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완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완옹주는 조선 영조의 아홉째 딸로, 1738년에 태어나 1749년에 정우량의 아들 정치달과 혼인했다. 사도세자의 비행을 영조에게 고해 바치는 등 사도세자와 갈등을 겪었으며, 임오화변 이후 정조의 왕세손 시절 정조와 효의왕후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고 양자 정후겸을 통해 정조의 왕세자 신분을 위협했다. 정조 즉위 후 정후겸의 역모와 연루되어 몰락하여 옹주 호를 삭탈당하고 서인으로 강등되었으나, 1799년 정조에 의해 사면되었다.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1808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위된 왕족 - 휘신공주
휘신공주는 조선 연산군의 장녀로, 폐위된 후 폐서인되었으며 구문경에게 시집갔으나 중종반정 이후 이혼했다가 재결합했고, 영응대군과 임영대군의 후손이며 아들을 두었으나 후손이 단절되어 이안눌이 제사를 받들었다.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유옹주
영조와 귀인 풍양 조씨의 딸인 화유옹주는 1753년 황인점과 혼인 후 정조의 기림을 받았으며, 그녀와 황인점의 묘는 경기도 부천시에 있다.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령옹주
화령옹주는 조선 영조의 딸이자 사도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심능건과 결혼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며 정조의 배려로 작위를 유지하다가 1821년에 사망했다. - 1808년 사망 - 위베르 로베르
위베르 로베르는 낭만적인 폐허 풍경을 주로 그린 18세기 프랑스 화가이자 판화가로, 로마 유적에서 영감을 받아 '유적지의 로베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 투옥 후 루브르 박물관 관리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1808년 사망 - 피에르 장 조르주 카바니스
프랑스의 생리학자, 의사, 철학자인 피에르 장 조르주 카바니스는 생리심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인간 사고가 뇌 기능이라는 유물론적 관점을 제시했고, 프랑스 혁명에 관여하여 관념학을 제창했다.
화완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완옹주 |
휘 | 용완(蓉婉) |
다른 이름 | 정처(鄭妻, 정치달의 아내) |
별호 | 화완귀주(和緩貴主) |
로마자 표기 | Hwawanolgjoo |
가계 | |
아버지 | 영조 |
어머니 | 영빈 이씨 |
배우자 | 일성위(日城尉) 정치달(鄭致達) |
자녀 | 1녀 (요절), 양자: 정후겸 |
작위 및 묘소 | |
작위 | 조선 영조의 옹주 |
묘소 | 화완옹주 및 정치달 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
생애 | |
출생 | 건륭 3년 1월 19일 (1738년 3월 9일) |
사망 | 가경 13년 5월 (1808년, 70세) |
2. 생애
1738년 (영조 14년) 영조와 영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화완옹주는 1749년 소론의 거두 정휘량의 조카 정치달과 혼인하였다. 그러나 남편과 사별 후, 정후겸을 양자로 들였다. 친오빠 사도세자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화완옹주는 사도세자의 비행을 영조에게 고해바치기도 했다.
사도세자 사후, 그의 아들 이산(훗날 정조)의 보호자를 자처했으나, 왕세손과 왕세손빈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등 권력을 휘둘렀다. 정조 즉위 후, 양자 정후겸은 유배된 후 처형되었고, 화완옹주 역시 옹주 칭호를 박탈당하고 서인으로 강등되어 유배되었다.[7]
1799년 정조는 화완옹주를 용서하였으나, 승정원일기에는 그녀의 처형을 요구하는 상소가 끊이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순조 재위 중인 1808년 사망하였다.[12][13]
2. 1. 출생과 혼인
1738년(영조 14년) 1월 19일, 영조의 아홉째 딸이자 영빈 이씨의 여섯째 딸로 태어났다.[1] 1749년(영조 25년) 7월 6일, 소론의 거두 정휘량의 조카이자 이조 판서와 우의정을 지낸 정우량의 아들 정치달과 혼인하였다.[1] 정우량은 우의정까지 지냈고, 사후에는 증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정치달과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으나 일찍 죽었다.[2][3] 남편 정치달도 일찍 사망하여, 시댁 먼 일가의 아들인 인천 출신 정후겸을 양자로 삼았다.[5]2. 2. 영조의 총애와 사도세자와의 갈등
화완옹주는 1738년(영조 14년) 영조와 정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743년(영조 19년) 화완옹주로 봉해졌다.[1] 1748년(영조 24년) 언니 화평옹주가 사망하자, 영조는 화평옹주에 대한 애정을 화완옹주에게 쏟았다.[6]1749년(영조 25년), 화완옹주는 정치달과 혼인하였고, 영조는 정치달에게 일성위라는 작위를 내렸다.[1] 그러나 1757년(영조 33년) 딸과 남편 정치달이 사망하면서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2][3][4] 이후 영조는 화완옹주에게 궁궐 근처에 거주할 것을 요청하였고,[6] 상속자가 없던 화완옹주는 정인대의 아들을 양자로 삼았는데, 그가 바로 정후겸이다.[5]
아버지 영조의 총애를 받은 화완옹주는 궁중에서 점차 권력을 얻게 되었다.[6] 반면, 오빠인 사도세자는 아버지와 긴장된 관계를 유지하며 질투심을 느꼈다.[6] 사도세자가 살아있을 당시, 화완옹주는 그의 광기 어린 행동에 두려워 그의 요구를 거절하지 않고 많은 도움을 주었다. 1760년(영조 36년) 사도세자가 영조와 같은 궁궐에 있는 것을 견디지 못하자, 화완옹주를 협박하여 영조에게 경희궁으로 거처를 옮길 것을 압박하게 하였고, 온양의 온천에 있는 아산으로 요양을 갈 수 있도록 특별 허가를 받은 것도 화완옹주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1762년(영조 38년) 사도세자가 처형되고, 1764년(영조 40년) 어머니 정빈 이씨가 사망한 후, 화완옹주는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훗날 정조가 되는 왕세손 이산의 보호자 역할을 맡게 되었다. 당시 화완옹주는 아버지 영조의 신임을 받았기에, 왕세손은 영조의 남은 재위 기간 동안 안전하게 지낼 수 있었다. 그러나 화완옹주는 왕세손을 장악하려는 시도 속에서 왕세손과 훗날 효의왕후가 되는 왕세손빈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였다.
2. 3. 정조와의 갈등과 몰락
정조 즉위 후 양자 정후겸이 세손 시절부터 정조를 제거하려 하여, 그는 정후겸과 함께 이른바 "명의록의 의리"에 반한 죄인으로 취급되어 몰락하였다.[7] 양자 정후겸은 사사당하고 그는 옹주의 호를 삭탈당하고 서인으로 강등되어, '정치달의 처(정처)'라고 불리게 되었다.처음에는 강화도 교동, 나중에는 육지인 경기도 파주의 어떤 곳으로 유배되었으며,[9][10][11] 그 과정에서 여러 차례 대신들의 처벌 요구가 있었다. 그러나 정조는 이를 듣지 않다가 1799년(정조 23) 화완옹주의 죄를 없애고 용서하라 지시하였다.
1782~1783년경, 전 옹주는 섬으로 유배될 것이 결정되었으나, 곧 반도로 돌아와 1784년부터 파주에 정착하였다. 승정원일기의 기록에 따르면, “정씨 부인” 또는 “정치달의 부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전 화완옹주의 처형에 대한 건의는 정조 재위 기간 내내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그녀는 정조의 아들 순조 재위 중인 1808년에 사망하였다.[12][13]
2. 4. 사면과 복권, 그리고 죽음
1799년 3월 이후 화완옹주는 석방되어 궁에 들어와 살았으며, 순조 대에도 화완옹주에 대한 탄핵이 있었으나 순조가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17]순조실록에는 1808년(순조 8) 5월 17일 삼사에서 올린 글에서 정치달의 처가 죽어 더 이상 죄를 묻지 않는다는 구절이 나온다. 즉 옹주의 사망일은 그 이전으로 사료되나 정확한 몰일을 파악할 수 없다. 다만 왕가의 전통상 졸기가 없고 무덤이 경기도 파주시 유배지 인근이었던 것으로 보아 죽을 당시 죄를 완전히 벗지는 못했던 것으로 여겨진다.[12][13] 《화완옹주 및 정치달 묘》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에 있다. 2001년 12월 21일 파주시의 향토유적 제14호로 지정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영조 | 1694년 | 1776년 | 조선 제21대 왕 |
어머니 | 영빈 이씨 | 1696년 | 1764년 | |
언니 | 화평옹주 | 1727년 | 1748년 | |
언니 | 이옹주 | 1728년 | 1731년 | 요절 |
언니 | 삼옹주 | 1729년 | 1731년 | 요절 |
언니 | 사옹주 | 1732년 | 1736년 | 요절 |
언니 | 화협옹주 | 1733년 | 1752년 | |
오빠 | 조선 장조 | 1735년 | 1762년 | 조선 추존왕 |
시아버지 | 정우량 | 1692년 | 1754년 | |
시어머니 | 전주 이씨 | ? | ? | 효령대군 후손 이필(李馝)의 장녀[21], 정우량 계실이자 일성군 생모. 효령대군 10대 손녀.[14] |
남편 | 일성위 정치달 | 1732년 | 1757년 | |
양자 | 정후겸 | 1749년 | 1776년 | 정치달 10촌 형 정석달(1717년~1780년) 아들[15] |
며느리 | 덕수 이씨 | ? | ? | 이최진(李㝡鎭)과 대구 서씨 차녀[22] |
장녀 | 정씨 | 1756년 | 1758년 | 조졸 |
4. 평가와 의의
영조는 화완옹주를 총애했으며, 영조실록에서는 그녀의 성품을 요사하고 혜민(慧敏)하다고 표현했다.[20]
4. 1. 긍정적 평가
영조실록에 의하면 화완옹주는 임금의 딸들 가운데에서 가장 깊은 사랑을 받았고 성질도 요사하게 혜민했다고 한다.[20]4. 2. 부정적 평가
영조실록에 의하면 화완옹주는 임금의 딸들 가운데에서 가장 깊은 사랑을 받았고 성질도 요사하고 혜민(慧敏)했다고 한다.[20]5. 대중문화
- 1988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 한중록》에서 이상숙이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1991년 KBS 드라마 《왕도》에서 이효춘이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1998년 MBC 드라마 《대왕의 길》에서 김지연이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2001년 MBC 드라마 《홍국영》에서 유혜리가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2007년 MBC 드라마 《이산》에서 성현아가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2015년 KBS2 드라마 스페셜 - 붉은 달에서 박소담이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2021년 MBC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서효림이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 2015년 영화 《사도》에서 진지희가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Yeongjo, day 6, month 7, year 25 of Y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Yeongjo, day 3, month 8, year 32 of Y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Yeongjo, day 23, month 1, year 33 of Y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Yeongjo, day 15, month 2, year 33 of Y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Records of day 3, month 5, year 33 of Yeongjo's reign
http://sjw.history.g[...]
[6]
서적
Click into the Hermit Kingdom: virtual adventure into the Choson dynasty
https://books.google[...]
Dongbang Media
2000
[7]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Jeongjo, day 21, leap month 6, year 2 of Jeongjo's reign
http://sjw.history.g[...]
[8]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Jeongjo, day 18, month 6, year 3 of J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9]
웹사이트
Records of day 15, month 12, year 6 of Jeongjo's reign
http://sjw.history.g[...]
[10]
웹사이트
Records of day 6, month 1, year 7 of Jeongjo's reign
http://sjw.history.g[...]
[11]
웹사이트
Records of day 1, month 10, year 8
http://sjw.history.g[...]
[12]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Jeongjo, day 3, month 4, year 0 of J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13]
웹사이트
Records of day 17, month 5, year 8 of Sunjo's reign
http://sjw.history.g[...]
[14]
웹사이트
효령대군파 권14(孝寧大君派 卷之十四)
http://visualjoseon.[...]
[15]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Jeongjo, day 25, month 2, year 0 of J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16]
웹사이트
《德水李氏世譜》(1931年版)
https://www.familyse[...]
[17]
문서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18]
문서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88권, 1756년 10월 2일
조선왕조실록
1756-10-02
[19]
문서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89권, 1757년 2월 15일
조선왕조실록
1757-02-15
[20]
문서
영조실록 81권, 영조 30년 1월 7일 정사 2번째기사 1754년, "청 건륭(乾隆) 19년전 판부사 정우량 졸기"
조선왕조실록
1754-01-07
[21]
웹인용
효령대군파 권14(孝寧大君派 卷之十四)
http://visualjoseon.[...]
[22]
웹인용
《德水李氏世譜》(1931년)
https://www.family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