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의 침공 경로가 될 수 있다고 여겨졌다(풀다 갭 참조).
종전 후 독일 분할로 이 도시는 완전히 주변 지역이 되었고, 튀링겐, 작센, 보헤미아와의 좋은 관계가 끊어졌다. 모셴도르프 지구에는 종전 후 난민 수용소가 설치되었으며, 포츠담 협정에 의해 거주지에서 쫓겨난 난민들이 유입되어 시의 인구가 팽창했다. 1989년 동서 국경 개방, 1990년의 독일 재통일로 형태는 바뀌었지만, 예전의 관계가 부활했다.
호프는 냉전 시기에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과의 국경 근처에 위치해 있어 특별한 관심을 받았다. 호에 자스에는 레이더 기지가 있었고, 미국의 제2기갑 기병 연대의 국경 캠프가 마을 근처에 있었다. 제511군사정보대대 또한 호프에 국경 주둔 사무소를 운영했다*. 1949년에서 1993년까지 호프는 또한 RIAS 송신소의 위치이기도 했다.
2. 1. 로마 시대
중세 시대의 호프는 프로빈키아 바리스코룸에 위치해 있었으며, 라틴어로는 Curiae Variscorumla 또는 Curiae Nariscorumla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바리스키/나리스키의 궁정"을 의미한다.[7] 호프는 수에비 민족의 바리스키 (또는 나리스키) 부족의 족장들이 궁정을 열었던 장소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바리스키족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제42장)에서 마르코만니 전쟁에 참여한 것으로 잠시 등장한다. 그들의 족장 발라오는 서기 167년경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이 고대 민족들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 의해 이탈리아로 이주되어 그들의 정체성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다. 몇 세기 후 (4 또는 5세기)에는 바리스키가 살았던 곳에 알려지지 않은 아르말라우시 민족이 등장했지만, Variscila라는 라틴어 이름은 이 지역에 계속 사용되었다.[7] 이는 인근의 플라우엔이 Plavia Variscorum으로 불리고, 호프가 Curia Variscorum으로 불린다는 사실로 증명된다. Curiae Variscorumla이라는 이름은 수년에 걸쳐 수많은 문서와 출판물에서 호프 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8] 이러한 유산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데, Hofde라는 단어는 독일어로 '궁정'을, curiaela는 라틴어로 '궁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 2. 소르브족-프랑크족 분쟁 (600년경 - 1080년)
6세기경 슬라브족인 소르브족이 호프를 통과하는 잘레강 근처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소르브족은 기원후 631년에 처음 언급되었는데, 프레데가르 연대기는 그들을 "수르비"라고 묘사하며 사모의 동맹인 데르반의 통치를 받는다고 기록했다. 샤를마뉴와 그의 후손들이 통치하는 프랑크 왕국은 이교도 슬라브족을 기독교화하려 했고, 그들을 상대로 다양한 원정을 벌였다. 프랑크 왕국 연대기는 기원후 806년에 소르브 공작 밀리두흐가 프랑크족과 싸우다 샤를마뉴의 아들인 젊은 샤를에게 호프 인근의 오늘날 바이스엔펠스에서 살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호프가 위치한 지역은 이 시기에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의 교회 관할 아래에 들어갔다. 이후 1007년, 호프를 포함한 지역은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에서 분리되어 이 지역에 기독교를 더 널리 전파하기 위해 설립된 밤베르크 주교령에 속하게 되었다.
호프 주변 지역은 이 시기에 미지의 땅으로 남아 있었지만, 세상과 고립되어 있지는 않았다. 호프는 왕이나 공작의 영지는 아니었지만, 다소 보호받는 매우 중요한 무역로인 비아 임페리에 위치해 있었다. 이 도로는 이탈리아에서 발트해로 이어졌으며, 호프는 라이프치히, 츠비카우, 뉘른베르크의 번성하는 시장이 발전하면서 여행자와 상인들의 휴식처가 되기에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인근 에르츠 산맥에서 은과 주석의 광업이 발전하면서 이 지역의 무역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2. 3. 안데크스-메라니아 및 바이덴의 포크트 (1080년 - 1373년)
1080년경 농부들(아마도 소르브인) 집단이 오늘날 호프 지역에 정착하여 잘레 강변 클라우스엔베르크에 예배당을 짓고, 정착지를 "레켄체"라고 불렀다.[9] 레켄체는 서슬라브어 Rekavicazlw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강"을 의미한다.[9] 레켄체는 1214년 성 로렌츠 교회의 알베르투스 신부가 밤베르크 주교에게 보낸 문서[10]에 처음 언급되었다. 호프는 1080년경에 개척 농지 레켄체(Rekkenze)로 창설되었으며, 이 이름은 레그니츠 강에 연유한다.[9][10]슬라브어는 이 지역의 지형에 많은 흔적을 남겼으며, 오늘날까지 호프 인근에는 "레그니츠"라고 알려진 두 개의 수로, 상/남부 레그니츠와 하/북부 레그니츠가 있다. 호프 주변 지역인 포크트란트의 바이에른-보헤미아 남부 지역은 레그니츠란트로 알려져 있다.
레켄제 정착지는 후에 호프가 되었으며, 1276년의 문서에서 "curia Reckenize"(레켄제의 법정) 및 "schlosz Reckenitz"(레케니츠 성)로도 불린다. "Hof"라는 이름은 "Regnitz의 법정 위의 도시"를 의미하는 Stadt am Regnitzhofde의 축약형으로 제안되었다. 호프의 다른 이름으로는 Curia Bavaricala(Variscorum), Curiae Nariscorumla 등이 있다.[11]
1230년경, 안데크스-메라니아의 오토 1세 공작은 레켄체 농업 정착지(Altstadtde) 북쪽 지역, 현재 Neustadtde(신시가지)로 알려진 하류 지역을 요새화했다.
1098년 안데크스의 베르톨트 2세가 그의 아버지의 영지를 상속받았는데, 여기에는 오늘날의 상프랑켄 지역도 포함되어 있었다. 1130년대에 그는 쿨름바흐에 플라센부르크 성을 건설했고, 1137년부터 그는 '플라센부르크 백작'이라고 칭했다.
1248년 안데크스-메라니아 왕가가 단절되자, 바이덴의 포크트 가문은 호프를 포함한 레그니츠란트를 획득했다. 바이덴의 포크트 하인리히 8세 (1258–1279)는 호프 시와 레그니츠란트를 얻었다. 그는 오를라뮌데 백작 헤르만 2세와 안데크스-메라니아의 베아트릭스 (오토 1세 백작의 딸)의 딸인 소피와 결혼했다.
바이덴의 포크트 가문의 지휘 아래 최초의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고, 빈민 병원(Armenspitals)의 기초가 세워졌다 (). 1270년에는 호프에 성이 처음 언급되었으며, 1278년에는 포크트의 지원으로 클라리센클로스터가 설립되었다. 이 수도원은 1291년 최초의 프란치스코회 교황 교황 니콜라우스 4세에 의해 축복을 받았고, 1292년 성 십자가 프란치스코 수도원에 속하게 되었다.
1299년, 호프 시의 75%가 화재로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궁핍해졌다. 호프를 재건하는 데 30년 이상이 걸렸지만, 재건 과정 중 (1319년) 바이덴의 포크트 하인리히 12세 (1302–1324)는 호프시에 전통적인 권리와 특권을 확인했다. 이러한 권리는 호프를 공식적인 도시로 만들었다.
1373년, 바이덴의 포크트 하인리히 16세는 레그니츠란트를 뉘른베르크 부르크라프 프리드리히 5세에게 매각했다.
2. 4. 브란덴부르크 시대 (1373년 - 1792년)
1398년 1월 21일, 부르크그라프 프리드리히 5세가 사망하고 그의 영토는 두 아들인 요한 3세와 프리드리히 4세에게 분할되어 이른바 바이로이트 후국이 창설되었다. 호프는 1791년 12월 2일까지 이 호엔촐레른 후국에 속했으며, 이 기간 동안 Hochfürstlich-Brandenburgische Hauptstadt Hoff im Voigtlandede(“포크트란트의 호프, 제후 브란덴부르크 수도”)로 알려졌다.1432년 호프를 방어하기 위해 민병대가 조직되었다. 이 사수 길드의 조직은 호프에서 매년 슐라펜타크(위 설명 참조)라는 축제에서 여전히 기념되고 있다.
1464년 병원과 병원 교회([http://www.hospitalkirche-hof.de/geschich.htm Hospitalkirche])가 재건되었다.
1487년 현대의 성 마리엔 교회 근처에 야콥스베크 순례자를 위한 니클라스 교회에 재단이 세워졌다. 야콥스베크는 스페인 갈리시아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서 끝나는 유명한 산티아고 순례길의 일부이다. 지금은 사라진 이 순례자 여관을 기념하는 현판이 마리엔 교회 벽에 걸려 있다.
1498년 호프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망루가 건설되었다.
1546년,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 알브레히트 알키비아데스는 호프에 김나지움을 설립했는데, 오늘날 이곳은 장 폴 김나지움(Jean-Paul Gymnasium)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곳의 가장 유명한 학생인 장 파울 프리드리히 리히터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장 폴 김나지움은 상프랑켄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이다.
1683년 호프는 라이프치히와 뉘른베르크 사이의 우편 서비스 연결 지점이 되었다. 우편은 일주일에 두 번 통과했다. 레겐스부르크 (1692년)와 드레스덴 (1693년)으로의 우편 연결이 뒤따랐다.
1743년 호프 성이 불에 타 소실되었고 재건되지 않았지만, 오늘날에도 호프에는 성의 벽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도시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령 (궁정 소재지 이전 후에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령)의 일부가 되어, Landeshauptmannschaft Hof가 되었다. 이 시대의 호프의 공식적인 칭호는 "Hochfürstlich brandenburgische Hauptstadt Hof im Vogtlandte" (포크트란트에 있는 브란덴부르크 후의 주요 도시 호프)였다.
=== 후스 전쟁 (1419년 - 1434년) ===
후스 전쟁 말기(후스파에 대한 제4차 및 제5차 십자군 사이) 호프는 얀 후스를 따르는 후스파에 의해 약탈당했다. 1430년, 후스파가 Spanilé jízdy(또는 "아름다운 기행")라고 부르던 시기에, 그들은 호프를 습격하여 황폐화시켰다. 1월 25일, 그들은 플라우엔을 불태운 후 호프로 향했다. 1월 말부터 2월까지 그들은 공격을 가해 마침내 뚫고 들어가 많은 호프 주민들을 살해하고 호프를 약탈하고 불태웠다. 그들은 또한 호프의 주민들을 전리품으로 끌고 갔다. 1430년에는 후스교도가 침공하여 심하게 파괴되었다. 이후 이러한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사격 서클이 1432년에 발족했다. 이 길드의 매년 사격 연습일은 "호프의 국민의 축일"로 지정되었으며, "슬리퍼의 날"이라고 불린다(어떤 멤버가 당황해서 슬리퍼를 신은 채로 연습에 왔다는 고사에 유래한 이름).
=== 종교 개혁 ===
1517년은 95개조로 개신교 종교 개혁의 불씨를 지폈지만, 호프에서는 1517년에 오를라플라츠와 성 미카엘리스교회 주변 50채의 가옥을 파괴하고 사택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끔찍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시기 호프의 다양한 교회와 예배당은 모두 호프의 수석 목사(Oberpfarrerde)인 호엔촐레른 가문의 안스바흐의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의 관할 아래 있었다. 이 가문은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해 종교를 이용하며 서로 자주 다퉜다. 프리드리히는 개신교 신앙을 자신의 이점으로 이용한 동생 경건왕 게오르크와 달리 가톨릭 교회 편을 드는 경향이 있었다.
1524년, 개혁적인 성직자 카스파르 뢰너는 원장의 불만으로 인해 비르켄펠트 수도원에서의 설교직에서 해임되어 수석 목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 아래 호프로 오게 되었다. 뢰너는 미사를 독일어로 집전하고 미사 중에 독일어 찬송가를 불렀다.[12] 그는 호프에 도착하여 설교를 통해 개혁적인 분위기를 계속해서 전달했다. 그는 1518년 마르틴 루터의 친구로서 비텐베르크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그를 따라왔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이해할 만하다.[13]
뢰너가 호프에 도착한 직후, 츠비카우 출신의 급진적인 평신도 설교자 니콜라우스 슈토르히도 호프에 도착했다. 호프 연대기 기록가 에녹 비트만에 따르면, 슈토르히는 1524년 말 호프에서 직조공으로 일하면서 여전히 설교를 하고 추종자를 얻고 있었다. 이전에는 토마스 뮌처와 함께 일했던 슈토르히는 또한 재세례파 운동의 선구자로 여겨지는데, 비트만이 그가 호프에서 성인 세례를 설교하고 시행했다고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는 뢰너와 호프의 다른 사람들에 의해 반대되었고, 1525년 1월 말에 그는 츠비카우 시장에게 그곳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거절당했고, 필리프 멜란히톤은 요아힘 카메라리우스에게 보낸 편지(1525년 4월 17일)에서 슈토르히가 1525년 농민 전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뢰너가 호프에 머무는 기간도 짧았고, 수석 목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는 그가 도착한 다음 해(1525년)에 그를 해임하고, 가톨릭 사제 볼프강 테흐로 교체했다. 1527년 부활절에 테흐는 지옥으로의 강하 재연극에서 그리스도를 연기하는 동안 젊은이들에게 고의적으로 수염과 머리카락에 불을 붙였다. 뢰너와 같은 사람들에게 사제에 대한 불경을 배우게 되었다고 믿은 테흐는 호프를 떠나 할레 안 데어 잘레로 갔다.
뢰너는 비텐베르크(1526년)와 욀츠니츠(1527년)에서 시간을 보낸 후, 프리드리히의 루터교 신자인 동생 경건왕 게오르크에 의해 1528년 호프에서 복직되었다. 그 후 뢰너는 호프 출신 신학자이자 수학자, 학교 교사 니콜라우스 메들러와 협력하여 호프로 돌아왔다(그 역시 루터의 제자였다). 그들은 함께 보다 과감하게 종교 개혁을 도입했다. 호프에서 최초의 복음주의(루터교) 성찬식은 1529년 9월 5일 성 미카엘리스교회에서 뢰너에 의해 거행되었다. 이 공개적인 행위는 호프가 가톨릭 교회의 관할에 정면으로 맞서 루터교로 공개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뢰너와 메들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거센 반대에 계속 직면했고, 결국 호프에서 해임되는 결과를 맞이했다.
목사 카스파르 뢰너는 당시 선도적인 신학자이자 작가였으며, 교회 전례(Gottesdienstordnungde), 교리 문답서, 찬송가 등을 저술했다.[14] 호프에 있는 동안 그는 호프 시장(Bürgermeister) 콘라트 펠리처의 딸 마르가레테 펠리처와 결혼하여 요한 조슈아 뢰너의 아버지이자 유명한 루터교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 요슈아 슈테그만의 증조할아버지가 되었다.
뢰너와 메들러는 지역 총독(Landhauptmannde) 크리스토프 폰 보이비츠를 포함한 강력한 개인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반대를 받았는데, 그는 밤베르크 주교의 지지자였다. 마르틴 루터와 친분이 있었던 뢰너 목사와 메들러 교사는 이러한 반대에 대한 조언을 구했고, 1531년 6월 7일 비텐베르크에서 루터가 보낸 편지를 받았는데, 그들은 계속 머물 것을 격려했다. 편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Martin Luther an die verehrten Brüder in Christo und treuen Bürger der Stadt Hof, Kaspar Löner, Pfarrer, und Nikolaus Medler, Schullehrer.de"
번역: "[마르틴 루터가] 호프 시의 존경하는 그리스도 안의 형제들과 신실한 시민들, 카스파르 뢰너 목사, 니콜라스 메들러 교사에게"
그러나 그 다음 달(1531년 7월 13일), 뢰너와 메들러는 모두 호프에서 쫓겨났다. 이는 경건왕 게오르크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영토에 개신교를 도입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프에서 수많은 수익권을 가지고 있는 그의 형제 프리드리히의 지속적인 반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또한 호프 안팎에서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과 권력을 가지고 있던 사람은 밤베르크 주교 레트비츠의 바이간트였다. 이 두 사람은 경건왕 게오르크와 개혁가들의 영향력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532년, 경건왕 게오르크는 유명한 신학자이자 개혁가인 슈테판 아그리콜라를 얻어 호프의 성 미카엘리스교회에 배치할 수 있었다. 또한 1532년에는 호프 전역에서 지역 귀부인이자 수녀(베로니카 폰 체트비츠)가 호프의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 수도원을 떠나 호프 김나지움의 교장 콘라트 마이어와 결혼하여 서약 위반한 사건으로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다. 아그리콜라 목사는 1542년까지 호프에서 영향력 있는 사역을 계속했으며, 호프의 목사로 재직하는 동안 1537년 슈말칼덴에서 열린 루터교 신학자 회의에 참석했고, 마르틴 루터가 작성한 슈말칼덴 조항에 서명했다.
이 시기에 호프의 가톨릭 신자는 심각하게 제한되었지만, 몇십 년 동안 유지되었다. 1538년에는 지그문트교회가 철거되었고, 성 강골프 교회가 매각되었다(나중에 불에 타 창고로 바뀌었다). 1553년, 제2차 변경백 전쟁으로 인해 호프는 뉘른베르크 군과 보헤미아 왕국 군에 포위되어 점령되었다. 1743년에 호프성은 불타 없어졌다. 이 성은 변경백으로부터 임명된 Landeshauptmannschaft Hof의 관리인의 거처였다. 그러나 성은 이 화재 이후 재건되지 않았다. 루트비히 거리 14번 건물에 붙여진 기념 표식은 오늘날에도 변경백 시대를 연상시키며, "브란덴부르크의 집"이라고 불린다. 1564년 호프에서 프란체스코 수도원이 폐지된 후, 가톨릭은 1810년 가톨릭 바이에른이 프랑코니아를 매입할 때까지 실제로 다시 도시에서 입지를 굳히지 못했다. 1837년이 되어서야 호프의 가톨릭 신자들이 자체 사제를 얻었고, 1844년이 되어서야 작은 교회가 건설되었다(마리엔교회).
2. 4. 1. 후스 전쟁 (1419년 - 1434년)
후스 전쟁 말기(후스파에 대한 제4차 및 제5차 십자군 사이) 호프는 얀 후스를 따르는 후스파에 의해 약탈당했다. 1430년, 후스파가 Spanilé jízdy(또는 "아름다운 기행")라고 부르던 시기에, 그들은 호프를 습격하여 황폐화시켰다. 1월 25일, 그들은 플라우엔을 불태운 후 호프로 향했다. 1월 말부터 2월까지 그들은 공격을 가해 마침내 뚫고 들어가 많은 호프 주민들을 살해하고 호프를 약탈하고 불태웠다. 그들은 또한 호프의 주민들을 전리품으로 끌고 갔다.2. 4. 2. 종교 개혁
1517년은 95개조로 개신교 종교 개혁의 불씨를 지폈지만, 호프에서는 1517년에 오를라플라츠와 성 미카엘리스교회 주변 50채의 가옥을 파괴하고 사택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끔찍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시기 호프의 다양한 교회와 예배당은 모두 호프의 수석 목사(Oberpfarrerde)인 호엔촐레른 가문의 안스바흐의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의 관할 아래 있었다. 이 가문은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해 종교를 이용하며 서로 자주 다퉜다. 프리드리히는 개신교 신앙을 자신의 이점으로 이용한 동생 경건왕 게오르크와 달리 가톨릭 교회 편을 드는 경향이 있었다.
1524년, 개혁적인 성직자 카스파르 뢰너는 원장의 불만으로 인해 비르켄펠트 수도원에서의 설교직에서 해임되어 수석 목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 아래 호프로 오게 되었다. 뢰너는 미사를 독일어로 집전하고 미사 중에 독일어 찬송가를 불렀다.[12] 그는 호프에 도착하여 설교를 통해 개혁적인 분위기를 계속해서 전달했다. 그는 1518년 마르틴 루터의 친구로서 비텐베르크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그를 따라왔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이해할 만하다.[13]
뢰너가 호프에 도착한 직후, 츠비카우 출신의 급진적인 평신도 설교자 니콜라우스 슈토르히도 호프에 도착했다. 호프 연대기 기록가 에녹 비트만에 따르면, 슈토르히는 1524년 말 호프에서 직조공으로 일하면서 여전히 설교를 하고 추종자를 얻고 있었다. 이전에는 토마스 뮌처와 함께 일했던 슈토르히는 또한 재세례파 운동의 선구자로 여겨지는데, 비트만이 그가 호프에서 성인 세례를 설교하고 시행했다고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는 뢰너와 호프의 다른 사람들에 의해 반대되었고, 1525년 1월 말에 그는 츠비카우 시장에게 그곳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거절당했고, 필리프 멜란히톤은 요아힘 카메라리우스에게 보낸 편지(1525년 4월 17일)에서 슈토르히가 1525년 농민 전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뢰너가 호프에 머무는 기간도 짧았고, 수석 목사 프리드리히 폰 브란덴부르크는 그가 도착한 다음 해(1525년)에 그를 해임하고, 가톨릭 사제 볼프강 테흐로 교체했다. 1527년 부활절에 테흐는 지옥으로의 강하 재연극에서 그리스도를 연기하는 동안 젊은이들에게 고의적으로 수염과 머리카락에 불을 붙였다. 뢰너와 같은 사람들에게 사제에 대한 불경을 배우게 되었다고 믿은 테흐는 호프를 떠나 할레 안 데어 잘레로 갔다.
뢰너는 비텐베르크(1526년)와 욀츠니츠(1527년)에서 시간을 보낸 후, 프리드리히의 루터교 신자인 동생 경건왕 게오르크에 의해 1528년 호프에서 복직되었다. 그 후 뢰너는 호프 출신 신학자이자 수학자, 학교 교사 니콜라우스 메들러와 협력하여 호프로 돌아왔다(그 역시 루터의 제자였다). 그들은 함께 보다 과감하게 종교 개혁을 도입했다. 호프에서 최초의 복음주의(루터교) 성찬식은 1529년 9월 5일 성 미카엘리스교회에서 뢰너에 의해 거행되었다. 이 공개적인 행위는 호프가 가톨릭 교회의 관할에 정면으로 맞서 루터교로 공개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뢰너와 메들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거센 반대에 계속 직면했고, 결국 호프에서 해임되는 결과를 맞이했다.
목사 카스파르 뢰너는 당시 선도적인 신학자이자 작가였으며, 교회 전례(Gottesdienstordnungde), 교리 문답서, 찬송가 등을 저술했다.[14] 호프에 있는 동안 그는 호프 시장(Bürgermeister) 콘라트 펠리처의 딸 마르가레테 펠리처와 결혼하여 요한 조슈아 뢰너의 아버지이자 유명한 루터교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 요슈아 슈테그만의 증조할아버지가 되었다.
뢰너와 메들러는 지역 총독(Landhauptmannde) 크리스토프 폰 보이비츠를 포함한 강력한 개인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반대를 받았는데, 그는 밤베르크 주교의 지지자였다. 마르틴 루터와 친분이 있었던 뢰너 목사와 메들러 교사는 이러한 반대에 대한 조언을 구했고, 1531년 6월 7일 비텐베르크에서 루터가 보낸 편지를 받았는데, 그들은 계속 머물 것을 격려했다. 편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Martin Luther an die verehrten Brüder in Christo und treuen Bürger der Stadt Hof, Kaspar Löner, Pfarrer, und Nikolaus Medler, Schullehrer.de"
번역: "[마르틴 루터가] 호프 시의 존경하는 그리스도 안의 형제들과 신실한 시민들, 카스파르 뢰너 목사, 니콜라스 메들러 교사에게"
그러나 그 다음 달(1531년 7월 13일), 뢰너와 메들러는 모두 호프에서 쫓겨났다. 이는 경건왕 게오르크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영토에 개신교를 도입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프에서 수많은 수익권을 가지고 있는 그의 형제 프리드리히의 지속적인 반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또한 호프 안팎에서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과 권력을 가지고 있던 사람은 밤베르크 주교 레트비츠의 바이간트였다. 이 두 사람은 경건왕 게오르크와 개혁가들의 영향력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532년, 경건왕 게오르크는 유명한 신학자이자 개혁가인 슈테판 아그리콜라를 얻어 호프의 성 미카엘리스교회에 배치할 수 있었다. 또한 1532년에는 호프 전역에서 지역 귀부인이자 수녀(베로니카 폰 체트비츠)가 호프의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 수도원을 떠나 호프 김나지움의 교장 콘라트 마이어와 결혼하여 서약 위반한 사건으로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다. 아그리콜라 목사는 1542년까지 호프에서 영향력 있는 사역을 계속했으며, 호프의 목사로 재직하는 동안 1537년 슈말칼덴에서 열린 루터교 신학자 회의에 참석했고, 마르틴 루터가 작성한 슈말칼덴 조항에 서명했다.
이 시기에 호프의 가톨릭 신자는 심각하게 제한되었지만, 몇십 년 동안 유지되었다. 1538년에는 지그문트교회가 철거되었고, 성 강골프 교회가 매각되었다(나중에 불에 타 창고로 바뀌었다). 1564년 호프에서 프란체스코 수도원이 폐지된 후, 가톨릭은 1810년 가톨릭 바이에른이 프랑코니아를 매입할 때까지 실제로 다시 도시에서 입지를 굳히지 못했다. 1837년이 되어서야 호프의 가톨릭 신자들이 자체 사제를 얻었고, 1844년이 되어서야 작은 교회가 건설되었다(마리엔교회).
2. 5. 프로이센 통치 (1791년 - 1805년)
1791년 12월 2일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와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의 마지막 변경백이었던 카를 알렉산더 변경백이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에게 매각하면서 프로이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일원이었다.1792년에 호프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령과 함께 프로이센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2. 6. 나폴레옹 전쟁 (1805년 - 1810년)
1805년 11월 3일, 프로이센은 포츠담 조약을 체결하여 나폴레옹이 4주 이내에 평화에 동의하지 않으면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참전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1805년 12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제3차 동맹을 격파하면서 이 조약은 무효가 되었다. 이후 프로이센 사절인 하우그비츠 백작은 프로이센과 프랑스 간의 동맹을 선언하는 쇤브룬 조약 (1805년 12월 15일)을 협상해야 했고, 프로이센은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를 포기해야 했다.1806년 2월, 하우그비츠는 쇤브룬 조약을 비준하고 프로이센에 유리한 수정을 확보하기 위해 파리로 갔지만, 나폴레옹은 조약을 찢고 프로이센이 양도해야 할 영토를 두 배로 늘리고 영국과의 단절을 강요하는 새로운 조약을 작성하게 했다. 2월 15일에 서명된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유럽에서 완전히 고립되었고, 그해 말 나폴레옹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806–1807)에서 호프는 프로이센 군의 타운치엔 장군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다. 1806년 10월 8일, 타운치엔은 호프를 거의 버렸고, 같은 날 나폴레옹의 원수 장 드 디외 술트의 제4군단의 경 기병대에 의해 쉽게 점령되었다. 호프는 나폴레옹의 [http://www.napoleongames.com/campaign_in_saxony.html 작센 원정]의 이상적인 '출발점'이 되었고, 다음 날 슐라이츠 전투에서 프랑스의 승리와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승리로 이어졌다.
나폴레옹은 1810년 6월 30일에 호프를 바이에른 왕국에 매각했다. 1792년에 호프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령과 함께 프로이센 왕국에 속하게 되었으나,1806년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가 1810년 바이에른 왕국에 매각되었다.
2. 7. 바이에른 통치 (1810년 - 1918년)
1823년에 발생한 화재는 노이슈타트의 거의 전역을 태웠다. 19세기 말에는 알트슈타트가 확장되어 많은 가옥이 신축되었는데, 이는 현재 "노이슈타트"라고 불리는 지역까지 미쳤다. 1848년, 호프에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남북 철도와 작센-바이에른 철도가 개통했다. 처음 호프역은 시의 중심부, 현재의 우체국 근처에 있었지만, 1880년에 주요 환승역으로서 시 경계에서 떨어진 곳에 새로운 호프역이 건설되었다. 1901년부터 1920년대 초까지는 노면전차가 시와 역을 연결했지만, 그 후 시내버스로 대체되었다. 바이에른과 작센의 국경역으로서, 호프역은 그에 걸맞은 기능을 갖추었다.2. 7. 1. 1823년 대화재
1823년 9월 4일, 마을에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 10채 중 9채가 파괴되는 등 사실상 마을 전체가 파괴되었다.2. 8.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호프는 공습으로 인해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1945년 말까지 이전 인구의 두 배를 수용했으며, 인근 보헤미아에서 온 독일어 사용 난민을 수용했다. 보헤미아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독일어 사용 인구에 대한 광범위한 민족 청소가 진행되고 있었다.[17]2. 9. 현대
1945년부터 1990년까지 호프는 국경 근처에 위치하여 동독과 서독 사이에 있었다. 1989년, 서독으로 여행하거나 이민할 권리를 요구하여 허가받은 수천 명의 동독 시민들이 특별 열차에 실려 동독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추방"되어 호프의 철도역에서 처음 서독 땅에 도착했다. 호프는 구 베를린-뮌헨 고속도로 근처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냉전이 무력 충돌로 확대될 경우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의 침공 경로가 될 수 있다고 여겨졌다(풀다 갭 참조).1945년, 호프는 공습을 받아 일반 시민에게도 희생자가 발생했다. 종전 후 독일 분할로 이 도시는 완전히 주변 지역이 되었고, 튀링겐, 작센, 보헤미아와의 좋은 관계가 끊어졌다. 모셴도르프 지구에는 종전 후 난민 수용소가 설치되었으며, 포츠담 협정에 의해 거주지에서 쫓겨난 난민들이 유입되어 시의 인구가 팽창했다. 1989년 동서 국경 개방, 1990년의 독일 재통일로 형태는 바뀌었지만, 예전의 관계가 부활했다.
호프는 냉전 시기에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과의 국경 근처에 위치해 있어 특별한 관심을 받았다. 호에 자스에는 레이더 기지가 있었고, 미국의 제2기갑 기병 연대의 국경 캠프가 마을 근처에 있었다. 제511군사정보대대 또한 호프에 국경 주둔 사무소를 운영했다*. 1949년에서 1993년까지 호프는 또한 RIAS 송신소의 위치이기도 했다.
연도 | 인구 |
---|---|
1939 | 44,878 |
1945 | 55,405 |
1950 | 61,033 |
1955 | 58,005 |
1960 | 57,414 |
1965 | 55,810 |
1970 | 54,424 |
1975 | 54,644 |
1980 | 53,180 |
1985 | 51,275 |
1990 | 53,095 |
1995 | 52,531 |
2003 | 49,804 |
2004 | 49,424 |
2006 | 50,150 |
wikitext
3. 지리
호프는 프랑켄발트, 피히텔 산맥, 포크트란트에 접해 있다. 또한, 튀링겐 숲, 바이에른 숲, 보헤미아 숲 또는 에르츠 산맥의 지맥으로 볼 수 있으며, 중저산지적인 성격이 강한 토지이다.
== 주변 환경 ==
호프는 프랑켄 발트, 피히텔 산맥, 포크트란트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호프시는 주변을 호프군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파일리히, 트로겐, 가텐도르프, 데라우, 오버코차우, 콘라츠로이트, 로이폴츠그륀, 케디츠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 기후 ==
호프는 쾨펜 기후 구분상 습윤 대륙성 기후(Dfb)이며, 트레와르타 기후 구분으로는 ''Dclo''에 속한다.[24] 호프는 해발 565.2m에 위치하여 바이에른주의 다른 지역보다 기온이 낮은 편이며, '바이에른의 시베리아'라고도 불린다.[6] 연평균 기온은 겨울철 -1℃에서 여름철 17℃ 사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712.6mm이다.[6]
호프 기상 관측소에서 기록된 극값은 다음과 같다:[6]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 시간 등은 아래 표와 같다.[4][5][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1.0 | 2.4 | 6.9 | 12.6 | 16.9 | 20.2 | 22.4 | 22.3 | 17.3 | 11.6 | 5.5 | 1.8 | 11.8 |
평균 기온 (℃) | -1.3 | -0.6 | 2.8 | 7.6 | 11.9 | 15.2 | 17.2 | 16.9 | 12.4 | 7.8 | 2.9 | -0.3 | 7.7 |
평균 최저 기온 (℃) | -3.8 | -3.6 | -0.8 | 2.6 | 6.7 | 10.0 | 12.0 | 11.7 | 8.0 | 4.4 | 0.6 | -2.5 | 3.8 |
강수량 (mm) | 55.3 | 46.0 | 49.3 | 38.5 | 58.8 | 69.5 | 86.6 | 75.3 | 61.4 | 55.5 | 54.7 | 61.7 | 712.6 |
평균 일조 시간 | 46.8 | 75.1 | 120.3 | 178.8 | 206.1 | 207.9 | 221.9 | 212.6 | 157.7 | 105.5 | 48.9 | 38.1 | 1619.8 |
이 지역은 기온의 최고점과 최저점 차이가 적고 연중 강우량이 적절하며, 쾨펜 기후 구분상 "Cfb"(서안 해양성 기후/해양성 기후)에 해당한다. 연평균 기온은 7℃ 이하로, 독일어권 인구 2만 명 이상의 도시 중 가장 낮다.
== 행정 구역 ==
호프시는 알트슈타트(구시가지), 반호프피어텔, 하이트, 호펙, 에펜로이트, 파브리크포어슈타트, 크뢰텐브루크, 라이미츠, 모셴도르프, 뮌스터, 노이호프, 노이슈타트, 예거스루, 게르틀라, 오섹, 운터코트차우, 포겔헤르트, 포어슈타트, 뵐바텐도르프 등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
---|
알트슈타트 |
반호프피어텔 |
하이트 |
호펙 |
에펜로이트 |
파브리크포어슈타트 |
크뢰텐브루크 |
라이미츠 |
모셴도르프 |
뮌스터 |
노이호프 |
노이슈타트 |
예거스루 |
게르틀라 |
오섹 |
운터코트차우 |
포겔헤르트 |
포어슈타트 |
뵐바텐도르프 |
3. 1. 행정 구역
호프시는 알트슈타트(구시가지), 반호프피어텔, 하이트, 호펙, 에펜로이트, 파브리크포어슈타트, 크뢰텐브루크, 라이미츠, 모셴도르프, 뮌스터, 노이호프, 노이슈타트, 예거스루, 게르틀라, 오섹, 운터코트차우, 포겔헤르트, 포어슈타트, 뵐바텐도르프 등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지역 |
---|
알트슈타트 |
반호프피어텔 |
하이트 |
호펙 |
에펜로이트 |
파브리크포어슈타트 |
크뢰텐브루크 |
라이미츠 |
모셴도르프 |
뮌스터 |
노이호프 |
노이슈타트 |
예거스루 |
게르틀라 |
오섹 |
운터코트차우 |
포겔헤르트 |
포어슈타트 |
뵐바텐도르프 |
3. 2. 주변 환경
호프는 프랑켄 발트, 피히텔 산맥, 포크트란트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호프시는 주변을 호프군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파일리히, 트로겐, 가텐도르프, 데라우, 오버코차우, 콘라츠로이트, 로이폴츠그륀, 케디츠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3. 3. 기후
호프는 쾨펜 기후 구분상 습윤 대륙성 기후(Dfb)이며, 트레와르타 기후 구분으로는 ''Dclo''에 속한다.[24] 호프는 해발 565.2m에 위치하여 바이에른주의 다른 지역보다 기온이 낮은 편이며, '바이에른의 시베리아'라고도 불린다.[6] 연평균 기온은 겨울철 -1℃에서 여름철 17℃ 사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712.6mm이다.[6]호프 기상 관측소에서 기록된 극값은 다음과 같다:[6]
- 최고 기온: 2022년 7월 20일 35.3℃[6]
- 최저 기온: 1956년 2월 10일 -27.0℃[6]
- 연간 최고 강수량: 1995년 1010.5mm[6]
- 연간 최저 강수량: 1953년 388.2mm[6]
- 연간 최장 일조 시간: 1959년 2,008.9시간[6]
- 연간 최단 일조 시간: 1978년 1,247.5시간[6]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 시간 등은 아래 표와 같다.[4][5][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1.0 | 2.4 | 6.9 | 12.6 | 16.9 | 20.2 | 22.4 | 22.3 | 17.3 | 11.6 | 5.5 | 1.8 | 11.8 |
평균 기온 (℃) | -1.3 | -0.6 | 2.8 | 7.6 | 11.9 | 15.2 | 17.2 | 16.9 | 12.4 | 7.8 | 2.9 | -0.3 | 7.7 |
평균 최저 기온 (℃) | -3.8 | -3.6 | -0.8 | 2.6 | 6.7 | 10.0 | 12.0 | 11.7 | 8.0 | 4.4 | 0.6 | -2.5 | 3.8 |
강수량 (mm) | 55.3 | 46.0 | 49.3 | 38.5 | 58.8 | 69.5 | 86.6 | 75.3 | 61.4 | 55.5 | 54.7 | 61.7 | 712.6 |
평균 일조 시간 | 46.8 | 75.1 | 120.3 | 178.8 | 206.1 | 207.9 | 221.9 | 212.6 | 157.7 | 105.5 | 48.9 | 38.1 | 1619.8 |
이 지역은 기온의 최고점과 최저점 차이가 적고 연중 강우량이 적절하며, 쾨펜 기후 구분상 "Cfb"(서안 해양성 기후/해양성 기후)에 해당한다. 연평균 기온은 7℃ 이하로, 독일어권 인구 2만 명 이상의 도시 중 가장 낮다.
4. 정치
- 1398년: 요한 3세
- 1420년: 브란덴부르크의 프리드리히 1세
- 1440년: 요한 4세 "연금술사"
- 1457년: 알베르트 1세 "아킬레스" (1470년부터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겸임)
- 1486년: 지크문트
- 1495년: 프리드리히 3세 (안스바흐 변경백 프리드리히 1세 겸임)
- 1515년: 카시미르
- 1527년: 알브레히트 알키비아데스
- 1553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안스바흐 변경백 겸임)
- 1603년: 크리스티안
- 1655년: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 1712년: 게오르크 빌헬름
- 1726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카를 (1708년부터 쿨름바흐 변경백 역임)
- 1735년: 프리드리히
- 1763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 1769년: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1791년까지; 안스바흐 변경백 겸임)
1818년 이후 |
---|
1818–1846: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사무엘 폰 외르텔 (1846년 3월 20일 사망) |
1847: 요한 아담 라우브만 (1847년 7월 20일 ~ 1847년 12월 25일) |
1848–1849: 크리스토프 테오도어 고틀로프 쉐론 (1848년 2월 7일 선출) |
1849–1857: 모리츠 에른스트 프라이헤어 폰 발덴펠스 |
1857–1882: 헤르만 폰 뮌히 |
1883–1903: 카를 폰 만 |
1904–1916: 파울 브로이닝거 |
1916–1919: 하인리히 노이퍼트 |
1919–1933: 카를 불 |
1933–1941: 리하르트 벤들러 |
1945–1946: 오스카어 와이나우어 |
1946–1948: 한스 베헤르트 |
1948–1949: 쿠르트 쉐로터 |
1950–1970: SPD 소속 한스 횔른 |
1970–1988: CSU 소속 한스 호인 |
1988–2006: SPD 소속 디터 되흘라 |
2006–2020: CSU 소속 하랄트 피히트너 |
2020년 5월 ~ 현재: SPD 소속 에바 되흘라 |
호프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8]
4. 1. 시장 (1818년 이후)
wikitable1818년 이후 |
---|
1818–1846: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사무엘 폰 외르텔 (1846년 3월 20일 사망) |
1847: 요한 아담 라우브만 (1847년 7월 20일 ~ 1847년 12월 25일) |
1848–1849: 크리스토프 테오도어 고틀로프 쉐론 (1848년 2월 7일 선출) |
1849–1857: 모리츠 에른스트 프라이헤어 폰 발덴펠스 |
1857–1882: 헤르만 폰 뮌히 |
1883–1903: 카를 폰 만 |
1904–1916: 파울 브로이닝거 |
1916–1919: 하인리히 노이퍼트 |
1919–1933: 카를 불 |
1933–1941: 리하르트 벤들러 |
1945–1946: 오스카어 와이나우어 |
1946–1948: 한스 베헤르트 |
1948–1949: 쿠르트 쉐로터 |
1950–1970: SPD 소속 한스 횔른 |
1970–1988: CSU 소속 한스 호인 |
1988–2006: SPD 소속 디터 되흘라 |
2006–2020: CSU 소속 하랄트 피히트너 |
2020년 5월 ~ 현재: SPD 소속 에바 되흘라 |
4. 2. 자매 도시
호프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8]5. 경제
호프는 맥주 양조가 활발하여 12개의 맥주 양조장이 있다.
경제는 섬유·의류 산업이 중심이며, 인근의 호프 군, 쿨름바흐 군, 바이로이트 군과 함께 독일의 주요 3대 섬유 산업 지대 중 하나를 형성한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Textilgruppe Hof AG가 있다.
이 외에도 냉장고 제조 (Viessmann Kältetechnik AG), 수중 펌프, 정수 설비, 강철 및 경금속 부품 등의 공업 분야도 발전했다.
또한, 호프에는 사립 지역 은행인 슈미트 은행이 있었으며, 이 은행의 노하우는 특수 금융업 및 서비스업 등에 활용되었다. 2001년, 슈미트 은행은 경영 위기로 인해 업무를 해소했으며, 현재 예전 슈미트 은행 본사 건물은 아우크스부르크에 본부를 둔 바이에른주 환경국의 호프 사무소로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 초부터 많은 운송업체가 진출했으며, 자동차 산업 하청업체 집합체인 "폴 포지션"이 호프와 가텐도르프에 설치되어 확장되고 있다.
가장 많은 고용주가 있는 업종은 소매업이며, 의료·보건 기관, 섬유 산업, 운송업, 금융업이 그 뒤를 잇는다.
6. 문화
6. 1. 주요 시설
호프에는 다양한 시설이 있다. 주요 시설로는 호프 시립 식물원(Botanischer Garten der Stadt Hof)과 호프 동물원이 있는 테레지엔슈타인 시민 공원, 행사 건물인 프라이하이트할레(Freiheitshalle), 도시에서 가장 높은 교회인 성 마리아 대성당(높이 65m), 두 번째로 큰 교회인 성 미카엘 대성당, 도시 남쪽에 있는 호수인 운트루이제 등이 있다.
테레지엔슈타인 시민 공원에는 식물원, 동물원, 유겐트 양식의 레스토랑, 성터와 미로 탑이 있다. 호프 페른베 공원, 운트루이 호수 근교 레저 지구, 잘레 자전거 도로·산책로도 주요 시설에 포함된다.
그 외에도 호프 극장, 호프 교향악단, 호프 야외 홀, 바이에른 포크트란트 박물관, 맥주 양조 박물관, 호프 테디 박물관, 성냥개비 공작 박물관, 시립 자료관, 시립 도서관, 전문 단과 대학 도서관 등이 있다. 호프 테디 박물관은 베를린의 플로렌틴 브레도우의 테디베어를 중심으로 한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비스마르크 타워인 호프 비스마르크 기념비, 구 역사의 아인슈타이히 홀, 전문대학, 야외 홀, 호프 중앙역, 슐레히 교회, 로렌츠 교회, 마리엔 교회, 미하엘리스 교회, 호프 시청사(라트하우스), 망루 등도 호프의 주요 시설이다.
카롤리넨 거리의 닥터 빌트 광장에 있는 요한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빌트 기념비, 에른스트 로이터 거리의 오이셀러 바이로이트 거리와 오세커 거리 사이에 있는 하인리히 고트프리트 겔버와 게베르트트레거(교량 구조) 기념비, 브루히어 거리와 오세커 거리 모퉁이에 있는 난민 기념비, 분지델러 거리(오스트프로이센 거리 모퉁이)의 모센도르프 난민 수용소 기념비, 존넨 광장의 "베르슈트라모"(소시지 상인) 기념비도 있다.

6. 2. 축제 및 행사
자유 홀(Freiheitshalle)은 바이에른 북동부에서 가장 큰 행사 및 콘서트 홀로, TV 쇼와 무역 박람회로 유명하며 6,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호프 극장(Theater Hof)은 다목적 극장, 오페라 하우스 및 드라마 극장으로, 시의 발레단과 청소년 극장도 운영한다. 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Hofer Symphoniker)는 극장에서 오페라 오케스트라로 연주하며 자유 홀 호프(Freiheitshalle Hof)에서 콘서트를 개최하고, 독일 전문 오케스트라 중 유일하게 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 학교를 운영한다. 시 교회 성 마리아 교회와 성 미셸 교회에서는 루드거 슈틸마이어(Ludger Stühlmeyer)와 게오르그 스테넥(Georg Stanek)의 감독 하에 교회 음악을 연주한다.앙리 마르토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Henri Marteau)는 앙리 마르토(Henri Marteau)의 이름을 딴 콩쿠르로, 상프랑코니아 지역 책임 하에 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Hofer Symphoniker)가 주최하며 3년마다 리히텐베르크와 호프에서 개최된다.
호프 국제 영화제(H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는 1967년 학생 하인츠 바데비츠가 과거 재즈 밴드 동료였던 베르너 바이넬트, 우베 브란더와 함께 자신의 영화를 호프에서 상영한 "Zweieinhalb-Stunden-Kinoabend"가 그 기원이며, "제1회 단편 영화제"로 명명되었다. 빔 벤더스는 호프 영화제를 "영화의 고향"이라고 언급했다. 하인츠 바데비츠의 지도하에 영화제는 안정적인 발전을 계속했고, 40년에 걸쳐 젊은 감독들이 데뷔작을 처음으로 공개 상영하는 장으로서, 독일에서도 가장 명망 높은 영화제 중 하나가 되었다. 베르너 헤어조크, 빔 벤더스, 폴커 슐뢴도르프와 같은 감독들의 뉴 저먼 시네마나 80년대 코미디 붐과 같은 독일 영화계의 주요 흐름은 호프에서의 상영이 그 선구자 역할을 했다.
호프 민속 축제(Volksfestde)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행사로, 매년 7월 말과 8월 초에 열린다. 7월 마지막 금요일에 시작하여 시내 중심부를 통과하여 축제 장소로 향하는 대규모 퍼레이드로 시작되며, 축제는 다음 주 일요일까지 10일 동안 개최된다. 축제는 다양한 놀이기구와 모든 종류의 지역 음식 및 맥주 전문점이 있는 대규모 유원지를 차지하며, 일부는 대규모 맥주 천막 구역을 차지한다. 민속 축제 광장에는 대규모 이동 유원지가 설치된다.
이 외에도 호프 어린이 영화제, 독일 영화 주간, 슬리퍼의 날(슬라펜타크), 호프 환경의 날, 호프 가을 시장 등의 행사가 열린다.
6. 3. 음식
호프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독특한 소시지이다. 호퍼 브로트부르스트(호프식 구운 소시지)는 인근 튀링겐, 코부르크, 또는 다른 프랑켄 지방의 소시지에 비해 가늘고 지방이 적다. 섞지 않은 순수한 레버케제와 호퍼 린트플라이슈부르스트(호프식 쇠고기 소시지)도 유명하다. 이 도시의 구시가지에는 "부르스트라모"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소시지 판매상이 있으며, 가마솥에서 바로 비엔나 소시지, 시골풍 소시지, 백색 소시지를 꺼내 겨자를 곁들여 판매하고 있다. 호프의 소시지와 맥주는 멀리까지 알려져 있다. 호프는 양질의 맥주(예: 뷔르거브로이, 팔터, 마이넬=브로이, 셸델, 체르트브로이)의 생산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20세기 초까지 호프에는 12개의 맥주 양조장이 있었다.호프의 대표적인 요리는 "슈니츠"라고 불리는 스튜이며, 특히 슈반마슈니츠라는 버섯 스튜가 유명하다.
7. 교통
호프 중앙역은 레겐스부르크-호프, 밤베르크-호프 및 라이프치히-호프 간선과 호프-바트 슈테벤 지선에 위치해 있다.
호프 시는 3개의 아우토반 A9, A93, A72와 연방 도로 B2, B15, B173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프랑크푸르트행 노선이 있는 지역 공항은 호프 지구 남서쪽 5km 떨어진 필크 지구에 위치해 있다.
도이치반의 호프 중앙역의 간선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뮌헨 - 레겐스부르크 - 호프-플라우엔 - 라이프치히 - 베를린
- 뷔르츠부르크 - 밤베르크 - 호프-플라우엔 - 츠비카우 - 켐니츠 - 드레스덴
- 뉘른베르크 - 호프
근교 노선으로는 호프- 나일라 - 바트 슈테벤, 호프-뮌히베르크 - 헬름브레히츠, 호프-오버코차우 - 젤프 노선이 있다.
시내에는 [https://web.archive.org/web/20100108083413/http://www.stadtwerke-hof.de/verkehr 호프버스](HofBus)에서 운행하는 10개 이상의 버스 노선이 있다.
8. 교육
호프 응용과학 대학교에는 약 3,7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바이에른 행정 및 법률 응용과학 대학교에는 약 1,8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바이에른 행정 및 사법 응용과학대학교는 일반 내정을 전문으로 한다. 그 외에도 사회 교육학 및 보호 교육학 전문 아카데미, 요한 크리스티안 라인하르트 김나지움, 쉴러 김나지움, 장 파울 김나지움, 호프 전문 및 상급 직업 학교 등이 있다.
9. 미디어
호프에는 지역 신문인 프랑켄포스트의 본사가 있다.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라디오 유로헤르츠de와 엑스트라 라디오가 있다.
또한 호프에는 지역 텔레비전 채널인 TV 오버프랑켄de(TV Upper-Franconia)의 스튜디오가 있다.
1948년부터 1994년까지 호프는 독일 민주 공화국(구 동독) 남부에 RIAS 방송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중파 방송 라디오국의 소재지였다. 송신 안테나로, 높이 100m의 2개의 노후화된 송신탑이 사용되었다. 이 송신탑은 1995년 10월에 동시에 파괴·철거되었다. 호프에는 바이에른 라디오 방송의 중파 송신소도 있다.(이 송신탑은 호프의 호엔자스에 있다) 1999년까지의 송신 주파수는 520kHz였다. 이 주파수는 공식적인 중파 방송 대역이 아니며, 송신 출력 200W의 방송만 이용할 수 있다. 뷔르츠부르크에도 유사한 대역에서 동일한 출력의 시설이 있으며, 중파 전파의 전파 시험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라디오에서는 이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기 어려워, 1999년 이후 729kHz로 주파수 변경이 이루어졌다. 주파수가 변경될 때, 새로운 송신탑도 건설되었다. 이 탑은 74m의 높이를 가지며, 아홀밍과 도네바흐의 장파 송신탑과 마찬가지로, 상부에 강철 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재 호프 방송 산하에는 "오이로헬츠"(88.0MHz)와 "라디오 갤럭시"(94.0MHz)가 있다. 이 외에, 12:00부터 18:00 사이에 방송하는 독립적인 "엑스트라 라디오"(88.0MHz)가 있다.
"호퍼 안차이거"는 호프 및 그 주변 지역의 주요 일간지이다. 이 신문은 1801년에 "호퍼 인텔리겐츠=블라트"로 창간되었다. 이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일간지 중 하나이다. 1968년 이후 호퍼 안차이거는 프랑켄포스트 출판 그룹에 속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e der Oberbürgermeister in den kreisfreien Städten
https://www.statisti[...]
2021-07-19
[2]
웹사이트
Hof in Zahlen
https://web.archive.[...]
2020-05-21
[3]
웹사이트
Fläche/Einwohner
https://www.landkrei[...]
Landkreis Hof
2019-10-28
[4]
웹사이트
Cuxhaven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9-22
[5]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https://www.wetterze[...]
DWD
2024-09-22
[6]
웹사이트
Monatsauswertung
http://sklima.de/dat[...]
SKlima
2024-10-18
[7]
문서
Tabula Peutingeriana
[8]
웹사이트
Hymenaeus Decantatus & Dicatus Nuptiis Serenissimi ... Principis ... Christiani...
http://digital.slub-[...]
Kranichfeld, Nikolaus
1602
[9]
웹사이트
Kathpedia Geschichte Hof (Saale)
http://www.kathpedia[...]
Kathpedia
[10]
문서
Bamberger Urkunden Nr. 467
Staatsarchiv Bamberg
[11]
웹사이트
Other names for Hof
http://www.dilibri.d[...]
[12]
서적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Band 19
https://www.deutsche[...]
1884
[13]
서적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Band 19
https://www.deutsche[...]
1884
[14]
웹사이트
Writings of Kaspar Loehner
http://www.worldcat.[...]
[15]
문서
Kleine Geschichte der Stadt Hof
Hof
1961
[16]
문서
Prussia in the later 17th centur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7]
서적
Verbrecher und andere Deutsche. Ein Bericht aus Deutschland 1946
J. H. W. Dietz Nachfolger
[18]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eb.archive.[...]
Hof
2021-02-15
[19]
웹사이트
Verschoenerungsverein Hof - von Schmidt'sche Tafel
https://web.archive.[...]
2008-11-15
[20]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1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21]
웹사이트
German Climate Normals 1981–2020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4-02
[22]
웹사이트
Weather extremes for Hof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9-01-17
[23]
웹사이트
Fortschreibung des Bevölkerungsstandes
https://www.statisti[...]
Bayerisches Landesamt für Statistik und Datenverarbeitung
2017-02-01
[24]
웹인용
DWD
https://web.archive.[...]
DWD
2018-11-17
[25]
웹인용
DWD
http://www.ecad.eu/d[...]
DW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