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원래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SARS 유행으로 인해 미국에서 개최되었다. 독일이 스웨덴을 결승전에서 꺾고 우승했으며, 이는 독일 여자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우승이었다. 비르기트 프린츠는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은 각 대륙 연맹별로 16개 본선 진출국을 가리는 대회로, 대한민국이 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고 일본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합류했다. -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선수 명단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국가별 선수 명단을 감독, 포지션, 선수 정보와 함께 조별 리그 순으로 상세하게 제공하는 문서입니다. - 2003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05 예선
UEFA 여자 유로 2005 예선은 2005년 UEFA 여자 유로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A, B 두 그룹으로 진행되었으며, A그룹 1위는 본선에 직행하고 2위와 3위 중 상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쳤으며, B그룹은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으로 승격할 팀을 가렸다. - 2003년 여자 축구 - 2003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3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되어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으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하기 전 마지막으로 참가한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였다. - 2003년 10월 - 선저우 5호
선저우 5호는 중국이 독자 개발한 유인 우주선으로 양리웨이를 태워 발사, 21시간 궤도 비행 후 귀환에 성공하며 중국을 세계 세 번째 유인 우주 비행 성공 국가로 만들었고, 중국의 우주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했다. - 2003년 10월 - 2003년 럭비 월드컵
2003년 럭비 월드컵은 호주 단독 개최로 진행되어 20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잉글랜드가 호주를 꺾고 우승했으며 조니 윌킨슨의 드롭 골이 명장면으로 남았다.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FIFA 여자 월드컵 |
연도 | 2003 |
다른 명칭 |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2003 |
![]() | |
개최국 | 미국 |
개최 기간 | 2003년 9월 20일 - 2003년 10월 12일 |
참가 팀 수 | 16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6 |
도시 수 | 6 |
결과 | |
우승 팀 | 독일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팀 | 스웨덴 |
3위 팀 | 미국 |
4위 팀 | 캐나다 |
통계 | |
경기 수 | 32 |
총 득점 | 107 |
총 관중 수 | 656789 |
경기당 평균 관중 수 | 20524 |
최다 득점자 | 비르기트 프린츠 (7골) |
최우수 선수 | 비르기트 프린츠 |
최우수 골키퍼 | 질케 로텐베르크 |
페어 플레이 상 | 중국 |
대회 이전/이후 | |
이전 대회 | 1999 |
다음 대회 | 2007 |
2. 개최까지의 경위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00년 10월 26일, 호주를 제치고 중국에 여자 월드컵 개최권을 부여했다.[1] 이 대회는 원래 2003년 9월 23일부터 10월 11일까지 상하이, 우한, 청두, 항저우의 경기장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2] 그러나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유행으로 인해 4월 초 중국에서 여러 스포츠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었고, 여기에는 여자 월드컵 공식 추첨도 포함되었다. FIFA는 세계 보건 기구와 공동으로 유행이 대회 개최 시점까지 진정될지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2] 당시 미국, 캐나다, 호주가 대체 개최국 후보로 언급되었다.[2][3]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에는 16개 팀이 참가했으며, 2001년 8월 18일부터 2003년 7월 12일까지 대륙별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결정되었다.[16][17] 아르헨티나, 프랑스, 대한민국은 이 대회를 통해 여자 월드컵에 처음으로 출전했다.[18]
2003년 5월 3일, FIFA는 대회를 대체 개최국으로 옮길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대체 개최국은 추후 결정될 예정이었다. 미국과 호주는 개최 의사를 밝혔고, 브라질도 잠재적 개최국으로 거론되었다.[4] FIFA는 또한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권을 중국에 부여하고, 계획 비용을 보상하기 위해 조직위원회에 100만달러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5][6] 2003년 5월 26일, 미국이 스웨덴이 제출한 다른 공식 입찰을 제치고 새로운 대회 개최국으로 발표되었다.[7] 미국은 1999년 대회를 성공적으로 조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식축구 및 야구와의 가을 스포츠 일정 충돌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적합한 비상 개최국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미국의 여자 축구 팬들은 이 대회를 통해 발생한 관심이 여자 유나이티드 사커 협회의 몰락을 막아주기를 희망했지만, 이 리그는 9월에 대회가 시작되기 며칠 전에 결국 해체되었다.[7][8]
이전 대회까지는 월드컵이 그 다음 해에 열리는 올림픽 축구 예선을 겸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 대회에서는 그러한 조치가 없어지고, 각 대륙 연맹별로 올림픽 예선을 치르는 것으로 되었다. 단, 유럽 축구 연맹(UEFA)은 개별 예선을 실시하는 것이 일정상 어려웠기 때문에, 월드컵 성적에 따라 유럽에서의 올림픽 출전 팀을 결정하는 것으로 했다.[89] 결과적으로,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축구 출전권을 얻었다.
3. 예선
중국은 원래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권을 얻었고, 미국이 대체 개최국으로 지정된 후에도 이 자격을 유지했다.[19] 나머지 15개 참가국은 99개 팀이 참가한 대륙별 토너먼트를 통해 결정되었다.[20] FIFA는 유럽에 5장,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각각 2장, 북미와 남미에 각각 2장(1999년 대회보다 1장 증가), 오세아니아에 1장을 배정했다.[19][21]
2003년 여자 월드컵은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할 유럽의 두 팀을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22]대륙 연맹 국가 CAF 나이지리아 (23), 가나 (52) AFC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 중국 (4) (원래 개최국), 대한민국 (25), 일본 (14) CONMEBOL 브라질 (6), 아르헨티나 (35) UEFA 프랑스 (9), 독일 (3), 러시아 (11), 노르웨이 (2), 스웨덴 (5) OFC 오스트레일리아 (15) CONCACAF 캐나다 (12), 미국 (1) (대체 개최국)
괄호 안의 숫자는 2003년 8월 29일 기준 FIFA 여자 랭킹이다.[23]
3. 1. 본선 진출국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진출국은 2001년 8월 18일부터 2003년 7월 12일까지 열린 대륙별 예선을 통해 결정되었다.[16][17] 아르헨티나, 프랑스, 대한민국은 이 대회를 통해 여자 월드컵에 처음으로 출전했다.[18]
중국은 원래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권을 얻었고, 미국이 대체 개최국이 된 후에도 이 자격을 유지했다.[19]
대륙 연맹 | 출전권 | 예선 대회 | 조 예선 순위 | 출전 국가 | 출전 횟수 | 비고 |
---|---|---|---|---|---|---|
AFC | 1+2.5 | 당초 개최국 | 중국 | 4회 연속 4회 | ||
2003 AFC 여자 아시안컵 | 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회 연속 2회 | |||
3위 | 대한민국 | 첫 출전 | ||||
4위 | 일본 | 4회 연속 4회 | ○ | |||
CAF | 2 | 2002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 나이지리아 | 4회 연속 4회 | |
준우승 | 가나 | 2회 연속 2회 | ||||
CONCACAF | 2.5 |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 우승 | 미국 | 4회 연속 4회 | |
준우승 | 캐나다 | 3회 연속 3회 | ||||
CONMEBOL | 2 | 2003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 브라질 | 4회 연속 4회 | |
준우승 | 아르헨티나 | 첫 출전 | ||||
OFC | 1 | 2003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 우승 | 오스트레일리아 | 3회 연속 3회 | |
UEFA | 5 |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 | 1조 1위 | 노르웨이 | 4회 연속 4회 | |
1조 2위 | 프랑스 | 첫 출전 | ☆ | |||
2조 1위 | 스웨덴 | 4회 연속 4회 | ||||
3조 1위 | 러시아 | 2회 연속 2회 | ||||
4조 1위 | 독일 | 4회 연속 4회 |
- 비고
- ○ :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리
- ☆ :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승리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은 미국의 6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로스앤젤레스 (카슨) | 홈 디포 센터 | 27,000명 |
콜럼버스 | 콜럼버스 크루 스타디움 | 23,000명 |
보스턴 (폭스버러) | 질레트 스타디움 | 22,385명 |
필라델피아 | 링컨 파이낸셜 필드 | 68,500명 |
포틀랜드 | PGE 파크 | 27,700명 |
워싱턴 D.C. | RFK 스타디움 | 55,000명 |
원래 이 대회는 2003년 9월 23일부터 10월 11일까지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SARS 유행으로 인해 미국으로 변경되었다.[2] 미국은 1999년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이 있어 대체 개최지로 적합하다고 평가받았다.[7]
개최 경기장은 2003년 6월 13일에 발표되었으며, 토너먼트 개막을 위한 3개의 대형 경기장과 후반 경기를 위한 3개의 소규모 축구 전용 경기장이 포함되었다.[10] 포틀랜드의 PGE 파크는 1999년과 2003년 토너먼트에서 경기가 열린 유일한 경기장이었다.[13]
5. 조 추첨 및 시드 배정
조 추첨은 원래 2003년 5월 24일에 중국 우한에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사스 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그러다가 미국이 새로운 개최국으로 선정되었고 2003년 7월 17일에 카슨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2]
추첨에 앞서 미국, 중국, 노르웨이, 독일이 톱 시드를 배정받았는데 미국은 A1, 중국은 D1에 각각 배정되었다. 본선에 진출한 팀들은 유럽(같은 조에 최대 2개 팀끼리 편성될 수 있음)을 제외한 같은 대륙별 축구 연맹에 속한 팀이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포트를 배정받았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개최국 미국은 죽음의 조라고 불리는 조에 배정되었는데, 여기에는 각 컨페더레이션에서 강팀으로 여겨지는 스웨덴, 나이지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포함되었다.[28]
6. 조별 리그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의 조별 리그는 1999년 대회와 동일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각 팀이 같은 조의 다른 세 팀과 한 경기씩 치르는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5] 각 조 1위와 2위 팀은 8강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8]
조 추첨은 원래 2003년 5월 24일 중국 우한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개최지가 미국으로 변경되면서 연기되었다.[2] 최종 조 추첨은 2003년 7월 1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슨의 홈 디포 센터에서 열렸으며, FIFA 여자 월드컵 트로피 공식 인계식도 함께 진행되었다. 이 자리에서 중국 대표팀 감독 마량싱이 미국 대표팀 감독 에이프릴 하인리히스에게 트로피를 전달했다.[24][25]
FIFA는 여자 랭킹 시스템을 공개했는데, 이 시스템은 시드 배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971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3,000개 이상의 국제 경기에 대한 점수를 소급 적용하여 계산했다.[26]
미국은 A조, 중국은 D조에 배정되었으며, 노르웨이와 독일 또한 1번 시드로 배정되었다. 나머지 세 개의 포트는 같은 대륙 연맹의 두 팀이 같은 조에 편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배분되었으며, 유럽 팀 두 팀이 포함된 한 조(B조)를 제외하였다.[27] 개최국 미국은 스웨덴, 나이지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함께 이른바 죽음의 조에 편성되었다.[28]
조별 리그 동점자 처리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29]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추첨
대륙 연맹 | 심판 | 부심 |
---|---|---|
AFC | 임은주 (대한민국) 장동청 (중국) | 최수진 (대한민국) 홍금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류시우메이 (중화 타이베이) 요시자와 히사에 (일본) |
CAF | 볼라 엘리자베스 아비도예 (나이지리아) 소남 아그보이 (토고) | 플로렌스 비아기 (세네갈) 페르페튀 드지레 크레베 (코트디부아르) |
CONCACAF | 소니아 데논쿠르 (캐나다) 캐리 세이츠 (미국) | 제니퍼 베넷 (미국) 샌드라 헌트 (미국) 린다 브램블 (트리니다드 토바고) 데니스 로빈슨 (캐나다) 카랄리 서튼 (미국) 샤론 휠러 (미국) |
CONMEBOL | 플로렌시아 로마노 (아르헨티나) 수엘리 토르투라 (브라질) | 알레한드라 세르카토 (아르헨티나) 사브리나 로이스 (아르헨티나) 클레이디 메리 누네스 리베이루 (브라질) 말레이 레이테 다 실바 (브라질) |
OFC | 태미 오그스톤 (호주) | 에어리 킨 (호주) 자클린 르뢰 (호주) |
UEFA | 카트리이나 엘로비르타 (핀란드) 크리스티나 이오네스쿠 (루마니아) 니콜 페티냐 (스위스) | 엘케 뤼티 (스위스) 이리나 미르트 (루마니아) 카타르지나 나돌스카 (폴란드) 에밀리아 파르비아이넨 (핀란드) 앤디 리건 (북아일랜드) 넬리 비에노 (프랑스) |
6. 1. A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미국 | 9 | 3 | 3 | 0 | 0 | 11 | 1 | +10 |
스웨덴 | 6 | 3 | 2 | 0 | 1 | 5 | 3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1 | 0 | 2 | 3 | 4 | −1 |
나이지리아 | 0 | 3 | 0 | 0 | 3 | 0 | 11 | −11 |
- 2003년 9월 20일,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 진별희의 2골과 리은경의 골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0 승리를 거두었다.[2]
- 2003년 9월 21일, 워싱턴 D.C.의 RFK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국과 스웨덴의 경기에서는 크리스틴 릴리, 신디 팔로, 섀넌 복스의 골로 미국이 빅토리아 산델 스벤손이 한 골을 넣은 스웨덴에 3-1로 승리했다.[5]
- 2003년 9월 25일,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열린 스웨덴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빅토리아 산델 스벤손의 골로 스웨덴이 1-0 승리를 거두었다.[13] 같은 날, 미국은 미아 햄의 페널티킥 2골, 신디 팔로, 애비 웜백, 줄리 파우디의 골로 나이지리아를 5-0으로 꺾었다.[14]
- 2003년 9월 28일, 콜럼버스의 콜럼버스 크루 스타디움에서 열린 스웨덴과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한나 융베리의 2골과 말린 모스트룀의 골로 스웨덴이 3-0 승리를 거두었다.[21]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의 경기에서는 애비 웜백의 페널티킥 골과 캣 레딕의 2골로 미국이 3-0으로 승리했다.[22]
조 추첨은 2003년 5월 24일 중국 우한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개최지 변경으로 인해 연기되었다.[2] 2003년 7월 1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슨에 위치한 홈 디포 센터에서 조 추첨과 함께 FIFA 여자 월드컵 트로피 공식 인계식이 진행되었다. 중국 대표팀 감독 마량싱으로부터 미국 대표팀 감독 에이프릴 하인리히스에게 트로피가 전달되었다.[24][25] FIFA는 여자 랭킹 시스템을 공개했는데, 이 시스템은 시드 배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971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3,000개 이상의 국제 경기에 대한 점수를 소급 적용하여 계산했다.[26]
미국은 A조, 중국은 D조에 배정되었으며, 노르웨이와 독일 또한 1번 시드로 배정되었다. 나머지 세 개의 포트는 같은 컨페더레이션의 두 팀이 같은 조에 편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배분되었으며, 유럽 팀 두 팀이 포함된 한 조를 제외하였다.[27] 개최국 미국은 죽음의 조라고 불리는 조에 배정되었는데, 여기에는 스웨덴, 나이지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각 컨페더레이션에서 강팀으로 여겨지는 팀들이 포함되었다.[28]
6. 2. B조
B조의 경기들은 2003년 9월 20일부터 9월 28일까지 진행되었다. 미국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고, 스웨덴은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미국과 함께 8강에 진출했다.[15][2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나이지리아는 각각 1승 2패, 3패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각 경기의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일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득점 선수 |
---|---|---|---|---|---|
2003년 9월 20일 | 0 - 3 |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 진별희 , 리은경 | ||
2003년 9월 21일 | 3 - 1 | RFK 스타디움, 워싱턴 D.C. | 릴리 , 팔로 , 복스 (미국); 스벤손 (스웨덴) | ||
2003년 9월 25일 | 1 - 0 |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 스벤손 | ||
5 - 0 | 햄 , 팔로 , 웜백 , 파우디 | ||||
2003년 9월 28일 | 3 - 0 | 콜럼버스 크루 스타디움, 콜럼버스 | 융베리 , 모스트룀 | ||
0 - 3 | 웜백 , 레딕 |
6. 3. C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미국 | 9 | 3 | 3 | 0 | 0 | 11 | 1 | +10 |
스웨덴 | 6 | 3 | 2 | 0 | 1 | 5 | 3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1 | 0 | 2 | 3 | 4 | −1 |
나이지리아 | 0 | 3 | 0 | 0 | 3 | 0 | 11 | −11 |
C조에는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A조에 속했던 3개 팀, 즉 개최국이자 전 대회 우승팀인 미국, 아프리카 챔피언 나이지리아, 아시아 챔피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유럽 준우승팀 스웨덴이 포함되었다. 최종 조 추첨 당시 3개의 대륙 챔피언과 준우승팀이 속해 있어, 이 조는 대회의 "죽음의 조"로 불렸다.[28][30]
일시 | 경기 | 결과 | 비고 |
---|---|---|---|
2003년 9월 20일 | 나이지리아 0 –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진별희 , 리은경 ) | 필라델피아 링컨 파이낸셜 필드 |
2003년 9월 21일 | 미국 3 – 1 스웨덴 | (릴리 , 팔로 , 복스 ; 스벤손 ) | 워싱턴 D.C. RFK 스타디움 |
2003년 9월 25일 | 스웨덴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스벤손 ) | 필라델피아 링컨 파이낸셜 필드 |
2003년 9월 25일 | 미국 5 – 0 나이지리아 | (햄 , 팔로 , 웜백 , 파우디 ) | 필라델피아 링컨 파이낸셜 필드 |
2003년 9월 28일 | 스웨덴 3 – 0 나이지리아 | (융베리 , 모스트룀 ) | 콜럼버스 콜럼버스 크루 스타디움 |
2003년 9월 28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3 미국 | (웜백 , 레딕 ) | 콜럼버스 콜럼버스 크루 스타디움 |
나이지리아는 9월 20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대회 개막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3-0으로 패했는데, 이 경기에서 진별희가 2골, 리은경이 1골을 기록하며 전반적인 경기력을 압도했다.[31] 미국은 워싱턴 D.C.의 로버트 F. 케네디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3-1로 승리하며 타이틀 방어전을 시작했는데, 이 경기는 34,144명의 관중이 지켜봤다. 크리스틴 릴리는 전반 28분 지점에서 발리슛을 성공시켰고, 신디 팔로가 헤더로 득점하며 전반전을 2-0으로 마쳤다. 후반 58분 빅토리아 스벤손의 헤더로 한 골을 따라잡았지만, 78분 섀넌 복스가 코너킥을 헤더로 연결하며 두 골 차로 다시 벌어졌다.[32]
스웨덴은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상대로 스벤손의 전반 7분 발리슛으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스웨덴의 수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전반전에 단 한 번의 슈팅으로 제한했지만, 골키퍼 리정희는 여러 차례 선방으로 점수 차를 벌어지는 것을 막았다.[33] 미국은 나이지리아를 5-0으로 꺾고 조 1위로 올라섰지만, 조기 8강 진출을 확정짓지는 못했다. 팀의 오랜 간판 선수인 미아 햄은 전반 6분 페널티킥과 12분 프리킥으로 득점했다. 그녀의 파트너인 신디 팔로는 하프타임 직후 햄의 코너킥을 헤더로 연결하며 득점했다.[34] 교체 선수인 공격수 애비 웸바크는 여자 월드컵 첫 골을 기록했고, 경기의 마지막 골은 89분 줄리 푸디의 페널티킥으로 나왔다.[35]
콜럼버스에서 더블헤더로 열린 세 번째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나이지리아를 3-0으로 꺾고 조 2위로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득점 없는 전반전을 마치고, 공격수 한나 류보르그는 후반 56분 헤더로 선제골을 넣었고, 79분에는 추가골을 기록했다. 스웨덴의 주장 말린 모스트룀은 2분 뒤 역습 상황에서 세 번째 골을 넣으며, 유효 슈팅 14개를 기록하는 압도적인 공격력을 과시했다.[36] 미국은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에서 여러 주전 선수들을 벤치에 앉혔고, 이 경기는 스타 공격수 미아 햄 없이 치러진 첫 월드컵 경기였다. 미국은 전반 17분 티페니 밀브렛에 대한 반칙으로 얻은 페널티킥을 웸바크가 성공시키며 선제골을 넣었다. 캣 레드딕은 미국 로스터의 유일한 대학 선수로, 48분에 흘러나온 공을, 66분에는 헤더를 성공시키며 미국은 3-0으로 승리했고, C조 1위로 마무리했다.[37][38]
6. 4. D조
- 2003년 9월 20일, 필라델피아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열린 경기에서 북한은 나이지리아를 3-0으로 꺾었다. 진별희가 전반 13분과 후반 88분에 득점하였고, 리은경이 후반 73분에 추가골을 넣었다. 관중은 24,347명이 입장했다.[18]
- 2003년 9월 21일, 워싱턴 D.C.의 RFK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미국은 스웨덴을 3-1로 이겼다. 크리스틴 릴리가 전반 27분, 신디 팔로가 전반 36분, 섀넌 복스가 후반 78분에 득점했다. 스웨덴은 빅토리아 산델 스벤손이 후반 58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관중은 35,000명이 입장했다.[21]
- 2003년 9월 25일, 필라델피아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열린 두 경기에서 스웨덴은 북한을 1-0으로, 미국은 나이지리아를 5-0으로 크게 이겼다. 스웨덴의 빅토리아 산델 스벤손이 전반 7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미국의 미아 햄은 전반 6분과 12분에 페널티킥으로 두 골을, 신디 팔로가 후반 47분, 애비 웜백이 후반 65분, 줄리 파우디가 후반 89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두 경기 모두 31,553명의 관중이 입장했다.[41]
7. 결선 토너먼트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은 10월 1일과 10월 2일에 열렸고, 준결승전은 10월 5일에 열렸다. 3·4위전은 10월 11일, 결승전은 10월 12일에 개최되었다.
8강전에서는 미국, 스웨덴, 독일, 캐나다가 각각 노르웨이, 브라질, 러시아, 중국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독일은 러시아를 7-1로 대파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임을 보여주었다. 준결승전에서는 독일이 미국을 3-0으로 완파했고, 스웨덴은 캐나다에 2-1로 역전승을 거두며 결승에 올랐다.
3·4위전에서는 미국이 캐나다를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독일이 스웨덴을 골든 골 연장전 끝에 2-1로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7. 1. 8강전
2003년 10월 1일, 폭스버러의 질레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8강전 첫 경기에서 미국은 애비 웜백의 골에 힘입어 노르웨이를 1-0으로 이겼다.[18] 같은 날, 브라질은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마르타의 페널티골로 앞서갔으나, 스벤손과 안데르손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했다.[21]2003년 10월 2일, 포틀랜드의 PGE 파크에서는 독일이 러시아를 상대로 7골을 몰아치며 7-1 대승을 거두었다. 뮐러, 미네르트, 분더리히, 가레프레케스(2골), 프린츠(2골)가 득점했고, 러시아는 다닐로바가 한 골을 만회했다.[45] 같은 날, 중국은 캐나다와의 경기에서 후퍼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했다.[46]
날짜 | 시간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
---|---|---|---|---|---|---|
2003년 10월 1일 | 19:30 | 미국 | 1 – 0 | 노르웨이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25,103명 |
2003년 10월 1일 | 16:30 | 브라질 | 1 – 2 | 스웨덴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25,103명 |
2003년 10월 2일 | 19:30 | 독일 | 7 – 1 | 러시아 | PGE 파크 (포틀랜드) | 20,021명 |
2003년 10월 2일 | 22:30 | 중국 | 0 – 1 | 캐나다 | PGE 파크 (포틀랜드) | 20,021명 |
7. 2. 준결승전
2003년 10월 5일, PGE 파크 (포틀랜드)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에서 독일은 미국을 3-0으로 꺾었다. 케르스틴 가레프레케스가 전반 15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마렌 마이네르트와 비르기트 프린츠가 후반 추가 시간에 각각 득점하여 승리를 확정지었다.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캐나다를 2-1로 이겼다. 카라 랭 (캐나다)이 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말린 모스트룀 (스웨덴)이 후반 34분에 동점골을, 요세피네 외크비스트 (스웨덴)가 후반 43분에 역전골을 넣어 스웨덴이 승리했다. 두 경기 모두 관중 수는 27,623명이었다.
경기 | 날짜 | 시간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독일 3 – 0 미국 | 2003년 10월 5일 | 19:30 | PGE 파크 (포틀랜드) | 27,623명 | 소니아 드농쿠르 (캐나다) |
스웨덴 2 – 1 캐나다 | 2003년 10월 5일 | 22:30 | PGE 파크 (포틀랜드) | 27,623명 | 카트리나 엘로비르타 (핀란드) |
7. 3. 3·4위전
2003년 10월 11일, 홈 디포 센터(카슨)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미국이 캐나다를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 릴리, 복스, 밀브렛이 미국의 득점을 기록했고, 싱클레어가 캐나다의 유일한 득점을 기록했다.[1] 이날 경기의 심판은 오스트레일리아의 태미 오그스턴이 맡았으며, 25,253명의 관중이 입장했다.[1]7. 4. 결승전
퀸처 (독일)융베리 (스웨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