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화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화물은 운송을 위해 분류되는 품목으로, 종류, 운송량, 시간에 따라 가정용품, 익스프레스, 소포, 화물 운송물 등으로 나뉜다. 상태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로 구분되며, 운송 수단에 따라 해상, 항공, 철도, 트럭 화물 등으로 분류된다. 물품의 성질에 따라 일반 화물과 특수 화물로 구분된다. 물류는 상품의 사회적 흐름과 관련된 활동을 의미하며, 운송 비용은 거리, 배송 지역, 품목, 장비 유형 및 서비스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화물 운송은 국가 안보와 관련하여 보안 문제가 중요하며, 다양한 방법과 재료를 사용하여 화물을 고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통법 - 도로교통법
    도로교통법은 도로교통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각국에서 제정된 법률로, 운전자의 준수 사항, 차량 안전 기준, 교통사고 처리 절차 등을 규정하며, 국제적 조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및 교통약자 보호 조항이 강화되는 추세이지만, 과도한 벌금 등 개선 과제도 남아있다.
  • 교통법 - 전자 티켓
    전자 티켓은 종이 티켓을 대체하는 전자 형태의 티켓으로, 예약 정보가 전자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어 항공, 철도, 스포츠, 콘서트,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비용 절감 및 편의성 증진의 장점을 가진다.
  • 물류 - 에너지 관리
    에너지 관리는 에너지 자원, 수급, 효율적 사용, 에너지 전략, 산업 공해 방지 등을 포괄하며, 대체 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효율 증대, 산업 공해 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정책을 포함한다.
  • 물류 - 배송 로봇
    배송 로봇은 자율 주행 기술로 물품을 배송하는 로봇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요가 증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저출산 고령화와 택배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수송 - 환적
    환적은 화물을 한 운송 수단에서 다른 운송 수단으로 옮기는 행위로, 컨테이너 항만, 해상, 궤간 변환 지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 수송 - 호송
    선박이나 차량들이 함께 이동하며 보호를 받는 호송은 해상에서는 상선 보호를 위해, 육상에서는 안전한 이동을 위해 조직되는 행위를 말한다.
화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상품 또는 생산품 운송
다른 용어물품
재화
적재물
화물 운송
수송 화물
법률 용어"화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운송되는 상품을 의미한다.
운송 방식육상
해상
항공
운송 단위컨테이너
포장된 상품
벌크 상품
관련 용어화물 운송
화물 운송업자
선하 증권
용선 계약
운송 방법
해상 운송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
항공 운송항공기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
철도 운송철도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
도로 운송트럭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
운송 관련 용어
화물 운임용선 계약에서 지불하는 가격
화물 운송상품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추가 정보
주요 고려 사항적재
하역
운송 중 안전
적절한 포장
운송 보험
관련 법률해상법
상법
기타화물은 종종 수송 및 물류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물품의 유형, 포장 및 취급에 따라 운송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국제 무역에서 화물 운송은 필수적이다.

2. 종류

오클랜드 항에 야적된 컨테이너


화물은 일반적으로 운송 전에 다양한 운송 범주로 분류된다. 품목의 범주는 운송되는 품목의 종류, 운송량의 규모, 운송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운송물은 일반적으로 가정용품, 익스프레스, 소포, 화물 운송물로 분류된다.

  • '''가정용품(HHG)'''에는 가구, 예술품 및 유사한 품목이 포함된다.
  • '''익스프레스:''' 봉투와 같은 매우 작은 사업용 또는 개인용 품목은 '''익일 익스프레스''' 또는 '''익스프레스 편지 운송물'''로 간주된다. 이러한 운송물은 몇 킬로그램을 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거의 항상 운송업체 자체 포장으로 이동한다. 익스프레스 운송물은 거의 항상 항공편으로 어느 정도 거리를 이동한다.
  • '''소포:''' 작은 상자와 같은 더 큰 품목은 '''소포''' 또는 '''지상 운송물'''로 간주된다. 이러한 운송물은 50kg을 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단일 품목의 무게가 약 70kg을 초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소포 운송물은 항상 상자에 담겨 있으며, 발송인의 포장 혹은 운송업체 제공 포장에 담긴다. 대부분의 지상 운송물은 하루에 약 800~1100km를 이동한다. 소포 운송물은 항공편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도로와 철도를 통해 이동한다. 소포는 기업 간 거래(B2C) 운송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화물:''' 가정용품, 익스프레스 및 소포 운송물을 제외한 이동은 '''화물 운송물'''이라고 한다.


상태에 따라 고체화물, 액체화물, 기체화물이 있으며, 가깝고 가벼운 것인 경우 사람이 운반하기도 하나, 화물 종류와 크기에 맞추어 기차, 트럭, 자전거, 마차, 선박, 비행기등 여러 가지 탈 것을 이용해서 이동시킨다. 현대에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2. 1. 상태에 따른 분류

화물은 상태에 따라 고체화물, 액체화물, 기체화물로 나뉜다.[13] 가깝고 가벼운 화물은 사람이 운반하기도 하지만, 화물의 종류와 크기에 맞추어 여러 가지 탈 것을 이용해서 이동시킨다. 현대에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16] 육상운송은 기차, 트럭, 자전거, 마차, 해상운송은 선박, 항공운송은 비행기가 있다. 특수화물은 취급이나 적재에 일반화물과 다른 취급이 필요한 화물로, 액체, 분체, 동물, 식물, 귀중품, 위험물 등을 말한다.[17]

2. 2. 포장 형태에 따른 분류

화물은 포장 형태에 따라 벌크 화물(벌크 화물), 용기 화물, 컨테이너 화물, 팔레트 적재 화물 등으로 나뉜다.[17]

2. 3. 운송 수단에 따른 분류



화물은 운송 수단에 따라 해상 화물, 항공화물, 철도 화물, 트럭 화물 등으로 나뉜다.[4][6][7] 현대에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4] 육상 운송은 기차, 트럭이, 해상 운송은 선박이, 항공 운송은 비행기가 담당한다.

카고룩스(Cargolux) 보잉 747-400F 항공기의 전방 적재문이 열린 모습


보잉 777 여객기가 런던 히드로 공항(2015)에 도착하는 모습


P&O Nedlloyd(P&O Nedlloyd)사의 인터모달 컨테이너를 싣고 있는 팁훅 인터모달 화물 웰 차량이 반버리 역(Banbury station), 잉글랜드(England), 2001년

  • 해상 화물: 항만 터미널에서는 다양한 해상 화물을 취급한다. 잡화화물/일반화물은 화물 그물, 슬링 등을 이용해 개별적으로 취급, 적재되지만, 1960년대 이후 컨테이너의 사용으로 크게 감소했다. 벌크화물은 소금, 석유 등과 같이 팔레트나 컨테이너에 들어 있지 않은 상품을 말하며, 액체 또는 건조한 것으로 분류된다.

  • 항공 화물: 항공기를 통해 운송되는 모든 상품을 가리키며, 1911년에 처음으로 우편물을 화물로 운송하는데 사용되었다.[4] 보잉 747An-124와 같은 여객기, 화물기가 사용된다. ULD라고 불리는 표준화된 컨테이너가 사용된다.[5]

  • 철도 화물: 선적 항구에서 온 많은 수의 컨테이너, 물, 시멘트, 곡물, 강철, 목재 및 석탄 등을 운송한다. 대량, 장거리 운송에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이지만,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 트럭 화물: 패스컬포스(Parcelforce), 페덱스(FedEx) 등 많은 기업들이 도로를 통해 다양한 화물을 운송한다. 슈퍼마켓의 상품과 같이 매일 배송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트럭 화물은 다시 '''트럭 적재량 미만(LTL) 화물'''과 '''트럭 전체 화물(TL)'''로 나뉜다.
  • LTL 화물: 대부분의 화물 운송 및 기업 간(B2B) 운송을 차지하며, 약 22.68kg 범위의 화물을 운송한다.
  • TL 화물: 미국에서 이상의 화물은 일반적으로 TL로 분류되며, 하나의 대형 트레일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2. 4. 물품의 성질에 따른 분류

화물은 물품의 성질에 따라 일반화물과 특수화물로 나뉜다.[13] 특수화물은 액체, 분체, 동물, 식물, 귀중품, 위험물 등 일반화물과 다른 취급이 필요한 화물을 말한다.[16] 일반화물, 특수화물, 잡화로 나누기도 한다.[17]

상태에 따라 고체화물, 액체화물, 기체화물이 있으며, 가깝고 가벼운 것인 경우 사람이 운반하기도 하나, 화물 종류와 크기에 맞추어 기차, 트럭, 자전거, 마차, 선박, 비행기등 여러 가지 탈 것을 이용해서 이동시킨다. 현대에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3. 운송 방식

3. 1. 해상 운송

항만 터미널에서는 다양한 해상 화물을 취급한다. 잡화 화물은 화물 그물, 슬링, 상자 등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취급 및 적재되며, 크레인이나 데릭을 이용하여 선박에 싣거나 내린다. 1960년대 이후 컨테이너의 사용으로 잡화 화물의 양은 크게 감소했다. 벌크 화물은 소금, 석유, 고철 등과 같이 팔레트나 컨테이너에 들어 있지 않은 상품을 말하며, 액체 또는 건조한 것으로 분류된다.

3. 2. 항공 운송

항공 화물은 항공기를 통해 운송되는 모든 상품을 가리키는 반면, 항공 운송은 전용 화물기를 이용하여 운송되는 상품을 특별히 가리킨다.[4] 항공기는 1911년에 처음으로 우편물을 화물로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보잉 747과 같은 많은 상업용 항공기는 화물 운송에 적합하며, 특히 An-124는 화물기로 쉽게 개조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대형 항공기는 ULD(Unit Load Device)라고 알려진 표준화된 신속 적재용 컨테이너를 사용하는데, 이는 화물선의 ISO 컨테이너와 유사하다. ULD는 여러 광폭동체 항공기의 하부 갑판(전방 및 후방)과 일부 협폭동체 항공기의 주 갑판에 적재할 수 있다.[5]

항공 운송품은 LTL(Less-than-truckload) 운송과 매우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시간당 800km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항공 운송품은 운송업체, 브로커 또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서비스를 통해 직접 예약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여객기에 항공화물로 화물을 운송하는 것에 대한 특정 제한이 있으며, 특히 충전식 리튬 이온 배터리 운송이 대표적이다. 미국 운송업체는 자사의 화물을 여객기에 위탁하기 전에 알려진 운송업체 관리 시스템(Known Shipper Management System)에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3. 철도 운송

열차는 선적 항구에서 온 많은 수의 인터모달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또한 물, 시멘트, 곡물, 강철, 목재 및 석탄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열차는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목적지까지 직접적인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적절한 조건 하에서, 특히 대량으로 또는 장거리로 운송될 때 철도 화물 운송은 도로 운송보다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이다.

철도 화물의 주요 단점은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철도는 도로 운송에 많은 화물 운송 사업을 잃었다. 철도 화물은 종종 한 교통 수단에서 다른 교통 수단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환적 비용이 발생한다. 컨테이너화와 같은 관행은 이러한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멘트나 곡물과 같이 철도 부지에 특수 대량 처리 시설이 있는 지점 간 대량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철도 운송 방식이 가장 편리하고 선호되는 옵션으로 남아 있다.

많은 정부는 열차의 환경적 불이익이 더 낮기 때문에 화주들이 도로 운송 대신 철도 이용을 늘리도록 장려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경부선, 호남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통해 화물 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3. 4. 도로 운송

패스컬포스(Parcelforce), 페덱스(FedEx), R+L 캐리어스(R+L Carriers) 등 많은 기업들이 도로를 통해 모든 종류의 화물을 운송한다.[6] 편지부터 주택과 컨테이너까지 모든 것을 배송하는 이들 기업은 빠르고, 때로는 당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슈퍼마켓은 상품을 채우기 위해 매일 배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식품은 도로 화물의 좋은 예시이다. 모든 종류의 소매업체와 제조업체는 대형 세미트럭이든 소형 배달 밴이든 배달 트럭에 의존한다.[6] 이러한 소규모 도로 운송 회사들은 제품을 배송하기 위해 최고의 경로와 가격을 지속적으로 추구한다. 소규모 사업체가 운송하는 상업 화물의 양은 종종 건전한 경제 개발의 좋은 척도가 된다.[6]

화물은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과 무게의 차량을 통해 운송된다.[7] 화물 운송은 '''소량화물(LTL, Less than truckload)'''과 '''트럭 전체 화물(TL, Truckload)'''로 구분된다. LTL 화물은 대부분의 화물 운송 및 기업 간 거래(B2B) 운송을 차지하며, '''도로운송'''으로도 불린다. LTL 운송은 50kg에서 7000kg 범위이며, 대부분의 경우 2.5m에서 8.5m 미만이다. 평균적인 LTL 화물 단위 무게는 600kg이며, 크기는 표준 팔레트와 같다. 긴 화물 또는 큰 화물에는 초과 길이 및 용적에 대한 할증료가 부과된다. LTL 운송에 사용되는 트레일러는 28ft(8.53m)에서 53ft(16.15m) 범위이다. 도시 배송의 표준은 일반적으로 48ft(14.63m)이다. 좁고 주거 지역에서는 28ft(8.53m) 트레일러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화물은 일반적으로 팔레트에 적재되고, 신축[수축] 포장되어 혼합 화물 환경에 맞게 포장된다. 익스프레스 또는 소포와 달리 LTL 운송업체는 자체 포장을 제공해야 하며, 운송업체는 포장 용품이나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7000kg 이상의 화물은 일반적으로 TL로 분류된다. 대형 화물의 경우 소형 LTL 트레일러의 공간을 공유하는 것보다 하나의 대형 트레일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연방 교량 총중량 공식에 따르면, 적재된 트럭(트랙터와 트레일러, 5축 차량)의 총 중량은 미국에서 36,287kg(80000lbs)을 초과할 수 없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장거리 운송 장비는 약 15000kg의 자체 중량을 가지므로 약 20000kg의 화물 적재 용량이 남는다. 화물의 크기는 트레일러의 크기에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48ft(14.63m) 또는 53ft(16.15m), 너비가 2.6m, 높이가 2.74m 또는 전반적인 높이가 4.11m이다. 소화물, 소포 및 LTL 화물은 항상 단일 장비에 다른 화물과 혼합되어 운송 중 여러 장비에 걸쳐 재적재되는 반면, TL 화물은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에 유일한 화물로 운송된다.

4. 각국의 제도

4. 1. 대한민국

4. 2. 일본

일본에서는 상법에 운송영업이 규정되어 있다.

{{인용|

제569조 이 법률에서 다음 각 호에 게재하는 용어의 의미는 당해 각 호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1. 운송인 육상운송, 해상운송 또는 항공운송의 인수를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2. 육상운송 육상에 있어서의 물품 또는 여객의 운송을 말한다.

3. 해상운송 제684조에 규정하는 선박(제747조에 규정하는 비항해선을 포함한다.)에 의한 물품 또는 여객의 운송을 말한다.

4. 항공운송 항공법(쇼와 27년 법률 제231호) 제2조 제1항에 규정하는 항공기에 의한 물품 또는 여객의 운송을 말한다.

(물품운송계약)


제570조 물품운송계약은 운송인이 발송인으로부터 어떤 물품을 받아 이것을 운송하여 수취인에게 인도하는 것을 약정하고, 발송인이 그 결과에 대하여 그 운송료를 지불하는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을 생긴다.

| 상법 }}

일본의 국내 화물 운송 수단을 비교하면, 2000년도 국토교통성의 '''교통센서스'''에 따르면 트럭의 점유율이 81%로 가장 높아 일본 운송의 중심은 트럭 운송이라고 할 수 있다.

철도는 거점 간 장거리 대량 운송에는 적합하지만, 단거리에서는 시간과 비용 면에서 장점이 없고 소규모 운송에 적합하지 않아 톤킬로미터 기준으로는 점유율이 약 4%로 크게 떨어졌다.[19] 철도 운송에서 수하물·소화물은 화물과 구분되며, 화차가 아닌 객차의 일종인 짐칸에서 운반되고 역에서 취급된다.[18] 그러나 일본에서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철도 소화물 운송은 이미 폐지되었다. 2007년 우정 민영화 이후 일본우편의 소화물(이전의 소포)은 택배로서 화물의 일종이다.

일부에서는 철도 화물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지방에서는 화물을 취급하는 역 자체가 매우 적어지고, 석유 등의 대량 운송이나 컨테이너 등의 장거리 운송에 한정되어 있다. 나머지는 화물선 등에 의한 해상 운송과, 화물기 등에 의한 항공 운송이며, 이 중 항공 운송이 점차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4. 3. 유럽

유럽에서는 철도가 정비될 때까지 하천 수운이 주요한 운송 수단이었다.[20] 그러나 19세기 후반 이후 철도 정비와 20세기 전반 이후 도로 정비로 인해 하천 수운은 쇠퇴하여, 2010년에는 철도의 점유율(약 10%)에 비해 하천 수송의 점유율은 약 3%(톤킬로미터 기준)에 불과하다.[20] 반면, 모달 시프트(Modal Shift)에 대한 기대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하천 수운을 지원하고 있으며, 로테르담 항, 함부르크 항, 안트베르펜 항 등의 컨테이너 취급량은 증가하고 있다.[20]

5. 물류

물류(物流)는 물적 유통(物的流通)의 줄임말로, 상품의 사회적인 흐름이나 상품의 포장, 운반, 보관 등의 여러 활동을 뜻한다.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소비자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은 물류 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6. 운송 비용

운송 비용은 거리, 배송 지역, 운송 품목, 필요한 장비 유형 및 서비스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8] 트럭 전체 화물(TL) 운송업체는 일반적으로 킬로미터 또는 마일당 요금을 부과하며, 소규모 화물 운송업체(LTL)는 화물 운송 중개인, 온라인 시장 또는 다른 중개업체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경우가 많다.[8] 중개인은 시장 조사를 통해 소규모 화주보다 낮은 요금을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공표된 요금의 50%~80% 할인을 받는다.[8]

비용 절감 방법으로는 운송업체 터미널에서 적재 또는 배송을 용이하게 하거나, 여러 운송업체, 브로커 및 온라인 시장에서 요금을 비교하여 서비스와 비용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있다.[8] 미국 화주가 브로커, 화물 운송 주선업체 또는 다른 운송 중개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운송업체의 연방 운영 허가 사본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8] 화물 브로커와 중개업체는 연방 고속도로청의 면허를 받아야 하며, 경험이 많은 화주는 무면허 브로커 및 주선업체를 피한다.[8]

운송 비용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감소했으며,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9]

7. 보안 문제

정부는 화물 운송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여, 관세청 기관을 통해 화물 취급 규칙 및 규정을 제정하고 테러리즘 및 기타 범죄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다.[10] 특히 국가의 국경을 통해 들어오는 화물을 중요하게 관리한다.

미국은 화물 보안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 중 하나로, 화물을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 9·11 테러 이후 미국 항구에 들어오는 600만 개가 넘는 화물 컨테이너의 보안 문제가 중요해졌다.[10] 미국은 CSI(컨테이너 보안 이니셔티브)를 통해 전 세계에서 미국으로 운송되는 컨테이너 화물의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11] 유럽 또한 EU가 자금을 지원하는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화물 보안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8. 화물 고정

다양한 운송 수단에서 화물을 안정시키고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과 재료는 매우 다양하다. 강철 스트래핑과 플라스틱/목재 블록킹 및 브레이싱과 같은 기존의 화물 고정 방법 및 재료는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현재의 화물 고정 방법은 폴리에스터 스트래핑 및 래싱, 합성 웨빙 및 던네이지 백(에어백 또는 풍선형 백으로도 알려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른 옵션을 제공한다.[12]

도로 운송 화물 안전 고정에 대한 국제 지침에는 안정화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이 제시되어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Freight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023-06-27
[2] 웹사이트 Cargo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023-06-27
[3] 웹사이트 CARGO Definition & Legal Meaning https://thelawdictio[...] 2023-01-24
[4] 웹사이트 Air cargo VS. Air freight https://an.aero/air-[...]
[5] 문서 In an all-freight configuration also on their main deck, but this is less common.
[6] 웹사이트 Transportation is a crucial driver of economic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http://www.worldbank[...] The World Bank 2013-04-14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eturnloa[...] 2015-01-29
[8] 웹사이트 Federal Motor Carrier Safety Administration https://web.archive.[...] 2013-02-22
[9] 논문 The impact of additive manufacturing on supply chains 2017-09-25
[10] 웹사이트 Murray Unveils First-in-the-Nation Port Security Demonstration https://web.archive.[...] 2007-05-31
[11] 웹사이트 CSI: 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https://web.archive.[...] 2006-10-10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Guidelines on Safe Load Securing for Road Transport https://web.archive.[...] 2015-07-06
[13] 서적 物流用語の意味がわかる辞典 日本実業出版社
[14] 웹사이트 Cargo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023-06-27
[15] 웹사이트 CARGO Definition & Legal Meaning https://thelawdictio[...] 2023-01-24
[16] 웹사이트 【用語集】た行 http://www.jarw.or.j[...] 日本冷蔵倉庫協会 2020-07-10
[17] 서적 基本流通用語辞典 白桃書房
[18]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2009-05
[19] 웹사이트 貨物輸送の輸送機関別分担率の推移 http://www2.ttcn.ne.[...] 2010-07-31
[20] 웹사이트 ヨーロッパにおける河川輸送の現状と今後の展望 https://www.itej.or.[...] 交通経済研究所 2020-07-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