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후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후겸은 1749년 태어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화완옹주의 양자이자 노론 세력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세자 이산(후일 정조)과 갈등을 빚으며 정조 제거 음모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여 유배되었고 사사되었다. 이후 순조 때 역적으로 단죄되었으나, 1908년 이완용의 건의로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6년 사망 - 홍인한
홍인한은 조선 후기 풍산 홍씨 가문 출신 문신으로, 영조와 정조 시대에 요직을 역임했으나 정조 즉위 후 탄핵받아 사사되었고, 철종 때 복권되었다. - 1776년 사망 - 데이비드 흄
데이비드 흄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경험주의 철학자, 역사가, 경제학자, 수필가로서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사상을 전개했으며, 인과 관계와 귀납적 추론에 대한 회의적인 분석으로 철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장조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장조 - 정성왕후
정성왕후는 조선 영조의 왕비로, 효장세자와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끼고 64세에 세상을 떠나 서오릉 홍릉에 묻혔으며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의 존호를 받았다. - 1749년 출생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라디셰프는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의 여행』을 출판하여 사형 선고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나, 귀환 후 잠시 법 개정에 참여하다 자살했으며, 그의 저서는 러시아 사회 개혁과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49년 출생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1749년 독일에서 태어난 시인, 소설가, 극작가, 과학자, 정치가로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자연과학 연구와 정무 활동을 하였으며, 독일 고전주의 문학 확립에 기여하였다.
정후겸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청주(淸州) |
자 | 사능(士能) |
시호 | 충문(忠文) |
생몰년 | 1749년 ~ 1776년 |
관력 | |
최종 관직 | 병조판서 |
주요 활동 | 척신, 세도정치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정원재(鄭元載) |
어머니 | 화완옹주 |
양아버지 | 정존겸(鄭存謙) |
2. 생애
정후겸은 1749년 화완옹주의 남편 정취달의 4촌의 아들인 정석달과 전주 이씨 부인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 어릴 적 그는 세자 이산(훗날의 정조)과 함께 서원에서 공부했다.[3] 10대에는 청나라에서 유학했으며, 성인이 되어서는 노론의 핵심 인물이 되어 정조를 제거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3] 그는 함경도 경원군으로 유배되었고, 사약을 받고 죽었다.[4][5]
2. 1. 생애 초반
그는 조선 경기도 인천 제물포(지금의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어물 행상(생선 장수)을 하던 정석달(鄭錫達, 1720년~?)의 6남 2녀(8남매) 중 차남(둘째아들)이자 넷째로 출생하였고, 어머니 전주 이씨 부인이 병으로 사망한 뒤에는, 계모 은진 송씨 부인과 계모 송씨의 친정어머니 경주 이씨 부인 등이 있었다.[9] 그의 집안은 원래 양반의 후손이었으나, 생부 정석달은 생선장수였다 한다.[9] 생부 정석달의 대에 가서는 생계를 얻기 힘들어 결국 생선 장사 등을 하게 된 것이다.양인 출신이었던 그는 1764년 영조의 서녀 화완옹주와 그녀의 상배 부군이었던 정치달(鄭致達, 1757년 하세)의 양자로 입적하였다. 영조의 서녀사위 정치달(鄭致達, 1723년~1757년)은 정후겸의 아버지 정석달과 같은 항렬이었기에 가계상 아저씨뻘 되는 친가의 먼 친척이 되었다. 이후 음서(문음)로써 관직에 올랐으며, 일찍부터 영특하고 언변에 능하여 양 외할아버지인 영조의 총애를 받았다.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의 상주로써 특명을 받고 장원봉사(掌苑奉事)로 승진했으며, 그의 친형 정일겸(鄭日謙, 1746년~?)도 1772년 정시문과에 병과 급제한 후 승정원 승지에까지 오른 적이 있다.
1766년(영조 42) 홍문관 부교리, 1767년(영조 43) 홍문관 수찬에 올랐다. 이어 거듭 홍문관 교리를 거쳐 사헌부 지평을 역임하고 이후 화완옹주의 양자라는 배경으로써 19세의 어린 나이에 당상관으로 진급하여 승정원 좌승지에 올랐으며, 이후 승승장구해 20대의 나이에 병조 참판에 올라 당대의 6조의 실권자로 성장했다.
1769년 개성부유수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와 호조참의, 호조참판, 공조참판, 예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1749년 화완옹주의 남편인 정취달의 4촌의 아들인 정석달과 전주 이씨 부인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
어릴 적 그는 세자 이산과 함께 서원에서 공부하는 동무였다. 10대에는 청나라에서 유학했다.[3]
2. 2. 세손과의 갈등과 최후
그는 양부쪽 가계는 탕평당계 소론이었지만 다른 친척들과 함께 노론 외척당에 가담하였다. 그는 노론 외척 세력의 중진이 되어 세손(훗날의 정조)와 갈등하였다. 그는 홍인한, 김귀주 등과 결탁, 세손의 대리청정을 방해하고자 온갖 음해와 모략을 저질렀으며, 이 과정에서 친세손계 인사 홍국영, 정민시, 그밖에 노론 청명당의 김종수 등과 대립하였다.한편으로는 동궁에 간세 및 세작을 심어두고, 비밀리에 세손의 언동을 살피게 하는 한편, 유언비어를 퍼뜨려 세손의 비행을 조작하고 홍인한 등의 사주를 받아, 세손 대리청정을 반대했던 부사직 심상운을 시켜 세손궁의 궁료인 홍국영을 탄핵하고, 김종수의 제거를 획책하였으나 영조는 세손의 손을 들어주었고, 그의 계획은 모두 실패하였다.
1774년 공조참판, 1776년 영의정 김상철의 추천으로 비국당상이 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에는 그의 평소 품행이 거만하고 예의가 없었으며, 막대한 재산을 착복하여 전횡을 일삼았다고 적혀 있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숙청 작업에 들어갔는데, 양사에서는 정후겸, 홍인한 등을 수시로 계속 탄핵하였다. 정후겸은 홍인한, 홍상간 등과 함께 폐서인된 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으며, 1776년 5월 3일 가시울타리가 쳐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홍계희의 친척들이 무사를 고용, 정조를 암살하려는 사건이 발생하자, 여러번 양사로부터 공격을 당한 끝에 7월 5일 홍인한, 문성국 등과 함께 참형 또는 사사당했다.[3] 그는 함경도 경원군으로 유배되었고, 사약을 받고 죽었다.[4][5]
3. 몰락 이후
화완옹주는 작위를 박탈당하고 정치달의 처라는 뜻의 정처로 불렸으며, 그의 생부 정석달 등도 유배되었다.[1]
3. 1. 가문의 몰락
화완옹주는 작위를 박탈당하고 정치달의 처라는 뜻의 정처 혹은 정치달의 처로 호칭되었고, 그의 생부 정석달 등도 유배되었다.[1]3. 2. 사후 복권
1806년(순조 6년) 김조순 집권 이후 정조의 치적을 파괴한 역적으로 단죄되었다. 후에 같은 항렬의 먼 친척 정해담(鄭海淡, 1759년~?)의 둘째 아들 정기원(鄭璣源, 1787년~1865년)을 사후 양자(死後 養子)로 삼았다.1908년(융희 2년) 4월 30일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의 건의로 복권되고,[8] 같은 해 1월 이완용 등의 건의로 작위와 시호가 회복되었으며,[10] 4월 죄적에서 삭제되고 명예회복되었다.[8]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아들(장남) | 정시원(鄭翅源) | 1770년~1774년 | 다섯 살 어린 시절에 병으로 요절 |
양자(양차남) | 정기원(鄭璣源) | 1787년~1865년 | 생부 정해담(鄭海淡)은 양부 정후겸의 친가 동항렬 방척 |
정후겸은 1749년 화완옹주의 남편인 정취달의 4촌의 아들 정석달과 전주 이씨 부인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
5. 평가
정후겸은 정조를 제거하려는 음모에 가담했고, 관련자들이 처벌받을 때 함경도 경원군으로 유배되어 사약을 받고 죽었다.[4][5] 그는 어릴 적 세자 이산과 함께 서원에서 공부했으며, 10대에는 청나라에서 유학했다. 성인이 되어서는 노론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3]
5. 1. 부정적 평가
정후겸은 화완옹주의 남편인 정취달의 4촌의 아들 정석달과 전주 이씨 부인 사이에서 1749년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 어릴 적 세자 이산과 함께 서원에서 공부하였고, 10대에는 청나라에서 유학했다. 성인이 되어서는 노론의 핵심 인물이 되었으며, 정조를 제거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3] 관련자들이 처벌받을 때 함경도 경원군으로 유배되었고, 사약을 받고 죽었다.[4][5]5. 2. 긍정적 평가
정후겸은 1749년 화완옹주의 남편인 정취달의 4촌의 아들 정석달과 전주 이씨 부인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 어릴 적 그는 세자 이산과 함께 서원에서 공부하는 동무였으며, 10대에는 청나라에서 유학했다.[3]6. 대중 매체에서
정후겸은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뤄졌다.
- 드라마
- 1988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1991년 KBS1 드라마 《왕도》: 선우재덕
- 2001년 MBC 드라마 《홍국영》: 정웅인
- 2007년 MBC 드라마 《이산》: 조연우, 이인성(아역)
- 2011년 SBS 드라마 《무사 백동수》: 성창훈
- 2021년 MBC 드라마 《옷 소매 붉은 끝동》: 권현빈[6]
6. 1. 드라마
- 1988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 선우재덕
- 1991년 KBS1 드라마 《왕도》 - 선우재덕
- 2001년 MBC 드라마 《홍국영》 - 정웅인
- 2007년 MBC 드라마 《이산》 - 조연우, 이인성(아역)
- 2011년 SBS 드라마 《무사 백동수》 - 성창훈
- 2021년 MBC 드라마 《옷 소매 붉은 끝동》 - 권현빈[6]
- 2008년 뮤지컬 《화성에서 꿈꾸다》 - 장정식
6. 2. 뮤지컬
6. 3. 관련 도서
鄭厚謙|정후겸중국어을 소재로 한 서적은 다음과 같다.참조
[1]
서적
조선공주실록: 화려한 이름 아래 가려진 공주들의 역사
https://books.google[...]
역사의아침
2009-05-30
[2]
웹사이트
《迎日鄭氏世譜》(1985年)
https://www.familyse[...]
[3]
서적
한영 한국역사용어대전 제11권 [맥 ~ 무]
https://books.google[...]
아이이북
2020-03-01
[4]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Jeongjo, day 25, month 2, year 0 of Jeongjo's reign
http://sillok.histor[...]
[5]
서적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 조선의 혼이 지다
https://books.google[...]
해냄출판사
2013-09-30
[6]
웹사이트
권현빈 '옷소매 붉은 끝동' 합류, 첫 사극 도전 [공식]
https://entertain.na[...]
Ten Asia
2021-05-25
[7]
뉴스
정치보복 악순환 끊고 새 시대 통합을 꾀하다
https://news.naver.c[...]
[8]
간행물
순종실록 2권, 순종 1년(1908 무신 / 대한 융희(隆熙) 2년) 4월 30일(양력) 3번째기사 "죽은 좌의정 한효순 외 77명의 관작을 회복시켜 줄 것에 관하여 보고하다"
[9]
간행물
영조실록 103권, 영조 40년 4월 14일 을미 2번째기사 1764년 청 건륭(乾隆) 29년, "홍봉한이 정치달의 아들 정후겸에게 차라리 부직할 것을 청하다"
[10]
간행물
순종실록 2권, 순종 1년(1908 무신 / 대한 융희(隆熙) 2년) 1월 30일(양력) 4번째기사 "한효순, 정인홍 등에게 죄명을 벗겨주고 작위와 시호를 회복시켜 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