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홍윤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홍윤숙은 1925년 평안북도 청주군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동덕여자대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사, 기자, 상명여자대학교 강사로 활동했다. 1947년 문단에 데뷔하여 17권의 시집과 다수의 에세이, 희곡, 시극집을 출간했으며, 한국 전쟁과 분단의 고통, 개인의 고독, 통일에 대한 갈망 등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했다. 한국시인협회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구상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 홍씨 - 홍재형
    홍재형은 재무부 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해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이며, 국회의원과 국회부의장, 관세청장, 한국외환은행장, KBO 총재를 지냈다.
  • 남양 홍씨 - 홍미영
    홍미영은 1980년대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여 인천 부평구청장을 두 차례 역임한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여성 권익 신장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활동에 헌신하며 현재 한국여성의정 사무총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동덕여자고등학교 동문 - 하현정
    하현정은 2010년 미스코리아 미 수상, 미스코리아 서울 미 수상, 미스 투어리즘 퀸 오브 더 이어 인터내셔널 1위 수상 경력이 있으며 연극 및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고 한마음혈액원 및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 홍보대사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동덕여자고등학교 동문 - 제윤경
    제윤경은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채무자 권익 보호 활동과 금융 관련 제도 개선에 기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를 거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송재호
    송재호는 1959년 데뷔하여 60년 이상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고, 특히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서 아버지 역할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연기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연기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홍윤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윤숙
본명홍윤숙
여사(麗史)
로마자 표기Hong Yunsuk
출생 및 사망
출생일1925년 8월 19일
출생지평안북도 정주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망일2015년 10월 12일 (90세)
묘지미상
학력
모교서울대학교 중퇴
경력
등단1947년
데뷔작『가을』 (1947년)
직업시인
가족 관계
배우자양한모
수상
수상 내역미상
기타
종교미상
영향 받은 인물미상
영향 준 인물미상

2. 생애

홍윤숙은 1925년 평안북도 청주군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나 평생 대부분을 서울에서 보냈다. 동덕여자대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1944)를 졸업하고 교사로 일하다 서울교육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대학교 연극반에서 활동하며 희곡을 쓰기도 했으나, 한국 전쟁으로 학업을 마치지 못했다.[4] 한국여류문학인회와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전쟁 이전 시대에 문학적, 정치적 기반을 확립했다. 교사, 기자, 상명여자대학교 강사로도 활동했다.

2. 1. 한국 전쟁과 분단의 영향

홍윤숙은 1925년 평안북도 청주군 (일제강점기)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평생 대부분을 서울에서 보냈다. 동덕여자대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1944)를 졸업한 후, 몇 년 동안 교사로 일하다가 서울교육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대학교 연극반의 활발한 멤버였으며, 초대 비서를 맡았고, 연극 무대에서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희곡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 발발로 인해 학업을 마치지 못했다.[4]

2. 2. 여성 시인으로서의 삶

홍윤숙은 1925년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으며, 평생 대부분을 서울에서 보냈다. 동덕여자대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1944)를 졸업하고 몇 년간 교사로 일하다 서울교육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대학교 연극반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초대 비서를 맡았고, 연극 무대에서 여러 역할을 하는 한편 희곡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 발발로 학업을 마치지 못했다.[4] 이후 한국여류문학인회와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녀의 문학적, 정치적 기반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전쟁 이전 시대에 확립되었다. 평생 동안 교사, 기자, 상명여자대학교 강사로 활동했다.

3. 작품 세계

홍윤숙은 1947년 문예신보에 시 '가을'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 같은 시기에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희곡이 당선되었다. 초기 작품은 한국 전쟁으로 대부분 유실되었다. 1962년 첫 시집 "여사시집"을 출간한 후 17권의 시집, 에세이, 희곡, 시극집을 출간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2012년 구상문학상을 수상했다. 구상, 고은, 김남조 등이 동시대 시인이다.[3]

3. 1. 주요 작품


  • 麗史詩集|여사시집한국어 (1962년)[8]
  • 裝飾論|장식론한국어 (1968년)
  • 日常의時計音|일상의 시계소리한국어 (1971년)
  • 他関の日差し|타관의 햇살한국어 (1974년)
  • 夏至祭|하지제한국어 (1978년)[6]
  • 풍차 (Pungcha)
  • 사는 법 (Saneun beob)
  • 태양의 건너 마을 (Tae-yang-ui geonneoma-eul)
  • 짧은 밤에 긴 시를 (Jjalb-eun bam-e gin sileul)

3. 2. 작품의 특징

한국 시 전문가 안톤 브로더는 "홍윤숙의 삶에 대한 시각은 한국 전쟁으로 인한 고통과 지속적인 분단에 깊이 영향을 받았다. 그녀의 시적 세계는 종종 어둡고 비관적인 경향을 보인다. 아마도 북쪽에 있는 고향을 방문할 수 없다는 사실이 그녀의 작품에서 끝없는 여정으로서의 삶에 대한 많은 이미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개인의 고독과 현대 생활의 허무함이라는 주제는 많은 시에서 표현된다. 그녀가 더 공적인 주제를 다룰 때, 한국의 통일에 대한 갈망이 그녀의 관심사를 지배한다"라고 평가했다.[3]

4.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1975년한국시인협회상
1985년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93년보관문화훈장
1995년공초문학상
1995년서울시문화상
1997년대한민국예술원상
2001년3·1 문화상
2002년제16회 춘강상 예술 부문
2010년시와시학사 특별상
2012년제4회 구상문학상


5. 평가

홍윤숙은 1947년 문예신보에 시 '가을'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으며, 같은 시기에 희곡이 조선일보의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초기 작품은 한국 전쟁 중에 대부분 유실되었다.[3] 1962년 첫 시집 "여사시집"을 출간한 이후 17권의 시집과 다수의 에세이, 희곡, 시극집을 출간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기도 한 그녀는 많은 상을 받았으며, 2012년 제4회 구상문학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노력을 인정받았다.[3] 구상, 고은, 김남조 등이 동시대 시인으로 꼽힌다.[3]

한국 시 전문가인 안톤 허는 홍윤숙의 삶에 대한 시각이 한국 전쟁으로 인한 고통과 지속적인 분단에 깊이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했다.[3] 그녀의 시적 세계는 종종 어둡고 비관적인 경향을 보이며, 북쪽의 고향을 방문할 수 없다는 사실이 끝없는 여정으로서의 삶에 대한 많은 이미지로 나타난다고 보았다.[3] 또한 개인의 고독과 현대 생활의 허무함이라는 주제가 많은 시에서 표현되며, 더 공적인 주제를 다룰 때는 한국의 통일에 대한 갈망이 주된 관심사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시인협회장 지낸 홍윤숙 시인 별세 http://m.hani.co.kr/[...] 2018-03-13
[2] 웹사이트 "Hong Yunsuk"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_04_03_011.do# https://web.archive.[...] 2013-09-21
[3] 웹사이트 Hong Yun-Suk : selected poems https://web.archive.[...] 2007-03-07
[4] 웹사이트 Source-attribution|"Hong Yunsuk"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_04_03_011.do# https://web.archive.[...] 2013-09-21
[5] 웹사이트 (22)남양 홍씨(南陽洪氏)-379,708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6] 웹사이트 홍윤숙(洪允淑) http://encykorea.aks[...] 2022-09-25
[7] NAVER 네이버 http://people.search[...]
[8] 문서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9] 웹인용 한국시인협회장 지낸 홍윤숙 시인 별세 http://m.hani.co.kr/[...] 2018-03-13
[10] 웹사이트 "Hong Yunsuk"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_04_03_011.do# https://web.archive.[...] 2013-09-21
[11] 웹인용 (22)남양 홍씨(南陽洪氏)-379,708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