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난(華南)은 중국의 남부 지역을 지칭하는 말로, 주강 삼각주, 홍콩, 마카오를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한족 국가가 주로 통치했으며, 장강 이남 지역을 강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화난은 후한 말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북송 시대에 벼농사가 발달하며 생산력이 향상되었고, 근대에는 유럽 열강의 자본이 유입되었다. 현재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홍콩, 마카오가 화난에 속하며, 선전, 광저우, 홍콩 등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리 - 캄 (티베트)
캄은 티베트의 전통적인 지역 중 하나로, 현재 중국의 쓰촨성 서부, 윈난성 북서부, 칭하이성 남부, 티베트 자치구 동부에 걸쳐 있으며, 험준한 산악 지형과 캄파족이라는 용맹한 전사로 알려진 주민들이 거주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리 - 차이다무 분지
차이다무 분지는 칭하이-티베트 고원 북동부의 내륙 분지로, 염호와 플라야가 발달한 건조한 고원 지대이며, 막대한 자원과 화성 유사 환경으로 인해 중요한 자원 중심지이자 화성 탐사 연구 지역으로 활용된다. - 중국의 6대 지리구 -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은 중국 북부에 위치한 성으로 진나라의 기원을 가지며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고 진상으로 유명했으며 석탄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으나 환경 오염과 경제 불균형 문제가 존재하며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11개의 지급시로 구성된 중국 공산당의 지배를 받는 지역이다. - 중국의 6대 지리구 - 화중
화중은 중국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지리적 개념으로, 춘추전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허난성, 후베이성, 후난성을 포함하고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중국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최근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중국에 관한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중국에 관한 - 카자흐인
카자흐인은 15세기 카자흐 칸국 건국 이후 명칭이 사용된 튀르크계 중앙아시아 북부 유목민족으로, "자유로운 자"를 뜻하는 카자흐라는 명칭은 권위에 저항하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카자흐 초원을 중심으로 실크로드 무역을 통해 번성했고, 유목 생활과 튀르크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현재 여러 국가에 디아스포라가 거주하고 있다.
화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영어 | South China |
중국어 간체 | 华南 |
중국어 번체 | 華南 |
병음 | Huánán |
주음 부호 | ㄏㄨㄚˊㄋㄢˊ |
카타카나 | 화난 (ファナン) |
히라가나 | 화난 (かなん) |
지리 | |
위치 | 중국 남부 |
포함 지역 |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홍콩 마카오 |
문화 및 역사 | |
문화 | 월 문화 |
언어 | 광둥어 객가어 민어 |
역사적 중요성 | 중국의 중요한 지역, 남월국의 일부 |
기타 | |
다른 명칭 | 화남 지역 |
2. 역사
화난은 현재 행정구역상 사용하는 호칭은 아니나, 역사나 지리적 맥락 등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국 대륙의 중심인 중원은 역사적, 전통적으로 화이허를 기준으로 화난과 화베이로 크게 구분되어 왔다. 화난은 다시 장강 유역의 '''화중'''과 주강 유역의 '''화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장강 유역은 다시 장강의 중류 지역인 '''화중'''과 동부 지역인 '''화둥'''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으로 고대 중국의 중심은 넓은 의미의 화난에 있었고, 유목 기마 민족의 국가와 접하고 있는 화북과 달리, 한족 중심의 국가가 통치하고 있었던 시대가 많았다. 화난에 살던 한족들은 화베이를 정복한 유목·기마민족들에 비해 전술, 전투능력이 뒤떨어져 화베이가 화난을 정복해 지배하에 두는 일이 많았지만 그 반대는 없었다.
현재 동남아시아와 주로 국경을 접하고 있지만, 화북이 접하고 있는 유목 기마 민족에 비해 군사력이 열세였기 때문에, 중화 왕조가 침입하여 지배하에 두는 경우는 있었지만, 그 반대는 거의 없었다.
화난은 후한 말부터 개발이 진행되었고, 북송대 10세기 말에 참파 왕국에서 잠성벼가 도입되어 이모작이 이루어지면서 생산력이 향상되었다. 북송에서 남송에 걸쳐서는 장강 하류의 소호 또는 강절이 풍년이 들면 중국 전토의 식량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소호(강절)가 풍년이 들면 천하가 풍족하다(蘇湖熟すれば天下足る)”라고 일컬어졌다.
2. 1. 강남
장강 이남의 남방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상하이, 장쑤성 장강 이남 지역과 안후이성 장강 이남 지역, 장시성 동북부와 저장성 첸탕강 이북 지역을 일컫는 말이었다. 기본적으로 고대 중국의 중심은 광의의 화남에 있었고, 오랫동안 유목 기마 민족의 지배 지역이었던 화북과 달리 한족 국가가 통치했던 시대가 길었다. 화이허 남쪽, 장강 이남을 강남(중국어판, 영어판)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6]2. 2. 근대 이후
근대에는 유럽 열강의 자본이 권익을 획득하게 되었다. 러셀상사, 인도차이나은행, 향상은행, 케이블 앤드 와이어리스가 순차적으로 진출해왔다.1920-1930년대의 조사에 따르면, 화북에서는 전 농지·농가에서 소작지·전세지 농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15% 전후로 자작농가가 주류였던 반면, 화남에서는 70%를 넘어 소수의 지주가 독점하고 농민 간의 격차가 컸다.[6]
1978년부터 시작된 개혁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경제특구가 설치되었다.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 반환. 이후 타이완과의 삼통이 진행되었다. 2014년에 홍콩에서 선거 제도를 둘러싼 시위가, 타이완 측에서 해바라기 학생운동이 각각 발생했다. 어느 쪽도 극장형(포퓰리즘) 보도만 이루어졌을 뿐, 국제 사회에서의 위치는 명확하지 않다.
3. 해당 행정구역
좁은 의미에서 화난은 광둥성, 하이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를 가리킨다. 푸젠성, 홍콩, 마카오, 타이완섬까지 포함하여 화남경제권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1]
GB | ISO 번호 | 성(省)/자치구 | 중국어 명칭 | 성도 | 면적 (km²) | 약칭/기호 |
---|---|---|---|---|---|---|
44 | 광둥성 | 广东省 (廣東省) Guǎngdōng Shěng Gwong2dung1 Saang2 粤중국어 | 광저우 | 180000km2 | GD (Yuè) | |
45 | 광시 좡족 자치구 | 广西壮族自治区 (廣西壯族自治區) Guǎngxī Zhuàngzú Zìzhìqū Gwong2sai1 Zong3zuk6 Zi6zi6keoi1 桂중국어 | 난닝 | 236000km2 | GX (Guì) | |
46 | 하이난성 | 海南省 Hǎinán Shěng Háinâm Téng 琼중국어 | 하이커우 | 34000km2 | HI (Qióng) | |
91 | 홍콩 특별행정구 | 香港特别行政区 (香港特別行政區) Xiānggǎng Tèbié Xíngzhèngqū Hoeng2gong1 Dak6bit6 Hang4zing3keoi1 港중국어 | 타마 | 1104km2 | HK (Gǎng) | |
92 | 마카오 특별행정구 | 澳门特别行政区 (澳門特別行政區) Àomén Tèbié Xíngzhèngqū Ou3mun2 Dak6bit6 Han4zing3keoi1 澳중국어 | 마카오 | 29km2 | MC (Ào) |
3. 1. 인구 100만 이상 도시 (도시권 기준)
4. 명칭 관련
광의의 의미로는 화이허(淮河) 이남을 가리킨다. 좁은 의미로는 광둥성, 하이난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을 가리키며, 푸젠성 그리고 중국 대륙이 아닌, 홍콩, 마카오, 타이완섬까지 포함하여 화남경제권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중국 대륙의 중심인 중원(中原)은 역사적, 전통적으로 화이허를 기준으로 화난과 화베이(華北)로 크게 구분되어 왔다. 화난은 다시 장강 유역의 '''화중'''(華中)과 주강 유역의 '''화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장강 유역은 다시 장강의 중류 지역인 '''화중'''과 동부 지역인 '''화둥'''(華東)으로 나눌 수 있다.
화난은 현재 행정구역상 사용하는 호칭은 아니나, 역사나 지리적 맥락 등에 많이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중국 남부 호랑이 (중국 남부)
-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홍콩, 중국 남부)
- 화난 수산물 도매시장 (우한, 중국 중부)
- 광저우 남중국사범대학교, 광둥성 광저우에 있는 대학교
- 홍콩 남중국 체육 협회 (홍콩, 중국)
참조
[1]
문서
GB/T 2260 codes for the provinces of China
http://www.people.fa[...]
[2]
간행물
ISO 3166-2:CN (ISO 3166-2 codes for the provinces of China)
[3]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分县资料
中国统计出版社 [China Statistics Press]
2012
[4]
서적
香港2011年人口普查 – 主要報告
Government Logistics Department
[5]
서적
15th Macau Census (2011)
Direcção dos Serviços de Estatística e Censos
2012
[6]
논문
孫文の北京における死とその政治効果
http://www.u-keiai.a[...]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