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 (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대(지역)는 서울의 특정 지역을 지칭하며, 1984년 홍대입구역 개통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홍익대학교를 중심으로 상수동, 서교동 일대를 포함했으나, 상권 확장으로 인해 동교동, 합정동, 연남동, 망원동, 성산동 일대까지 그 범위가 넓어졌다. 1990년대부터 인디 음악과 예술의 중심지로 자리 잡아, 거리 예술, 클럽 문화, 카페 문화, 길거리 음식, 뷰티 쇼핑 등으로 유명하다. 잔다리 페스타, 라이브 클럽 데이, 거리 미술 전시, 프리마켓 등 다양한 문화 행사도 열린다. 또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의 촬영지로도 활용되며, 홍대입구역, 상수역, 합정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환락가 - 대학로 (서울)
대학로는 종로구 종로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르는 길과 그 주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과거 성균관과 서울대학교가 위치했던 대학가에서 마로니에 공원 주변 소극장들을 중심으로 공연 문화가 발달한 "한국판 브로드웨이"로 변모하였다. - 대한민국의 환락가 - 신촌
신촌은 서울의 대학 밀집 지역으로, 한때 서울의 주요 상권이었으나 침체기를 겪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과 축제 개최를 통해 다시 활기를 되찾았으며, 현대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갖춘 곳이다. - 서울 마포구의 지리 - 불광천
불광천은 서울 은평구와 서대문구를 흐르는 하천으로 불광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생태하천 복원 후 자전거길과 산책로가 조성되었고 벚꽃축제 등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며 지하철 6호선과 인접해 있다. - 서울 마포구의 지리 - 난지도 (서울)
과거 쓰레기 매립지였던 난지도는 현재 안정화 작업을 거쳐 월드컵공원, 노을공원, 하늘공원 등의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매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는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홍익대학교 - 경성고등학교
1967년 경성학원에 의해 설립 인가된 경성고등학교는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로, 2021년 기준 총 졸업생 수는 28,510명이다. - 홍익대학교 - 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홍익대학교 인근 홍대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긴 환승 통로와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홍대 (지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국어 표기 | 홍대 |
로마자 표기 | Hongdae |
맥큔-라이샤워 표기 | Hongdae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
관련 정보 | |
관련 지하철역 | 홍대입구역 |
2. 이름과 범위
이 지역은 1984년 홍대입구역 개통 이후 '홍대'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그 이전에는 '''잔다리'''(細橋里)라는 고유 지명으로 불렸다.[26]
1990년대 초반, 홍익대학교 근처에 특색있는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홍대앞 문화"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는 드럭, 블루 데블, 재머스 등의 라이브 클럽이 생겨났고, 크라잉 넛, 델리 스파이스, 황신혜 밴드를 비롯한 인디 밴드들이 활동하면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2] 홍익대학교 정문에서 극동방송국 사이의 거리는 다양한 술집과 펑크 락, 테크노 음악을 전문으로 연주하는 라이브 클럽들이 모여있는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거리로 불렸다.
원래 홍익대학교 앞을 지나는 와우산로와 양화로, 홍대입구역과 홍익대학교 정문을 잇는 홍익로, 홍익로와 나란히 연결된 잔다리로, 옛 당인리선 폐선 부지에 개설된 어울마당로 일대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행정구역상 상수동과 서교동 일대를 가리켰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이 일대 상가 임대료가 오르자 이 지역에서 영업하던 상인들이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면서,[27] 현재는 동교동, 합정동, 연남동, 망원동, 성산동 일대까지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28]
3. 역사
1990년대부터 홍익대학교의 영향으로 예술가들이 홍대 지역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홍익대학교는 미술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사립대학이다. 초기에는 임대료가 저렴하여 예산이 부족한 뮤지션들과 거리 예술가들이 홍대 지역으로 이주해왔다. 1990년대 중반, 자매바버샵과 크라잉넛을 시작으로 한국 인디씬이 홍대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전에는 많은 커버 밴드들이 신촌과 이대 근처에서 공연을 했다. 이후 자우림, 페퍼톤스, 아이디오테잎과 같은 밴드들이 홍대 공연장에서 공연을 시작하면서, 이 지역은 도시 예술과 언더그라운드 클럽 문화의 중심지로 명성을 얻었다. 현재 홍대에서는 거리 예술 축제와 공연, 인디 아티스트와 주류 연예인들의 음악 콘서트가 열리고 있다.
홍대 거리 곳곳에는 많은 낙서 벽화가 그려져 있어 미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홍대 벽화거리(피카소 거리)는 이러한 벽화로 유명한 지역 중 하나이다.[3]
3. 1. 젠트리피케이션
다른 다문화 대도시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 거리는 젠트리피케이션을 겪고 있다.[4] 최근 고급 브랜드 상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예술가들이 합정역 근처 남쪽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거리는 여전히 도시 최고의 인디 뮤지션 명소로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4][5] 많은 라이브 음악 공연장과 축제는 다양한 방문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주요 K팝 기획사인 YG 엔터테인먼트도 이 거리 근처에 위치해 있다.[6]
4. 문화
1990년대 초반, 특색있는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홍대앞 문화"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는 드럭, 블루 데블, 재머스 등의 라이브 클럽이 생겨나고, 크라잉 넛, 델리 스파이스, 황신혜 밴드 외의 인디 밴드들이 활동하면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2] 홍익대학교 정문에서 극동방송국 사이의 거리에는 다양한 술집과 펑크 록, 테크노 음악을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라이브 클럽들이 모여 있어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거리로도 불렸다.
홍익대학교(홍대)의 영향으로 1990년대부터 예술가들이 이 지역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홍익대학교는 미술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명문 사립대학이다. 초기에는 임대료가 저렴하여 예산이 부족한 뮤지션들과 거리 예술가들이 홍대 지역의 작업실로 이주했다. 1990년대 중반, 자매바버샵과 크라잉넛을 시작으로 한국 인디씬이 홍대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전에는 많은 커버 밴드들이 신촌과 이대 근처에서 공연을 했다. 이후 자우림, 페퍼톤스, 아이디오테잎과 같은 밴드들이 홍대 공연장에서 공연을 시작하면서, 이 지역은 도시 예술과 언더그라운드 클럽 문화의 메카로 명성을 얻었다.[2] 현재는 거리 예술 축제와 공연, 인디 아티스트와 주류 연예인들의 음악 콘서트도 열리고 있다.
홍대 거리 곳곳에는 많은 낙서 벽화가 있으며, 특히 홍대 벽화거리(피카소 거리)가 유명하다.[3]
다른 다문화 대도시 지역처럼 젠트리피케이션을 겪고 있지만, 최근 고급 브랜드 상점들이 늘어나 예술가들이 합정역 근처로 이동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도시 최고의 인디 뮤지션 명소로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많은 라이브 음악 공연장과 축제가 다양한 방문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4][5] 주요 K팝 기획사인 YG 엔터테인먼트도 이 거리 근처에 있다.[6][7]
홍대는 독립 의류 매장, 빈티지 상점, 미술 스튜디오, 트렌디한 카페와 클럽 등 다양성과 인디 아트 문화로 유명하다.[8] 또한, 버스킹(길거리 공연)을 통해 춤, 음악, K-pop 등 다양한 분야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버스킹은 공연자들이 기술을 향상시키고 인지도를 높이며, 약간의 수입을 얻을 수 있게 돕는다.[9] 2016년, 홍대는 세계에서 가장 멋진 동네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0]
4. 1. 클럽 문화
1990년대 초반, 특색있는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시작된 "홍대앞 문화"는 1990년대 중반 드럭, 블루 데블, 재머스 등의 라이브 클럽이 생겨나고, 크라잉 넛, 델리 스파이스, 황신혜 밴드를 비롯한 인디 밴드들이 활동하면서 "홍대앞"만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홍익대학교 정문에서 극동방송국 사이의 거리에는 다양한 술집과 펑크 록, 테크노 음악을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라이브 클럽들이 모여 있어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거리로도 불렸다.홍대는 서울에서 최고의 클러빙 장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홍대 클러빙 문화는 19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1980년대 후반 스튜디오 카페와 바에서 시작되어 독자적인 다양한 문화로 발전했다. 클럽은 사람들이 모여 음악을 공유하고 춤을 추며 서로 소통하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클럽들은 많은 DJ 지망생과 음악가들에게 공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댄스, 테크노, 록, 힙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방문객들에게 선사한다. 많은 클럽이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출입할 수 있지만, 복장 규정이나 외국인 출입 금지 등의 불문율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클럽들도 있다.[11]

4. 2. 카페 문화
1990년대 후반, 홍대의 예술적 분위기는 트렌디한 카페 문화를 만들어냈고, 이는 현재 한국에서 유명한 테마 카페 문화로 이어졌다. 인기 있는 카페로는 해리 포터를 테마로 한 943 킹스크로스 카페[12], 고양이, 개, 양 등 다양한 동물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동물 카페[13] 등이 있다. 산리오의 시나모롤, 라인프렌즈, 카카오프렌즈 카페와 같은 캐릭터 카페도 흔히 볼 수 있다.4. 3. 길거리 음식
홍대는 길거리 음식과 노점상들이 많은 곳으로, 떡볶이, 떡꼬치, 호떡, 설탕을 입힌 과일꼬치 등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4. 4. 뷰티 쇼핑
홍대는 다양한 한국 화장품으로 유명하다. 홍대에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화장품 브랜드인 에뛰드하우스와 토니모리가 있으며, 렌즈베리, 렌즈미 홍대점 등 다양한 컬러 렌즈 브랜드 매장도 있다.[1] 주로 한국의 10대와 20대 젊은 층이 사용하는 제품 매장들로 구성되어 있다.[1]5. 행사
홍대 지역에서는 매년 다양한 문화 행사와 축제가 열려 홍대거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 '''잔다리 페스타''': 홍대 지역의 옛 이름인 '잔다리'에서 유래한 인디 음악 축제이다. 매년 가을, 사전에 예정된 라이브 클럽에서 3일간 개최된다.
- '''라이브 클럽 데이''': 2001년 3월부터 시작되었으며, 매달 마지막 금요일에 열린다. 하나의 티켓으로 록, 재즈, 힙합, 일렉트로닉 등 다양한 장르의 여러 클럽에 입장할 수 있다.
- '''거리 미술 전시''': 1993년 처음 시작되었으며, 매년 홍익대학교 학생들과 인근 예술가들이 협력하여 홍대 거리에 그라피티 벽화, 설치 미술, 공연 등 다양한 시각 예술 작품을 제작한다.
- '''프리마켓''': 홍대 놀이터에서 열리는 행사로, 비영리 단체인 일상예술창작센터가 2002년부터 매주 주말(3월~11월)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운영하고 있다. 토요일에는 "프리마켓", 일요일에는 "희망마켓"이라는 이름으로 열리며, 학생들과 거리 예술가들이 만든 공예품을 판매한다.
5. 1. 잔다리 페스타
잔다리 페스타[14]는 홍대 지역의 옛 이름인 '잔다리'에서 유래되었다. '잔다리'는 작은 다리를 의미하며, 이 페스티벌은 지역 인디 음악씬의 아티스트들과 관객들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매년 가을, 사전에 예정된 라이브 클럽에서 3일간 개최된다. 밴드들이 직접 참여를 신청하고, 아티스트들 또한 자신들이 공연하는 공연의 기획 및 홍보에 참여하도록 권장한다.5. 2. 라이브 클럽 데이
2001년 3월부터 시작된 '클럽 데이'는 하나의 입장료로 10개 이상의 클럽에 입장할 수 있도록 손목 밴드를 사용하는 이벤트였다. 2007년 이후에는 인디 음악 콘서트 장소와 함께 '사운드 데이'도 시작되었다.2008년부터 2009년 초까지 미군 병사들과 미성년자들의 폭력 및 소란 행위로 인해 중단되었다. 잠시 재개되었지만, 주로 인기 있는 라이브/댄스 클럽과 다른 저예산 클럽 간의 수익 배분 분쟁으로 인해 2011년 1월(117회 클럽 데이)에 다시 문을 닫았다.
4년간의 휴지기를 거쳐 2015년 1월, 6개의 라이브 클럽이 라이브 클럽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다른 클럽들과 함께 2월 27일에 '라이브 클럽 데이'를 재개했다.[15]
'라이브 클럽 데이'는 매달 마지막 금요일에 개최된다. 티켓 시스템은 이전과 동일하며, 하나의 티켓으로 록, 재즈, 힙합, 일렉트로닉 등 다양한 장르의 여러 클럽에 입장할 수 있다.
5. 3. 거리 미술 전시
1990년대 초,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생들이 학교 주변 거리, 벽, 도로를 꾸미기 시작했다. 전국 각지의 많은 예술가들이 이들의 노력에 동참하였고, 1993년 첫 번째 '거리 미술 축제'가 열렸다.[16]
매년 홍익대학교 학생들과 인근 예술가들이 협력하여 홍대 거리에 그라피티 벽화, 설치 미술, 공연 등 다양한 시각 예술 작품을 제작한다.
5. 4. 프리마켓
홍대앞 예술시장 프리마켓[17]은 홍익대학교 정문 앞에 있는 홍대 놀이터에서 열린다. 비영리 단체인 일상예술창작센터(Living and Art Creative Center)[18]가 2002년부터 매주 주말(3월~11월),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운영하고 있다. 토요일에는 "프리마켓", 일요일에는 "희망마켓"이라는 이름으로 열리며, 학생들과 거리 예술가들이 만든 공예품을 판매하는 신생 공예 시장이다.[19][20][21] 이 홍대 놀이터 프리마켓의 영향을 받아 홍대 주변에는 다른 문화 시장들이 불규칙적으로 열리고 있다.6. 대중문화 속 홍대
홍대는 국내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로 널리 사용되었다.[25] 2015년에는 벨기에 싱어송라이터 시온(Sioen)이 "홍대"라는 제목의 노래를 발표하기도 했다.
6. 1. 등장 작품
7. 교통
홍대입구역(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과 합정역(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수역(서울 지하철 6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서울 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택시도 많이 이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풀지 않고 쌓기만 홍대 재단적립금…학생들 불만 폭발
http://heraldk.com/2[...]
2023-08-20
[2]
뉴스
Indie spirit lives on in Hongdae's cafes and clubs
http://koreajoongang[...]
2011-05-02
[3]
웹사이트
Hongdae (Hongik University Street) (홍대)
https://english.visi[...]
2020-04-19
[4]
뉴스
Foreigners Invited to Discover Different Side of Hongdae
https://koreatimes.c[...]
2009-08-19
[5]
뉴스
Rediscovering Hongdaes Artistic Side
https://koreatimes.c[...]
2008-10-02
[6]
뉴스
Hongdae's bohemian raps and dancing
http://koreajoongang[...]
2010-11-20
[7]
논문
The Landscape of Club Culture and Identity Politics: Focusing on the Club Culture in the Hongdae Area of Seoul
https://www.aks.ac.k[...]
2004-09-01 # 추정 날짜
[8]
웹사이트
Hongdae Hedonism – A Haven For Young Fashion Experts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The Art of Busking and Why People Do It: Hongdae, Seoul Edition {{!}} Sound of Life {{!}} Powered by KEF
https://www.soundofl[...]
2023-12-13
[10]
웹사이트
The 15 Coolest Neighborhoods in the World in 2016
http://www.howitrave[...]
2016-11-17
[11]
서적
Entrepreneurial Seoulite : Culture and Subjectivity in Hongdae, Seoul
Michigan Publishing (University of Michigan)
[12]
웹사이트
Unique Cafes You Must Visit in Hongdae
https://www.koreatra[...]
2023-12-13
[13]
웹사이트
16 Cafes Making A Statement in Hongdae
https://thesoulofseo[...]
2023-12-13
[14]
웹사이트
Zendari Festa Official Site
http://www.zfesta.co[...]
[15]
뉴스
Hongdae's 'Live Club Day' to resume after long hiatus
http://www.koreahera[...]
2015-01-02
[16]
웹사이트
Hongdae Street Art Festival Official Site
http://blog.naver.co[...]
[17]
웹사이트
Freemarket Official Website
http://www.freemarke[...]
[18]
웹사이트
Living and Art Creative Center (일상예술창작센터)
http://www.livingnar[...]
[19]
웹사이트
Hongdae Free Market (홍대 프리마켓)
https://web.archive.[...]
[20]
뉴스
Treasure hunting at flea markets: Community-based markets for secondhand goods thrive in Seoul
http://www.koreahera[...]
2012-09-21
[21]
뉴스
Seoul's best flea markets
http://www.koreahera[...]
2012-09-21
[22]
웹사이트
'The First Shop Of Coffee Prince'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3]
뉴스
'Seoul's Got Soul' Coming to A Country Near You
http://english.chosu[...]
2011-06-21
[24]
뉴스
Jung Il Woo's First Shoot for ''Flower Boy Ramen Shop''
https://archive.toda[...]
2011-09-28
[25]
Youtube
Sioen 시오엔 – Hongdae 홍대
https://www.youtube.[...]
Frederik Sioen
[26]
웹사이트
가을이다 음악페스티벌에 빠져버려라
http://tenasia.hanky[...]
한국경제신문 텐아시아
2016-09-16
[27]
웹사이트
핫플레이스를 가다② 홍대상권 확장…상수·연남 새 핫플레이스로
http://news.mtn.co.k[...]
머니투데이방송
[28]
웹사이트
'쫓아내고 쫓겨나고' 그 이분법을 넘어서
https://news.v.daum.[...]
한국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