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홍콩을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에 14번 출전하여 1979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아시안 게임에는 3번 참가하여 2014년과 2018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는 2008년부터 예선에 참가했으나 결승 리그 진출 기록은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축구 - 홍콩 풋살 국가대표팀
홍콩 풋살 국가대표팀은 1992년 FIFA 풋살 월드컵에 첫 출전한 이후 주요 국제 대회에 꾸준히 참가하며 홍콩 시민들에게 희망과 단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으나, 향후 발전을 위해 선수 육성 시스템 강화 및 국제 경기 참가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 홍콩의 축구 - 홍콩 축구 협회
홍콩 축구 협회는 1914년에 설립되어 홍콩 축구 경기를 관장하며, FIFA와 AFC에 가입하여 홍콩 프리미어 리그 등을 운영하고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을 관리한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5년 창설되어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아시아 강호로 자리매김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후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보였고, 현재 국제 대회 성적 향상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9년 혁명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2004년 재창단되어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세 차례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진출, 히잡 착용 문제와 훈련 및 지원 부족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발전 과정에 있으며 사회적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 AFC에 관한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AFC에 관한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코드 | HKG |
협회 | 홍콩 축구 협회 (HKFA) |
하위 연맹 |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동아시아)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아시아) |
감독 | 찬숙치 |
최다 출장 선수 | 청와이키 (30) |
최다 득점 선수 | 청와이키 (11) |
FIFA 최고 랭킹 | 58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9년 6월 – 9월 |
FIFA 최저 랭킹 | 80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24년 12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 상의: 빨간색 하의: 검정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하얀색 하의: 하얀색 양말: 하얀색 |
첫 경기 | |
첫 경기 | 0–2 (홍콩; 1975년 8월 25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
최다 점수차 승리 | 0–11 (요나, 괌; 2012년 7월 19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
최다 점수차 패배 | 19–0 (평양, 북한; 2007년 8월 12일) |
지역 대회 | |
지역 대회 이름 | AFC 여자 아시안컵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4 |
첫 지역 대회 출전 | 1975년 |
최고 성적 | 3위 (1980년) |
일본어 정보 | |
협회 | 홍콩 축구 협회 |
첫 국제 경기 | 1986년 12월 14일 1 - 0 (홍콩) |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 1993년 12월 4일 5 - 0 (쿠칭, 말레이시아) |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 2007년 8월 12일 0 - 19 (평양, 북한) |
월드컵 출전 횟수 | 0 |
올림픽 출전 횟수 | 0 |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 1 | AFC 여자 아시안컵 |
국제 대회 출전 횟수 1 | 13 |
국제 대회 최고 성적 1 | 3위 (1979) |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 2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국제 대회 출전 횟수 2 | 0 |
한국어 정보 | |
연맹 | 홍콩 축구 협회 |
대륙 | 아시아 축구 연맹 |
감독 | 히카르두 함부 |
최다 출전자 | 청와이키 (30) |
최다 득점자 | 청와이키 (11) |
FIFA 랭킹 | 66 |
최고 FIFA 랭킹 순위 | 58 |
최고 FIFA 랭킹 순위 날짜 | 2009년 6월 |
최저 FIFA 랭킹 순위 | 127 |
최저 FIFA 랭킹 순위 날짜 | 2011년 3월 |
첫 국제 경기 | 0 - 2 (홍콩; 1975년 8월 25일, 1975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최다 점수차 승리 | 0 - 11 (괌 조냐; 2012년 7월 19일,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 |
최다 점수차 패배 | 19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2007년 8월 12일) |
지역 컵대회 이름 | AFC 여자 아시안컵 |
지역 컵대회 출전 횟수 | 13회 |
첫 지역 컵대회 출전 | 1975년 |
지역 컵대회 최고 성적 | 3위 (1979년) |
지역 컵대회2 이름 | 아시안 게임 |
지역 컵대회2 출전 횟수 | 3회 |
첫 지역 컵대회2 출전 | 1990년 |
지역 컵대회2 최고 성적 | 8강 (2014년, 2018년) |
지역 컵대회3 이름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지역 컵대회3 출전 횟수 | 6회 |
첫 지역 컵대회3 출전 | 2008년 |
지역 컵대회3 최고 성적 | 2라운드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
2. 역사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0년대부터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1975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1. AFC 여자 아시안컵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13번 출전했다. 1979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 1981년과 1989년 대회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6년부터 2018년까지는 계속해서 예선에서 탈락하고 있다.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5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0 | 4 |
1977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0 | 6 |
1979 | 3위 | 6 | 2 | 0 | 4 | 5 | 8 |
1981 | 4위 | 3 | 2 | 1 | 2 | 3 | 3 |
1983 | 조별 리그 탈락 | 5 | 0 | 0 | 5 | 0 | 14 |
1986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1 | 3 |
1989 | 4위 | 5 | 1 | 1 | 3 | 3 | 19 |
1991 | 조별 리그 탈락 | 4 | 1 | 1 | 2 | 3 | 9 |
1993 | 조별 리그 탈락 | 4 | 1 | 0 | 2 | 5 | 6 |
1995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2 | 12 |
1997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0 | 3 | 0 | 32 |
1999 | 조별 리그 탈락 | 4 | 0 | 0 | 4 | 0 | 36 |
2001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2 | 15 |
2003 | 조별 리그 탈락 | 4 | 1 | 0 | 3 | 2 | 24 |
2006 | 예선 탈락 | ||||||
2008 | 예선 탈락 | ||||||
2010 | 예선 탈락 | ||||||
2014 | 예선 탈락 | ||||||
2018 | 예선 탈락 | ||||||
합계 | 14/19 | 57 | 11 | 4 | 42 | 26 | 191 |
2. 2. 아시안 게임
2014년과 2018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면서 홍콩 여자 축구 역사상 아시안 게임 축구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2018년 대회 B조 최종전에서 타지키스탄을 6-1로 대파하면서 아시안 게임 축구 사상 첫 승을 신고했고, 이에 힘입어 조 3위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2회 연속 8강 진출에 성공했다.[1]
2. 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05년 대회에는 불참했고, 2008년 대회를 시작으로 꾸준히 예선에 참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결승 리그 진출은 전무하다.[1] 그나마 2010년 대회 준결승 리그에서 북마리아나 제도(10-0 승)와 괌(1-0 승)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고, 2013년 대회 1라운드에서는 괌을 상대로 11-0이라는 홍콩 여자 축구 역사상 최다 점수차 승리를 거두며 첫 2라운드 진출을 이뤄냈으나 2라운드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등에 밀려 결승 리그 진출에 번번이 실패했다.[1]
3. 역대 주요 성적
대회 결과 비고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탈락 (1991), 불참 (1995), 예선 탈락 (1999~2023) [1] 올림픽 불참 (1996), 예선 탈락 (2000~2024) [1] AFC 여자 아시안컵 3위 (1979), 4위 (1981, 1989), 조별리그 탈락/예선 탈락 (기타) 아시안 게임 6위 (1990), 8강 (2014, 2018) 2018년 타지키스탄전 6-1 승 (첫 승) [1]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 탈락 (2008~2019) 2013년 괌전 11-0 승 (최다 점수차 승)
3. 1. FIFA 여자 월드컵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
{{flagicon|China|} | } 1991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6년 | 불참 | ||||||
2000년 | 예선 탈락 | ||||||
2004년 | 예선 탈락 | ||||||
2008년 | 예선 탈락 | ||||||
2012년 | 예선 탈락 | ||||||
2016년 | 예선 탈락 | ||||||
2020년 | 예선 탈락 | ||||||
2024년 | 예선 탈락 | ||||||
합계 | 0/8 | - | - | - | - | - | - |
3. 3. AFC 여자 아시안컵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는 13번 출전하여 1979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고, 1981년과 1989년 대회에서는 4강에 올랐다. 그러나 이후 대회에서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5 | 조별리그 탈락 | 2 | 0 | 0 | 2 | 0 | 4 |
1977 | 조별리그 탈락 | 2 | 0 | 0 | 2 | 0 | 6 |
1979 | 3위 | 6 | 2 | 0 | 4 | 5 | 8 |
1981 | 4위 | 3 | 2 | 1 | 2 | 3 | 3 |
1983 | 불참 | ||||||
1986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1 | 3 |
1989 | 4위 | 5 | 1 | 1 | 3 | 3 | 19 |
1991 | 조별리그 탈락 | 4 | 1 | 1 | 2 | 3 | 9 |
1993 | 조별리그 탈락 | 4 | 1 | 0 | 2 | 5 | 6 |
1995 | 조별리그 탈락 | 3 | 1 | 1 | 1 | 2 | 12 |
1997 | 조별리그 탈락 | 3 | 0 | 0 | 3 | 0 | 32 |
1999 | 조별리그 탈락 | 4 | 0 | 0 | 4 | 0 | 36 |
2001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2 | 15 |
2003 | 조별리그 탈락 | 4 | 1 | 0 | 3 | 2 | 24 |
2006 | 예선 탈락 | ||||||
2008 | 예선 탈락 | ||||||
2010 | 예선 탈락 | ||||||
2014 | 예선 탈락 | ||||||
2018 | 예선 탈락 | ||||||
2022 | 예선 탈락 | ||||||
합계 | 14/19 | 57 | 11 | 4 | 42 | 26 | 191 |
3. 4.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2014년과 2018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면서 홍콩 여자 축구 역사상 아시안 게임 축구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2018년 대회 B조 최종전에서 타지키스탄을 6-1로 대파하면서 아시안 게임 축구 사상 첫 승을 신고했고 이에 힘입어 조 3위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2회 연속 8강 진출에 성공했다.[1]
3. 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08년 대회를 시작으로 꾸준히 예선에 참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결승 리그 진출은 전무하다. 그나마 2010년 대회 준결승 리그에서 북마리아나 제도(10-0 승)와 괌(1-0 승)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고 2013년 대회 1라운드에서는 괌을 상대로 11-0이라는 홍콩 여자 축구 역사상 최다 점수차 승리를 거두며 첫 2라운드 진출을 이뤄냈으나 2라운드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등에 밀려 결승 리그 진출에 번번이 실패했다.
4. 선수단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단은 감독, 코칭 스태프, 선수들로 구성된다.
직책 | 이름 |
---|---|
감독 | 陳淑芝|천숙치중국어 |
수석 코치 | 黃淑芬|황숙번중국어 |
기술 감독 | John Morling|존 모를링영어 |
팀 매니저 | 馮卓昭|풍측초중국어 |
골키퍼 코치 | 慈謙旺|자험왕중국어 |
스포츠 과학 책임자 | Mathew Pears|매튜 피어스영어 |
성과 분석 책임자 | Christopher Jenkins|크리스토퍼 젠킨스ga |
팀 의사 | 尹希雯|완해만중국어 |
장비팀 | 張添豪|장팀호중국어 |
鄒嘉華|사무엘 초우중국어 | |
물리치료사 | 盧浩長|로호창중국어 |
鄺海恆|광해항중국어 | |
梁學軒|양학헌중국어 |
현재 선수 명단과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0월 미얀마와의 국제 친선 경기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소속팀 | |
---|---|---|---|---|
GK | 량와이nga(Leung Wai Nga) | 梁蔚雅|렁와이응아중국어 | 1988년 8월 24일 | 킷치 |
GK | 응쩌우와이(Ng Cheuk Wai) | 吳卓蔚|응쩌우와이중국어 | 1997년 3월 19일 | FC 제브라 레이디스 이와테 |
DF | 추소콴(Chu So Kwan) | 朱素君|추소콴중국어 | 2004년 3월 3일 | 킷치 |
DF | 곽징먼(Kwok Ching Man) | 郭靖雯|궉징먼중국어 | 1993년 6월 7일 | 저장항주 여자 축구 클럽 |
DF | 라우응칭카트리나(Lau Nga Ching Katrina) | 劉雅晴|라우응칭중국어 | 그레이스 시티즌 | |
DF | 중푸이키(Chung Pui Ki) | 鍾貝琪|중푸이키중국어 | 1996년 3월 30일 | 킷치 |
DF | 마착순(Ma Chak Shun) | 馬澤純|마착순중국어 | 1996년 3월 2일 | 첼시 SS HK |
DF | 왕소한(Wong So Han) | 王素嫻|왕소한중국어 | 1991년 11월 26일 | 샤틴 SA |
DF | 우초이유(Wu Choi Yiu) | 胡彩瑤|우초이유중국어 | 2004년 9월 10일 | 첼시 SS HK |
MF | 찬윙스즈(Chan Wing Sze) | 陳詠詩|찬윙시중국어 | 1983년 9월 11일 | 샤틴 SA |
MF | 와이유엔팅(Wai Yueng Ting) | 韋婉婷|와이유엔팅중국어 | 1992년 10월 15일 | 가오슝 어택커 FC |
MF | 렁홍키우안케(Leung Hong Kiu Anke) | 梁匡喬|렁홍키우중국어 | 2000년 11월 28일 | 첼시 SS HK |
MF | 창라이메할라산(Tsang Lai Mae Halasan) | 曾麗薇|창라이메중국어 | 1999년 6월 28일 | 첼시 SS HK |
MF | 푸치우먼(Fu Chiu Man) | 傅昭文|푸치우먼중국어 | 1999년 10월 1일 | 킷치 |
MF | 소호이람(So Hoi Lam) | 蘇鎧霖|소호이람중국어 | 1995년 6월 29일 | FC 제브라 레이디스 이와테 |
MF | 펑섀론(Fung Sharon) | 馮雪雯|펑섀론중국어 | 1999년 7월 16일 | WSE |
MF | 찬윙람(Chan Wing Lam) | 陳穎霖|찬윙람중국어 | 1999년 5월 25일 | 첼시 SS HK |
MF | 찬예힝(Chan Yee Hing) | 陳綺馨|찬예힝중국어 | 1997년 4월 28일 | 첼시 SS HK |
MF | 호무이메이(Ho Mui Mei) | 何玫薇|호무이메이중국어 | 1993년 3월 15일 | 킷치 |
FW | 리하우유(Li Hau Yu) | 李巧茹|리하우유중국어 | 2006년 11월 22일 | 그레이스 시티즌 |
FW | 추포얀(Chu Po Yan) | 朱寶恩|추포얀중국어 | 포산 하오보 | |
FW | 청와이키(Cheung Wai Ki) | 張煒琪|청와이키중국어 | 1990년 11월 28일 | 킷치 |
4. 2.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陳淑芝|천숙치중국어 |
수석 코치 | 黃淑芬|황숙번중국어 |
기술 감독 | John Morling|존 모를링영어 |
팀 매니저 | 馮卓昭|풍측초중국어 |
골키퍼 코치 | 慈謙旺|자험왕중국어 |
스포츠 과학 책임자 | Mathew Pears|매튜 피어스영어 |
성과 분석 책임자 | Christopher Jenkins|크리스토퍼 젠킨스ga |
팀 의사 | 尹希雯|완해만중국어 |
장비팀 | 張添豪|장팀호중국어 |
鄒嘉華|사무엘 초우중국어 | |
물리치료사 | 盧浩長|로호창중국어 |
鄺海恆|광해항중국어 | |
梁學軒|양학헌중국어 |
5.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의 경기 결과와 예정된 향후 경기 목록이다.
;범례
- 승리
- 무승부
- 패배
- 예정 경기
2023년과 2024년,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과 2024 터키 여자 축구컵에 참가했고, 여러 차례 친선경기를 가졌다.
5. 1. 2023년
2023년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에 참가하여 다음과 같은 경기를 치렀다.[1]날짜 | 상대 | 결과 | 득점 (홍콩) | 실점 (상대) | 경기장 | 비고 |
---|---|---|---|---|---|---|
11월 30일 | 0 - 11 | 0 | 11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2구장 (중국 주하이) | 패 | |
12월 2일 | 6 - 1 | 렁 훙 키우 안케 (2골), 찬 윙 Sze, 청 와이 키 (2골), 소 호이 람 | 차베스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2구장 (중국 주하이) | 승 | |
12월 4일 | 6 - 0 | 청 와이 키 (2골), 웨이 란, 자책골, 찬 윙 Sze, 추 포 얀 | 0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1구장 (중국 주하이) | 승 | |
12월 6일 | 1 - 1 (승부차기 4-2) | - | - | 수오카 스포츠 훈련 기지 2구장 (중국 주하이) | 무 |
5. 2. 2024년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4년에 여러 경기를 치렀다.2024 터키 여자 축구컵에서 홍콩은 코소보에 0-1[1], 인도에 0-2, 에스토니아에 0-1[2]로 패배했다.
7월에는 인도네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3-2[3], 4-1로 승리했다. 10월에는 미얀마와의 친선 경기에서 1-4, 1-4로 패배했다.
날짜 | 대회 | 상대 | 결과 | 득점 선수 (홍콩) | 경기장 | 관중 | 주심 |
---|---|---|---|---|---|---|---|
2월 21일 | 2024 터키 여자 축구컵 | 코소보 | 0–1 | 알라냐 골드 시티 스포츠 콤플렉스 | 감제 두르무슈 (터키)[1] | ||
2월 24일 | 2024 터키 여자 축구컵 | 인도 | 0–2 | 알라냐 골드 시티 스포츠 콤플렉스 | |||
2월 27일 | 2024 터키 여자 축구컵 | 에스토니아 | 0–1 | 알라냐 골드 시티 스포츠 콤플렉스 | 멜리스 엇치그뎀 (터키)[2] | ||
7월 11일 | 친선 경기 | 인도네시아 | 3–2 | 중 페이 키, 찬 윙 스즈, 청 와이 키 | 해피밸리 홍콩 축구 클럽 경기장 | 0 | [3] |
7월 14일 | 친선 경기 | 인도네시아 | 4–1 | 와이 위엔 팅, 호 무이 메이, 청 와이 키 | 해피밸리 홍콩 축구 클럽 경기장 | 1,589 | 수피리 테스토미아 (태국) |
10월 23일 | 친선 경기 | 미얀마 | 1-4 | 양곤 투와나 경기장 | |||
10월 27일 | 친선 경기 | 미얀마 | 1-4 | 양곤 투와나 경기장 |
참조
[1]
웹사이트
Today's lineup vs Myanmar
https://www.facebook[...]
HKFA 中國香港足球總會
2024-10-22
[2]
웹사이트
Women's Ranking
https://inside.fifa.[...]
2024-08-16
[3]
웹사이트
null
https://www.soccer-k[...]
2019-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